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188B1 -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188B1
KR102263188B1 KR1020190124322A KR20190124322A KR102263188B1 KR 102263188 B1 KR102263188 B1 KR 102263188B1 KR 1020190124322 A KR1020190124322 A KR 1020190124322A KR 20190124322 A KR20190124322 A KR 20190124322A KR 102263188 B1 KR102263188 B1 KR 10226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device
frame
handle
device body
electric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735A (ko
Inventor
김종섭
Original Assignee
명세씨엠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세씨엠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세씨엠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1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0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능한 탑재장치 본체, 상기 탑재장치 본체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장착되는 복수의 이동바퀴, 상기 탑재장치의 하부에 장착되는 포인트 프레임, 상기 포인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 구동되고, 하향 이동에 따라 지면에 접촉하면서 전동 구동하게 되고, 상하 이동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동바퀴 유닛, 상기 탑재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 거치대, 상기 핸들 거치대에 결합 거치되는 핸들로 구성되어 보다 경량화된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를 제공하고 민감한 환자가 누워있는 병원 침대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Electric assisted mobile object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탑재장치 본체 하부에 장착되는 포인트 프레임과 결합되고 하향 이동에 따라 지면에 접촉하면서 전동 구동하게 되는 전동 바퀴의 사용 유무에 의해 수동 및 자동으로 전환하여 이송 가능하고, 자동 모드시에는 전 동 바퀴가 이송 보조 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최소한의 힘으로 탑재장치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최소화된 구성요소와 리튬 배터리의 사용으로 중량 증대가 저감되면서, 탑재장치 이송시 사용자의 추가적인 근력 소모가 최소화되는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의 침대, 공장 부품 이동용 카트, 짐을 옮기는 캐리어, 숙박업에서 이용되는 카트 등은 기존에는 담당 간호사나 보조자, 관련 업무 담당 직원이 직접 끌고 이송시킨다.
병원에서 환자의 침대는 병실에서 검사실 또는 수술실 등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숙박업에서는 구비된 방을 다 들리며 카트를 이송시켜야 한다.
현재 간호사는 점점 줄고 있는 추세이고 그에 따라 안정적인 환자의 침대 이송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간호사 및 보조자, 관련 업무 담당 직원이 반복적으로 침대 및 캐리어, 카트를 이동시키는 업무를 하다 보면 직업병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이는 목, 팔, 무릎, 어깨, 척추 등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 중 하나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바퀴가 작동되어 간편히 침대를 이동시켜 원하는 장소에 설치 할 수 있도록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10-2019-0013280 ' 바퀴가 작동되는 침대' 가 있다.
상기 '바퀴가 작동되는 침대'는 사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 하부가 트여진 공간부, 공간부 내부에 장착되는 전동실린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승강되는 로드, 로드의 하단에 장착되는 바퀴로 구성되어 침대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나, 전력 공급의 한정성으로 이동 거리의 제약이 있으며 민감한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를 안전하게 케어하며 이송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에는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9-0013280 '바퀴가 작동되는 침대'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동 바퀴의 선택적인 구동에 따라 수동 및 자동모드로 전환 가능한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자동모드에서도 사용자가 핸들을 통해 붙잡고 있음에 따라 브레이크를 걸어야 할 때나 문턱을 넘을 때도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이송 케어가 가능한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최소화된 구성요소와 리튬배터리를 사용하여 경량화되어 제작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병원 침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로, 병원 침대에 적용될 시 사용자의 최소화된 근력 사용으로도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체가 놓여지는 탑재장치 본체(100);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의 이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이동바퀴(200);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는 포인트 프레임(300); 상기 포인트 프레임(300)에 결합되어 상하 구동되고, 하향 이동에 따라 지면에 접촉하면서 전동 구동하게 되고, 상향 이동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동바퀴 유닛(400)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 거치대(500); 상기 핸들 거치대(500)에 결합되고, 탑재장치 본체(100)의 이동과 정지, 방향전환을 유도하며, 전동 바퀴 전원스위치(630)가 구비되어 전동바퀴 유닛(400)의 온오프 동작 을 유도하는 핸들(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 프레임(300)은,상기 탑재장치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판 프레임(310); 상기 고정판 프레임(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부 가 프레임(320); 상기 고정판 프레임(310)의 상부 일측에 가로지 게 장착되는 사각판 형상의 배터리 장착프레임(3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 프레임(310)은,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 하부 일측에 가로지르게 장착되는 사각판 형상의 메인 프레임 유닛(311); 상기 메인 프레임 유닛(311)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체결부재(313)가 장착 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312); 상기 고정 플랜지(312)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프레임(330)은, 양측 상방향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각지게 형성되어 배터리(700)가 끼움고정 되도록 하는 한쌍의 측벽체(331);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600)과 전동바퀴 유닛(400)은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탑재장치 본체(100) 일단부에 상,하측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 및 자동모드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효율적인 근력 조절이 가능하다.
둘째, 사용자가 침대를 이송시킬시 핸들을 붙잡고 있음에 따라 부드러운 이송 케어가 이루어져 누워있는 민감한 환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하며 옮길 수 있다.
셋째, 최소화된 구성요소와 리튬 배터리의 사용으로 중량 증대가 저감되며, 탑재장치 이송시 사용자의 추가적인 근력 소모가 최소화되어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직업병 발생률을 낮출 수 있고 이송이 더욱 수월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바퀴 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과 핸들거치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전동바퀴의 구동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바퀴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발명에 따른 전동 바퀴를 구동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탑재장치 본체(100), 이동바퀴(200), 포인트 프레임(300), 전동바퀴 유닛(400), 핸들 거치대(500), 핸들(6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침대에 적용될수 있다. 물론 이에 사용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탑재장치 본체(100)는 이동 가능한 침대, 카트, 캐리어 등의 뼈대 본체로써 환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 짐을 넣어두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동바퀴(200)는 탑재장치 본체(100)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복수개가 장착되고 사람이 수동으로 밀거나 끌어주면 회전 동작하여 탑재장치 본체(100)의 이동을 유도한다.
포인트 프레임(3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탑재장치 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며 고정판 프레임(310), 부가 프레임(320), 배터리 장착프레임(330)으로 구성된다.
고정판 프레임(310)은 탑재장치 본체(100)의 일측 하부위치의 상부에 결합되고 메인 프레임 유닛(311), 고정 플랜지(312), 체결부재(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 유닛(311)은 탑재장치 본체(100) 하부 일측에 가로지르게 장착되는 사각판 형상의 프레임으로써 배터리 장착프레임(330)의 하부면과 결합된다.
고정 플랜지(312)는 메인 프레임 유닛(311)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체결부재(313)가 장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탑재장치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부재(313)는 고정 플랜지(312)의 체결홈에서 탑재장치 본체(100)와 체결되도록 하고 탑재장치 본체(100)와 포인트 프레임(300)간의 결속력을 높인다. 이때 체결부재(313)로는 볼트, 너트외에 다른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부가 프레임(320)은 고정판 프레임(310) 하측면에서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313)와 고정 결합되는데, 부가 프레임(320)의 하부에 보강판을 자유롭게 덧대어 휨변형을 방지하고 강도를 높인다. 그리고 부가 프레임(320) 좌,우 양단부에 하부 방향으로 수직 돌출 형성되는 양쪽 벽체에 전동바퀴 유닛(400)과 핀결합 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중앙부위에 전동바퀴 유닛(400)과 연결되는 스프링로드(440)와 핀결합 된다.
배터리 장착프레임(330)은 고정판 프레임(310)의 상부 일측에 메인 프레임 유닛(311)과 동일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장착되는데 메인 프레임 유닛(311)과 배터리 장착프레임(330)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313)를 사용한 결합도 가능하고 용접을 통한 결합도 가능하다. 배터리 장착프레임(330) 내부로 배터리(700)가 끼움 고정 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다.
측벽체(331)는 고정판 프레임(310) 상부에 양측 상방향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각지게 형성되어 배터리(70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측벽체(331)의 입구측은 완전히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배터리(700)가 배터리 장착프레임(330) 내부로 원활하게 끼움되도록 하고, 입구 반대 일측은 배터리(700)의 전원선이 꼽아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전동바퀴 유닛(4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 도 3과 같이 전동바퀴(410)를 감싸는 직사각 형태의 좌, 우 벽체로 결합되고 전동바퀴(410), 상하 이동용 액츄에이터(420), 바퀴 구동용 액츄에이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동바퀴 유닛(400)의 좌, 우 벽체에는 홈이 형성되는데 이 홈은 부가 프레임(320)의 좌,우 양단부에 하부 방향으로 수직 돌출 형성되는 양쪽 벽체의 홈과 맞닿아 핀결합 된다. 'T'자형의 스프링로드(440)의 가로 일자 'ㅡ' 부분이 전동바퀴 유닛(400)의 좌,우 벽체 상측에 형성된 홈에서 고정 결합되어 스프링로드(440)의 수축과 신장에 따라 전동바퀴 유닛(400)의 상,하 구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전동바퀴(410)는 전동바퀴 유닛(400)의 직사각 형태의 좌,우 벽체 사이에 구비되는데 스프링로드(440)가 신장하게되면 전동바퀴 유닛(400)이 기울어지며 하측 이동하여 전동바퀴(410)가 바닥에 닿아 구동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스프링로드(440)가 수축하게 되면 전동바퀴 유닛(400)이 상측 이동하여 전동바퀴(410)가 바닥에 닿지 않게되어 구동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상하 이동용 액츄에이터(420)는 전동바퀴 유닛(40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핀결합된 전동바퀴 유닛(400)을 상하 이동시킨다.
바퀴 구동용 액츄에이터(430)는 전동바퀴 유닛(400)의 측면에 부착되어 전동바퀴(410)와 연결되고 전동바퀴(410)의 구동을 조절한다.
배터리(700)는 배터리 장착프레임(330)내에 끼움 결합되고 배터리(700)의 전력으로 전동 바퀴(300)의 구동이 이루어지며 조절키홈(710), 배터리 전원스위치(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 도 4과 같이 조절키홈(710)은 조절키(711)의 동작에 맞게 배터리(700)의 탈부착과 전원연결이 조절되도록 한다. 조절키홈(710)의 OFF 지점에 조절키(711)가 끼움되면 배터리(700)의 하측에 Lock이 돌출 동작하여 고정홈에 고정끼움되어 배터리(700)가 고정되도록 하고, OFF 지점에서 역방향(왼쪽) 회전되면 배터리(700)의 하측의 Lock이 삽입 동작하여 배터리(700)의 탈착이 가능하게된다. 그리고 OFF 지점에서 정방향(오른쪽) 회전되면 배터리(700)와 전원이 연결되어 전원을 켜고 끌 수 있게 된다.
배터리 전원스위치(720)는 배터리(700)의 측면에 구비되어 배터리(700)의 전원 ON/OFF 누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위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과 같이 배터리 전원스위치(720)가 ON이 되어야 전동바퀴 전원스위치(630)의 ON이 가능 하고 그에 따라 상하 이동용 액츄에이터(420), 바퀴 구동용 액츄에이터(430)가 구동하게 되어 전동 바퀴의 동작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5와 같이 핸들 거치대(500)는 탑재장치 본체를 이동시키는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탑재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핸들 거치대 프레임(510), 핸들봉(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핸들 거치대 프레임(510)은 탑재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좌, 우 이격되게 결합되어 세로축방향 연장 형성된다.
핸들봉(520)은 핸들 거치대 프레임(510)의 연장 형성된 말단부에 직교하게 거치되고 핸들 거치대 프레임(510)에 끼움고정되거나 용접, 볼트 및 너트 결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5와 같이 핸들(600)은 핸들 거치대(500)에 결합 거치되고 끼움고리(610), 손잡이(620), 전동바퀴 전원스위치(6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끼움고리(610)는 핸들봉(520)의 좌,우에 이격되게 2개씩 끼움 결합되게 끼움구멍이 형성된다. 끼움고리의 형상은 'o' 형상, '
Figure 112019102457575-pat00001
' 형상 뿐만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손잡이(620)는 끼움고리(610)와 연결되어 핸들봉(520)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데 'ㄴ','┘'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의 안정적인 손잡이(620)로 제조 가능하다. 이러한 손잡이(620)를 이송자가 안정적으로 잡고 병원 침대, 카트 등을 이송하여 충격이나 걸림턱에도 매끄러운 제어가 가능하여 뛰어난 케어를 통해 병원 침대를 옮길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과 같이 핸들(600)과 전동바퀴 유닛(400)은 탑재장치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탑재장치 본체(100) 일단부에 상,하측 설치된다. 구동하는 전동바퀴 유닛(400)이 핸들(600)이 설치된 지점에서 떨어진 반대편 방향에 설치되게 되면 모멘트가 커져 불안정해지고 탑재장치 본체(100)가 뒤집어 질 수 있는 위험이 있어 전동바퀴 유닛(400)은 핸들(600)과 최대한 가까운 지점에 설치하여 구동 안정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전동바퀴 전원스위치(630)는 손잡이(620)에 전동바퀴(410)의 구동을 ON/OFF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위치로써 배터리 전원스위치(720)가 ON이 되면 전동바퀴 전원스위치(630)를 ON 할 수 있게된다. 즉, 배터리 전원스위치(720)와 전동바퀴 전원스위치(630)가 모두 ON이 되어야 전동바퀴(410)가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7와 같이 전동 바퀴 스위치가 OFF되어 스프링로드(440)가 수축하게 되면 전동바퀴 유닛(400)이 상측이동하여 전동바퀴(410)가 바닥에 닿지 않게되고 병원 침대나 카트가 이송자의 힘에 의해 이동바퀴(200)로만 이송동작이 이루어지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8과 같이 전동 바퀴 스위치가 ON되어 스프링로드(440)가 신장하게 되면 전동바퀴 유닛(400)이 기울어지며 하측이동하여 전동바퀴(410)가 바닥에 닿아 구동가능하게 되어 병원 침대나 카트가 이송자의 힘이 들어가지 않아도 전동바퀴(410)의 자동 구동력에 의해 안정적인 이송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전동 바퀴 스위치가 ON이 되기 위해서는 배터리 전원스위치(720)가 먼저 ON이 되어야한다.
탑재장치 본체(100)는 침대와 유사한 구조 프레임으로 제작되고 상단의 사각형 프레임에 침대 매트리스가 놓여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탑재장치 본체
200 : 이동바퀴
300 : 포인트 프레임
310 : 고정판 프레임
311 : 메인 프레임 유닛
312 : 고정 플랜지
313 : 체결부재
320 : 부가 프레임
330 : 배터리 장착프레임
331 : 측벽체
400 : 전동바퀴 유닛
410 : 전동바퀴
420 : 상하 이동용 액츄에이터
430 : 바퀴 구동용 액츄에이터
440 : 스프링로드
500 : 핸들 거치대
510 : 핸들 거치대 프레임
520 : 핸들봉
600 : 핸들
610 : 끼움고리
620 : 손잡이
630 : 전동바퀴 전원스위치
700 : 배터리
710 : 조절키홈 711 : 조절키
720 : 배터리 전원스위치

Claims (5)

  1. 대상체가 놓여지는 탑재장치 본체(100);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의 이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이동바퀴(200);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판 프레임(310), 상기 고정판 프레임(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부가 프레임(320), 상기 고정판 프레임(310)의 상부 일측에 가로지르게 장착되는 사각판 형상의 배터리 장착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인트 프레임(300);
    상기 포인트 프레임(300)의 부가 프레임(320)에 핀결합되어 상하 구동되고, 하향 이동에 따라 지면에 접촉하면서 전동 구동하게 되고, 상향 이동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동바퀴 유닛(400);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 거치대(500);
    상기 핸들 거치대(500)에 결합되고, 탑재장치 본체(100)의 이동과 정지, 방향전환을 유도하며, 전동바퀴 유닛(400)의 온오프 동작을 유도하는 핸들(6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핸들(600)과 전동바퀴 유닛(400)은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탑재장치 본체(100) 일단부에 상,하측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 프레임(310)은, 상기 탑재장치 본체(100) 하부 일측에 가로지르게 장착되는 사각판 형상의 메인 프레임 유닛(311); 상기 메인 프레임 유닛(311)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체결부재(313)가 장착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312); 상기 고정 플랜지(312)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프레임(330)은 상기 고정판 프레임(310)의 상부 일측에 메인 프레임 유닛(311)과 동일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장착되되, 양측 상방향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각지게 형성되어 배터리(700)가 끼움고정 되도록 하며, 입구측은 완전히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배터리(700)가 배터리 장착프레임(330) 내부로 원활하게 끼움되도록 하고, 입구 반대 일측은 배터리(700)의 전원선이 꼽아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쌍의 측벽체(33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핸들(600)은,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핸들봉(520)의 좌,우에 이격되어 끼움 결합되는 끼움고리(610); 상기 끼움고리(610)와 연결되는 손잡이(620); 상기 손잡이(620)에 설치되어 전동바퀴(410)의 구동을 ON/OFF하게 되는 전동바퀴 전원스위치(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4322A 2019-10-08 2019-10-08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 KR10226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22A KR102263188B1 (ko) 2019-10-08 2019-10-08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22A KR102263188B1 (ko) 2019-10-08 2019-10-08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35A KR20210041735A (ko) 2021-04-16
KR102263188B1 true KR102263188B1 (ko) 2021-06-09

Family

ID=7574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322A KR102263188B1 (ko) 2019-10-08 2019-10-08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885B1 (ko) 2021-07-14 2023-06-20 최재영 스마트 보조구동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9252A1 (en) * 2011-02-18 2013-11-14 Tente Gmbh & Co. Kg Auxiliary roller
JP2018122687A (ja)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マキタ 電動運搬車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610A (ja) * 1998-02-18 1999-08-24 Tokyo R & D:Kk 荷物搭載用電動補助手押しカート
KR20020067456A (ko) * 2002-07-13 2002-08-22 임락복 무한궤도 전륜형 수동/전동 겸용 휠체어
KR20060133733A (ko) * 2005-06-21 2006-12-27 이승환 다용도 카트
KR101973245B1 (ko) * 2016-12-22 2019-04-26 한채진 무인 자동운반대차
KR20190013280A (ko) 2017-08-01 2019-02-11 소기찬 바퀴가 작동되는 침대
KR102006142B1 (ko) * 2017-09-25 2019-08-01 주식회사 디카트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9252A1 (en) * 2011-02-18 2013-11-14 Tente Gmbh & Co. Kg Auxiliary roller
JP2018122687A (ja)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マキタ 電動運搬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35A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019B1 (en) Power assist apparatus for use with a hospital bed
US6871714B2 (en) Hospital bed power-assist
US6230662B1 (en) Animal lift and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6199508B1 (en) Animal lift and transport apparatus
US7914247B2 (en) Wheel trap assembly for wheeled support apparatus
JP6522743B2 (ja) 車輪付き運搬装置
US7774876B2 (en) Tilting bed
US20150136498A1 (en) Transport cart configured to transport beds with wheels
US8291529B2 (en) Side push handles for a patient lift
JP2015524300A (ja) 動力式簡易寝台のための自動システム
US8556280B1 (en) Shoulder-mounted hand truck
KR102263188B1 (ko)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
US20040025795A1 (en) Animal lift and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WO2009136359A1 (en) A handling system for goods, burdens or disabled persons
GB2463960A (en) Moveable chair lift with rear mounted wheels
WO2002074216A3 (en) Patient lift/transport with power assist
WO2019026144A1 (ja) 介助システム
US20040033127A1 (en) Motor assisted mover
JP5142693B2 (ja) 移乗補助装置
EP2033610A2 (en) Transport system including a drive unit
EP3756634A1 (en) Manoeuvre device for moving transport structures, of the type used in health facilities or similar
US20070059141A1 (en) Hois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for disabled persons
AU2002300955B2 (en) Animal L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