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633A - 여과막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여과막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633A
KR20110018633A KR1020090076198A KR20090076198A KR20110018633A KR 20110018633 A KR20110018633 A KR 20110018633A KR 1020090076198 A KR1020090076198 A KR 1020090076198A KR 20090076198 A KR20090076198 A KR 20090076198A KR 20110018633 A KR20110018633 A KR 20110018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membrane
purification
main body
contaminated wat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683B1 (ko
Inventor
최영화
최광호
김창용
김효상
오지현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6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42Aggregation, sedimentation, flocculation, precipitation or coa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0Specific extra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오염수 저류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 양단이 본체(100)의 상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유입구(110)로 유입된 오염수가 유출구(120)로 향하면서 여과되도록, 중앙부가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기도록 설치된 여과막(200); 여과막(200)의 일단을 당기도록 설치된 여과막 구동부(300); 여과막(200) 중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부분의 중앙부를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여과막 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를 제시함으로써,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정화를 위하여,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신속한 정화가 가능하며, 차량에 의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과, 막, 정화

Description

여과막 정화장치{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FILTER MEMBRANE}
본 발명은 환경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오염수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축사와 같이 일정한 고정 지점에서 오염물의 배출이 발생하는 것을 점오염원이라 하고, 이와 반대로 건설현장과 같이 일정하지 않은 지점에서 오염물의 배출이 발생하는 것을 비점오염원이라 한다.
점오염원의 경우 정화설비를 고정설치하면 되지만, 비점오염원의 경우 그 지점마다 고정된 정화설비를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비점오염원의 정화를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정화장치의 크기가 가급적 적을 것, 신속한 정화가 가능할 것, 차량에 의한 정화장치의 운반이 가능한 구조일 것 등이 요구된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하는 장치가 제시되고 있지 않았는바,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정화를 위하여,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신속한 정화가 가능하며, 차량에 의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화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오염수 저류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 양단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구(110)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유출구(120)로 향하면서 여과되도록, 중앙부가 상기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기도록 설치된 여과막(200); 상기 여과막(200)의 일단을 당기도록 설치된 여과막 구동부(300); 상기 여과막(200) 중 상기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부분의 중앙부를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여과막 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전의 부분이 보관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전 보관부(210);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후의 부분이 보관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후 보관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는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후의 부분이 감겨 보관되도록 설치된 정화 후 보관용 롤러(2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는 내부에 상기 정화 후 보관용 롤러(221)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후 보관함(22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후의 부분이 탈수되어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에 인입되도록,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에 인접하여 설치된 탈수용 이중롤러(230)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막 구동부(300)는 상기 정화 후 보관용 롤러(221)를 회전구동하는 모터(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 전 보관부(210)는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전의 부분이 감겨 보관되도록 설치된 정화 전 보관용 롤러(2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 전 보관부(210)는 내부에 상기 정화 전 보관용 롤러(211)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전 보관함(21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막 지지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용 롤러(4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막 지지부(400)는 상기 여과막(200) 중 상기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부분이 U자형 단면을 이루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U자형 단면 구조를 취함과 아울러, 심부에 오염수 관통공이 형성된 여과막 지지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막 지지부재(42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 내벽에 설치된 한 쌍의 U자형 지지부재(421); 상기 한 쌍의 U자형 지지부재(421)를 연결하는 다수의 막대부재(4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110)와 유출구(120)는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막(200)은 상기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는 상기 정화 전 보관부(210)보다 상기 유입구(110) 측에 인접하여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막(200)과 상기 유입구(110) 사이영역에 응집제를 주입하도록 응집제 주입부(13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20)는 상기 여과막(200) 중 상기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U자형 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정화를 위하여,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신속한 정화가 가능하며, 차량에 의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오염수 저류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 양단이 본체(100)의 상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유입구(110)로 유입된 오 염수가 유출구(120)로 향하면서 여과되도록, 중앙부가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기도록 설치된 여과막(200); 여과막(200)의 일단을 당기도록 설치된 여과막 구동부(300); 여과막(200) 중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부분의 중앙부를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여과막 지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 내에 부직포와 같은 여과막(오염수가 투과하면서 정화하도록 형성된 막)을 설치하되, 양단이 본체(100)의 상부로 노출되고, 중앙부가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기도록 함과 아울러, 모터 등의 구동부(300)에 의해 여과막(200)의 일단이 당겨짐에 따라 여과막(200) 중 오염수에 잠긴 부분이 지속적으로 바뀔 수 있도록 한 것이다(도 1).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는 2겹의 여과막(200)을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유출구(120)로 유출되고, 여과막(200) 중 여과에 의해 오염된 부분은 구동부(300)에 의해 본체(100)의 상부로 이탈하며, 깨끗한 부분은 본체(100) 내로 인입되어 새로운 정화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크기를 소규모로 하면서도 효율적인 정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차량에 의한 운반이 충분히 가능하며, 여과막(200)의 지속적인 교체로 인해 과부하(오염물로 인하여 막이 막히는 현상)가 발생하지 않아 신속한 정화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과막(200)의 양단은 오염수에 잠기지 않도록 본체(100)의 상부에 노출되는데, 이들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여과막(200) 중 정화 전의 부분이 보관되도록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전 보관부(210); 여과막(200) 중 정화 후의 부분 이 보관되도록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후 보관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여과막(200)은 접힌 구조 등에 의해서도 보관될 수 있으나, 여과막(200) 중 정화 후의 부분은 정화 후 보관용 롤러(221)에 감겨 보관되고, 이러한 보관용 롤러(221)는 모터(310)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여과막(200)의 당김구동과 안정적인 보관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정화 후 보관용 롤러(221)가 별도의 정화 후 보관함(222)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정화에 의해 오염된 여과막(200)을 쉽게 수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4).
여과막(200) 중 정화 후의 부분이 탈수되어 정화 후 보관부(220)에 인입되어 보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화 후 보관부(220)에 인접하여 탈수용 이중롤러(2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상술한 구동부(300)에 의한 당김구동에 의해 여과막(200) 중 정화 전의 부분이 안정적으로 본체(100) 내에 인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과막(200) 중 정화 전의 부분도 정화 전 보관용 롤러(211)에 의해 감겨 보관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이러한 정화 전 보관용 롤러(211)가 별도의 정화 전 보관함(212)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새로운 여과막(200)을 쉽게 갈아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4).
여과막 지지부(400)는 여과막(200) 중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부분의 중앙부를 하측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본체(100)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용 롤러(410) 등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도 1).
다만, 유속이 세거나 수압이 큰 경우에는 부직포와 같은 여과막(200)의 장력만으로 오염수의 수압에 저항하기 어려울 것인 바, 이 경우 여과막 지지부(400)는 여과막(200) 중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부분이 U자형 단면을 이루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U자형 단면 구조를 취함과 아울러, 심부에 오염수 관통공이 형성된 여과막 지지부재(42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3).
구체적으로, 이러한 여과막 지지부재(420)가 본체(100)의 양측 내벽에 설치된 한 쌍의 U자형 지지부재(421); 한 쌍의 U자형 지지부재(421)를 연결하는 다수의 막대부재(422);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다수의 막대부재(422)가 여과막(200)을 오염수의 흐름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수압에 의한 여과막(200)의 손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입구(110)와 유출구(120)가 본체(100)의 양단에 설치되는 경우, 여과막(200)은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에 설치되어야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오염수를 정화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여과막(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유입구(110) 측이 유출구(120) 측에 비해 오염 정도가 높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에서 여과막(200)은 U자형 구조로 본체(100) 내에 설치되므로, 오염수는 여과막(200)을 두차례에 걸쳐 통과하면서 정화되는데, 보다 효율적인 정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2겹의 여과막(200) 중 더욱 오염된 부분이 여과막(200)의 양측 중 오염 정도가 더 오염된 부분(상술한 유입구(110)에 인접한 부분)에 인접하여 정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오염도 높은 오염수가 정화 후 보관부(220)로 향하는 여과막(200)(오염된 것)에 의해 정화되고, 이를 투과하면서 1차로 정화된 오염수가 정화 전 보관부(210)에서 인입된 여과막(200)(새로운 것)에 의해 정화될 것인 바, 여과막(200)의 효율적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화 후 보관부(220)가 정화 전 보관부(210)보다 유입구(110) 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오염도 높은 오염수가 더욱 효율적으로 정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과막(200)과 유입구(110) 사이영역에 응집제를 주입하도록 응집제 주입부(130)가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영역에 응집을 촉진하기 위하여 교반 시설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체(100)에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경우로서 정화의 정도가 비교적 높은 실시예에 관한 것이나, 경우에 따라 정화의 정도를 다소 낮추더라도 정화의 속도를 높이는 것이 더욱 중요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유입구(110)는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유출구(120)는 여과막(200) 중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U자형 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양측 유입구(110)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2겹의 여과막(200)에 의해 각각 정화된 후 그 일측에 형성된 유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 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제5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제6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유입구
120 : 유출구 130 : 응집제 주입부
200 : 여과막 210 : 정화 전 보관부
211 : 정화 전 보관용 롤러 212 : 정화 전 보관함
220 : 정화 후 보관부 221 : 정화 후 보관용 롤러
222 : 정화 후 보관함 230 : 탈수용 이중롤러
300 : 여과막 구동부 310 : 모터
400 : 여과막 지지부 410 : 지지용 롤러
420 : 여과막 지지부재 421 : U자형 지지부재
422 : 막대부재

Claims (14)

  1. 내부에 오염수 저류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
    양단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구(110)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유출구(120)로 향하면서 여과되도록, 중앙부가 상기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기도록 설치된 여과막(200);
    상기 여과막(200)의 일단을 당기도록 설치된 여과막 구동부(300);
    상기 여과막(200) 중 상기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부분의 중앙부를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여과막 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전의 부분이 보관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전 보관부(210);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후의 부분이 보관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후 보관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는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후의 부분이 감겨 보관되도록 설치된 정화 후 보관용 롤러(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는
    내부에 상기 정화 후 보관용 롤러(221)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후 보관함(2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후의 부분이 탈수되어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에 인입되도록,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에 인접하여 설치된 탈수용 이중롤러(23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 구동부(300)는 상기 정화 후 보관용 롤러(221)를 회전구동하는 모터(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전 보관부(210)는 상기 여과막(200) 중 정화 전의 부분이 감겨 보관되도록 설치된 정화 전 보관용 롤러(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전 보관부(210)는
    내부에 상기 정화 전 보관용 롤러(211)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정화 전 보관함(2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 지지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용 롤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 지지부(400)는
    상기 여과막(200) 중 상기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긴 부분이 U자형 단면을 이루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U자형 단면 구조를 취함과 아울러, 심부에 오염수 관통공이 형성된 여과막 지지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 지지부재(42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 내벽에 설치된 한 쌍의 U자형 지지부재(421);
    상기 한 쌍의 U자형 지지부재(421)를 연결하는 다수의 막대부재(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0)와 유출구(120)는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막(200)은 상기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 후 보관부(220)는 상기 정화 전 보관부(210)보다 상기 유입구(110) 측에 인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200)과 상기 유입구(110) 사이영역에 응집제를 주입하도록 응집제 주입부(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20)는 상기 여과막(200) 중 상기 본체(100) 내의 오염수에 잠 긴 U자형 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정화장치.
KR1020090076198A 2009-08-18 2009-08-18 여과막 정화장치 KR10111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98A KR101113683B1 (ko) 2009-08-18 2009-08-18 여과막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98A KR101113683B1 (ko) 2009-08-18 2009-08-18 여과막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633A true KR20110018633A (ko) 2011-02-24
KR101113683B1 KR101113683B1 (ko) 2012-02-14

Family

ID=4377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198A KR101113683B1 (ko) 2009-08-18 2009-08-18 여과막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6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955B1 (ko) 2019-04-23 2020-07-15 주식회사 에프이씨 조향기능을 갖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KR102133962B1 (ko) 2019-04-23 2020-07-15 주식회사 에프이씨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882B1 (ko) * 2022-05-06 2022-08-26 한국수자원공사 유충 포획형 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6579A (en) * 1978-12-25 1980-06-30 Doriko Kk Liquid purifying apparatus
JPS5955326A (ja) * 1982-09-21 1984-03-30 Masuo Yamamoto 濾過装置
JPS59123506A (ja) * 1982-12-29 1984-07-17 Masuo Yamamoto 固液分離方法とその装置
JP2779701B2 (ja) * 1990-10-24 1998-07-23 大成建設株式会社 地下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955B1 (ko) 2019-04-23 2020-07-15 주식회사 에프이씨 조향기능을 갖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KR102133962B1 (ko) 2019-04-23 2020-07-15 주식회사 에프이씨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683B1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12771A (ja) 水平棒支持式空隙制御型繊維ろ材フィルターおよび水平棒支持式繊維ろ過装置
JP2013212470A (ja) 浄水ユニット
CN205099488U (zh) 复合滤芯及具有其的净水设备
KR101113683B1 (ko) 여과막 정화장치
WO2012008115A1 (ja) 浸漬型膜濾過ユニット及び浸漬型膜濾過装置
RU2004136167A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 виде полой волоконной мембраны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при очистке сточных вод, а также мембранный биореактор
KR101333636B1 (ko) 중공사막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CN204212253U (zh) 环保型雨水口截污净化装置
KR200445428Y1 (ko) 이동식 중수 및 정수 시스템
CN207435229U (zh) 一种多功能高效污水处理设备
CN211170595U (zh) 一种润滑油加工用脱水过滤装置
JP4969071B2 (ja) 浄水装置
JP2009154101A (ja) 濾過モジュール、濾過モジュール積層体、および濾過装置
CN105217820A (zh) 复合滤芯及具有其的净水设备
KR20120066953A (ko)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KR200420158Y1 (ko) 자동 정밀여과장치
JPWO2013129227A1 (ja) 濾過装置
CN207986960U (zh) 一种废液分离回收系统
KR20090023822A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액상 필터백
KR101813528B1 (ko) 하폐수용 스크린장치
KR20120074535A (ko) 살균수단을 구비한 섬유여과장치
KR100661814B1 (ko) 콘테이너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연속 여과 시스템
KR100878554B1 (ko) 정수장치
CN108128886A (zh) 一种膜过滤与曝气一体式装置
JP4502450B2 (ja) 浸漬型膜分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浄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