KR20180004630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630A
KR20180004630A KR1020160092242A KR20160092242A KR20180004630A KR 20180004630 A KR20180004630 A KR 20180004630A KR 1020160092242 A KR1020160092242 A KR 1020160092242A KR 20160092242 A KR20160092242 A KR 20160092242A KR 20180004630 A KR20180004630 A KR 2018000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seat
linea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우
오용준
양성모
선섭희
윤기훈
홍진성
Original Assignee
(주)동인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인기연
Publication of KR2018000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2Devices for rocking or oscil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지지부(400)가 설치된 본체부(10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400)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부(200)를 포함하는 유모차로서, 상기 본체부(100) 및 상기 시트부(2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200)를 상기 지지부(400)에 대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선형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모차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를 산책이나 쇼핑 등을 위해 옥외(屋外)로 데리고 나갈 경우에 사용되는 유모차는 오늘날 다양하게 제안되고, 실용(實用)되고 있다.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유모차의 대부분은 크게 디럭스형과 휴대용 그리고 절충형으로 나뉠 수 있다.
디럭스형은 신생아부터 사용할 수 있는 유모차로 등받이가 최대 170도까지 펼쳐져 침대처럼 사용 가능하고 대부분 양대면 기능이 탑재되는 구조로서, 자체의 무게가 많이 나가고 덩치가 크기 때문에 탑승한 아기는 편안함과 안전함을 느낄 수 있으나 운전하는 사용자에게 피로도가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휴대용은 자체의 무게가 가볍게 형성되며 보통 4접철 원터치 방식으로 있어 간단하게 접고 펼 수 있지만 몸체가 작아 디럭스형에 비해 탑승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디럭스형 유모차의 승차감과 휴대용 유모차의 간편성이 결합된 절충형 유모차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나 기존에 사용되던 디럭스형 유모차에 비해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출시 필요한 각종 짐들을 유모차의 하단에 싣고 다니는 사용자들이 늘어나면서 유모차의 하단에 짐을 놓을 수 있는 짐받이부가 추가로 설치되는 유모차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영유아가 안착된 상태에서 짐을 싣고 꺼내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부의 착탈, 회전 및 선형이동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유모차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지지부(400)가 설치된 본체부(10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400)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부(200)를 포함하는 유모차로서, 상기 본체부(100) 및 상기 시트부(2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200)를 상기 지지부(400)에 대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선형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개시한다.
상기 선형왕복부(700)는, 상기 지지부(400)에 결합되는 선형지지부(720)와, 상기 선형지지부(720)에 대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선형지지부(720)와 결합되며 상기 시트부(200)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7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지지부(720)는, 상기 지지프레임(710)이 관통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710)은, 상기 선형지지부(720)에 설치된 삽입부재(721)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이드홈(7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721)를 기준으로 전후방에 한 쌍의 탄성부재(7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형왕복부(700)는, 상기 시트부(200)를 상기 지지부(400)에 대한 선형이동가능상태 및 고정상태를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선형이동제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이동제어부(730)는, 일단이 상기 선형왕복부(700)에 삽입되어 상기 선형왕복부(700)의 고정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부재(740)와; 상기 고정부재(74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421)의 작동을 조절하는 선형이동스위치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지지부(720)와 상기 지지부(400)의 결합위치에는 상기 시트부(200)의 회전을 위한 회전부(210)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210)는 상기 지지부(400)에 설치되는 회전각도제어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400)에 대한 상기 시트부(200)의 회전 및 결합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제어부는, 상기 회전부(210)를 고정하는 고정부(430)와; 상기 지지부(400)와 힌지결합하며 일단이 상기 고정부(43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440)와; 상기 회전부재(440)의 타단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430)의 상하이동을 구동하는 회전각도제어스위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시트부의 회전 및 선형이동이 용이하여 영유아에 대한 지지형태의 다양화가 가능하여 영유아의 상태에 따른 편안한 숙면을 취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시트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이 손잡이부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거나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전환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시트부의 회전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시트부의 안정적 회전 및 영유아에 대한 지지각도를 다양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시트부의 각도를 지면과 평행하도록 놓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영유아에 대한 요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시트부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부에 보다 많은 양의 짐을 실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시트부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차량 내의 적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보조프레임의 일단이 지지부와 힌지결합 하도록 설치되어 유모차의 보관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모차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트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트부가 선형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시트부가 요람의 형태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유모차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시트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시트부가 선형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는, 도 6의 시트부가 요람의 형태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3에의 회전각도조절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6에 설치되는 선형왕복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6에서 Z축방향으로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a에서 홀더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은, 도 6의 선형왕복부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400)가 설치된 본체부(100)와, 한 쌍의 지지부(400)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부(200)를 포함하는 유모차로서, 본체부(100) 및 시트부(2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시트부(200)를 지지부(400)에 대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선형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형왕복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시트부(200)를 제외한 유모차의 본체를 구성하는 구성으로서 유모차의 용도,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본체부(100)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부재(11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는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이동부(300)를 이용하여 밀거나 끌 수 있도록 손잡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본체프레임(110) 각각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시트부(200)와 힌지결합하는 지지부(40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와, 양단이 각각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의 하단과 결합하는 제1지지부재(150)와, 일단이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에 각각 결합되어 제1지지부재(150)와 함께 본체부(100)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보조프레임부재(120)와, 양단이 각각 한 쌍의 보조프레임부재(120)의 타단과 결합하는 제2지지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재(160)는, 사용자가 정지상태의 본체부(100)를 이동상태로 변화시킬 때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발판부(80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판부(800)는, 후술하는 후방바퀴(320)의 회전을 저지하여 유모차가 지면 등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후방바퀴(320)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여 지면 등에서 유모차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는, 제1지지부재(150) 및 제2지지부재(160) 등에 지지되며 물건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부(50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부(500)는,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3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지면 상에서 본체부(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이동부(300)는, 제1지지부재(150)의 하단, 제2지지부재(160)의 외측 등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300)는, 제1지지부재(150)의 하단에서 힌지결합부(330)를 힌지축으로 하여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310)들과, 제2지지부재(160)와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바퀴(310) 및 후방바퀴(320)는, 본체부(100) 등으로 구성된 유모차가 지면 등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전방바퀴(310)는, 후방바퀴(3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측에 설치된 손잡이조절스위치(140)에 의하여 손잡이부(130)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본체부(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이동부(300)를 이용하여 밀거나 끌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부(200)는, 한 쌍의 지지부(400)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유아를 태우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부(200)는,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시트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 및 영유아가 탈 수 있는 합성수지, 솜, 면, 천 등으로 구성된 시트부재 등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부(200)는, 본체부(100)의 이동 및 정지시 영유아가 전면 방향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바(230), 안전손잡이(240), 안전벨트(250)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바(230)는, 일단이 시트부(200)와 힌지결합되어 영유아의 안착시 안전 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타단에 안전바(23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전손잡이부(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트부(200)는, 상단에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방향으로 태양광 등을 차폐하는 차양막(60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부(200)는, 지지부(40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부(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 특히 지지부(400)는, 시트부(200)의 구조와 연동되어, 시트부(200)와의 착탈결합을 위한 구조, 시트부(200)의 회전가능상태 및 고정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형왕복부(700)는, 시트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선형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시트부(200) 및 본체부(1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선형왕복부(700)는, 지지부(400)에 결합되는 선형지지부(720)와, 선형지지부(720)에 대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선형지지부(720)와 결합되며 시트부(200)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7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형지지부(7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710)이 관통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지지프레임(710)은, 선형지지부(720)에 설치된 삽입부재(721)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이드홈(711)이 형성되고, 삽입부재(721)를 기준으로 전후방에 한 쌍의 탄성부재(7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왕복부(700)는, 시트부(200)를 상기 지지부(400)에 대한 선형이동가능상태 및 고정상태를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시트부(200)가 본체부(100)로 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하며 시트부(200)의 회전이동 및 회전 이동 후 사용자가 임의로 이동시킨 각도에서 고정시키는 제1제어부재(410)와, 시트부(200)가 본체부(100)와 결합되는 회전부(210)를 기준으로 선형 방항으로 이동 및 이동 후 사용자가 임의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2제어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부(100), 특히 지지부(400)가 시트부(200)의 구조와 연동되어, 시트부(200)와의 착탈결합을 위한 구조, 시트부(200)의 회전가능상태 및 고정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 등이 추가로 설치되는 특징이 주요 특징으로 본체부(100) 등 나머지 구성은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 관하여 첨부된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400)가 설치된 본체부(100)와, 한 쌍의 지지부(400)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부(200)를 포함하는 유모차로서, 지지부(100) 및 시트부(2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시트부(200)를 지지부(400)에 대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선형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형왕복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시트부(200)를 제외한 유모차의 본체를 구성하는 구성으로서 유모차의 용도,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본체부(100)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부재(11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는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이동부(300)를 이용하여 밀거나 끌 수 있도록 손잡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본체프레임(110) 각각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시트부(200)와 힌지결합하는 지지부(40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와, 양단이 각각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의 하단과 결합하는 제1지지부재(150)와, 일단이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에 각각 결합되어 제1지지부재(150)와 함께 본체부(100)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보조프레임부재(120)와, 양단이 각각 한 쌍의 보조프레임부재(120)의 타단과 결합하는 제2지지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그 길이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는, 제1지지부재(150) 및 제2지지부재(160) 등에 지지되며 물건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부(50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부(500)는,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수납공간부(500)는, 제1지지부재(150) 및 보조프레임(120) 각각과 힌지결합하는 힌지프레임(미도시)과, 힌지프레임에 설치되어 보조프레임(120) 및 제1지지부재(150) 중 어느 하나가 지지부(400)에 대하여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수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지면 상에서 본체부(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이동부(300)는, 제1지지부재(150)의 하단, 제2지지부재(160)의 외측 등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300)는, 제1지지부재(150)의 하단에서 힌지결합부(330)를 힌지축으로 하여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310)들과, 제2지지부재(160)와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바퀴(310) 및 후방바퀴(320)는, 본체부(100) 등으로 구성된 유모차가 지면 등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전방바퀴(310)는, 후방바퀴(3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결합부(330)에는, 한 쌍의 전방바퀴(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전방바퀴(3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는, 힌지결합부(33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전방바퀴(3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전방바퀴(3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후방바퀴(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후방바퀴(320)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브레이크부(34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부(340)는, 후방바퀴(320)의 회전을 저지하여 유모차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310) 및 후방바퀴(3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시트부(200)의 상하방향 충격(돌, 돌출부 등 턱이 있는 경우 이동부(300)를 통하여 시트부(20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시키기 위한 완충장치(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측에 설치된 손잡이조절스위치(140)에 의하여 손잡이부(130)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본체부(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한 쌍의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이동부(300)를 이용하여 밀거나 끌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부(200)는, 한 쌍의 지지부(400)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유아를 태우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부(200)는,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시트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 및 영유아가 탈 수 있는 합성수지, 솜, 면, 천 등으로 구성된 시트부재 등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부(200)는, 본체부(100)의 이동 및 정지시 영유아가 전면 방향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바(230), 안전손잡이(240), 안전벨트(250)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바(230)는, 일단이 시트부(200)와 힌지결합되어 영유아의 안착시 안전 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타단에 안전바(23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전손잡이부(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트부(200)는 사용자가 시트부(200)의 작동(본체부(100)로부터 착탈시키거나, 본체부(100)와 결합되는 회전각도를 조절하거나, 지지부(400)를 기준으로 선형왕복운동 하려고 할 경우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손잡이부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보조손잡이부들은, 시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보조손잡이부(170)들과, 양단이 각각 제1손잡이부(170)와 결합되어 시트부(200)의 너비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보조손잡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부(200)는, 시트부(200)가 후술하는 선형왕복부(700) 및 회전각도제어부에 의해 조절시 본체부(100)로부터 탈착되기 용이하도록 설치되며, 지지부(400)와 힌지결합하는 결합부(900)에 의해 탈착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200)의 상단에는, 외부 날씨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차양막(60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양막(600)은, 본체부(100)의 전면 방향으로 태양광을 차폐하는 기능 외에 바람이나 외부날씨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200)와 함께 방풍커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양막(600)에는, 영유아가 외부 공간을 바라볼 수 있도록 윈도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트부(200)는, 지지부(400)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부(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 특히 지지부(400)는, 시트부(200)의 구조와 연동되어, 시트부(200)와의 착탈결합을 위한 구조, 시트부(200)의 회전가능상태 및 고정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형왕복부(700)는, 시트부(200)가 본체부(100)로 부터 선형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선형왕복부(700)는, 지지부(400)에 결합되는 선형지지부(720)와, 선형지지부(720)에 대하여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선형지지부(720)와 결합되며 시트부(200)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7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7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지지부(720)를 중심으로 지지프레임(710)이 시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711)과, 선형지지부(720)를 기준으로 전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7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왕복부(700)는, 지지부(400)에 대한 시트부(200)의 선형이동가능상태 및 고정상태를 선택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선형이동제어부(730)를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이동제어부(730)는, 지지프레임(710)의 선형이동가능상태 및 고정상태를 선택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선형이동제어부(730)는, 일단이 선형왕복부(700)에 삽입되어 선형왕복부(700)의 고정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부재(740)와; 고정부재(740)의 타단에 설치되어 고정부재(421)의 작동을 조절하는 선형이동스위치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40)는, 지지프레임(710)의 가압 여부에 따라 지지프레임(710)을 고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740)는 일단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710)을 가압하는 이동방지부(741)와, 타단(743)에 형성되어 선형이동스위치부(730)와 힌지결합하는 조절축(745)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740)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이동가이드홈(731)이 형성되는 선형이동스위치부(7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조절축(745)이 이동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740)는, 외주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42)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프레임(710) 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프레임(710)을 가압하며, 조절축(745)이 선형이동가이드홈(731)에 형성되는 턱부에 안착되어 선형이동스위치부(730)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되어 지지프레임(7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42)는, 이동방지부(74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부(744)에 걸림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선형이동스위치부(730)의 상하이동시 이동방지부(741)는, 지지프레임(710)에 대하여 선형이동되며, 이동방지부(741)의 선형이동시 지지프레임(710)에 형성된 걸림홈(714)에 삽입되어 선형지지부(720)에 대한 지지프레임(710)의 선형이동이 제한되거나, 지지프레임(710)에 형성된 걸림홈(714)으로부터 이탈되어 선형지지부(720)에 대한 지지프레임(710)의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형지지부(720)와 지지부(400)의 결합위치에는, 지지부(400)에 대한 시트부(200)의 회전을 위한 회전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10)는, 지지부(400)에 설치되는 회전각도제어부에 의해 지지부(400)에 대한 시트부(200)의 회전 및 결합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10)는, 시트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부(210)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삽입부(410)가 형성되어, 시트부(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210)는, 회전부(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삽입부(410)를 가압하는 회전각도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제어부는, 가압 여부에 따라 회전부(21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각도제어부는, 회전부(210)를 고정하는 고정부(430)와; 지지부(400)와 힌지결합하며 일단(443)이 고정부(43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440)와; 회전부재(440)의 타단(441)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430)의 상하이동을 구동하는 회전각도제어스위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30)는, 회전부재(2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고정부(430)는, 회전부재(440)의 일단(443)에 지지되는 저면부(432)에 삽입부(410)에 삽입되기 위한 고정돌기(43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각도제어스위치(420)와 고정부(430)는, 회전부재(440)와, 고정부(430)와 회전각도제어스위치(42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45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호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각도제어부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각도제어스위치(420)를 가압함으로써 회전각도제어스위치(420)의 저부(421)가 회전부재(440)의 타단(441)을 가압하고, 회전부재(440)가 힌지부(442)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443)이 고정부(430)의 일부분(432)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고정돌기(431)가 삽입부(41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31)가 삽입부(410)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회전부(210)가 지지부(400)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회전부(210)에 결합된 선형지지부(720) 및 이에 결합된 시트부(200)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각도제어부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5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각도제어스위치(420)와 고정부(430)의 위치가 상호교환 되면서 고정돌기(431)가 삽입부(410)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돌기(431)가 삽입부(410)에 삽입되면, 회전부(210)가 지지부(400)에 대한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회전부(210)에 결합된 선형지지부(720) 및 이에 결합된 시트부(200)가 회전되지 않게 되어 고정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본체부 200: 시트부
700: 선형왕복부

Claims (1)

  1. 한 쌍의 지지부(400)가 설치된 본체부(10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400)에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부(200)를 포함하는 유모차.
KR1020160092242A 2015-10-07 2016-07-20 유모차 KR201800046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144 2015-10-07
KR20150141144 2015-10-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980A Division KR101677214B1 (ko) 2015-10-07 2016-07-04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630A true KR20180004630A (ko) 2018-01-12

Family

ID=575422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980A KR101677214B1 (ko) 2015-10-07 2016-07-04 유모차
KR1020160092242A KR20180004630A (ko) 2015-10-07 2016-07-20 유모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980A KR101677214B1 (ko) 2015-10-07 2016-07-04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772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39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2031279B1 (ko) * 2018-04-18 2019-10-11 유상진 유모차
KR102095465B1 (ko) * 2019-01-22 2020-03-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이로스코프 유모차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235078U (zh) * 2019-06-11 2020-04-03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背靠角度调整机构及其幼儿载具
CN215922300U (zh) 2020-08-18 2022-03-01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背靠角度调整机构及其幼儿载具
CN116252847A (zh) * 2021-12-10 2023-06-13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方便收纳与携带的可置物婴儿推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626A (ko) * 2010-09-20 2012-03-29 김현동 시트 회전이 가능한 유모차
KR20120030621A (ko) * 2010-09-20 2012-03-29 김현동 유모차
KR101559665B1 (ko) * 2014-04-30 2015-10-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유모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39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US10974754B2 (en) 2018-02-27 2021-04-13 Bran-New International Baby carriage with storage basket and canopy
KR102031279B1 (ko) * 2018-04-18 2019-10-11 유상진 유모차
WO2019203505A1 (ko) * 2018-04-18 2019-10-24 유상진 유모차
US11572093B2 (en) 2018-04-18 2023-02-07 Sang Jin Yoo Stroller
KR102095465B1 (ko) * 2019-01-22 2020-03-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이로스코프 유모차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214B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14B1 (ko) 유모차
US10106186B2 (en)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EP2716494B1 (en) Child safety seat
KR101738307B1 (ko) 전동 유모차
CA2886259C (en) Compactible stroller
CN107128350B (zh) 一种折叠婴儿推车
US20080179848A1 (en) Adjustable carrying device for a people carrier, such as a perambulator or stroller
KR101894463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2006142B1 (ko)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KR101626778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20180046305A (ko) 유모차
KR20100025835A (ko) 시트 분리형 유모차
CN112693516B (zh) 婴儿车
CN110167822B (zh) 用于推车的可折叠摇摆装置、设置有该装置的推车及用于该装置的方法
KR200487580Y1 (ko) 수납 바구니를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
KR20160118839A (ko) 접이식 왜건
KR20160044190A (ko) 영유아용 웨건
GB2481138A (en) A stroller with a longitudinally slidable and detachable second seat
KR101131873B1 (ko) 하중물 운반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다중 완충장치
KR101566805B1 (ko) 유모차 및 노인 보행 보조기구 바퀴의 완충장치
CN201784662U (zh) 座兜可变的婴儿推车及配套的座兜
CN220615925U (zh) 一种可折叠坐兜
CN213676862U (zh) 一种方便折叠的儿童推车
EP3981668B1 (en) Stroller
CN215514778U (zh) 一种童车生产用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