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297B1 - 킥보드 케이스 - Google Patents

킥보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297B1
KR101837297B1 KR1020160130418A KR20160130418A KR101837297B1 KR 101837297 B1 KR101837297 B1 KR 101837297B1 KR 1020160130418 A KR1020160130418 A KR 1020160130418A KR 20160130418 A KR20160130418 A KR 20160130418A KR 101837297 B1 KR101837297 B1 KR 10183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in body
unit
remaining amount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남
Original Assignee
권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남 filed Critical 권순남
Priority to KR102016013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outsid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7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slidable, extractable and lockable in one or more positions
    • H02J20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전동식 킥보드가 접혀서 보관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몸체로 이루어지며, 이동을 위한 휠이 마련되고, 배터리가 보관되는 배터리보관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배터리로부터 킥보드의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인출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는 배터리잔량측정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배터리잔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한 킥보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식 킥보드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고, 콤팩트화 및 경량화가 가능함으로써,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육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의 수용에 의해 전동식 킥보드에 필요로 하는 충전 전원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고, 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전동식 킥보드와 함께 또는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물품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킥보드 케이스{Kick board case}
본 발명은 킥보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킥보드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킥보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어린이나 청소년의 놀이수단 또는 근거리 이동수단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는 땅을 박차면서 주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킥보드는 보드프레임에 전후로 휠이 설치되고, 전측의 휠이 핸들 및 조향포스트에 의해 조향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킥보드는 보드프레임에 한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 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전,후측의 휠에 의해 주행하게 되며,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측의 휠의 주행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최근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식 킥보드의 보급이 늘어가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전동식 킥보드는 어린이나 청소년 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동식 킥보드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5241호의 "전동식 킥보드"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전동식 킥보드로서,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 측에 뒷바퀴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앞바퀴가 결합되는 핸들 스템을 포함하는 핸들부; 상기 뒷바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 모터;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뒷바퀴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 일측 단부에 상기 핸들 스템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보드 프레임부; 및 상기 전동식 킥보드의 속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킥보드는, 휴대시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주변의 물체나 사람과의 간섭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충격 등에 의해 스크래치 발생, 나아가서 파손을 초래하므로, 전용 휴대 케이스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한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25366호의 "킥보드 및 의자의 기능을 가진 가방"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가방부재; 상기 가방부재의 일측에 상하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을 좌우 회동되도록 고정하는 회동부와, 상기 고정봉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고정봉의 하부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바퀴가 회전되도록 체결되는 제1바퀴부로 구성된 손잡이부재; 사용자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다수개의 바퀴가 회전되도록 체결되는 제2바퀴부로 구성된 발판부재; 일측은 상기 가방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발판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발판부재를 상하로 회동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링크부재; 및 상기 발판부재의 하면에 다수개 고정되어 상기 발판부재를 소정의 높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리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른 기술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무거운 구조로 인해 휴대의 편의성을 크게 해치게 되고, 전동식 킥보드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식 킥보드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고,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육체적 부담을 줄이며, 전동식 킥보드에 필요로 하는 충전 전원을 손쉽게 제공하도록 하고, 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전동식 킥보드와 함께 또는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물품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전동식 킥보드가 접혀서 보관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몸체로 이루어지며, 이동을 위한 휠이 마련되고, 배터리가 보관되는 배터리보관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배터리로부터 킥보드의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인출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는 배터리잔량측정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배터리잔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킥보드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는, 운반용 핸들이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손잡이와 어깨끈이 각각 외측면에 마련되고, 중심부에 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목부를 기준으로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에 비하여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물품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케이스; 및 상기 포켓케이스를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보관부에 보관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의 잔량 체크,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알람을 수행하도록 조작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마련되는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에 의하면, 전동식 킥보드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고, 콤팩트화 및 경량화가 가능함으로써,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육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의 수용에 의해 전동식 킥보드에 필요로 하는 충전 전원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고, 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전동식 킥보드와 함께 또는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물품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에서 포켓케이스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의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예들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에 킥보드가 수납된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의 킥보드 충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100)는 본체(110), 인출부(120; 도 8에 도시), 배터리잔량측정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내측에 전동식 킥보드(10; 도 7에 도시)가 접혀서 보관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몸체(111,112)로 이루어지며, 이동을 위한 휠(1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예컨대 2개가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배터리(210)가 보관되는 배터리보관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분할몸체(111,112)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지퍼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예들로서, 매직테이프, 버튼, 스냅단추, 버클 또는 클립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체(110)는 합성수지나 경량 금속 내지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지거나, 어느 정도 형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보강된 섬유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보관부(114)는 본체(110)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고, 배터리(210)의 착탈이 가능한 주머니 형태나 하우징 또는 벨트 부착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스냅단추에 의해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보관부(114)는 본체(1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전동식 킥보드(10; 도 7 및 도 8에 도시)의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220; 도 8에 도시)이 배터리(210)에 연결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가지거나, 배터리(210)와 충전케이블(220)의 접속을 매개하는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보관부(114)에는 케이블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배터리(210)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회로부 등과 같은 충전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부(180)는 배터리(210)에 케이블을 통해서 외부 아답터로부터 충전에 적합한 전원이 공급될 경우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배터리보관부(114)의 내측은 물론 배터리보관부(114)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본체(110) 내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킥보드(10)는 본체(110)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 뿐만 아니라, 본체(110) 내에 보관된 상태에서도 배터리보관부(114)에 보관된 배터리(210)로부터 충전이 가능하다.
도 1, 도 4 및 도 8에서와 같이, 본체(110)는 운반용 핸들(115)이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116)와 어깨끈(117)이 각각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운반용 핸들(115)은 예컨대 본체(110)에 마련됨과 아울러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누름버튼에 의해 본체(11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본체(110)로부터 슬라이딩 결합 방식에 의해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휠(113)에 의해 세워진 본체(110)를 밀거나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116)는 본체(110)를 들어서 운반하고자 할 때 파지를 가능하도록 하며, 예컨대 상부케이스를 이루는 분할몸체(111)의 상면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어깨끈(117)은 예컨대 손잡이(116)와는 반대측면, 즉 하부케이스를 이루는 분할몸체(112)의 저면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본체(110)를 어깨에 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중심부에 목부(118)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목부(118)를 기준으로 상부의 폭(d1)이 하부의 폭(d2)에 비하여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목부(118)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도록 하고, 저중심 설계가 가능하여 휴대시 편안함을 주며, 디자인적으로도 뛰어나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체(110)에는 포켓케이스(160) 및 착탈결합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켓케이스(160)는 본체(110)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본체(11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물품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포켓케이스(160)는 본체(11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나 경량 금속 내지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지거나, 어느 정도 형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보강된 섬유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불필요시 본체(1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본체(110)의 부피 및 중량을 줄이도록 하여 휴대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다. 포켓케이스(160)에 보관되는 물품으로는 전동식 킥보드(10)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나 정비를 위한 정비도구 또는 주행시 필요한 소품 등일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전동식 킥보드(10)나 그 주행과는 무관한 개인 소지품 등일 수 있다. 포켓케이스(16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상부케이스를 이루는 분할몸체(111)의 상면에 다수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나, 이에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착탈결합부(170)는 포켓케이스(160)를 본체(11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하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포켓케이스(160)를 다수의 클립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시키도록 하며, 이에 한하지 않고, 지퍼, 버클, 버튼, 스냅단추, 매직테이프, 나사결합, 억지 끼움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구조 내지 부재에 의해 본체(110)로부터 포켓케이스(16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클립은 본체(110)와 포켓케이스(160) 각각에 직접 또는 밴드 등으로 설치되는 암부재 및 숫부재로 이루어져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출부(120)는 배터리(210; 도 2에 도시)로부터 킥보드(10)의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220)이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본체(110)에 마련된다. 인출부(120)는 일례로 배터리(210)에 연결된 충전케이블(220)의 인출을 위해 본체(110)에 관통하도록 형성된 인출홀이거나, 다른 예로서, 배터리(210)에 연결되어 본체(110)에 외측으로부터 접근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충전케이블(220)과의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일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충전케이블(220)에 의해 배터리(210)의 전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내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잔량측정부(130)는 배터리(210)의 잔량을 측정하여 이를 감지신호로서 제어부(150)로 출력하도록 한다. 배터리잔량측정부(130)는 제어부(150)와 함께 구성되거나,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40)와 일체 또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잔량측정부(130)는 배터리(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본체(110)의 내측에 마련된 배터리보관부(114) 또는 별도의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본체(1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본체(110)의 외측면, 예컨대 상부케이스에 해당하는 분할몸체(111)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210) 잔량을 도 6에서와 같이, 단계별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배터리잔량측정부(130)로부터 측정되는 배터리(210)의 잔량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본체(110)의 외측면에는 조작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190)는 배터리(210)의 잔량 체크, 배터리(210)의 충전 및 배터리(210)의 방전시 알람을 수행하도록 조작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의 우측에 안테나 표시와 같은 배터리 잔량 체크 버튼, 그 아래에 플러그 표시와 같은 배터리 충전 버튼, 그리고 그 아래에 벨 표시와 같은 알람 기능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작부(190)의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동작, 예컨대 배터리(210)의 잔량 체크, 배터리(210)의 충전 시작 및 배터리(210)의 허용 범위 내 방전시 알람 발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은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해당 버튼이 점등되도록 하거나, 이 밖에도 별도의 경보용 램프나 LED를 두어서 점등되도록 하거나, 경보스피커를 마련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 케이스에 따르면, 전동식 킥보드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고, 콤팩트화 및 경량화가 가능함으로써,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육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의 수용에 의해 전동식 킥보드에 필요로 하는 충전 전원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고, 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전동식 킥보드와 함께 또는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물품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킥보드 110 : 본체
111,112 : 분할몸체 113 : 휠
114 : 배터리보관부 115 : 운반용 핸들
116 : 손잡이 117 : 어깨끈
118 : 목부 119 : 개폐부
120 : 인출부 130 : 배터리잔량측정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제어부
160 : 포켓케이스 170 : 착탈결합부
180 : 충전부 190 : 조작부
210 : 배터리 220 : 충전케이블

Claims (4)

  1. 내측에 전동식 킥보드가 접혀서 보관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몸체로 이루어지며, 이동을 위한 휠이 마련되고, 배터리가 보관되는 배터리보관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배터리로부터 킥보드의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인출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는 배터리잔량측정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배터리잔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물품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케이스;
    상기 포켓케이스를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
    상기 배터리보관부에 보관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의 잔량 체크,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알람을 수행하도록 조작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마련되는조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운반용 핸들이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손잡이와 어깨끈이 각각 외측면에 마련되고, 중심부에 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목부를 기준으로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에 비하여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30418A 2016-10-10 2016-10-10 킥보드 케이스 KR10183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18A KR101837297B1 (ko) 2016-10-10 2016-10-10 킥보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18A KR101837297B1 (ko) 2016-10-10 2016-10-10 킥보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297B1 true KR101837297B1 (ko) 2018-03-12

Family

ID=6172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18A KR101837297B1 (ko) 2016-10-10 2016-10-10 킥보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5596A (zh) * 2020-11-08 2021-01-26 令狐启 一种电池与车身可以分离的共享式电动滑板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892B1 (ko) * 2005-01-10 2006-06-30 주식회사 두성산업 골프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892B1 (ko) * 2005-01-10 2006-06-30 주식회사 두성산업 골프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5596A (zh) * 2020-11-08 2021-01-26 令狐启 一种电池与车身可以分离的共享式电动滑板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8963B2 (en) Wearable mobility device
US9027722B1 (en) Movable container system
US9085334B2 (en) Electric-powered self-balancing unicycle
US9770080B2 (en) Portable motor-driven transportation means
US20160339328A1 (en)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self-balanced electric unicycle
WO2015051707A1 (zh) 分体式电动滑板
US20070045370A1 (en) Case assembly including a knapsack connected detachably to a traveling case
KR20130107684A (ko) 셀프 밸런싱 전동장치가 구비된 백팩형 가방
US20130292432A1 (en) Novel Towing Mechanism
US20140332299A1 (en) Electric cart
CN106942869B (zh) 具有选书装置的智能书包及其选书装置
EP3116772A2 (en)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self-balanced electric unicycle
KR101837297B1 (ko) 킥보드 케이스
WO2019032566A1 (en) COMPACT ELECTRIC CONVENIENCE VEHICLE
CN209757390U (zh) 背包电动滑板车
CN112789216A (zh) 周独轮车
CN205345221U (zh) 电动行李车
CN211154165U (zh) 行李箱
CN208318528U (zh) 一种可骑行的行李箱
WO2016065655A1 (zh) 智能代步背包
US20220355888A1 (en) Foldable bicycle structure
CN213307939U (zh) 一种电动滑板行李箱
KR20040106197A (ko) 바퀴와 발판이 달린 가방
CN213128458U (zh) 一种多功能书包
WO2019218319A1 (en) Electric scoo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