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769B1 -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769B1
KR102011769B1 KR1020180104395A KR20180104395A KR102011769B1 KR 102011769 B1 KR102011769 B1 KR 102011769B1 KR 1020180104395 A KR1020180104395 A KR 1020180104395A KR 20180104395 A KR20180104395 A KR 20180104395A KR 102011769 B1 KR102011769 B1 KR 102011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lectric kickboard
auxiliary device
suppor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준
Original Assignee
김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준 filed Critical 김희준
Priority to KR102018010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12Rollers or devices for shifting or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차 운행이 중단된 철도 레일 상에서 전동킥보드가 주행할 수 있게 하여 제품 활용도 및 지역 관광 산업발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 위에 올려져 설치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안착부가 레일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 양쪽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동킥보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AUXILIARY APPARATUS FOR ELECTRIC KICKBOARD POSSIBLE TRAVELING RAIL}
본 발명은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차 운행이 중단된 철도 레일 상에서 전동킥보드가 주행할 수 있게 하여, 제품 활용도 및 지역 관광 산업발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발판과, 그 발판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과, 전륜을 조향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쪽 발을 발판에 올리고 다른 한쪽의 발을 굴러 앞으로 나아가도록 구성된 것으로, 취미ㆍ레저활동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가 발을 굴러 사용하는 무동력 방식의 킥보드는 이동중에 사용자의 체력이 소진되거나 특히 오르막의 경우에는 주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가 한쪽 발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주행이 어려웠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발을 굴러 운행하던 무동력 방식을 벗어나, 전원공급을 통한 모터의 회전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킥보드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추세이다.
전동식 킥보드가 보급됨에 따라 종래의 레저활동에 한정되었던 이용에서 벗어나 개인 이동수단으로 사용되며 그 용도는 출퇴근, 통학, 대리운전 기사들의 이동수단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동식 킥보드는 일반 도로 위를 주행하게 되어 운전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주행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949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차 운행이 중단된 철도 레일 위에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거치시키고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전동킥보드를 설치하여 전동킥보드가 레일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역 관광 산업을 부흥시킬 수 있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는 레일 위에 올려져 설치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안착부가 레일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 양쪽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동킥보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레일 상에 구비되는 선로설치대와, 상기 선로설치대의 내측에 구비되어 레일의 측면으로 밀착되는 선로이탈방지대와, 상기 선로설치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부를 받쳐주게 되는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로이탈방지대는 안착부가 레일 위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선로설치대의 양쪽 좌,우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안착부의 안쪽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에 구비되어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가 레일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안착부의 받침판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안착부의 받침판 상부에 구비되어 거치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안착부의 받침판 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부가 꺾여져 연결바에 설치되는 거치부가 빠지지 않도록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전동킥보드의 발판이 올려지는 발판 받침대와, 상기 발판 받침대의 끝단에 구비되어 지지부의 연결바에 끼워지는 끼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 받침대는 양끝단에 전동킥보드가 올려진 상태에서 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로 꺾여진 이탈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와 거치부는 하나의 바퀴가 구비된 전동킥보드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안착부의 상부에 전동킥보드가 레일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와 거치부는 앞뒤로 두 개의 바퀴가 구비된 전동킥보드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안착부의 상부에 전동킥보드가 레일 방향과 엇갈리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거치부는, 앞뒤로 두 개의 바퀴가 구비된 전동킥보드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연결바의 상부에 전,후로 레일(R) 방향과 엇갈리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에는 전동킥보드가 올려진 상태에서 전동킥보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동킥보드를 감싸면서 벨트가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의하면, 기차 운행이 중단된 철도 레일에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거치시키고 보조장치에 전동킥보드를 올려서 레일 위에서 전동킥보드를 운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동킥보드를 일반 도로가 아닌 철도 레일에서 운행할 수 있어 보행자 및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사용하지 않는 철도 레일을 이용하게 되어 지역 관광산업에 부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전동킥보드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전동킥보드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전동킥보드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전동킥보드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는 안착부(100)와, 이동부(200)와, 지지부(300)와, 거치부(4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안착부(100)는 레일(R) 위에 올려져 레일(R)의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면서 거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안착부(100)는 선로설치대(110)와, 선로이탈방지대(120)와, 받침판(13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선로설치대(110)는 레일(R)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양쪽으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선로설치대(110)는 레일(R)의 상단면과 양측면을 감싸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선로이탈방지대(120)는 선로설치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레일(R)의 양측면으로 밀착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선로이탈방지대(120)가 레일(R)의 외벽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선로설치대(11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로이탈방지대(120)는 안착부(100)가 레일(R) 위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선로설치대(110)의 내측면 양쪽 좌,우로 복수개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받침판(130)은 선로설치대(110)의 상부에 양쪽의 선로설치대(110)를 연결시켜 지지부(300)를 받쳐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30)의 안쪽에는 전동킥보드(10)의 바퀴(12)가 레일(R)에 올려질 수 있도록 공간부(131)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이동부(200)는 안착부(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안착부(100)가 레일(R)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200)는 안착부(100)의 선로설치대(110)와 선로이탈방지대(12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210)와, 상기 연결부재(2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전동킥보드(1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가 레일(R)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2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롤러(220)는 연결부재(210)에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안착부(100)의 상부 양쪽에 구비되어 전동킥보드(10)가 올려지는 거치부(400)를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안착부(100)의 받침판(130)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지지대(310)와, 상기 안착부(100)의 받침판(130) 상부에 구비되어 거치부(4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바(3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대(310)는 받침판(130)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복수개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10)는 안착부(100)의 받침판(130)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부가 꺾여져 연결바(320)에 설치되는 거치부(400)가 빠지지 않게 상부가 연결바(320) 위에 얹혀지도록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연결바(320)는 받침판(130) 상부에 수직되게 세워져 거치부(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양쪽으로 복수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거치부(400)는 지지부(300)의 연결바(320) 상부에 안착되어 전동킥보드(10)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치부(400)는 발판 받침대(410)와, 끼움바(4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발판 받침대(410)는 전동킥보드(10)의 발판(11)이 올려지게 된다.
즉, 상기 발판 받침대(410)는 양쪽에 구비된 연결바(320)의 각각에 연결되어 전동킥보드(10)의 양쪽 발판(11)이 각각 올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발판 받침대(410)의 양끝단에는 전동킥보드(10)가 올려진 상태에서 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411)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턱(411)은 발판 받침대(4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되게 꺾여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끼움바(420)는 발판 받침대(410)의 양끝단에 구비되어 연결바(320)에 끼워지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바퀴로 이루어진 전동킥보드(10)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지지부(300)와 거치부(400)는 안착부(100)의 상부에 좌,우로 레일(R) 방향과 평행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앞뒤로 두 개의 바퀴가 구비된 전동킥보드(10)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거치부(400)는 연결바(320)의 상부에 전,후로 레일(R) 방향과 엇갈리게 설치된다.
한편,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부(400)에는 전동킥보드(10)가 올려진 상태에서 전동킥보드(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동킥보드(10)를 감싸면서 벨트(V)가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전동킥보드(10)를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V)의 연결방식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무줄에 연결되는 갈퀴를 연결고리에 걸어 고정시키는 원터치 버클 방식으로 구비함으로써 한 손으로 쉽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레일(R) 위에 안착부(100)를 안착시키되 상기 안착부(100)의 선로설치대(110)와 선로이탈방지대(120)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롤러(220)로 이루어진 이동부(200)를 구비하게 되어 상기 롤러(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착부(100)가 레일(R)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00) 상단에 지지부(300)가 상부로 수직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300)의 상부에 거치부(400)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상기 거치부(400)의 발판 받침대(410) 상에 전동킥보드(10)의 발판(11)을 올려놓게 되는데, 전동킥보드(10)의 바퀴(12)가 레일(R)에 닿도록 올려놓아 전동킥보드(10)의 바퀴(12)가 구동되면 전동킥보드(10)와 함께 전동킥보드 보조장치가 레일(R)을 따라 이동되어지게 된다.
또한, 바퀴가 한 개이거나 두 개로 이루어지는 전동킥보드(10)의 종류에 따라 상기 지지부(300)와 거치부(400)를 안착부(100) 상에서 위치를 달리하게 되어 전동킥보드(10)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거치부(400)의 발판 받침대(410)에 전동킥보드(10)가 올려진 상태에서 벨트(V)로 전동킥보드(10)를 고정시키게 되어 전동킥보드(10)가 거치부(400)에서 이탈되지 않아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하나의 레일(R)에 설치하게 됨으로써 양쪽 레일(R)에 전동킥보드 보조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양쪽 레일(R)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전동킥보드 11 : 발판
12 : 바퀴 100 : 안착부
110 : 선로설치대 120 : 선로이탈방지대
130 : 받침판 131 : 공간부
200 : 이동부 210 : 연결부재
220 : 롤러 300 : 지지부
310 : 지지대 320 : 연결바
400 : 거치부 410 : 발판 받침대
411 : 이탈방지턱 420 : 끼움바
R : 레일 V : 벨트

Claims (9)

  1. 레일 위에 올려져 설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안착부가 레일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 양쪽에 구비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동킥보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전동킥보드의 발판이 올려지는 발판 받침대;와 상기 발판 받침대의 끝단에 구비되어 지지부의 연결바에 끼워지는 끼움바;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 받침대는, 양끝단에 전동킥보드가 올려진 상태에서 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로 꺾여진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레일 상에 구비되는 선로설치대;와 상기 선로설치대의 내측에 구비되어 레일의 측면으로 밀착되는 선로이탈방지대;와 상기 선로설치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부를 받쳐주게 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이탈방지대는, 안착부가 레일 위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선로설치대의 양쪽 좌,우로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안착부의 안쪽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에 구비되어 전동킥보드 보조장치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가 레일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안착부의 받침판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안착부의 받침판 상부에 구비되어 거치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안착부의 받침판 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부가 꺾여져 연결바에 설치되는 거치부가 빠지지 않도록 'ㄱ'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거치부는, 하나의 바퀴가 구비된 전동킥보드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안착부의 상부에 전동킥보드가 레일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앞뒤로 두 개의 바퀴가 구비된 전동킥보드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연결바의 상부에 전,후로 레일(R) 방향과 엇갈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는 전동킥보드가 올려진 상태에서 전동킥보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동킥보드를 감싸면서 벨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KR1020180104395A 2018-09-03 2018-09-03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KR102011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395A KR102011769B1 (ko) 2018-09-03 2018-09-03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395A KR102011769B1 (ko) 2018-09-03 2018-09-03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769B1 true KR102011769B1 (ko) 2019-08-19

Family

ID=6780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395A KR102011769B1 (ko) 2018-09-03 2018-09-03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976B1 (ko) * 2020-08-10 2022-02-21 이두열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937A (ko) * 2009-03-19 2010-09-29 안동준 레일 바이크
KR200480551Y1 (ko) * 2015-11-04 2016-06-21 이호우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20170001598U (ko) * 2015-10-28 2017-05-10 장승리 킥보드 거치대
KR101849490B1 (ko) 2017-01-13 2018-04-17 김현태 다용도 전동 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937A (ko) * 2009-03-19 2010-09-29 안동준 레일 바이크
KR20170001598U (ko) * 2015-10-28 2017-05-10 장승리 킥보드 거치대
KR200480551Y1 (ko) * 2015-11-04 2016-06-21 이호우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1849490B1 (ko) 2017-01-13 2018-04-17 김현태 다용도 전동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976B1 (ko) * 2020-08-10 2022-02-21 이두열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1862B2 (ja) 車椅子用階段昇降機
KR102011769B1 (ko)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JP4990703B2 (ja) 軌道走行車両
US8783403B1 (en) Transfer accessible vehicle for disabled person
JP3189397U (ja) 台車
KR101371426B1 (ko)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산악 썰매
JP4803907B2 (ja) 移動式組立足場
KR200382360Y1 (ko) 모노레일 바이크
JP6788248B2 (ja) 軌道走行車
KR101863339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CN104590142A (zh) 车载自行车架
JPS597630B2 (ja) 階段昇降装置
KR200406370Y1 (ko) 모노레일 바이크
JP2015217212A (ja) 緊急避難用運搬車
JP3427122B2 (ja) 階段昇降装置
KR20100101776A (ko) 철도차량용 객차의 발판 결합장치
CN216184695U (zh) 一种用于客车的残疾人轮椅升降装置
JP2011042192A (ja) 前輪固定具
JP2011219067A (ja) 自転車移動装置
JP3304600B2 (ja) エスカレーターの踏段運搬装置
JP3105824U (ja) 段差乗り越え車輪
JP2005082136A (ja) 懸架型モノレール装置
JPH0351469Y2 (ko)
JPH06278665A (ja) 階段昇降機用ガイド装置
KR20120002714U (ko) 자전거용 안전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