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052A -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 Google Patents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052A
KR20210117052A KR1020200033389A KR20200033389A KR20210117052A KR 20210117052 A KR20210117052 A KR 20210117052A KR 1020200033389 A KR1020200033389 A KR 1020200033389A KR 20200033389 A KR20200033389 A KR 20200033389A KR 20210117052 A KR20210117052 A KR 2021011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b
cart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울
원효진
이민재
서경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052A/ko
Publication of KR2021011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3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type of wheels
    • B60B33/0039Sing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5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being offset from swiv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5Details of the attachment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는 서브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휠 결합부를 포함한다. 서브 휠 결합부는 서브 휠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와, 베어링 부재가 결합되는 휠 파지 부재를 포함한다. 서브 휠이 회전되면, 베어링 부재는 서브 휠과 무관하게 휠 파지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 및 휠 파지 부재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어 각 서브 휠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부에 인가되는 하중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서브 휠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Cart unit and smart stroller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중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아는 출생한지 얼마 되지 않은 어린 연령대의 어린이를 지칭한다. 유아는 아직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쉽게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유아가 집안에서 체재하는 경우는 별론, 집 밖으로 나가는 경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들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외출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기구로, 유모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모차는 내부에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유아는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보호자가 인가하는 힘에 따라 이동되는 유모차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전통적인 유모차는 단순히 유아를 내부의 공간에 수용하고, 보호자가 인가하는 힘에 의해 이동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유모차에는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 외에 별도의 공간이 구비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최근에는, 유모차를 운행하는 보호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수납 공간이 형성된 유모차가 개발되고 있다. 즉, 유모차에는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 이외에도, 짐 등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런데, 유모차에 수납되는 짐의 중량이 증가될 경우, 유모차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바퀴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바퀴 부재 또는 이에 연결된 회전축에 과다한 토크 또는 모멘트가 인가되어, 바퀴 부재 또는 회전축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87580호는 수납 바구니를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아가 수용되는 시트부의 하측에 별도의 수납 바구니를 구비하여, 짐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의 접이식 유모차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접이식 유모차는 짐을 수납하기 위한 구조만을 개시할 뿐, 짐의 수납에 의해 증가되는 중량을 견디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여전히 통상의 유모차에 구비되는 바퀴 구조를 개시하는 바, 수납 바구니에 과다한 중량의 짐이 수납될 경우 바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찰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0-0025835호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모차의 프레임에 시트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유아가 수용되는 시트의 하측에 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체를 구비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짐을 수납하기 위한 추가 공간은 제공하나, 짐의 수납에 의해 증가되는 중량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하지 못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유아가 수용되는 시트와 수납체의 배치 방식만을 제시할 뿐, 증가된 중량에 따른 바퀴의 보강 구조를 제공하지 못한다.
한국실용신안문헌 제20-0487580호 (2018.10.11.)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0-0025835호 (2010.03.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고중량의 부하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바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중량의 부하를 지탱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명하게 형성될 수 있는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가되는 부하를 분산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 이외에도 짐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조정하는 방향에 따라, 원활하게 주행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들부가 결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휠 결합부; 및 상기 서브 휠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휠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상기 서브 휠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환형으로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에 결합되는 휠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서브 휠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서브 휠의 중심축과 같은 중심축을 갖는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가 연장되는 상기 일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브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은 상기 서브 휠 결합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arm) 부재; 및 상기 암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휠 파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서브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서브 휠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좌측 단부 및 상기 우측 단부는, 각각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서브 휠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암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좌측 단부 및 상기 우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암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수직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휠 파지 부재는, 상기 암 부재에서 상기 서브 휠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휠 파지 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서브 휠의 회전과 무관하게 정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휠 파지 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서브 휠 결합부가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서브 휠의 중심축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 지지부; 상기 시트 지지부와 연결되며, 그 상측에 핸들부가 결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일 방향의 일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메인 휠;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서브 휠;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서브 휠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휠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 상기 서브 휠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환형으로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에 결합되는 휠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서브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서브 휠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는,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휠 파지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휠 파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휠 파지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상기 서브 휠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서브 휠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상기 지지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휠 파지 부재와 결합되는 암(arm) 부재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휠 파지 부재는, 상기 서브 휠을 향하는 상기 암 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서브 휠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암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수직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카트부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서브 휠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휠에 의해 지지된다. 메인 휠은 메인 휠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서브 휠은 전방 측에서 카트부를 지지한다.
서브 휠의 내부에는 베어링 부재가 구비된다. 베어링 부재는 휠 파지 부재에 의해 카트부에 결합된다. 베어링 부재는 서브 휠의 외주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서브 휠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브 휠에는 베어링 부재가 각각 구비된다. 각 베어링 부재는 역시 복수 개 구비되는 휠 파지 부재에 의해 카트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서브 휠이 단일의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부하에 대한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중량의 부하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서브 휠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휠을 베이스부에 결합하는 서브 휠 결합부는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암 부재 및 휠 파지 부재를 포함한다. 휠 파지 부재가 서브 휠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서브 휠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휠이 지탱할 수 있는 부하가 증가되면서도, 그 구조가 간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고, 제작 공정이 간명해질 수 있다.
또한, 서브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서브 휠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결합되는 휠 파지 부재 또한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고중량의 짐 등이 수납됨에 따라 서브 휠에 가해지는 부하는, 복수 개의 휠 파지 부재, 복수 개의 베어링 부재 및 복수 개의 서브 휠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부재에게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휠 및 메인 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는 일 방향, 일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는 그 상측에 위치되는 시트 지지부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즉, 베이스부와 시트 지지부 사이에는 짐 등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카트부 및 스마트 유모차의 구조를 과다하게 변경하지 않고도, 짐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휠 결합부의 지지 부재는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암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지지 부재는 베이스부 및 암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암 부재는 지지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휠 결합부 및 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휠의 회전 자유도가 증가되어,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방향에 따라 카트부 및 스마트 유모차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서 유아용 시트부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도시하는 또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서브 휠 조립체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서브 휠 조립체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서브 휠 조립체를 도시하는 또다른 각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서브 휠 조립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서브 휠 조립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서브 휠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서브 휠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영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능숙하게 보행할 수 없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탈 것 등을 이용하여 운송될 수 있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는 만 1세 내지 만 6세 사이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유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부"라는 용어는 영아 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는 차량에 구비되는 크래들부 또는 독자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 신호, 전력 등이 전달될 수 있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의 배터리(330)에서 공급된 전력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는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통해 인가하는 힘에 의해, 휠부(200)가 회전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유아용 시트부(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 및 전방 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상측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공간의 전방 측 및 하측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 쿠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아용 시트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는 유아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됨을 전제함에 기인한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경량화를 위해, 통전을 위한 배터리 등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에어 커버부(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버부(30)는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물리적, 정전기적 인력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에는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어, 유아가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2) 카트부(2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카트부(20)를 포함한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상기 주행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휠부(200)에 의해 달성된다.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의 시트 지지부(1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부(2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카트부(20)에는 배터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30)는 카트부(20)가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330)는 핸들부(13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30)는 카트부(2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또는 LED(미도시) 등이 발광될 수 있다.
배터리(330)의 결합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부(20)는 몸체부(100), 휠부(200) 및 배터리부(3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휠부(200) 및 배터리부(3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몸체부(100)는 카트부(20)의 골격을 형성한다. 몸체부(100)는 카트부(2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수직부(110), 베이스부(120), 핸들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시트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수직부(110)는 몸체부(100) 중 상하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수직부(110)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 및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부(110)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110)는 보호자가 핸들부(130)를 파지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110)는 보호자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수직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부(110)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긴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직부(11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직부(110)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지면을 향하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베이스부(1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110)는 베이스부(120)를 향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지면에 반대되는 수직부(1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핸들부(13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130)는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따라 회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가장 용이한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와 핸들부(130)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부(110)의 일 위치에는, 시트 지지부(150)와 연결되는 승강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관통 결합된다.
승강부는 수직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부(1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핸들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승강부는 수직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강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카트부(20)의 하측의 수평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베이스부(120)는 수직부(110)를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120)에 가방 등의 소품들을 안착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는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베이스부(120)의 형상은 수직부(110)와 결합되고, 휠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20)에는 유아 이외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짐 등이 수납,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12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수직부(110)를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의 후방 측에는 수직부(110)가 결합된다.
수직부(110)에 반대되는 베이스부(1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는 메인 휠 지지부(213)가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부(120)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전방 측에는 서브 휠 결합부(2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부(120)의 폭 방향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발광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발광부(미도시)는 LED 램프 등으로 구비되어,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유아의 상태 또는 카트부(20)의 주행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핸들부(130)는 카트부(20)를 주행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핸들부(13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카트부(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130)는 베이스부(120)에 반대되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신장에 맞춰 핸들부(13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핸들부(130)를 수직부(110)의 전방 측으로 회전시켜 카트부(2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핸들부(130)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부(140)가 위치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가 스마트 유모차(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및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제어된 결과를 시각화 정보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40)는 UI(User Interface) 부라고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패널, 누름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LED 램프, LED 패널, LCD 램프 및 LCD 패널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시트 지지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시트 지지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트 지지부(1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카트부(20)에 구비되는 배터리(33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330)가 공급하는 전력은 시트 지지부(150)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핸들부(130)에 반대되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즉, 시트 지지부(1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를 인지하며 카트부(20)를 조작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결합 부재(도면 부호 미도시)에 의해 수직부(110)와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는 수직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지지부(150) 또한 수직부(110)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15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15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면(sphere surface)의 일부로 형성된다.
이는, 시트 지지부(150)에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구형으로 형성됨에 기인한다. 즉, 시트 지지부(150)의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부(200)의 설명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휠부(200)를 포함한다.
휠부(200)는 회전 가능하게 카트부(20)에 구비된다. 휠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카트부(20)가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휠부(200)는 회전되어 구름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휠부(200)는 바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휠부(2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200)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휠(210) 및 전방 측에 위치되는 서브 휠(22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200)는 메인 휠(210), 서브 휠(220), 서브 휠 결합부(230) 및 브레이크(240)를 포함한다.
메인 휠(210)은 베이스부(120)의 하측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210)은 카트부(20)를 후방 측에서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휠(210)은 모터 부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 부재(미도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모터 부재(미도시)는 카트부(20)가 주행 중인 상황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 부재(미도시)는 메인 휠(210)이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 부재(미도시)는 메인 휠(210)이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트부(20)를 주행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의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트부(20)가 임의 주행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메인 휠(2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휠(21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21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휠(212)을 포함한다.
메인 휠(210)은 브레이크(24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사용자가 브레이크(240)를 가압하면, 메인 휠(21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레이크(240)는 사용자가 발로 누름 조작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휠(210)은 제1 메인 휠(211), 제2 메인 휠(212) 및 메인 휠 지지부(213)를 포함한다.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은 베이스부(1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 중 어느 하나는 브레이크(2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브레이크(240)를 조작할 경우, 카트부(20)의 주행이 정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메인 휠(211)의 좌측 면 및 제2 메인 휠(212)의 우측 면에는 상기 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 사이에는 브레이크(240)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홈(미도시)은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의 각 면 중 브레이크(240)를 향하는 각 면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홈(미도시)에는 브레이크(240)의 회전에 따라 정지 축(미도시)이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상기 삽입 및 인출은 브레이크(240)의 회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홈(미도시)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홈(미도시)은 각 메인 휠(211, 212)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미도시)이 각 메인 휠(211, 212)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는, 정지 축(미도시)이 각 메인 휠(211, 212)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와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은 각각 메인 휠 지지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는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메인 휠 지지부(213)는 지면을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는 베이스부(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가 좌우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메인 휠(210)은 임의로 주행 방향이 변경되지 않게 된다.
이에, 메인 휠 지지부(213)는 베이스부(120)의 일 구성 요소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메인 휠 지지부(213)는 각 메인 휠(211, 212)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의 우측 단부에는 제1 메인 휠(2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의 좌측 단부에는 제2 메인 휠(2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브레이크(240)의 일부 구성 요소가 실장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메인 휠 지지부(213)의 내부에는 카트부(2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부(2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브 휠(220)은 베이스부(120)의 하측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220)은 카트부(20)를 전방 측에서 지지한다.
서브 휠(2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22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서브 휠(22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서브 휠(22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휠(221) 및 제2 서브 휠(222)은 베이스부(1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서브 휠(221, 222)이 이격되는 거리는 각 메인 휠(211, 212)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서브 휠(221) 및 제2 서브 휠(222)은 각각 서브 휠 결합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결합부(230)는 서브 휠(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서브 휠 결합부(230)는 베이스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서브 휠(220)은 서브 휠 결합부(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휠(220)이 결합된 서브 휠 결합부(230)가 베이스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서브 휠(220)이 주행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220)은 서브 휠 결합부(230)의 좌우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휠 결합부(230)는 베이스부(120)에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결합부(230)는 메인 휠(210)에 반대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의 전방의 하측에 결합된다. 서브 휠 결합부(230)는 베이스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 또는 메인 휠(210)이 회전되는 상태에 따라, 서브 휠 결합부(230)가 해당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트부(20)의 주행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서브 휠 결합부(23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휠 결합부(23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 결합부(230)는 지지 부재(231), 암(arm) 부재(232), 휠 파지 부재(233) 및 베어링 부재(234)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231)는 서브 휠 결합부(230)가 베이스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지지 부재(231)는 베이스부(120)의 전방의 하측에 위치된다.
지지 부재(231)는 베이스부(12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 부재(23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지지 부재(231)는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부재(231)가 연장되는 길이는, 제1 서브 휠(221) 및 제2 서브 휠(222)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231)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1 서브 휠(221) 및 제2 서브 휠(222)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231)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에서 연장되는 휠 파지 부재(233)는 각 서브 휠(221, 222)을 향하는 방향, 즉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각 서브 휠(221, 222)과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부재(23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베이스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부재(231)는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지지 부재(231)는 베이스부(120)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즉, 지지 부재(231)는 베이스부(120)의 좌우 방향의 중심을 지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231)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암 부재(232) 또한 상기 직선과의 거리가 같게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231)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단부에는 암 부재(232)가 각각 구비된다.
암 부재(232)는 지지 부재(231)와 휠 파지 부재(23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암 부재(232)는 지지 부재(231) 및 휠 파지 부재(233)에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31)를 향하는 암 부재(23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지지 부재(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지지 부재(231)에 반대되는 암 부재(23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휠 파지 부재(233)가 결합된다.
암 부재(23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암 부재(232)는 지지 부재(231)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암 부재(232)는 두 개 구비되어, 지지 부재(231)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의 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복수 개의 암 부재(23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암 부재(232)는 지지 부재(231)가 연장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암 부재(232)는 지지 부재(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암 부재(232)는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여 지지 부재(23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231)는 베이스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암 부재(232) 또한 지지 부재(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방향에 따라 카트부(20)의 주행 방향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암 부재(232)는 베이스부(120)에 반대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 부재(232)는 베이스부(120)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암 부재(232)는 경사지게 전방의 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암 부재(232)가 지지 부재(231)와 결합되는 부분은, 서브 휠(220)의 중심축보다 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후 방향으로, 지지 부재(231)가 베이스부(120)와 결합되는 부분 및 서브 휠(220)의 중심축 사이에, 암 부재(232)가 지지 부재(231)와 결합되는 부분이 위치된다.
또한, 휠 파지 부재(233)가 서브 휠(220)과 결합되는 부분은 서브 휠(220)의 중심축과 암 부재(232)가 지지 부재(231)와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위치된다.
휠 파지 부재(233)는 서브 휠(220)을 회전 가능하게 파지한다. 휠 파지 부재(233)는 암 부재(232) 및 서브 휠(220)과 각각 결합된다.
휠 파지 부재(233)는 지지 부재(231)에 반대되는 암 부재(23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휠 파지 부재(233)는 암 부재(232)에서 서브 휠(2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휠 파지 부재(23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휠 파지 부재(233)는 각 암 부재(232)의 하측에서 서브 휠(2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 파지 부재(233)는 두 개 구비되어, 각 암 부재(232)의 하측에 위치된다.
복수 개의 휠 파지 부재(233)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휠 파지 부재(233)는 지지 부재(231)가 연장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두 개의 휠 파지 부재(233)는 서로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휠 파지 부재(233)는 제1 서브 휠(221)을 향해 연장되어, 제1 서브 휠(2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휠 파지 부재(233)는 제2 서브 휠(222)을 향해 연장되어, 제2 서브 휠(2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휠 파지 부재(233)는 서브 휠(220)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234)에 연결된다.
베어링 부재(234)는 휠 파지 부재(233)에 결합된다. 또한, 베어링 부재(234)는 서브 휠(2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서브 휠(220)이 회전되더라도, 베어링 부재(234)는 회전되지 않고 휠 파지 부재(23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234)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베어링 부재(234)는 복수 개의 서브 휠(2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어링 부재(234)는 두 개 구비되어 각 서브 휠(221, 222)에 각각 결합된다.
베어링 부재(234)는 서브 휠(2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어링 부재(234)는 소정의 직경을 갖고, 그 중심축이 서브 휠(220)의 중심축과 동축인 환형으로 구비된다.
베어링 부재(234)는 서브 휠(220)의 중심축에서 방사상 외측에 구비된다. 또한, 베어링 부재(234)는 서브 휠(220)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구비된다. 달리 표현하면, 베어링 부재(234)는 서브 휠(220)의 중심축과 외주 사이에 위치된다.
베어링 부재(234)가 서브 휠(220)의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서브 휠(220) 및 서브 휠 결합부(230)는 보다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즉, 서브 휠(220)이 중심축을 공유하는 별도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서브 휠(220) 및 서브 휠 결합부(230)가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증가된다.
즉, 별도의 회전축이 구비될 경우, 회전축은 베이스부(120)와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축은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서브 휠(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은 적어도 세 개의 지점에서 하중을 받게 되어, 하중의 크기에 따라 파손될 가능성이 증가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휠(220) 및 서브 휠 결합부(230)는 베어링 부재(234)가 휠 파지 부재(233)에 의해 지지되므로, 각 부재가 하중을 받는 지점이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각 부재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증가되어, 카트부(20)가 지탱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 전체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234)가 구비됨에 따라, 서브 휠(220)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전축이 불요해진다. 이에 따라, 카트부(20)의 설계 및 유지 보수가 간명해질 수 있다.
브레이크(24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메인 휠(21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제한한다. 브레이크(240)가 조작됨에 따라, 카트부(20)의 주행이 허용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브레이크(24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카트부(20)를 운용하는 사용자의 손은 핸들부(130)를 파지하는 것이 일반적임에 기인한다.
브레이크(240)는 휠부(20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240)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외부로 노출된다.
브레이크(240)는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 중 어느 하나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오른발 또는 왼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게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브레이크(240)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31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는, 오른손잡이인 사람은 일반적으로 오른발을 더 용이하게 활용함에 기인한다.
브레이크(240)는 틸팅(tilting)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브레이크(240)의 일측을 가압하면, 브레이크(240)는 일 방향을 향해 회전되어 해당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브레이크(240)의 타측을 가압하면, 브레이크(240)는 타 방향을 향해 회전되어 해당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브레이크(240)가 회전됨에 따라 제한 축(미도시)이 메인 휠(21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제한 축(미도시)이 상기 홈(미도시)에 삽입되면, 메인 휠(2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한 축(미도시)이 상기 홈(미도시)에서 인출되면, 메인 휠(210)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브레이크(240)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카트부(20)의 주행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부(300)의 설명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배터리부(300)를 포함한다.
배터리부(300)는 카트부(20)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카트부(20)가 작동되기 위한 전력은 배터리부(300)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통전 가능한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배터리부(300)는 메인 휠 지지부(213)에 위치된다. 배터리부(300)에는 배터리(33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터리(330)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330)만을 분리하여 충전 장비(미도시)를 통해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부(300)는 메인 휠 지지부(213)가 연장되는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배터리부(300)와 메인 휠 지지부(213)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중량의 배터리(330)가 메인 휠 지지부(213)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카트부(20)의 좌우 방향의 무게 중심은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부(20)가 안정적으로 주행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터리부(300)는 공간부(310), 커버부(320), 배터리(330), 탄성 부재(340), 실링(sealing) 부재(350) 및 자석 부재(360)를 포함한다.
공간부(310)는 배터리(33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배터리(330)는 공간부(31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공간부(310)는 메인 휠 지지부(213)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간부(310)는 서브 휠(220)에 반대되는 메인 휠 지지부(2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의 하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공간부(310)는 메인 휠 지지부(213)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310)의 형상은 공간부(310)에 삽입되는 배터리(33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공간부(310)는 메인 휠 지지부(213)의 면에 둘러싸여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간부(310)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 및 전방 측은 메인 휠 지지부(213)의 면에 둘러싸인다.
공간부(310)의 나머지 일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배터리(330)는 상기 개방 형성된 부분을 통해 공간부(310)에 삽입되거나 공간부(310)에서 인출될 수 있다.
공간부(310)는 커버부(32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커버부(320)는 회전되어, 공간부(310)를 덮거나 개방한다.
커버부(320)가 공간부(310)를 덮으면, 공간부(310)의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어 삽입된 배터리(330)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는다. 커버부(320)가 공간부(310)를 개방하면, 공간부(310)의 상기 개구부가 노출되어 삽입된 배터리(330)가 탈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간부(310)는 전방에서 후방 측을 갈수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공간부(310)는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될 커버부(320)가 회전되어 공간부(310)가 개방되면, 공간부(310)에 수용된 배터리(330)는 원활하게 공간부(31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커버부(320)는 메인 휠 지지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320)는 그 하측 모서리가 메인 휠 지지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320)와 메인 휠 지지부(213)는 힌지(hinge)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320)는 메인 휠 지지부(213)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320)는 90˚만큼 회전될 수 있다.
커버부(320)의 회전 각도는, 커버부(320)가 회전된 경우 공간부(310)에 삽입된 배터리(330)가 커버부(320)에 의해 걸림 없이 인출될 수 있을만큼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7의 (b) 참조).
커버부(320)는 메인 휠 지지부(213)의 외주면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휠 지지부(213)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원통의 옆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320) 또한 그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휠 지지부(213)의 외주면과 커버부(320)의 외면은 같은 중심 및 같은 곡률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320)의 일측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모서리는 메인 휠 지지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커버부(320)의 타측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모서리는 메인 휠 지지부(21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320)가 공간부(310)를 덮도록(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커버부(320)는 메인 휠 지지부(213)와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간부(310)에 수용된 배터리(330)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커버부(320)가 공간부(310)를 개방하도록(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공간부(310)에 수용된 배터리(330)가 공간부(310)에서 인출된다.
커버부(320)는 파지 홈(321)을 포함한다.
파지 홈(321)은 커버부(320)의 일 모서리에 함몰 형성된다. 사용자는 파지 홈(321)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커버부(320)를 당겨서 커버부(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홈(321)은 커버부(320)의 상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즉, 파지 홈(321)은 수직부(110)를 향하는 커버부(320)의 일측 모서리에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부(320)가 개방되는 상태를 상측에서 주시하며 커버부(3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배터리(330)는 카트부(20) 및 카트부(2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각 전기적 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330)는 상기 각 전기적 장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또는 포고 핀(pogo pin)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배터리(330)는 전원에 의해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330)는 리튬 이온 전지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터리(3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터리(330)의 형상은 공간부(310)에 수용되어, 카트부(20) 및 유아용 시트부(10)의 각 구성 요소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330)는 공간부(310)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330)가 공간부(310)에 삽입된 후, 커버부(320)가 일 방향(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320)를 향하는 배터리(33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하측이 커버부(320)에 의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배터리(330)는 공간부(310)에서 임의 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배터리(330)의 상기 일측을 지지하던 커버부(320)가 타 방향(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중력에 의해 배터리(330)가 자연스럽게 공간부(310)에서 인출될 수 있다.
배터리(33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상측은 탄성 부재(3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또한, 배터리(330)의 다른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상측 및 전방의 하측은 자석 부재(360)에 자력으로 지지된다.
탄성 부재(340)는 공간부(310)에 수용된 배터리(330)를 탄성 지지한다. 배터리(330)는 탄성 부재(340)를 압축하며 공간부(3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340)는 형상 변형에 의해 탄성력(즉, 복원력)을 저장한다.
이때, 커버부(320)가 회전되어 공간부(310)를 덮게 되면, 탄성 부재(340)는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커버부(320)가 배터리(330)의 일측(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하측)을 덮게 되면, 배터리(330)의 타측(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상측)은 탄성 부재(340)를 압축한 상태로 유지된다.
커버부(320)가 회전되어 공간부(310)가 개방되면, 배터리(330)의 탄성 부재(340)의 상기 일측은 커버부(320)에서 해방된다.
이때, 탄성 부재(340)는 압축하던 외력이 해제되므로,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며, 저장한 탄성력을 배터리(33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330)는 공간부(310)에서 소정 거리만큼 배출될 수 있다.
탄성 부재(340)는 형상의 변형에 의해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한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340)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330)에 반대되는 탄성 부재(34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상측은 메인 휠 지지부(213)의 내부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330)를 향하는 탄성 부재(34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하측은 배터리(330)와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탄성 부재(340)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340)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탄성 부재(340)는 공간부(310)에 수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1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340)가 저장하고, 배터리(330)에 인가하는 복원력의 크기는 자석 부재(360)가 인가하는 자기력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320)가 회전되어 공간부(310)가 개방되는 경우에도, 배터리(330)는 탄성 부재(340)가 인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공간부(310)에서 배출되되, 자석 부재(360)가 인가하는 자기력에 의해 완전히 배출되지는 않게 된다.
실링(sealing) 부재(350)는 공간부(310)와 커버부(320) 사이에 위치된다. 실링 부재(350)는 커버부(320)가 공간부(310)를 덮는 부분을 밀폐한다. 이에 따라, 공간부(310)는 커버부(3200 및 실링 부재(35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된다.
따라서, 공간부(310)에는 먼지 또는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아,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330), 탄성 부재(340) 및 자석 부재(360) 등이 손상되지 않는다.
실링 부재(35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실링 부재(350)는 커버부(320)가 공간부(310)를 덮도록 회전됨에 따라 압축되어, 커버부(320)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링 부재(35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350)는 커버부(320)가 공간부(310)를 덮는 각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320)는 그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의 모서리가 공간부(310)를 둘러싸는 메인 휠 지지부(213)의 각 모서리와 접촉된다. 실링 부재(350)는 커버부(320)와 메인 휠 지지부(213)가 서로 접촉되는 각 모서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자석 부재(360)는 공간부(310)에 수용된 배터리(330)를 자기적 인력으로 지지한다. 즉, 자석 부재(360)는 공간부(310)에 수용된 배터리(330)에 자기적 인력을 인가하여, 배터리(330)가 공간부(310)에서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석 부재(360)는 공간부(31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60)는 공간부(310)의 전방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자석 부재(360)는 공간부(310)의 후방의 상측 및 그에 마주하는 전방의 하측 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석 부재(36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석 부재(36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60)는 탄성 부재(3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석 부재(36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는 배터리(330)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340)를 향하는 배터리(330)의 전방의 상측이 부분적으로 자석 부재(360) 사이에 위치된다.
자석 부재(360)는 배터리(33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60)는 배터리(330)의 후방의 상측 및 전방의 하측을 각각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자석 부재(360)는 배터리(330)의 각 면 중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자석 부재(360)는 배터리(330)에 자기적 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자석 부재(360)가 배터리(330)에 인가하는 자기력의 크기는 탄성 부재(340)가 배터리(330)에 인가하는 탄성력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20)가 회전되어 공간부(310)가 개방되었을 때, 탄성 부재(340)가 인가하는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배터리(330)는 공간부(310)에서 완전히 인출되어 탈락되지 않는다.
즉, 자석 부재(360)는 사용자가 배터리(330)를 파지하여 분리하기 전, 배터리(330)가 공간부(310)에서 임의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석 부재(360)는 배터리(330)에 자기적 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60)는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 또는 전자석(electromagnet)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330)를 용이하게 탈착하여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커버부(32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배터리(330)가 다른 구성 요소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320)가 공간부(310)를 덮게 되면, 커버부(320)와 공간부(310)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 부재(350)는 커버부(320)와 공간부(31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메우게 된다. 이에 따라,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공간부(310)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부(320)가 회전되어 공간부(310)가 개방되는 경우, 배터리(330)는 탄성 부재(340)가 인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공간부(310)에서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커버부(320)가 개방되는 경우에도, 자석 부재(360)가 인가하는 자기력에 의해 공간부(310)에 수용된 배터리(330)가 인출되는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마트 유모차
10: 유아용 시트부
20: 카트(cart)부
30: 에어 커버부
100: 몸체부
110: 수직부
120: 베이스부
130: 핸들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시트 지지부
200: 휠(wheel)부
210: 메인 휠
211: 제1 메인 휠
212: 제2 메인 휠
213: 메인 휠 지지부
220: 서브 휠
221: 제1 서브 휠
222: 제2 서브 휠
230: 서브 휠 결합부
231: 지지 부재
232: 암(arm) 부재
233: 휠 파지 부재
234: 베어링 부재
240: 브레이크
300: 배터리부
310: 공간부
320: 커버부
321: 파지 홈
330: 배터리
340: 탄성 부재
350: 실링(sealing) 부재
360: 자석 부재

Claims (15)

  1. 핸들부가 결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휠 결합부; 및
    상기 서브 휠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휠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상기 서브 휠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환형으로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에 결합되는 휠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휠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서브 휠의 중심축과 같은 중심축을 갖는 환형으로 구비되는,
    카트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가 연장되는 상기 일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브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은 상기 서브 휠 결합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arm) 부재; 및
    상기 암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휠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서브 휠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좌측 단부 및 상기 우측 단부는, 각각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서브 휠의 외측에 위치되는,
    카트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좌측 단부 및 상기 우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카트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수직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트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 파지 부재는,
    상기 암 부재에서 상기 서브 휠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카트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가 상기 휠 파지 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서브 휠의 회전과 무관하게 정지 상태가 유지되는,
    카트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휠 파지 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서브 휠 결합부가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서브 휠의 중심축 사이에 위치되는,
    카트부.
  11. 내부에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 지지부;
    상기 시트 지지부와 연결되며, 그 상측에 핸들부가 결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일 방향의 일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메인 휠;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서브 휠;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서브 휠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휠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
    상기 서브 휠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환형으로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에 결합되는 휠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서브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서브 휠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는,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스마트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휠 파지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휠 파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휠 파지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휠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상기 서브 휠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서브 휠과 결합되는,
    스마트 유모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휠 결합부는,
    상기 지지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휠 파지 부재와 결합되는 암(arm) 부재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휠 파지 부재는,
    상기 서브 휠을 향하는 상기 암 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서브 휠을 향해 연장되는,
    스마트 유모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암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수직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트부.
KR1020200033389A 2020-03-18 2020-03-18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17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389A KR20210117052A (ko) 2020-03-18 2020-03-18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389A KR20210117052A (ko) 2020-03-18 2020-03-18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052A true KR20210117052A (ko) 2021-09-28

Family

ID=7792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389A KR20210117052A (ko) 2020-03-18 2020-03-18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705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835A (ko) 2008-08-28 2010-03-10 유영숙 시트 분리형 유모차
KR200487580Y1 (ko) 2018-05-14 2018-10-11 주식회사 상생플래닛 수납 바구니를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835A (ko) 2008-08-28 2010-03-10 유영숙 시트 분리형 유모차
KR200487580Y1 (ko) 2018-05-14 2018-10-11 주식회사 상생플래닛 수납 바구니를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422B2 (en)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CN102202955B (zh) 可折叠的婴儿车
EP2319751B1 (en) Conveying vehicle and connecting mechanism
KR101738307B1 (ko) 전동 유모차
KR101079755B1 (ko) 핸즈프리형 전동스쿠터
EP1129657B1 (en) Electric cleaner
US8506346B2 (en) Automobile toy
JP6573073B2 (ja) バッテリ装置の充電構造および電動車両
WO2018107477A1 (zh) 一种平衡车
WO2016013365A1 (ja) 自律走行車
KR20210117051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JP2011030964A (ja) 車いす用組み立て式電気駆動装置とそれを備える電動車いす
CN204567896U (zh) 自平衡电动双轮车及其连接踏板
KR20210117052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US20100187035A1 (en) Electric golf bag cart
KR20160073269A (ko) 무동력 이동장치의 후륜 수용이 가능한 전동 탑승 장치
US20060135035A1 (en) Remote control toy set
TW200303190A (en) Small electric vehicle
US20100066044A1 (en) Baby carriage having steering device
US20240010259A1 (en) Electric wagon
KR20210146142A (ko) 스마트 유모차
KR20210146143A (ko) 스마트 유모차
US20220153333A1 (en) Stroller frame and stroller
KR20210137813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101837297B1 (ko) 킥보드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