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530A - 의자 겸용 웨건 - Google Patents

의자 겸용 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530A
KR20230168530A KR1020220069127A KR20220069127A KR20230168530A KR 20230168530 A KR20230168530 A KR 20230168530A KR 1020220069127 A KR1020220069127 A KR 1020220069127A KR 20220069127 A KR20220069127 A KR 20220069127A KR 20230168530 A KR20230168530 A KR 20230168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ase
base body
combined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희
Original Assignee
서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희 filed Critical 서동희
Priority to KR102022006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530A/ko
Publication of KR2023016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5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7Coaster wag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13Protection covers, e.g. against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4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box-shaped in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2Collapsi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6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의자 겸용 웨건은 베이스바디와,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바퀴모듈과, 고정바퀴모듈에서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바퀴모듈과,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바디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겸용바디와,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바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겸용바디와, 베이스바디에서 제1겸용바디가 돌출될 때 베이스바디로부터 제1겸용바디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링크결합모듈과, 베이스바디에서 제2겸용바디가 돌출될 때 베이스바디로부터 제2겸용바디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링크결합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겸용바디가 접힌 상태이고, 제2겸용바디가 펼친 상태인 경우, 의자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Description

의자 겸용 웨건{WAGOM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CHAIR}
본 발명은 물건의 운반을 위한 수납 기능과 사람의 착석을 위한 의자 기능 사이에서 기능 변환을 원활하게 하고, 웨건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자 겸용 웨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웨건은 물건을 적재하여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수송수단이다. 또한, 웨건은 탑승한 유아를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송수단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웨건은 적재칸을 형성하도록 몸체에 다수의 지지대가 구비되므로, 적재칸에 물건을 적재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웨건은 몸체에 이동을 위한 바퀴와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웨건에 물건을 적재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웨건은 무거운 하중의 물건을 적재하여 이동시키는 목적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이고, 물건의 운반이 종료되면, 애물단지로 취급받고 있으므로, 웨건의 활용에 제한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06142호 (발명의 명칭 :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2019. 08. 0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물건의 운반을 위한 수납 기능과 사람의 착석을 위한 의자 기능 사이에서 기능 변환을 원활하게 하고, 웨건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자 겸용 웨건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 겸용 웨건은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지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고정바퀴모듈; 상기 고정바퀴모듈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조향바퀴모듈; 상기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측에 적층 가능하고,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일측단부에 돌출 가능한 제1겸용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측에 적층된 상기 제1겸용바디의 상측에 적층 가능하고,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타측단부에 돌출 가능한 제2겸용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에서 상기 제1겸용바디가 돌출될 때, 상기 베이스바디로부터 상기 제1겸용바디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링크결합모듈; 및 상기 베이스바디에서 상기 제2겸용바디가 돌출될 때, 상기 베이스바디로부터 상기 제2겸용바디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링크결합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겸용바디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베이스바디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축결합부; 및 상기 제1프레임을 감싸는 제1패드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겸용바디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베이스바디의 타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축결합부;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감싸는 제2패드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결합모듈은, 상기 제1겸용바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바디축; 상기 제1바디축을 매개로 상기 제1겸용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로드; 상기 제1겸용바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베이스축; 상기 제1베이스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이스로드; 및 상기 제1바디로드와 상기 제1베이스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링크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결합모듈은, 상기 제2겸용바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바디축; 상기 제1바디축을 매개로 상기 제2겸용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로드; 상기 제2겸용바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베이스축; 상기 제2베이스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이스로드; 및 상기 제2바디로드와 상기 제2베이스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링크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결합모듈은, 상기 제2바디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팔걸이축; 상기 제1팔걸이축을 매개로 상기 제2겸용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걸이로드; 상기 제2베이스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지지팔걸이축; 상기 지지팔걸이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링크로드; 및 상기 팔걸이로드와 상기 지지링크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팔걸이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 겸용 웨건은 상기 조향바퀴모듈의 회전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고, 상기 조향바퀴모듈의 회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조향바퀴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 겸용 웨건은 상기 제1겸용바디와 상기 제2겸용바디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제1겸용바디와 상기 제2겸용바디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가장자리가 상기 제1겸용바디와 상기 제2겸용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모듈; 상기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겸용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납모듈; 상기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겸용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납모듈; 상기 고정바퀴모듈과 상기 조향바퀴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퀴모듈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모듈; 및 상기 제1겸용바디와 상기 제2겸용바디 중 적어도 상기 제2겸용바디에 결합되거나 상기 베이스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측으로 그늘을 형성하기 위한 그늘막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건의 운반을 위한 수납 기능과 사람의 착석을 위한 의자 기능 사이에서 기능 변환을 원활하게 하고, 웨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 겸용 웨건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겸용바디와 제2겸용바디가 모두 펼친 상태를 나타내면, 웨건을 수납 기능으로 활용 가능하고, 제1겸용바디가 접힌 상태이고 제2겸용바디가 펼친 상태를 나타내면, 웨건을 의자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바퀴모듈의 회전 구조를 통해 베이스바디의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겸용바디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바디에서 제1프레임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힌 상태에서 제1겸용바디가 베이스바디에 적층되므로, 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의자의 착석부를 형성하고, 의자에 착석한 사람의 엉덩이를 보호하며, 의자의 착석부에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겸용바디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바디에서 제2프레임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힌 상태에서 제2겸용바디가 제1겸용바디에 적층되므로, 웨건을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펼친 상태에서 제2겸용바디가 베이스바디에 돌출 형성되므로, 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의자의 등받이부를 형성하고, 의자에 착석한 사람이 기댈 수 있으며, 의자의 등받이부에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링크결합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제1겸용바디의 펼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베이스바디의 상측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외측으로 제1겸용바디가 추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겸용바디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링크결합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제2겸용바디의 펼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베이스바디의 상측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외측으로 제22겸용바디가 추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겸용바디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로드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납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제1겸용바디와 제2겸용바디 사이의 측면 개구부를 커버하는 한편, 바스켓모듈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팔걸이로드의 결합 관계를 통해 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의자에 착석한 사람이 기댈수 있도록 하고 의자에 착석한 사람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조향바퀴모듈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접힌 상태에서 제2겸용바디에 적층되므로, 웨건의 컴팩트화를 구현하며, 펼친 상태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납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수납공간의 측면을 안정되게 커버하고, 수납공간에 적잭되는 물건을 안정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수납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바디의 전방부에 물건의 수납을 위한 추가공간을 확보하고, 접힌 상태에서 조향모듈을 안정되게 파지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납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바디의 후방부에 물건의 수납을 위한 추가공간을 확보하고, 접힌 상태에서 조향모듈을 안정되게 파지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바퀴모듈과 상기 조향바퀴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퀴모듈이 구름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늘막모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납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수납공간으로 직사광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수납공간에 적재된 물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의자의 착석부로 직사광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의자에 착석한 사람에게 그늘을 제공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핑 또는 여행에서 수납 기능을 활용하여 물건을 간편하게 운반하고, 물건의 운반이 완료되면, 의자 기능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착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이 수납 기능을 구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바스켓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조향바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제1패드모듈과 제2패드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조향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제1링크결합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제2링크결합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링크결합모듈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바스켓모듈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제1패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제2패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제1수납모듈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제1수납모듈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제2수납모듈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제2수납모듈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이 의자 기능을 구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이 의자 기능을 구현할 때, 제1패드모듈과 제2패드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지금부터는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은 베이스바디(10)와, 고정바퀴모듈(21)과, 조향바퀴모듈(22)과,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와, 제1링크결합모듈(50)과, 제2링크결합모듈(6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디(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서 지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는 바닥판을 형성한다.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가 펼친 상태에서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 사이, 다른 표현으로, 베이스바디(10)의 상측에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베이스바디(10)는 종횡 배열과 교차 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열되고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11)과, 베이스프레임(11)을 커버하는 베이스지지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은 베이스바디(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과, 전방프레임의 일단부와 후방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측프레임과, 전방프레임의 타단부와 후방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측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은 고정바퀴모듈(21)의 결합을 위해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 사이에서 제1측프레임과 제2측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서 이격 배치되고 조향바퀴모듈(22)의 결합을 위해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 사이에서 제1측프레임과 제2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조향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은 상호 이격된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 조향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지지판(12)에는 다수의 타공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므로, 수납공간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베이스지지판(12)을 경량화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바디(10)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손잡이(111)가 구비되므로, 접힌 상태의 웨건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파지손잡이(111)는 제1측프레임과 제2측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손잡이(111)는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고정바퀴모듈(21)은 베이스바디(10)의 하부에 결합된다. 고정바퀴모듈(21)은 지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다.
고정바퀴모듈(21)은 베이스바디(10)의 고정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11)과, 고정브라켓(211)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휠(21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211)은 찬넬 형상 또는 "ㅗ" 자 형상 또는 "ㅛ" 자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브라켓(211)은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고정프레임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211)에 각각 고정휠(21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향바퀴모듈(22)은 고정바퀴모듈(21)에서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바디(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향바퀴모듈(22)은 지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다.
조향바퀴모듈(22)은 베이스바디(10)의 조향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브라켓(221)과, 조향브라켓(221)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휠(223)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브라켓(221)은 찬넬 형상 또는 "ㅗ" 자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조향브라켓(221)은 조향축(222)을 매개로 조향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겸용바디(30)는 베이스바디(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바디(10)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겸용바디(30)는 베이스바디(10)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거나 베이스바디(10)의 제1측프레임과 평행한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겸용바디(30)가 접힌 상태에서는 베이스바디(10)의 상측에 적층 가능하다. 제1겸용바디(30)가 펼친 상태에서는 베이스바디(10)의 일측단부에 돌출 가능하다.
제1겸용바디(30)는 제1프레임(31)과, 제1프레임(31)을 베이스바디(10)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축결합부(32)와, 제1프레임(31)을 감싸는 제1패드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31)은 접힌 상태에서 베이스바디(10)에 적층되고, 의자의 착석부를 형성하거나 의자의 착석부를 위한 틀을 형성한다. 제1프레임(31)은 펼친 상태에서 수납공간의 측면틀을 형성한다. 제1프레임(31)은 종횡 배열과 교차 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열되고 상호 결합된다. 일예로, 제1프레임(31)은 "ㄷ" 자의 찬넬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1프레임(31)은 한 개소 또는 상호 이격된 둘 이상의 개소에서 제1축결합부(32)를 매개로 베이스바디(10)의 제1측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축결합부(32)는 제1프레임(31)의 회전 중심을 나타낸다. 제1축결합부(32)는 제1프레임(31)과 베이스바디(10)의 제1측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축지지부와, 제1축지지부와 중첩되도록 제1프레임(31)과 베이스바디(10)의 제1측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1축브라켓과, 제1축지지부와 제1축브라켓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결합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프레임(31)은 제1링크결합모듈(5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므로, 제1프레임(31)이 펼친 상태가 되면, 제1링크결합모듈(50)에 따라 제1프레임(31)은 베이스바디(10)로부터 90도 내지 120도, 90도 내지 110도, 90도 내지 100도, 90도 내지 95도 등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패드모듈(33)은 접힌 상태에서 의자의 착석부를 형성하거나 의자의 착석부를 보강하여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1패드모듈(33)은 제1메인패드(331)와, 제1프레임(31)이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부(333)가 형성되도록 제1메인패드(331)와 결합되는 제1지지패드(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패드(331)는 펼친 상태에서 수납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제1지지패드(332)는 펼친 상태에서 수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제1메인패드(331)에는 제1쿠션층이 형성되므로, 의자의 착석부를 구현함에 있어서,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1패드모듈(33)에는 제1프레임(31)이 노출되도록 제1메인패드(331)와 제2지지패드(432) 사이가 일부 개구되는 제1노출부(334)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제1프레임(31)을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노출부(334)는 제1프레임(31)의 모서리 부분을 노출시키고 있다.
제1패드모듈(33)에는 제1메인패드(331)와 제1지지패드(332)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제1패드탈착부(33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패드탈착부(335)는 펼친 상태에서 제1패드모듈(33)의 상단부에 구비되므로, 후술하는 바스켓모듈(8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바스켓탈착부(83)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패드탈착부(335)는 펼친 상태에서 제1패드모듈(33)의 상단부에 구비되므로, 후술하는 제2패드모듈(43)에 구비된 바디탈착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패드모듈(33)에는 접힌 상태에서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접힘결합부(338)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접힘결합부(338)는 제1메인패드(331)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접힘결합부(338)는 제2겸용바디(40)의 제2패드모듈(43)에 구비된 제2접힘결합부(438)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제2겸용바디(40)는 베이스바디(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바디(1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겸용바디(40)는 베이스바디(10)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거나 베이스바디(10)의 제2측프레임과 평행한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2겸용바디(40)가 접힌 상태에서는 베이스바디(10)의 상측에 적층된 제1겸용바디(30)의 상측에 적층 가능하다. 제2겸용바디(40)가 펼친 상태에서는 베이스바디(10)의 타측단부에 돌출 가능하다.
제2겸용바디(40)는 제2프레임(41)과, 제2프레임(41)을 베이스바디(10)의 타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축결합부(42)와, 제2프레임(41)을 감싸는 제2패드모듈(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41)은 펼친 상태에서 제1겸용바디(30)에 적층되고, 의자의 등받이부를 형성하거나 의자의 등받이부를 위한 틀을 형성한다. 제2프레임(41)은 펼친 상태에서 수납공간의 측면틀을 형성한다. 제2프레임(41)은 종횡 배열과 교차 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열되고 상호 결합된다. 일예로, 제2프레임(41)은 "ㄷ" 자의 찬넬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2프레임(41)은 한 개소 또는 상호 이격된 둘 이상의 개소에서 제2축결합부(42)를 매개로 베이스바디(10)의 제2측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축결합부(42)는 제2프레임(41)의 회전 중심을 나타낸다. 제2축결합부(42)는 제2프레임(41)과 베이스바디(10)의 제2측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2축지지부와, 제2축지지부와 중첩되도록 제2프레임(41)과 베이스바디(10)의 제2측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축브라켓과, 제2축지지부와 제2축브라켓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결합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프레임(41)은 제2링크결합모듈(6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므로, 제2프레임(41)이 펼친 상태가 되면, 제2링크결합모듈(60)에 따라 제2프레임(41)은 베이스바디(10)로부터 90도 내지 120도, 90도 내지 110도, 90도 내지 100도, 90도 내지 95도 등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패드모듈(43)은 펼친 상태에서 의자의 등받이부를 형성하거나 의자의 등받이부를 보강하여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2패드모듈(43)은 제2메인패드(431)와, 제2프레임(41)이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부(433)가 형성되도록 제2메인패드(431)와 결합되는 제2지지패드(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메인패드(431)는 펼친 상태에서 수납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제2지지패드(432)는 펼친 상태에서 수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메인패드(331)에는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패드수납부(4312)가 구비될 수 있다. 패드수납부(4312)의 내부에는 물건안착공간이 형성되고, 패드수납부(4312)의 입구는 지퍼 등과 같은 개폐수단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2끼움부(433)의 입구 쪽에서 제1메인패드(331)에는 제1패드결합부(4311)가 구비되고, 제2끼움부(433)의 입구 쪽에서 제2지지패드(432)에는 제2패드결합부(43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패드결합부(4311)와 제2패드결합부(4321)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메인패드(431)와 제2지지패드(432)를 연결시키고, 제2끼움부(433)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제2패드모듈(43)에는 제2프레임(41)이 노출되도록 제2메인패드(431)와 제2지지패드(432) 사이가 일부 개구되는 제2노출부(434)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제2프레임(41)을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노출부(434)는 제2프레임(41)의 모서리 부분을 노출시키고 있다.
제2패드모듈(43)에는 제2메인패드(431)와 제2지지패드(432)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제2패드탈착부(43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패드탈착부(435)는 펼친 상태에서 제2패드모듈(43)의 상단부에 구비되므로, 후술하는 바스켓모듈(8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바스켓탈착부(83)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패드모듈(43)에는 제2노출부(434)에서 이격되어 제2프레임(41)이 노출되도록 제1메인패드(331)와 제2지지패드(432) 사이가 일부 개구되는 결합노출부(43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결합노출부(436)에 의해 제2메인패드(431)의 일부와 제2메인패드(431)의 일부가 마주보는 제2지지패드(432)의 일부가 분리된다. 이때, 제2메인패드(431)에는 제1패드연결부(4361)가 구비되고, 제2지지패드(432)에는 제2패드연결부(43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패드연결부(4361)와 제2패드연결부(4362)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메인패드(431)와 제2지지패드(43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패드모듈(43)에는 펼친 상태에서 의자의 등받이부를 형성함에 따라 의자에 착석한 사람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쿠션(437)이 구비될 수 있다. 머리지지쿠션(437)은 사람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여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2패드모듈(43)에는 접힌 상태에서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2접힘결합부(438)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접힘결합부(438)는 제2메인패드(431)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2접힘결합부(438)는 제1겸용바디(30)의 제1패드모듈(33)에 구비된 제1접힘결합부(338)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제1접힘결합부(338)와 제2접힘결합부(438)는 상호 벨크로 결합되므로, 결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패드모듈(43)에는 접힌 상태의 제1겸용바디(30)와 펼친 상태의 제2겸용바디(40)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바디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디탈착부는 제2끼움부(433)의 입구 쪽에서 제2지지패드(432)에 구비된다. 바디탈착부는 제2지지패드(432)에서 제2패드결합부(4321)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디탈착부는 접힌 상태의 제1겸용바디(30)와 펼친 상태의 제2겸용바디(40)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펼친 상태의 제2겸용바디(40)에서 제2패드모듈(43)에 구비된 바디탈착부는 접힌 상태의 제1겸용바디(30)에서 제1패드모듈(33)에 구비된 제1패드탈착부(335)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링크결합모듈(50)은 베이스바디(10)에서 제1겸용바디(30)가 돌출될 때, 베이스바디(10)로부터 제1겸용바디(30)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1링크결합모듈(50)은 제1겸용바디(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바디축(511)과, 제1바디축(511)을 매개로 제1겸용바디(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로드(51)와, 제1겸용바디(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베이스축(521)과, 제1베이스축(521)을 매개로 베이스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이스로드(52)와, 제1바디로드(51)와 제1베이스로드(52)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링크축(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결합모듈(50)은 제1바디로드(51)와 제1베이스로드(52) 중 어느 하나에 절곡 형성되는 제1제한절곡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로드(51)를 기준으로 제1베이스로드(52)가 제1링크축(53)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제1제한절곡부(54)에는 제1바디로드(51)와 제1베이스로드(52) 중 다른 하나가 걸림 지지되므로, 제1바디로드(51)를 기준으로 제1베이스로드(52)가 제1링크축(53)을 중심으로 추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링크결합모듈(60)은 베이스바디(10)에서 제2겸용바디(40)가 돌출될 때, 베이스바디(10)로부터 제2겸용바디(40)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2링크결합모듈(60)은 제2겸용바디(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바디축(611)과, 제1바디축(511)을 매개로 제2겸용바디(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로드(61)와, 제2겸용바디(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베이스축(621)과, 제2베이스축(621)을 매개로 베이스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이스로드(62)와, 제2바디로드(61)와 제2베이스로드(62)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링크축(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링크결합모듈(60)은 제2바디로드(61)와 제2베이스로드(62) 중 어느 하나에 절곡 형성되는 제2제한절곡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로드(61)를 기준으로 제2베이스로드(62)가 제2링크축(63)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제2제한절곡부(64)에는 제2바디로드(61)와 제2베이스로드(62) 중 다른 하나가 걸림 지지되므로, 제2바디로드(61)를 기준으로 제2베이스로드(62)가 제2링크축(63)을 중심으로 추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링크결합모듈(60)은 제2바디축(611)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팔걸이축(651)과, 제1팔걸이축(651)을 매개로 제2겸용바디(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걸이로드(65)와, 제2베이스축(621)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지지팔걸이축(661)과, 지지팔걸이축(661)을 매개로 베이스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링크로드(66)와, 팔걸이로드(65)와 지지링크로드(66)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팔걸이축(6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펼친 상태의 제2겸용바디(40)에는 팔걸이로드(65)가 제1겸용바디(30)를 향해 돌출 형성되므로, 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의자의 착석부에 착석한 사람이 팔을 기댈 수 있다. 또한, 펼친 상태의 제2겸용바디(40)에는 팔걸이로드(65)가 제1겸용바디(30)를 향해 돌출 형성되므로, 수납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 사이를 일부 폐쇄하여 수납공간에 적재되는 물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접힌 상태의 제2겸용바디(40)에 대응하여 제2링크결합모듈(60)은 제2겸용바디(40)에 간섭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은 조향모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향모듈(70)은 조향바퀴모듈(22)의 회전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다. 조향모듈(70)은 조향바퀴모듈(22)의 회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조향바퀴모듈(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향모듈(70)은 조향바퀴모듈(22)에 구비된 조향브라켓(221)에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재(71)와, 연장부재(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로드(72)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조향로드(72)의 단부에 구비되는 조향손잡이(7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로드(72)는 조향연결축(721)을 매개로 연장부재(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연장부재(71)는 조향브라켓(221)에 돌출 형성되는 연장로드와, 조향로드(72)와 중첩되도록 연장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장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로드(72)는 연장브라켓의 연장브라켓과 중첩되는 조향연결부와, 단부에 조향손잡이(73)가 구비되도록 조향연결부에 절곡 형성되는 절곡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조향연결축(721)은 연장브라켓과 조향연결부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므로, 조향바퀴모듈(22)의 회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조향모듈(7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은 바스켓모듈(80)과, 제1수납모듈(91)과, 제2수납모듈(92)과, 브레이크모듈과, 그늘막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수 있다.
바스켓모듈(80)은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를 펼친 상태에서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가장자리가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스켓모듈(80)은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물건이 수납되는 바스켓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바디(81)와, 바스켓공간의 입구에 결합되는 개구조절끈(82)과, 바스켓공간의 입구에서 바스켓바디(81)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바스켓탈착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공간의 입구에서 바스켓바디(81)에는 개구조절끈(82)이 끼움 결합되는 끈끼움부(811)가 구비되므로, 개구조절끈(82)은 끈끼움부(811)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개구조절끈(82)을 잡아당기면 바스켓공간의 입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바스켓탈착부(83)는 펼친 상태의 제1겸용바디(30)에서 제1패드모듈(33)에 구비된 제1패드탈착부(335)와, 펼친 상태의 제2겸용바디(40)에서 제2패드모듈(43)에 구비된 제2패드탈착부(43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스켓모듈(80)은 접어서 제2패드모듈(43)에 구비된 패드수납부(4312)에 보관할 수 있다.
제1수납모듈(91)은 베이스바디(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바디(10)의 전방부에 구비된다. 제1수납모듈(91)은 제2겸용바디(40)에 구비된 팔걸이로드(6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수납모듈(91)은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제1수납부(916)가 구비된 제1수납바디(911)와, 제1수납바디(91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지지날개(912)와, 제1수납바디(911)와 제1지지날개(912)의 연결 부분 또는 제1수납바디(911) 또는 제1지지날개(912)에 구비되는 제1수납탈착부(913)와, 제1수납탈착부(913)에서 이격되어 제1지지날개(912)에 구비되는 제1지지탈착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납모듈(91)은 접힌 상태의 조향모듈(70)에 구비된 조향로드(72)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수납바디(911)에 구비되는 제1조향파지부(9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지지날개(912)는 베이스바디(10)의 전방부에서 제2겸용바디(40)에 구비된 팔걸이로드(65)를 감싸고, 제1수납탈착부(913)에 제1지지탈착부(914)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베이스바디(10)의 전방부에서 제2겸용바디(40)에 구비된 팔걸이로드(65)에 제1수납모듈(9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수납모듈(92)은 베이스바디(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바디(10)의 후방부에 구비된다. 제2수납모듈(92)은 제2겸용바디(40)에 구비된 팔걸이로드(6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수납모듈(92)은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제2수납부(926)가 구비된 제2수납바디(921)와, 제2수납바디(92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지지날개(922)와, 제2수납바디(921)와 제2지지날개(922)의 연결 부분 또는 제2수납바디(921) 또는 제2지지날개(922)에 구비되는 제2수납탈착부(923)와, 제2수납탈착부(923)에서 이격되어 제2지지날개(922)에 구비되는 제2지지탈착부(9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납모듈(92)은 접힌 상태의 조향모듈(70)에 구비된 조향손잡이(73)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수납바디(921)에 구비되는 제2조향파지부(9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지지날개(922)는 베이스바디(10)의 후방부에서 제2겸용바디(40)에 구비된 팔걸이로드(65)를 감싸고, 제2수납탈착부(923)에 제2지지탈착부(924)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베이스바디(10)의 후방부에서 제2겸용바디(40)에 구비된 팔걸이로드(65)에 제2수납모듈(9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모듈은 고정바퀴모듈(21)과 조향바퀴모듈(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퀴모듈을 제동한다. 브레이크모듈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브레이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늘막모듈은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 중 적어도 제2겸용바디(40)에 결합되거나 베이스바디(10)에 결합된다. 그늘막모듈은 베이스바디(10)의 상측으로 그늘을 형성하게 된다.
그늘막모듈은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 중 적어도 제2겸용바디(40)에 결합되거나 베이스바디(10)에 결합되는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기둥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막지지부재와, 베이스바디(10)의 상측에 그늘이 형성되도록 막지지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늘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막지지부재에서 분리된 그늘막부재는 접어서 제2패드모듈(43)에 구비된 패드수납부(4312)에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탈착부들은 벨크로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탈부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웨건에 따르면, 물건의 운반을 위한 수납 기능과 사람의 착석을 위한 의자 기능 사이에서 기능 변환을 원활하게 하고, 웨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 겸용 웨건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가 모두 펼친 상태를 나타내면, 웨건을 수납 기능으로 활용 가능하고, 제1겸용바디(30)가 접힌 상태이고 제2겸용바디(40)가 펼친 상태를 나타내면, 웨건을 의자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바퀴모듈(22)의 회전 구조를 통해 베이스바디(10)의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겸용바디(3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바디(10)에서 제1프레임(3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힌 상태에서 제1겸용바디(30)가 베이스바디(10)에 적층되므로, 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의자의 착석부를 형성하고, 의자에 착석한 사람의 엉덩이를 보호하며, 의자의 착석부에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겸용바디(4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바디(10)에서 제2프레임(4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힌 상태에서 제2겸용바디(40)가 제1겸용바디(30)에 적층되므로, 웨건을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펼친 상태에서 제2겸용바디(40)가 베이스바디(10)에 돌출 형성되므로, 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의자의 등받이부를 형성하고, 의자에 착석한 사람이 기댈 수 있으며, 의자의 등받이부에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링크결합모듈(5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제1겸용바디(30)의 펼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베이스바디(10)의 상측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외측으로 제1겸용바디(30)가 추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겸용바디(3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링크결합모듈(6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제2겸용바디(40)의 펼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베이스바디(10)의 상측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외측으로 제22겸용바디가 추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겸용바디(3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로드(65)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납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제1겸용바디(30)와 제2겸용바디(40) 사이의 측면 개구부를 커버하는 한편, 바스켓모듈(8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팔걸이로드(65)의 결합 관계를 통해 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의자에 착석한 사람이 기댈수 있도록 하고 의자에 착석한 사람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모듈(7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조향바퀴모듈(2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접힌 상태에서 제2겸용바디(40)에 적층되므로, 웨건의 컴팩트화를 구현하며, 펼친 상태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모듈(8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납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수납공간의 측면을 안정되게 커버하고, 수납공간에 적잭되는 물건을 안정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수납모듈(91)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바디(10)의 전방부에 물건의 수납을 위한 추가공간을 확보하고, 접힌 상태에서 조향모듈(70)을 안정되게 파지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납모듈(92)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바디(10)의 후방부에 물건의 수납을 위한 추가공간을 확보하고, 접힌 상태에서 조향모듈(70)을 안정되게 파지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바퀴모듈(21)과 조향바퀴모듈(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퀴모듈이 구름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늘막모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납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수납공간으로 직사광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수납공간에 적재된 물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의자의 착석부로 직사광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의자에 착석한 사람에게 그늘을 제공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베이스바디 11: 베이스프레임 111: 파지손잡이
12: 베이스지지판 21: 고정바퀴모듈 211: 고정브라켓
213: 고정휠 22: 조향바퀴모듈 221: 조향브라켓
222: 조향축 223: 조향휠 30: 제1겸용바디
31: 제1프레임 32: 제1축결합부 33: 제1패드모듈
331: 제1메인패드 332: 제1지지패드 333: 제1끼움부
334: 제1노출부 335: 제1패드탈착부 338: 제1접힘결합부
40: 제2겸용바디 41: 제2프레임 42: 제2축결합부
43: 제2패드모듈 431: 제2메인패드 4311: 제1패드결합부
4312: 패드수납부 432: 제2지지패드 4321: 제2패드결합부
433: 제2끼움부 434: 제2노출부 435: 제2패드탈착부
436: 결합노출부 4361: 제1패드연결부 4362: 제2패드연결부
437: 머리지지쿠션 438: 제2접힘결합부 50: 제1링크결합모듈
51: 제1바디로드 511: 제1바디축 52: 제1베이스로드
521: 제1베이스축 53: 제1링크축 54: 제1제한절곡부
60: 제2링크결합모듈 61: 제2바디로드 611: 제2바디축
62: 제2베이스로드 621: 제2베이스축 63: 제2링크축
64: 제2제한절곡부 65: 팔걸이로드 651: 제1팔걸이축
652: 제2팔걸이축 66: 지지링크로드 661: 지지팔걸이축
70: 조향모듈 71: 연장부재 72: 조향로드
721: 조향연결축 73: 조향손잡이 80: 바스켓모듈
81: 바스켓바디 811: 끈끼움부 82: 개구조절끈
83: 바스켓탈착부 91: 제1수납모듈 911: 제1수납바디
912: 제1지지날개 913: 제1수납탈착부 914: 제1지지탈착부
915: 제1조향파지부 916: 제1수납부 92: 제2수납모듈
921: 제2수납바디 922: 제2지지날개 923: 제2수납탈착부
924: 제2지지탈착부 925: 제2조향파지부 926: 제2수납부

Claims (8)

  1.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지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고정바퀴모듈;
    상기 고정바퀴모듈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조향바퀴모듈;
    상기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측에 적층 가능하고,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일측단부에 돌출 가능한 제1겸용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측에 적층된 상기 제1겸용바디의 상측에 적층 가능하고,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타측단부에 돌출 가능한 제2겸용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에서 상기 제1겸용바디가 돌출될 때, 상기 베이스바디로부터 상기 제1겸용바디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링크결합모듈; 및
    상기 베이스바디에서 상기 제2겸용바디가 돌출될 때, 상기 베이스바디로부터 상기 제2겸용바디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링크결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웨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겸용바디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베이스바디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축결합부; 및
    상기 제1프레임을 감싸는 제1패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웨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겸용바디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베이스바디의 타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축결합부;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감싸는 제2패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웨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결합모듈은,
    상기 제1겸용바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바디축;
    상기 제1바디축을 매개로 상기 제1겸용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로드;
    상기 제1겸용바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베이스축;
    상기 제1베이스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이스로드; 및
    상기 제1바디로드와 상기 제1베이스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링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웨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결합모듈은,
    상기 제2겸용바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바디축;
    상기 제1바디축을 매개로 상기 제2겸용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로드;
    상기 제2겸용바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베이스축;
    상기 제2베이스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이스로드; 및
    상기 제2바디로드와 상기 제2베이스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링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웨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결합모듈은,
    상기 제2바디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팔걸이축;
    상기 제1팔걸이축을 매개로 상기 제2겸용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걸이로드;
    상기 제2베이스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지지팔걸이축;
    상기 지지팔걸이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링크로드; 및
    상기 팔걸이로드와 상기 지지링크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팔걸이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웨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바퀴모듈의 회전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고, 상기 조향바퀴모듈의 회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조향바퀴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웨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겸용바디와 상기 제2겸용바디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제1겸용바디와 상기 제2겸용바디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가장자리가 상기 제1겸용바디와 상기 제2겸용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모듈;
    상기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겸용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납모듈;
    상기 베이스바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바디의 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겸용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납모듈;
    상기 고정바퀴모듈과 상기 조향바퀴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퀴모듈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모듈; 및
    상기 제1겸용바디와 상기 제2겸용바디 중 적어도 상기 제2겸용바디에 결합되거나 상기 베이스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측으로 그늘을 형성하기 위한 그늘막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웨건.
KR1020220069127A 2022-06-07 2022-06-07 의자 겸용 웨건 KR20230168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127A KR20230168530A (ko) 2022-06-07 2022-06-07 의자 겸용 웨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127A KR20230168530A (ko) 2022-06-07 2022-06-07 의자 겸용 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530A true KR20230168530A (ko) 2023-12-14

Family

ID=8916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127A KR20230168530A (ko) 2022-06-07 2022-06-07 의자 겸용 웨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5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42B1 (ko) 2017-09-25 2019-08-01 주식회사 디카트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42B1 (ko) 2017-09-25 2019-08-01 주식회사 디카트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015B2 (en) Folding wagon with seats
US6629729B2 (en) Rear seat for a vehicle
US9855962B1 (en) Locking floor folding cart
US7726683B2 (en) Stroller
US7165779B2 (en) Convertible combination utility/camper tow trailer
US20080157579A1 (en) Vehicle seat, vehicle seat storage structure and vehicle seat structure
US3822422A (en) Combination multiple purpose campers folding cot and portable pack frame
JP5223224B2 (ja) シートフレーム構造、シートおよびシートフレームの連結方法
JP5769903B2 (ja) シートを含む実用荷台を有する車両
US10974754B2 (en) Baby carriage with storage basket and canopy
JP2003212017A (ja) 車両用シート
US5911432A (en) Two seat baby carriage
US11498601B2 (en) Wagon for carrying children
US20160355231A1 (en) A foldable vehicle
US6354611B1 (en) Traveling picnic table
US4955973A (en) Convertible bench seat for vans
WO2015065534A1 (en) Stroller with expandable cargo area
US20170273839A1 (en) Wheelchair including accommodation pocket
US20090159385A1 (en) Travel bag with stowable seat
KR20230168530A (ko) 의자 겸용 웨건
US20040207240A1 (en) Collapsible wheeled dual-chair
KR101923732B1 (ko) 접이식 왜건
JP2007076616A (ja) 車両の荷室構造
TW201529389A (zh) 附寵物用提袋之推車
KR102494371B1 (ko) 차량 도킹이 용이한 수납가방 일체형 텐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