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892B1 - 골프백 - Google Patents

골프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892B1
KR100595892B1 KR1020050002206A KR20050002206A KR100595892B1 KR 100595892 B1 KR100595892 B1 KR 100595892B1 KR 1020050002206 A KR1020050002206 A KR 1020050002206A KR 20050002206 A KR20050002206 A KR 20050002206A KR 100595892 B1 KR100595892 B1 KR 10059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golf bag
travel cover
cover
z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824A (ko
Inventor
신기달
이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성산업
신기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성산업, 신기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성산업
Priority to KR102005000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8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404Covers or hoods for golf bags
    • A63B55/406Covers or hoods for golf bags releasably attach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408Releasably mounted accessories fitted outside the bag, e.g. strap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0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과 일체로 형성된 캡부트래블커버와 본체를 보호하는 본체부트래블커버로 각각 분리 구성된 트래블커버를 구비하여 캡부트래블커버만이 사용되거나 또는 캡부트래블커버와 본체부트래블커버가 지퍼로 연결되어 전체가 착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골프클럽 및 캡의 보호를 확실하게 함과 동시에 트래블커버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 하고, 하부기틀의 전면과 저면 및 양측면이 만나는 각 모서리부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소정 거리 인출 및 복원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유닛을 구비하여 바퀴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백의 착지감과 안정감을 향상시킴에 의해 골프백을 끌어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골프백이 쉽게 한쪽으로 쏠리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하여 골프백 내부에 수납된 골프클럽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바퀴를 이용한 골프백의 견인을 보다 용이하도록 한 골프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의 외측에 덧씌워져 상기 캡의 하단부에 일체로 접합되고 하단 주연부에 트래블커버연결지퍼가 환설되며 상면과 전면의 중앙부를 따라 개폐지퍼가 종설된 캡부트래블커버와; 상단에 트래블커버연결지퍼가 설치되고 하단에 조임밴드가 설치되며 원통형으로 형성시켜 본체를 감싸도록 체결하는 체결지퍼가 설치된 본체부트래블커버; 및 승강손잡이가 부착되는 상단부가 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본체프레임의 전면 중앙부에 종설되는 가이드관에 승강 가능하게 내설되어지되 괘정수단에 의해 승강이 저지되고 해정수단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는 승 강관과, 하부기틀의 전면과 저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좌우로 설치되는 좌우 바퀴축의 각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바퀴와, 상기 승강관의 승강운동을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각 바퀴축에 전달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바퀴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이 제공된다.
본체, 캡, 트래블커버, 본체프레임, 상부기틀, 하부기틀, 가이드관, 승강관, 누름봉, 경사편, 걸림편, 링크

Description

골프백 { A golf bag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의 캡부트래블커버가 착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의 캡부트래블커버 및 본체부트래블커버가 착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의 캡부트래블커버 및 본체부트래블커버가 착용된 상태의 캡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의 본체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의 바퀴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바퀴유닛 하부의 연결수단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바퀴유닛 상부 내측의 괘정수단부 및 해정수단부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걸림편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승강관의 승강에 따른 바퀴의 인출 및 복원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을 견인손잡이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보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을 휴대용손잡이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부기틀 2 : 하부기틀
3 : 본체프레임 4 : 본체커버
5 : 견인손잡이 6 : 휴대용손잡이
7 : 가로바 8 : 받침돌기
9,9' : 캡체결지퍼 10 : 캡부트래블커버
11,11' : 트래블커버연결지퍼 12 : 개폐지퍼
20 : 본체부트래블커버 21 : 조임밴드
22 : 체결지퍼 23 : 트래블커버수납가방
24 : 체결구 30 : 바퀴유닛
31 : 승강손잡이 32 : 가이드관
33 : 승강관 34 : 바퀴축
35 : 바퀴 41 : 고정케이싱
42 : 경사홈 43 : 통공
44,52 : 스프링 45 : 걸림편
46 : 상부걸림공 47 : 하부걸림공
51 : 경사편 53 : 누름버튼
54 : 누름봉 61 : 장공
62 : 스토퍼 71 : 핀
72 : 스냅스프링 73 : 링크
100 : 본체 200 : 캡
C : 골프클럽
본 발명은 골프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과 일체로 형성된 캡부트래블커버와 본체를 보호하는 본체부트래블커버로 각각 분리 구성된 트래블커버를 구비하여 캡부트래블커버만이 사용되거나 또는 캡부트래블커버와 본체부트래블커버가 지퍼로 연결되어 전체가 착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골프클럽 및 캡의 보호를 확실하게 함과 동시에 트래블커버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 하고, 하부기틀의 전면과 저면 및 양측면이 만나는 각 모서리부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소정 거리 인출 및 복원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유닛을 구비하여 바퀴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백의 착지감과 안정감을 향상시킴에 의해 골프백을 끌어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골프백이 쉽게 한쪽으로 쏠리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하여 골프백 내부에 수납된 골프클럽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바퀴를 이용한 골프백의 견인을 보다 용이하도록 한 골프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세트의 골프클럽은 보통 3개의 우드, 9~10개의 아이언, 퍼터 로 구성되어 골프클럽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골프백 본체의 내부에 헤드가 돌출되게 수납되어 사용되며, 본체의 상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복착되는 캡에 의해 골프클럽의 이탈과 헤드의 손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골프백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골프백 본체는 상부기틀과 하부기틀이 상하단에 부착된 본체프레임의 외면에 다수개의 소품수납주머니가 지퍼로서 개폐되는 외부커버가 일체로 포삽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캡은 골프백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는 골프클럽 헤드의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통상 상부기틀에 후크단추로써 착탈자재되게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면 상부에는 골프백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도록 통상 휴대용손잡이가 부설되고, 상기 상부기틀은 대개 두개의 가로바에 의해 3칸으로 구분되어 뒷칸부터 순서적으로 우드, 아이언, 퍼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골프백을 용이하게 끌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 상부에 상기 외부커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견인손잡이를 부설하고, 상기 하부기틀의 저부 전방에는 하나 또는 둘 정도의 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기틀의 저부 후방에는 상기 바퀴의 높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돌기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골프백은 상기 바퀴가 상기 하부기틀의 저부 전방에 하나 구비되는 경우는 라운딩시 상기 바퀴를 이용하여 골프백을 끌어 이동시킬 때 균형을 잡기가 용이하지 않아 골프백이 좌 또는 우측으로 쏠리게 되고 자칫 견인중에 골프백이 한쪽으로 심하게 기울어지거나 쓰러지게 되어 골프백 내부에 수납된 골프클럽들의 충돌로 골프클럽이 손상되거나 골프클럽들이 엉키게 되어 그 입출이 곤란하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므로 골프백의 견인시에 많은 힘과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해 하부기틀의 저부 전방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둘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여 골프백의 이동시 안정감을 향상시킨 골프백도 나와 있으나, 통상적인 골프백의 하부기틀의 폭 자체가 그다지 넓지 않기에 상기 하부기틀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바퀴간 거리가 제한적이어 중량체인 다수개의 골프클럽이 수납된 골프백을 굴곡 있는 필드상에서 끌어 이동시키는 경우 등에 역시 골프백이 좌 또는 우측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여전히 적지 않은 힘과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캡이 후크단추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부기틀부와 체결되므로 그 체결동작이 일회적이지 못하고 여러번의 동작에 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골프백에는 우천시의 사용이나 장기간 보관시 또는 여행 등의 경우에 골프백의 보호수단으로서, 골프백의 전체 외면을 덮어 씌워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토록 한 트래블커버가 사용되는데, 종래 이러한 트래블커버는 캡 또는 본체의 외부에 부착된 수납주머니에 수납하고 있다 필요시 인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트래블커버의 체결수단이 통상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후크단추인 경우가 대부분이어 트래블커버의 착탈시 역시 그 동작이 일회에 그치지 않고 여러번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으며, 각 후크단추간에 존 재하는 넓은 틈으로 외부로부터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도 있다. 또한, 골프백 전체를 덮어 씌울 정도의 크기를 갖는 단일체로 이루어지므로 트래블커버를 씌운 상태에서 경기를 행하여야 하는 경우 등에 골프클럽을 골프백으로부터 입출하는 것이 여간 불편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첫째, 캡과 일체로 형성된 캡부트래블커버와 본체를 보호하는 본체부트래블커버로 각각 분리 구성된 트래블커버를 구비하여 캡부트래블커버만이 사용되거나 상기 각각의 트래블커버가 지퍼로 연결되어 전체가 착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골프클럽 및 캡의 보호를 확실하게 함과 동시에 트래블커버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 하고, 둘째, 승강관의 승강에 따라 각각 하부기틀의 전면과 저면 및 양측면이 만나는 각 모서리부에서 각각 좌우로 인출 및 복원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골프백을 끌어 이동시키는 경우에 지면과 접촉되어 지지점 역할을 하는 상기 바퀴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도록 하여 골프백이 쉽게 한쪽으로 쏠리거나 넘어지지 않아 한결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의 특징적인 구조는,
첫째, 캡의 외측에 덧씌워져 상기 캡의 하단부에 일체로 접합되고 하단 주연부에 트래블커버연결지퍼가 환설되며 상면과 전면의 중앙부를 따라 개폐지퍼가 종설된 캡부트래블커버와, 상단에 트래블커버연결지퍼가 설치되고 하단에 조임밴드가 설치되며 원통형으로 형성시켜 본체를 감싸도록 체결하는 체결지퍼가 설치된 본체부트래블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캡부트래블커버만이 사용되거나 상기 캡부트래블커버 및 본체부트래블커버가 지퍼로 연결되어 전체가 착용됨으로써 골프클럽 및 캡의 보호를 확실하게 함과 동시에 트래블커버의 사용이 한결 편리하도록 한 데 있으며,
둘째, 승강손잡이가 부착되는 상단부가 골프백 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본체프레임의 전면 중앙부에 종설되는 가이드관에 승강 가능하게 내설되어지되 괘정수단에 의해 승강이 저지되고 해정수단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는 승강관과, 하부기틀의 전면과 저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좌우로 각각 설치되는 좌우 바퀴축의 각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바퀴와, 상기 승강관의 승강운동을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각 바퀴축에 전달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바퀴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관의 승강에 따라 상기 각 바퀴가 각각 좌우로 인출 및 복원 가능하게 됨으로써 지면과 접촉되어 골프백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점 역할을 하는 상기 바퀴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게 하여 골프백의 견인을 한결 용이하게 하고 골프백을 세워 보관하는 경우에도 그 안정감을 향상시킨데 있다.
여기서, 상기 캡은 그 하단부에 캡체결지퍼가 설치되어 상기 캡체결지퍼가 상기 상부기틀의 외주부에 환설되는 캡체결지퍼와 체결됨에 의해 상기 상부기틀에 착탈자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괘정수단은 하부가 폐쇄된 관체 형상으로 상기 승강관의 소정 높이상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케이싱의 내측에, 일측 중앙부에 상광하협의 형상이 되도록 배면이 경사를 이루는 경사홈이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승강관과 상기 고정케이싱의 일측면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통공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후단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횡설되는 걸림편과, 각각 상기 통공과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부걸림공 및 하부걸림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해정수단은 상기 경사홈의 경사진 배면과 면접되도록 하부 일측면이 경사를 이루어 상기 경사홈을 상하로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케이싱의 내측을 승강하고 유탈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케이싱으로부터의 유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경사편과, 하방 가압이 가능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승강손잡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하단부와 연설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에 따라 하단이 상기 경사편의 상면을 가압토록 상기 승강관에 내설되는 누름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탈방지수단은 상기 경사편에 상하로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장공과, 선단이 상기 장공 내측에 유삽되도록 상기 고정케이싱의 일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승강관의 하단부에 공통으로 핀결합되고 각 하단부가 상기 좌우 바퀴축의 내측 단부와 각각 핀결합되며, 상기 승강관의 하단부에 중간부가 고정되는 스냅스프링의 양단과 각각 결합되어 탄지되는 한쌍의 링크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캡부트래블커버가 착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캡부트래블커버 및 본체부트래블커버가 착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캡부트래블커버 및 본체부트래블커버가 착용된 상태의 캡부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의 본체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백의 바퀴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바퀴유닛 하부의 연결수단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바퀴유닛 상부 내측의 괘정수단부 및 해정수단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걸림편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승강관의 승강에 따른 바퀴의 인출 및 복원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은 통상의 골프백과 같이 상부기틀(1)과 하부기틀(2)이 상하단에 부착된 본체프레임(3)의 외면에 본체커버(4)가 일체로 포삽되고 전면 및 후면 상단부에 각각 견인손잡이(5) 및 휴대용손잡이(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골프백 본체(100)와, 상기 골프백 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는 골프클럽(C)의 헤드의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상기 상부기틀(1)에 착탈자재되게 부착되는 캡(2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기틀(1)은 대개 두개의 가로바(7)에 의해 3칸으로 구분되어 뒷칸부터 순서적으로 우드, 아이언, 퍼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기틀(2)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받침돌기(8) 가 격간으로 돌설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은 상기 캡(200)의 외측에 덧씌워져 캡(200)의 하단부에 일체로 접합되며 하단 주연부에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가 환설되고 상면과 전면의 중앙부를 따라 개폐지퍼(12)가 종설된 캡부트래블커버(10)와; 상단에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가 설치되고 하단에 조임밴드(21)가 설치되며 원통형으로 형성시켜 상기 본체(100)를 감싸도록 체결하는 체결지퍼(22)가 설치된 본체부트래블커버(20)와; 승강손잡이(31)가 부착되는 상단부가 골프백 본체(10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3)의 전면 중앙부에 종설되는 가이드관(32)에 승강 가능하게 내설되어지되 괘정수단에 의해 승강이 저지되고 해정수단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는 승강관(33)과, 상기 하부기틀(2)의 전면과 저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좌우로 각각 설치되는 좌우 바퀴축(34)의 각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바퀴(35)와, 상기 승강관(33)의 승강운동을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각 바퀴축(34)에 전달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바퀴유닛(3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만이 사용되거나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 및 상기 본체부트래블커버(20)가 지퍼로 연결되어 전체가 동시 사용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관(33)의 승강에 따라 상기 한쌍의 바퀴(35)가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인출 및 복원 가능토록 되어 있음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부트래블커버(20)는 상기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트래블커버수납가방(23)에 수납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캡(200)은 그 하단부에 캡체결지퍼(9)가 설치되어 상기 캡체결지퍼(9) 가 상기 상부기틀(1)의 외주부에 환설되는 캡체결지퍼(9')와 체결됨에 의해 상기 상부기틀(1)에 착탈자재되도록 하여 상기 캡(200)의 상기 상부기틀(1)과의 착탈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200)은 스판덱스와 같은 신축재질로 형성하여 골프클럽(C)의 보호가 한층 두텁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괘정수단은 하부가 폐쇄된 관체 형상으로 상기 승강관(33)의 소정 높이상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케이싱(41)의 내측에, 일측 중앙부에 상광하협의 형상이 되도록 배면이 경사를 이루는 경사홈(42)이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승강관(33)과 상기 고정케이싱(41)의 일측면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통공(43)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후단이 스프링(44)에 의해 탄지되어 횡설되는 걸림편(45)과, 각각 상기 통공(43)과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관(32)의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부걸림공(46) 및 하부걸림공(47)으로 이루어져, 승강관(33)의 승강중에 상기 통공(43)이 상기 상부걸림공(46) 또는 상기 하부걸림공(47)과 연통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걸림편(45)이 그 후단의 스프링(44)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고정케이싱(41)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상부걸림공(46) 또는 상기 하부걸림공(47)의 내측으로 진입되면서 괘정되어 상기 승강관(33)의 승강이 저지되도록 한다.
상기 해정수단은 상기 경사홈(42)의 경사진 배면과 면접되도록 하부 일측면이 경사를 이루어 상기 경사홈(42)을 상하로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케이싱(41)의 내측을 승강하고 유탈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케이싱(41)으로부터의 유탈이 방지되 도록 구비되는 경사편(51)과, 하방 가압이 가능하도록 스프링(52)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승강손잡이(3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누름버튼(53)과, 상기 누름버튼(53)의 하단부와 연설되어 상기 누름버튼(53)의 가압에 따라 하단이 상기 경사편(51)의 상면을 가압토록 상기 승강관(33)에 내설되는 누름봉(54)으로 이루어져, 상기 누름버튼(53)의 하방 가압에 따른 상기 누름봉(54)의 하강력이 상기 경사편(51)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경사편(51)의 상광하협 형상을 갖는 하부가 상기 걸림편(45)의 경사홈(42)을 하방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걸림편(45)을 후진시킴에 의해 상기 걸림편(45)의 선단이 상기 상부걸림공(46) 또는 하부걸림공(47)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여 상기 승강관(33)이 장애 없이 상기 가이드관(32) 내측을 승강 가능한 상태에 놓여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봉(54)은 상기 경사편(51)의 상면과의 접촉면을 넓게 하여 상기 경사편(51)에 하방 가압력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하단부의 단면이 타부분의 그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탈방지수단은 상기 경사편(51)에 상하로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장공(61)과, 선단이 상기 장공(61)에 유삽되도록 상기 고정케이싱(41)의 일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스토퍼(62)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편(51)이 소정 높이 상승 또는 하강한 경우에 상기 스토퍼(62)가 상기 장공(61)의 내측 상면 또는 하면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경사편(51)이 상기 고정케이싱(41)의 내측으로부터 유탈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장공(61)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걸림편(45)의 선단이 상기 상부걸림공(46) 또는 상기 하부걸림공(47)에 충분히 삽입되어 괘정된 상태와 상기 상 부걸림공(46) 또는 상기 하부걸림공(47)으로부터 충분히 빠져 나와 해정된 상태간의 상기 걸림편(45)의 진행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경사편(51)의 승강거리에 해당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승강관(33)의 하단부에 공통으로 핀(71)에 의해 결합되고 각 하단부가 상기 좌우 바퀴축(34)의 내측 단부와 각각 핀(71)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승강관(33)의 하단부에 중간부가 고정되는 스냅스프링(72)의 양단과 각각 결합되어 탄지되는 한쌍의 링크(73)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관(33)의 승강시에 상기 한쌍의 링크(73)가 서 있는 상태와 수평하게 누워 있는 상태로 상호 전환되면서 상기 승강관(33)의 승강운동을 상기 바퀴축(34)의 좌우 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바퀴축(34) 및 그 각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좌우 바퀴(35)의 인출거리가 상기 링크(73)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걸림공(46)과 하부걸림공(47)간의 거리 또한 상기 링크(73)가 최대로 서 있는 상태일때와 수평하게 누운 상태일때간의 높이차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링크(73)는 상기 승강관(33)이 하강할 때에 그 각 하단부가 상호 좌우로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승강관(33)의 최대 상승시에 그 각 하단부가 소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형상을 이루도록 실시되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는 상기 트래블커버수납가방(23)을 상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구이며, 81은 상기 캡(200) 내부의 골프클럽(C)들을 캡(200)과 함께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조임끈이고, 82는 상기 조임끈(81)을 고정하는 고정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은 우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0)과 그 외측에 설치된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의 각 하단부가 접합되어 일체로 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캡(200)의 하단 주연부에는 캡체결지퍼(9)가 설치되어 있어 본체(100) 상부의 상기 상부기틀(1)의 외주부에 설치된 캡체결지퍼(9')와 체결되며,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의 하단 주연부에는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트래블커버(20)에 설치된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와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본체부트래블커버(20)와 체결되는 2단의 분리구성을 가지는 바, 그 이용에 있어 매우 편리하게 되고 모든 부분의 체결이 지퍼로 이루어져 그 착탈 또한 용이하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상기 캡(200)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기틀(1)부와 후크단추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상기 캡(200)의 상기 상부기틀(1)부와의 체결시 그 체결동작이 일회적이지 못하고 여러번의 동작에 의해야 되어 불편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에 있어서는 상기 캡(200)의 하단 주연부와 상기 상부기틀(1)의 외주부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 캡체결지퍼(9)(9')에 의해 캡(200)의 착탈이 이루어지므로 그 착탈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200)과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캡(200)의 사용시에는 반드시 캡부트래블커버(10)가 함께 사용되게 되어 상기 캡(200)과 골프클럽(C)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게 되고, 캡부트래블커버(10)의 별도 구비를 위한 불편이 제거되며, 또한 캡부트래블커버(10)의 분실이 방지되 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캡체결지퍼(9)(9')를 열어 상기 캡(200)을 상기 본체(100)의 상부기틀(1)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가 상기 캡(200)과 동시에 분리되게 되는데, 캡(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의 사용도 불필요한 것이다.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에는 그 상면에서 전면의 히단에 이르기까지 중앙부를 따라 개폐지퍼(12)가 종설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골프클럽(C)의 수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200)에는 상기 캡(200)의 외주부를 둘러 감는 조임끈(81)과 상기 조임끈(81)을 고정하는 고정구(82)를 설치하여 실시함으로써 상기 캡(200) 내부의 골프클럽(C)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트래블커버(20)는 체결구(24)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착탈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부나 내부로 수납되는 별도의 트래블커버수납가방(23)에 수납보관되다 필요시에 인출되어 사용되게 된다. 즉, 사용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한 후,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설치된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를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의 하단에 설치된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와 체결하여 하나로 연결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통형으로 하여 상기 본체(100)를 감싸 보호하도록 체결지퍼(22)를 체결하고, 하단부에 설치된 조임밴드(21)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견고히 고정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트래블커버(20)는 상기 트래블커버수납가방(23)으로부터의 분리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일단부를 상기 트래블커버수납가방(23)에 봉 착함으로써 상기 트래블커버수납가방(23)과 일체화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트래블커버(20)는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와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11')로 연결되어 하나의 전체 트래블커버로 설치되고, 이러한 설치는 모두가 지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사용에 있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기틀(1)에 캡체결지퍼(9)로 자유롭게 착탈되는 구조이고, 상기 캡부트래블커버(10)와 상기 본체부트래블커버(20)는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11')로 용이하게 착탈되는 구조로, 이와 같은 편리한 구조에 의해 장기간의 보관이나 여행시 및 경기중의 사용에 있어 상기 캡(200)과 골프클럽(C)의 보호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기틀(2)의 전면과 저면 및 양측면이 공통으로 만나는 각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바퀴(35)가 승강관(33)의 승강에 따라 각각 좌우로 인출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한 바퀴유닛(30)이 구비되므로, 상기 각 바퀴(35)의 좌우 인출에 의해 상기 한쌍의 바퀴(35)간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이는 곧 상기 바퀴(35)를 이용한 골프백의 이동시에 지면과 접촉되어 골프백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점간의 간격을 넓히게 되는 결과가 되어 골프백에 착지감과 안정감을 더해 주게 되므로, 지면의 상태 불량이나 이동방향의 전환 등의 경우에도 골프백이 쉽게 좌 또는 우측으로 쏠리거나 전도되지 않게 되어 그 이동에 훨씬 적은 노력과 힘이 소요되게 되고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 바퀴유닛(30)의 작동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바퀴(35)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링크(73)가 최대로 서 있는 상태로서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때 상기 가이드관(32)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기 상하부 걸림공(46)(47)중 상부걸림공(46)에 상기 걸림편(45)의 선단부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손잡이(3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상기 누름버튼(53)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53)의 하단과 연설된 상기 누름봉(54)이 하강되어 상기 누름봉(54)의 하단부가 상기 경사편(51)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경사편(51)의 경사면이 상기 걸림편(45)에 형성된 경사홈(42)의 경사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와 같은 가압력이 상기 걸림편(45)의 후단을 탄지하는 스프링(44)의 탄지력을 넘게 되면 상기 경사편(51)이 상기 경사홈(42)을 관통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편(45)을 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경사편(51)이 최대한 하강되어 상기 스토퍼(62)가 상기 경사편(51)에 형성된 장공(61)의 내측 상단부에 닿게 되면 상기 경사편(51)은 더 이상 하강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걸림편(45)은 최대로 후진하여 상기 걸림편(45)의 선단부가 상기 상부걸림공(46)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정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관(33)은 상기 가이드관(32) 내측에서 승강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승강손잡이(31)를 파지하여 상기 승강관(33) 전체를 하강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승강관(33)을 하강시켜 고정케이싱(41)과 승강관(33)의 일측면을 연통하는 상기 통공(43) 형성부가 상기 가이드관(32)에 형성된 상부걸림공(46)과 연통되는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누름버튼(53)에의 가압력을 제거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53)은 그 저면을 탄지하는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의해 상승하여 복원되게 되므로 상기 누름봉(54)의 하단부도 상승되어 더 이상 상기 경사편(51)의 상면을 가압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45)은 그 후단을 탄지하는 스프링(44)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경사편(51)을 밀어올리면서 전진하려 하나 상기 걸림편(45)의 선단부가 상기 승강관(33)의 내측면에 저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관(33)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승강관(33)의 하단에 결합된 상기 한쌍의 링크(73)의 각 하단부가 하방 가압력에 의해 상호 벌어지면서 상기 한쌍의 링크(73)가 점차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눕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링크(73)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된 좌우 바퀴축(34)이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좌우 바퀴축(34)의 선단부에 결합된 바퀴(35)가 상기 하부기틀(2)의 저부에서 외측으로 점차 인출되게 된다.
상기 승강관(33)이 하강을 계속하여 상기 고정케이싱(41)과 상기 승강관(33)의 일측면을 연통하는 상기 통공(43) 형성부가 상기 가이드관(32)에 형성된 하부걸림공(47)과 연통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걸림편(45)의 후단을 탄지하는 스프링(44)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걸림편(45)이 전진하여 상기 걸림편(45)의 선단부가 상기 하부걸림공(47)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승강관(33)의 하강이 저지되어 괘정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때 상기 한쌍의 링크(73)는 완전히 수평으로 누 운 상태로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바퀴(35)가 최대로 하부기틀(2)의 저부에서 각각 좌 및 우측으로 최대한 인출된 상태가 되게 되어 상기 바퀴(35)가 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골프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상기 한쌍의 바퀴(35)가 각각 좌우로 인출된 상태에서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바퀴(35)가 지면에 접하도록 골프백을 소정 정도 전방으로 기울인 후 본체(100) 상단부에 구비되는 견인손잡이(5) 또는 휴대용손잡이(6)를 이용하여 골프백을 끌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골프백을 좁은 공간내에 장시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나 골프백을 어깨걸이(미도시)를 이용하여 어깨에 매어 휴대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바퀴(35)가 인출되어 있으면 골프백의 보관에 보다 넓은 공간을 요하게 되거나 인출된 상기 바퀴(35)가 외부의 다른 물체에 걸리게 되는 등 불편이 따르므로 상기 바퀴(35)를 상기 하부기틀(2)의 저부로 복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바퀴(35)의 복원을 위한 바퀴유닛(30)의 작동과정 역시 상기 걸림편(45)을 상기 하부걸림공(47)으로부터 해정시킨 후 상기 상부걸림공(46)에 걸려 괘정될 때까지 상기 승강관(33)을 상승시킨다는 점과 양단부가 오므라들어 복원되려는 상기 스냅스프링(72)의 탄지력 때문에 상기 승강관(33)을 상승시키는 것이 그 하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용이하다는 것 외에 상술한 상기 바퀴(35)의 인출을 위한 바퀴유닛(30)의 작동과정과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캡과 이를 보호하는 캡부트래블커버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캡과 클럽의 보호에 있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본체에 캡체결지퍼로 착탈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캡부트래블커버와 본체부트래블커버의 2단으로 분리구성되어 트래블커버연결지퍼에 의해 하나로 체결되어 사용되기도 하고 캡부트래블커버만을 사용할 수도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골프백이나 골프클럽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둘째, 하부기틀의 저부에 구비되는 한쌍의 바퀴가 간단한 조작으로 좌우로 인출 및 복원 가능한 구조로 됨으로써 지면과 접촉되어 지지점 역할을 하는 상기 바퀴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게 되어 골프백을 끌어 이동시키는 경우에 골프백이 쉽게 한쪽으로 쏠리거나 넘어지지 않아 보다 적은 힘과 노력이 소요되어 골프백의 내부에 수납된 골프클럽의 보호에 충실하면서 골프백의 이동을 한층 용이하게 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상부기틀(1)과 하부기틀(2)이 상하단에 부착된 본체프레임(3)의 외면에 외부커버(4)가 일체로 포삽되고 전면 및 후면 상단부에 각각 견인손잡이(5) 및 휴대용손잡이(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골프백 본체(100)와, 상기 골프백 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는 골프클럽(C)의 헤드의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상기 상부기틀(1)에 착탈자재되게 부착되는 캡(200)으로 이루어진 골프백에 있어서,
    상기 캡(200)의 외측에 덧씌워져 캡(200)의 하단부에 일체로 접합되고 하단 주연부에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가 환설되며 상면과 전면의 중앙부를 따라 개폐지퍼(12)가 종설된 캡부트래블커버(10)와; 상단에 트래블커버연결지퍼(11')가 설치되고 하단에 조임밴드(21)가 설치되며 원통형으로 형성시켜 상기 본체(100)를 감싸도록 체결하는 체결지퍼(22)가 설치된 본체부트래블커버(20)와; 승강손잡이(31)가 부착되는 상단부가 골프백 본체(10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3)의 전면 중앙부에 종설되는 가이드관(32)에 승강 가능하게 내설되어지되 괘정수단에 의해 승강이 저지되고 해정수단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는 승강관(33)과, 상기 하부기틀(2)의 전면과 저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좌우로 각각 설치되는 좌우 바퀴축(34)의 각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바퀴(35)와, 상기 승강관(33)의 승강운동을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각 바퀴축(34)에 전달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바퀴유닛(3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트래블커버(20)는 상기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트래블커버수납가방(23)에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00)은 신축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00)은 그 하단부에 캡체결지퍼(9)가 설치되어 상기 캡체결지퍼(9)가 상기 상부기틀(1)의 외주부에 환설되는 캡체결지퍼(9')와 체결됨에 의해 상기 상부기틀(1)에 착탈자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괘정수단은 하부가 폐쇄된 관체 형상으로 상기 승강관(33)의 소정 높이상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케이싱(41)의 내측에 일측 중앙부에 상광하협의 형상이 되도록 배면이 경사를 이루는 경사홈(42)이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승강관(33)과 상기 고정케이싱(41)의 일측면에 연통되게 형성된 통공(43)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후단이 스프링(44)에 의해 탄지되어 횡설되는 걸림편(45)과, 각각 상기 통공(43)과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관(32)의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부걸림공(46) 및 하부걸림공(4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수단은 상기 경사홈(42)의 경사진 배면과 면접되 도록 하부 일측면이 경사를 이루어 상기 경사홈(42)을 상하로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케이싱(41)의 내측을 승강하고 유탈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케이싱(41)으로부터의 유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경사편(51)과, 상기 승강손잡이(31)의 중앙부에 하방 가압이 가능하도록 스프링(52)에 의해 탄지되어 설치되는 누름버튼(53)과, 상기 누름버튼(53)의 하단부와 연설되어 상기 누름버튼(53)의 가압에 의해 하단이 상기 경사편(51)의 상면을 가압토록 상기 승강관(33)에 내설되는 누름봉(5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탈방지수단은 상기 경사편(51)에 상하로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장공(61)과, 선단이 상기 장공(61)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케이싱(41)의 일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스토퍼(6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승강관(33)의 하단부에 공통으로 핀(71)결합되고 각 하단부가 상기 좌우 바퀴축(34)과 각각 핀(71)결합되며, 상기 승강관(33)의 하단부에 중간부가 고정되는 스냅스프링(72)의 양단과 각각 결합되어 탄지되는 한쌍의 링크(73)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KR1020050002206A 2005-01-10 2005-01-10 골프백 KR10059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206A KR100595892B1 (ko) 2005-01-10 2005-01-10 골프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206A KR100595892B1 (ko) 2005-01-10 2005-01-10 골프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824A KR20050018824A (ko) 2005-02-28
KR100595892B1 true KR100595892B1 (ko) 2006-06-30

Family

ID=3722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206A KR100595892B1 (ko) 2005-01-10 2005-01-10 골프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297B1 (ko) * 2016-10-10 2018-03-12 권순남 킥보드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4495B (zh) * 2012-06-27 2015-11-11 萧昆林 可折叠高尔夫球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067U (ko) 1973-06-08 1975-02-24
JP2001314219A (ja) 2000-05-12 2001-11-13 Japana Co Ltd トラベルケース、及びキャディバッ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067U (ko) 1973-06-08 1975-02-24
JP2001314219A (ja) 2000-05-12 2001-11-13 Japana Co Ltd トラベルケース、及びキャディバッ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297B1 (ko) * 2016-10-10 2018-03-12 권순남 킥보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824A (ko) 200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8097A (en) Golf bag with retractable wheel system
US3215181A (en) Golf club carrying apparatus
US6988738B2 (en) Combination unit of a golf cart and a golf bag
KR100595892B1 (ko) 골프백
US6926293B1 (en) Load transport assembly
JP2006230675A (ja) ゴルフバッグ
US20060175782A1 (en) Golf bag
CN115052216B (zh) 一种便携式蓝牙音箱
EP3689423A1 (en) Cart mounted golf bag
US6892773B1 (en) Carrier for golf bag
CN105286250A (zh) 一种便携式爬楼梯拉杆箱
CN206182551U (zh) 旅行箱
KR200462459Y1 (ko) 보호구가 부착된 가방
CN207444487U (zh) 一种便携式大容量的行李箱
CN210018148U (zh) 一种加大储物的密码锁拉杆箱
CN205728519U (zh) 一种拉杆箱包
KR200413304Y1 (ko) 골프 백
CN210751176U (zh) 一种连体可分离式高尔夫球包
CN216854004U (zh) 一种新型拉杆箱包
CN217524152U (zh) 一种防摔防撞功能较强的旅行箱包
CN218113565U (zh) 一种无纺布包装袋
CN213882076U (zh) 一种新型拉杆箱
CN213487391U (zh) 一种防盗行李箱
CN211024951U (zh) 一种拼接式折叠垫
CN217242976U (zh) 一种限位效果好的拉杆箱包刹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