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490B1 - 다용도 전동 보드 - Google Patents

다용도 전동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490B1
KR101849490B1 KR1020170005925A KR20170005925A KR101849490B1 KR 101849490 B1 KR101849490 B1 KR 101849490B1 KR 1020170005925 A KR1020170005925 A KR 1020170005925A KR 20170005925 A KR20170005925 A KR 20170005925A KR 101849490 B1 KR101849490 B1 KR 10184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rizontal bar
main plate
pai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김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태 filed Critical 김현태
Priority to KR102017000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Abstract

다용도 전동 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는, 하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 쌍의 전동 휠,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단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후방 휠, 상기 한 쌍의 전동 휠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전동 휠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축 어셈블리 - 상기 조향축 어셈블리는, 제1 로드, 제2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사이에서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유지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함 - ,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상기 스페이서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축,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평바,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평바로부터 이격되는, 제2 수평바,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상부이면서,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전동 보드{MULTIPURPOSE ELECTRICALLY-POWERED BOARD}
본 발명은 다용도 전동 보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동 휠을 채용하되, 유모차, 안장 및 카시트 등을 장착할 수 있으며,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캐리어로서의 기능, 더 나아가 모바일 기기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전동 보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동 킥보드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가고 있다. 전형적인 전동 킥보드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메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 측과 후방 측 각각에 위치하는 전륜 및 후륜, 그리고 핸들을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전동 킥보드의 경우, 이동수단 이상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한다. 즉, 메인 보드에 양발을 올려서 이동하는 수단으로서만 사용되고 있을 뿐, 예컨대, 무거운 짐을 싣거나, 유아를 동반한 경우, 유모차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용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동 킥보드의 기능을 더 발전시킨 다용도 전동 보드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0534(2016. 05. 3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72994(2002. 09. 19. 공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본적인 전동 보드로서의 기능 이외에, 유아를 동반하여 이동할 수 있는 기능, 짐을 실을 수 있는 기능, 안장에 앉아서 전동 보드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능, 그리고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의 지지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전동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aspect)에 따른 다용도 전동 보드는, 하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 쌍의 전동 휠과,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단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후방 휠과, 상기 한 쌍의 전동 휠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전동 휠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축 어셈블리 - 상기 조향축 어셈블리는, 제1 로드, 제2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사이에서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유지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함 - 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상기 스페이서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평바와,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평바로부터 이격되는, 제2 수평바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상부이면서,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에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수평바와 상기 제2 수평바에 의해 고정되어 모바일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상태를 갖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제1 서포트 부재(50a), 제2 서포트 부재(50b), 힌지부재(50c), 스토퍼(51) 및 물림부재(52)를 포함하고 - 상기 제2 상태시, 상기 물림부재(52)는 가압에 의해 상기 제2 수평바에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51)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수평바에 걸려서 유지됨 - , 상기 제1 상태시 상기 제1 서포트 부재가 상기 힌지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할 시, 상기 제1 서포트 부재와 상기 제2 서포트 부재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서포트 부재와 상기 제2 서포트 부재 각각의 인접 부분에 오목부(50d)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된 유모차 시트 장착부와, 상기 유모차 시트 장착부에 삽입되는, 유모차 시트 지지부와, 상기 유모차 시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유모차 시트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된 안장 장착부와, 상기 안장 장착부에 의해 고정되는 안장 지지부와, 상기 안장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안장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내에 위치하고, 노출되어 카시트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삽입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일측이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 보드와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을 위한 회전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시 분리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회전부재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향축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폴딩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분리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전동 보드를 제공함으로써, 기본적인 전동 보드로서의 기능 이외에, 유아를 동반하여 이동할 수 있는 기능, 짐을 실을 수 있는 기능, 안장에 앉아서 전동 보드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능, 그리고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의 지지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동 보드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에서 안장을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에서 안장을 장착한 상태로서, 도 2a에 대응되는 평면도이고,
도 2c는 도 2b에서 서포트 플레이트(50)를 제거해 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의 폴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커버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카시트의 일 예(C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c는 도 6b의 카시트(C2)와 커버 플레이트(110)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서포트 플레이트(50)를 제1 수평바(410)와 제2 수평바(420)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한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예시되고 간략화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동 보드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에서 안장을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에서 안장을 장착한 상태로서, 도 2a에 대응되는 평면도이고, 도 2c는 도 2b에서 서포트 플레이트(50)를 제거해 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의 폴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커버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카시트의 일 예(C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c는 도 6b의 카시트(C2)와 커버 플레이트(110)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서포트 플레이트(50)를 제1 수평바(410)와 제2 수평바(420)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보드는, 메인 플레이트(10), 한 쌍의 전동 휠(30a, 30b), 한 쌍의 후방 휠(30c, 30d), 조향축 어셈블리(20, 610), 연결축(630), 제1 수평바(410), 제2 수평바(420), 및 커버 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20은 하나만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다른 도면들 및 이하의 설명들에서와 같이 두 개의 로드(20a, 20b)로 구성된다.
메인 플레이트(10)는 다용도 전동 보드의 운전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부분이면서, 또한 유모차, 안장 등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메인 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전동 휠(30a, 30b)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50)가 장착된다. 메인 플레이트(10)의 후미에는 후미등(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동 휠(30a, 30b)은 메인 플레이트(10)의 전방 측에 위치하며, 배터리(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으로서, 공지의 전동 휠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전동 휠(30a, 30b)에는, 구동 감속기 모터, 즉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BLDC 모터는 통상적인 DC 모터에서 브러시 구조를 없애고, 영구 자석의 위치를 홀센서 등의 전자적 센서로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로서 전기각(electric angle)을 판단하여 코일에 전류를 흘려서 토크를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이러한 BLDC 모터를 채용한 한 쌍의 전동 휠(30a, 30b)에 의해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가 움직이게 된다.
한 쌍의 전동 휠(30a, 30b)은 각각의 전동 휠 연결부(310a, 310b)에 의해 조향축 어셈블리의 제1 로드(20a) 및 제2 로드(20b)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전동 보드의 주행시, 주행자가 필요에 따라 조향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 전환하는 경우, 그에 따라 조향축 어셈블리에 의해 한 쌍의 전동 휠(30a, 30b)의 방향 전환이 이뤄진다.
한 쌍의 후방 휠(30c, 30d)은 메인 플레이트(10)의 후단에서 메인 플레이트(10)의 후단의 양측에 위치한다. 한 쌍의 후방 휠(30c, 30d)에는 디스크 브레이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고,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레버(도 4의 422 참조)에 의해 동시에 제어되어 필요에 따라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조향축 어셈블리(20a, 20b, 610)는 한 쌍의 전동 휠(30a, 30b)에 연결되어(전동 휠 연결부(310a, 310b)에 의해 연결됨), 그에 따라 전동 휠(30a, 30b)의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향축 어셈블리(20a, 20b, 610)는 제1 로드(20a), 제2 로드(20b), 및 스페이서 부재(610)를 포함한다. 제1 로드(first rod)(20a) 및 제2 로드(second rod)(20b)는 대체로 수직 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운전자가 핸들을 잡을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스페이서 부재(spacer plate)(610)는 제1 로드(20a)와 제2 로드(20b)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스페이서 부재(610)는 한 쌍의 전동 휠(30a, 30b)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연결축(630)은 메인 플레이트(10)가 스페이서 부재(6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메인 플레이트(10)와 스페이서 부재(610) 간을 연결한다.
제1 수평바(410)와 제2 수평바(420)는 제1 로드(20a) 및 제2 로드(20b)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제1 로드(20a)와 제2 로드(20b) 사이에 위치하여, 핸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2 수평바(420)가 핸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수평바(410)와 제2 수평바(420)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서포트 플레이트(50)의 장착을 위해 제1 수평바(410)의 높이보다 제2 수평바(420)의 높이가 더 낮도록 구성된다. 제1 수평바(410)와 제2 수평바(420)는 제1 로드(20a) 및 제2 로드(20b)의 상단에 용접이나 볼트/너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별도의 참조부호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로드(20a) 및 제2 로드(20b)와 제1 수평바(410) 및 제2 수평바(420) 간의 연결 부분에는 이러한 용접 또는 볼트/너트 등에 의한 결합이 노출되지 않도록 적절히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10)는 스페이서 부재(610)의 상부이면서, 제1 로드(20a)와 제2 로드(20b) 사이에 위치한다. 커버 플레이트(110)는 스페이서 부재(630)와 함께 제1 로드(20a)와 제2 로드(20b)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해준다. 커버 플레이트(110)는 제1 로드(20a) 및 제2 로드(20b)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연장부(112)를 갖는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10)는 연결축(630)이 돌출되어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를 상부에서 보호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따라서, 제1 로드(20a)와 제2 로드(20b)를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살펴보면, 커버 플레이트(110), 연결축(630) 그리고 스페이서 부재(610)가 위치하며, 커버 플레이트(110)와 스페이서 부재(610)는 양측으로 제1 로드(20a) 및 제2 로드(20b)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축(630)이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공을 갖는 회전부재(620)가 스페이서 부재(610)와 커버 플레이트(110) 사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는 서포트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한다. 서포트 플레이트(50)는 제1 수평바(410)와 제2 수평바(420)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에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게 된다. 서포트 플레이트(50)의 고정 상태는 이후에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그리고 서포트 플레이트(50)는 제1 수평바(410)와 제2 수평바(420)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제2 상태)이외의 다른 상태(제1 상태)로도 사용되는데, 이에 관하여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110)는 복수 개의 삽입홀들(114)을 포함한다. 카시트(도 6c의 C2)가 장착될 경우, 카시트(C2)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플레이트(50)가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카시트(C1)가 장착될 수도 있으나(이 경우에는 벨트(미도시)나 기타 수단을 사용하여 제1 로드(20a) 및 제2 로드(20b)에 카시트(C1)가 서포트 플레이트(50)의 상부에 고정되어야 함), 서포트 플레이트(50)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시트(C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가 삽입홀들(114)에 삽입되어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카시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한 예가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여 이후에 더 설명된다.
또한,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바(420)에는, 속도, 누적 거리 등을 표시하기 위한 계기판(424), 가속 레버(425), 파워 버튼, 주행모드 버튼, 핸들(421a, 421b), 핸들 분리/장착 버튼, 감도 조절 장치(423), 브레이크 레버(422), 핸들 분리/장착 버튼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크락션 스위치, 라이트 스위치, 후미등 스위치 등도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0)에 고정된 안장 장착부(740), 안장 장착부(740)에 의해 고정되는 안장 지지부(720), 그리고 안장 지지부(720)에 의해 지지되는 안장(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주행 중에 안장(710)에 앉아서 편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안장(7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부(730)를 더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는, 일측이 연결축(630)과 결합되고, 타측이 메인 보드(10)와 결합되는 연결부재(120), 연결부재(120)의 회전을 위한 회전부재(140), 그리고, 분리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재(130)는, 조향축 어셈블리 측을 회전시켜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폴딩 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분리되어 연결부재(120)가 회전부재(130)를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분리부재(130)는 눌림 상태와 돌출 상태를 갖는 버튼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회전시 완전히 분리되는 핀 타입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즉 전동 휠(30a, 30b)이 안쪽으로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폴딩 상태에서 부피를 줄임으로써,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는, 메인 플레이트(10)에 고정된 유모차 시트 장착부(820a, 820b, 820c), 유모차 시트 장착부에 삽입되는 유모차 시트 지지부(830a, 830b, 830c), 그리고, 유모차 시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유모차 시트(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는, 서포트 플레이트(50)의 상부에 가방(P1)을 실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가방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벨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로드(20a) 및 제2 로드(20b)에 고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포트 플레이트(50)의 전방으로 보조 플레이트(55)를 더 구비하여, 가방(P2)이나 가벼운 물건을 더 실을 수도 있다.
또한, 유모차 시트(810)가 구비되는 경우, 운전자는 메인 플레이트(10)의 후단부(11a, 11b)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으나, 메인 플레이트(10)의 길이가 짧은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메인 플레이트(10)의 후방으로 연장가능한 별도의 발 디딤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전동 보드는 서포트 플레이트(50)의 상부에 카시트(C1)를 올려놓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포트 플레이트(50)를 제거하고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00)에 직접 카시트(C1)를 올려놓을 수도 있다. 그러한 예가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b의 카시트(C2)가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고정될 경우, 커버 플레이트(110) 상에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카시트(C2)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조물(미도시)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삽입부재(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카시트(C2)는 차량 내에서 카시트 고정대(도 6b의 115) 상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고정대(115) 상에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물(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삽입부재(116) 각각에는 카시트(C2)와 결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걸림턱 구조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 구조물은, 카시트(C2)의 하부에 삽입부재(116)를 삽입시키는 시점에는 눌려지다가, 삽입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삽입부재(116)는 서포트 플레이트(50)가 상부에 위치할 경우,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커버 플레이트(110) 내에 위치하고, 카시트(C2)의 하부에 삽입되어 카시트(C2)를 고정하기 위해 노출되어 카시트(C2)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삽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서포트 플레이트(50)는, 제1 서포트 부재(50a), 제2 서포트 부재(50b), 힌지부재(50c), 스토퍼(51) 및 물림부재(52)를 포함한다. 제1 서포트 부재(50a)는, 제1 상태, 즉 커버 플레이트(도 1의 100)에 장착시 힌지부재(50c)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분이고, 제2 서포트 부재(50b)는 제1 상태시 및 제2 상태시 모두 대체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스토퍼(51)는 서포트 플레이트(5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서포트 부재(50a)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스토퍼(51)가 제1 수평바(410)에 걸려서 수평이 유지된다. 물림부재(52)는 제2 서포트 부재(50b)의 하부에 두 개의 핑거부(521, 522)가 형성되며, 가압에 의해 제2 수평바(420)에 물려져서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1 상태는,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는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제1 수평바(410)와 제2 수평바(420)에 의해 고정되어 모바일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서프트 플레이트(50)는, 상기 제1 상태시 제1 서포트 부재(50a)가 힌지부재(50c)를 기준으로 회전할 시, 제1 서포트 부재(50a)와 제2 서포트 부재(50b)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서포트 부재(50a)와 제2 서포트 부재(50b) 각각의 인접 부분에 오목부(50d)를 포함할 수 있다.
10 : 메인 플레이트
20, 20a, 20b : 로드(rod)
30a, 30b : 전동 휠
30b, 30c : 후방 휠
110 : 커버 플레이트
410, 420 : 수평바
50 : 서포트 플레이트
610 : 스페이스 부재
630 : 연결축

Claims (7)

  1. 다용도 전동 보드로서,
    하부에 배터리(150)가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10);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 쌍의 전동 휠(30a, 30b);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단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후방 휠(30c, 30d);
    상기 한 쌍의 전동 휠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전동 휠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축 어셈블리 - 상기 조향축 어셈블리는, 제1 로드(20a), 제2 로드(20b),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사이에서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유지하는 스페이서 부재(610)를 포함함 - ;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상기 스페이서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축(630);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평바(410);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평바로부터 이격되는, 제2 수평바(420); 및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상부이면서,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수평바와 상기 제2 수평바에 의해 고정되어 모바일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상태를 갖는, 서포트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보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된 유모차 시트 장착부(820a, 820b, 820c);
    상기 유모차 시트 장착부에 삽입되는, 유모차 시트 지지부(830a, 830b, 830c); 및
    상기 유모차 시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유모차 시트(8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된 안장 장착부(740);
    상기 안장 장착부에 의해 고정되는 안장 지지부(720); 및
    상기 안장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안장(7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 내에 위치하고, 노출되어 카시트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삽입부재(1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보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전동 보드는,
    일측이 상기 연결축(63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 보드(10)와 결합되는 연결부재(120);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을 위한 회전부재(140); 및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시 분리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회전부재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향축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폴딩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분리부재(1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보드.
KR1020170005925A 2017-01-13 2017-01-13 다용도 전동 보드 KR10184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25A KR101849490B1 (ko) 2017-01-13 2017-01-13 다용도 전동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25A KR101849490B1 (ko) 2017-01-13 2017-01-13 다용도 전동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490B1 true KR101849490B1 (ko) 2018-04-17

Family

ID=6208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925A KR101849490B1 (ko) 2017-01-13 2017-01-13 다용도 전동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4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69B1 (ko) 2018-09-03 2019-08-19 김희준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KR20210041492A (ko) * 2019-10-07 2021-04-15 유상진 유모차
CN112896392A (zh) * 2021-02-25 2021-06-04 仲恺农业工程学院 基于儿童休闲娱乐的滑板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18907Y (zh) * 2000-03-29 2001-02-14 余惠南 新型滑板车
US8631892B2 (en) * 2010-06-21 2014-01-21 Hans-Peter Constin Load and/or transport cart
KR20140138273A (ko) * 2012-03-13 2014-12-03 휴고 레오나르도 도우라도 휴대용 전동 운송 수단
CN205311683U (zh) * 2015-12-31 2016-06-15 平湖米家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带滑板的婴儿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18907Y (zh) * 2000-03-29 2001-02-14 余惠南 新型滑板车
US8631892B2 (en) * 2010-06-21 2014-01-21 Hans-Peter Constin Load and/or transport cart
KR20140138273A (ko) * 2012-03-13 2014-12-03 휴고 레오나르도 도우라도 휴대용 전동 운송 수단
CN205311683U (zh) * 2015-12-31 2016-06-15 平湖米家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带滑板的婴儿车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69B1 (ko) 2018-09-03 2019-08-19 김희준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KR20210041492A (ko) * 2019-10-07 2021-04-15 유상진 유모차
CN112693516A (zh) * 2019-10-07 2021-04-23 柳尚辰 婴儿车
KR102439207B1 (ko) * 2019-10-07 2022-09-02 유상진 유모차
CN112693516B (zh) * 2019-10-07 2022-12-13 柳尚辰 婴儿车
CN112896392A (zh) * 2021-02-25 2021-06-04 仲恺农业工程学院 基于儿童休闲娱乐的滑板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755B1 (ko) 핸즈프리형 전동스쿠터
CN108698663B (zh) 小型电动车辆
KR101849490B1 (ko) 다용도 전동 보드
JPWO2011111123A1 (ja) 移動体
KR20170142009A (ko)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KR101738307B1 (ko) 전동 유모차
KR102158013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JP4599907B2 (ja) 走行装置
KR101287591B1 (ko) 탑승 가능한 손수레 이송용 전동카트
CN107635850B (zh) 婴儿车
WO2018161947A1 (zh) 自平衡装置、电动车辆、姿态车、载人行李箱及两轮滑板车
JP6916052B2 (ja) 電動車両
KR200436310Y1 (ko) 트렁크형 접이식 3륜 전동 스쿠터
JP2002225718A (ja) 多機能型電動車両
CN106985888B (zh) 婴儿车
CN107539408B (zh) 可折叠的代步交通工具
JP3266944B2 (ja) 電動車両のフレーム構造
KR20190069807A (ko) 전동 킥보드
CN218617005U (zh) 卡丁车车架及其操控结构
CN218986839U (zh) 一种卡丁车及其车架
CN218617006U (zh) 卡丁车车架及其开关结构
CN218986841U (zh) 卡丁车及其车架
KR20170105738A (ko) 착탈 가능한 전동식 주행장치
JPH10138980A (ja) 電動スケータ
JP2610732B2 (ja) 小型電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