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26Y1 -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26Y1
KR200455526Y1 KR2020090016946U KR20090016946U KR200455526Y1 KR 200455526 Y1 KR200455526 Y1 KR 200455526Y1 KR 2020090016946 U KR2020090016946 U KR 2020090016946U KR 20090016946 U KR20090016946 U KR 20090016946U KR 200455526 Y1 KR200455526 Y1 KR 200455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door lock
hook
hook member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722U (ko
Inventor
류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90016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2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 내부에, 인증신호 또는 열쇠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정해진 곡선 구간을 회전 운동하는 막대수단; 상기 막대수단에 의해 직선 운동하며 출입문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를 변경하는 걸쇠;를 포함하는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막대수단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과 제2방향으로의 회전에 각각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 측 끝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타 측 끝은 상기 막대수단의 끝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 잠금장치, 갈고리

Description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A Door Lock Device having Hook Type Deadbolt}
본 고안은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걸쇠에 의한 잠금상태가 악의의 제3자에 의한 강제침입에도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에는 제3자에 대한 주거공간 또는 사무공간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기계식 또는 전자식 문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걸쇠가 문틀방향으로 출몰하며 출입문의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걸쇠 구동구조를 도시한 문 잠금장치의 내부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충격에 의해 조작 막대가 걸쇠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문 잠금장치(200)는 문(300)에 설치되며, 측면에 공간(212)이 형성된 걸쇠(210)와 이 걸쇠(21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 막대(220)를 포함한다. 걸쇠(210)는 문틀(310)에 설치된 걸쇠 받이(400)로 출몰하며, 문 잠금동작 또는 문 잠금 해제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조작 막대(220)는 열쇠조작 또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걸쇠(210)를 좌우방향으로 민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 문 잠금장치(200)는 조작 막대(220)에 의해 걸쇠(210)가 움직이는 매우 간단한 구성이므로, 기어 또는 캠 구성을 사용하는 여타 문 잠금장치에 비해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오작동 및 고장이 적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문 잠금장치(200)는 걸쇠(210)와 조작 막대(220)의 접촉이 걸쇠(210)의 공간(212)에 형성된 경사면(214)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문 잠금장치(200) 또는 문(30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조작 막대(2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14)에서 미끄러지면서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 막대(220)의 이탈은 문 잠금 또는 문 잠금 해제상태에 있는 걸쇠(210)의 위치적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현상이므로, 문(300)에 계속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사용자 의도와 달리 문 잠금장치(200)의 문 잠금 또는 문 잠금 해제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문 잠금장치(200)는 강제침입을 목적으로 하는 제3자에 의한 침입방지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갑작스럽게 충격과 함께 문이 닫혔을 때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문이 잠겨 사용자가 출입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충격에 의해서도 문 잠금장치의 걸쇠가 임의대로 작동하지 않는 안정적인 문 잠금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악의 침입자에 의한 침입시도 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지진 및 진동에 의해 충격)에 의해 걸쇠가 임의대로 이동하여 사용자 의도와 달리 문 잠금장치가 잠금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되거나 이와 반대로 잠금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문 잠금장치용 갈고리용 걸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내부에, 인증신호 또는 열쇠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정해진 곡선 구간을 회전 운동하는 막대수단; 상기 막대수단에 의해 직선 운동하며 출입문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를 변경하는 걸쇠;를 포함하는 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막대수단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과 제2방향으로의 회전에 각각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 측 끝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타 측 끝은 상기 막대수단의 끝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스프링의 양 끝은 상기 몸체 내부 및 상기 막대수단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리형태로 감겨지고,
상기 몸체 내부와 상기 막대수단은 상기 탄성 스프링의 양 끝이 걸릴 수 있 도록 일 방향으로 돌출된 핀을 각각 구비한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쇠는: 문 잠금장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쇠조작 또는 인증신호입력에 의한 모터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결합되는 한 쌍의 판재들; 상기 한 쌍의 판재들 사이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 및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에 회전 관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은 걸쇠가 문 잠금장치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판재들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걸쇠가 문 잠금장치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문틀 또는 스트라이크 부재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한 쌍의 판재들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한 쌍의 판재들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삼각형상의 머리부; 및 걸쇠의 문 잠금장치 내측으로의 이동 시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이 모아질 수 있도록 문 잠금장치의 벽면과 맞닿는 경사면을 갖는 몸통부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은 상기 탄성부재의 양 끝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면에 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은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의 회전 중심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 있는 위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된 걸쇠를 포함하는 문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 잠금장치의 내부에는, 상기 걸쇠가 문 잠금장치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이 오무려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의 경사면들과 각각 접촉하는 브래킷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문 잠금장치는 탄성 스프링이 걸쇠의 직선운동을 조력함과 동시에 걸쇠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실을 하므로, 수동 조작으로도 걸쇠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해 걸쇠가 오작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걸쇠가 2개의 갈고리부재들에 의해 문틀의 구멍 또는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와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악의의 제3자에 의한 문 잠금장치의 강제 조작 시에도 문의 잠금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걸쇠는 2개의 갈고리부재들이 탄성부재에 의해 돌출되고 문 잠금장치 몸체와의 접촉에 의해 중앙으로 정렬되는 구조이므로, 갈고리부재들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 및 구동력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걸쇠를 설명한 후 문 잠 금장치의 내부 특징을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문 잠금장치에 설치되는 갈고리형 걸쇠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갈고리형 걸쇠의 결합도이고, 도 5 ~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걸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걸쇠(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10), 한 쌍의 판재들(20, 30),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40, 50), 탄성부재(60)를 포함한다.
구동부재(10)는 문 잠금장치(도 1 참조)의 내부에 설치되며, 문 잠금장치에 설치된 구동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잠금장치의 구동수단이 조작막대(220)인 경우에는 구동부재(10)의 일면에 부채꼴 형상의 홈(12)이 형성되고, 문 잠금장치의 구동수단이 기어인 경우에는 구동부재(10)의 일면에 래크가 설치된다. 그러나, 구동부재(10)는 문 잠금장치의 구동수단에 의해 왕복이동이 가능한 범주에서 앞서 언급된 2가지 외에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판재들(20, 30)은 대체로 사각형태로 제작되며, 구동부재(10)의 일 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판재(20)는 구동부재(10)의 윗쪽에 설치되고, 제2판재(30)는 구동부재(10)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판재(20)와 제2판재(30) 사이에는 구동부재(10)의 두께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각 판재들(20, 30)에는 구동부재(10)와의 결합과 갈고리부재들(40, 50)의 회전 고정을 위한 구멍들(22, 32)이 형성된다.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40, 50)은 판재들(20, 30) 사이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 로 배치되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갈고리부재들(40, 50)은 실질적으로 걸쇠(100)의 잠금상태를 보강하는 머리부(42, 52)와 갈고리부재들(40, 50)의 몸체를 이루는 몸통부(44, 54)로 이루어진다.
머리부(42, 52)는 대체로 삼각형상이며, 갈고리부재들(40, 5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판재들(20, 3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몸통부(44, 54)는 갈고리부재들(40, 50)의 몸체를 이루며, 갈고리부재들(40, 50)의 회전 축이 설치될 수 있는 구멍(47, 57)과 갈고리부재들(40), 50)의 오무려짐을 가능케 하는 경사면(46, 56) 그리고 탄성부재(60)가 끼워질 수 있는 홈(48, 58)을 갖는다.
구멍(47, 57)은 몸통부(44, 54)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다. 구멍(47, 57)에는 판부재들(20, 30)의 구멍들(22, 32) 중 하나를 관통하는 핀 또는 기타 축 부재로서 활용이 가능한 볼트 등이 설치된다. 경사면(46, 56)은 몸통부(44, 54)의 바깥쪽 면에 형성되고, 문 잠금장치의 내부 벽면 또는 문 잠금장치에 설치된 브래킷 등과 접촉에 의해 갈고리부재들(40, 50)이 오무려질 수 있도록 유도 한다. 홈(48, 58)은 몸통부(44, 54)의 안쪽 면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홈(48, 58)은 갈고리부재들(40, 5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구멍들(47, 57)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지나는 몸통부(44, 54)의 안쪽 면에 형성된다(홈들(48, 58)이 서로 마주하고 있는 상태 기준임). 이와 같은 위치에 탄성부재(60) 설치를 위한 홈(48, 58)이 형성되면, 탄성부재(60)의 탄성력이 갈고리부재들(40, 50)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작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60)는 갈고리부재들(40, 50)의 홈들(48, 58)에 양 끝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갈고리부재들(40, 5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구실을 한다. 즉, 탄성부재(60)는 갈고리부재들(40, 50)이 서로 벌려지도록 회전하는 경우에는 갈고리부재들(40, 50)의 앞쪽(회전 중심을 이루는 구멍들(47, 57) 기준임)에 미는 힘을 가하고, 갈고리부재들(40, 50)이 서로 오무려지도록 회전하는 경우에는 갈고리부재들(40, 50)의 뒤쪽에 미는 힘을 가한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걸쇠(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겠다.
먼저, 본 고안의 걸쇠(100)는 문 잠금장치(20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몸통부(44, 54)의 경사면(46, 56)과 문 잠금장치(200)의 내벽 또는 문 잠금장치(200) 내측에 형성된 돌기 간의 접촉에 의한 힘(도 7에서 P1으로 표시됨)에 의해 일단 갈고리부재들(40, 50)이 조금 오무려진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0)가 갈고리부재들(40, 50)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오른쪽(도 7 기준 방향임)에 위치되므로, 탄성부재(60)의 탄성력이 갈고리부재들(40, 50)을 안쪽(즉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40, 50)이 오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여, 걸쇠(100)가 일반적인 걸쇠처럼 직육면체 형태를 취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의 열쇠조작 또는 인증신호 입력에 의한 걸쇠(100)의 돌출 이동 시에는, 몸통부(44, 54)의 돌출부(경사면(46, 56)의 반대측)에 가해지는 접촉 또는 타격(도 6에서 P2로 표시됨)에 의해 갈고리부재들(40, 50)이 조금 벌어진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0)가 갈고리부재들(40, 50)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왼쪽(도 6 기준 방향임)에 위치되므 로, 탄성부재(60)의 탄성력이 갈고리부재들(40, 50)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여, 걸쇠(100)가 돌기(즉, 갈고리부재들(40, 50)의 머리부(42, 52))를 갖는 형태로 변형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걸쇠(100)는 문틀(310)의 구멍 또는 스트라이커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 갈고리형태를 가지므로, 악의의 제3자가 지렛대 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문(300)을 강제로 열려할 때, 잠금상태를 지속적으로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걸쇠(100)는 갈고리부재들(40, 50)의 회전이 상당부분 탄성부재(6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문 잠금장치에 갈고리부재들(40, 50)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으며, 또한, 걸쇠(100)용 구동장치에 별도의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의 주요 내부구성을 설명하겠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의 내부 구성들 중 주요구성들만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에서 막대수단과 탄성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고리형 걸쇠(100)와 막대수단(220)과 탄성 스프링(230)이 설치된 몸체(202)를 포함한다. 참고로, 걸쇠(100)에 대해서는 위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막대수단(220)은 회전 축(20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수 단(도시되지 않음)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소정 구간 내에서 회전 운동한다. 즉, 막대수단(220)은 구동수단과 연결된 기어들과 맞물리는 기어부(222)와 걸쇠(100)의 홈(12)에 끼워지는 조작부(22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동수단이 작동하면, 구동수단과 맞물린 기어들에 의해 막대수단(220)의 기어부(222)가 회전하고, 걸쇠(100)의 홈(12)에 끼워진 막대수단(220)의 조작부(224)가 걸쇠(100)를 몸체(202) 외부로 밀어내거나 또는 몸체(202) 내부로 끌어당긴다. 참고로, 막대수단(220)의 조작부(224)에는 몸체(202)의 곡선 홈(208)에 삽입되는 제2핀(226)이 더 형성된다.
한편, 위와 같은 구조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막대수단(220)이 임의대로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변경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갈고리형 걸쇠(100)에 의해 위와 같은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걸쇠(100)와 다른 형태의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도록 탄성 스프링(2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탄성 스프링(230)은 도 9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2 방향으로 연장된 제1끝머리(232)와 제2끝머리(234)를 갖는 일종의 토션 스프링이다. 탄성 스프링(230)의 제1끝머리(232)는 몸체(202)의 제1핀(204)에 설치되고, 제2끝머리(234)는 막대수단(220)의 제2핀(226)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스프링(230)은 막대수단(220)가 곡선 홈(208)을 기준으로 양 끝(즉, A 및 B의 2 지점)에 위치되었을 때 이완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탄성 스프링(230)은 막대수단(220)가 지점 A 및 지점 B를 제외한 지점에 위치된 경우, 수 축 또는 압축된 상태가 되므로(도 10 참조), 탄성력을 바탕으로 막대수단(220)을 지점 A 또는 지점 B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몸체(202)의 작동상태를 도 9 ~ 도 11을 토대로 설명하겠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수단(220)이 지점 A 또는 지점 B에 위치된 경우에는, 탄성 스프링(230)이 이완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탄성 스프링(230)이 막대수단(220)에 아무런 힘을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수단(220)이 지점 A 및 지점 B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한 경우에는, 탄성 스프링(230)이 수축 또는 압축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탄성 스프링(230)이 막대수단(220)을 지점 A 및 지점 B 중 어느 한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막대수단(220)에 힘을 가한다. 참고로, 탄성 스프링(230)에 의한 막대수단(220)의 지점 A 및 지점 B로의 이동경향은 곡선 홈(208)의 대칭 지점(C)을 기준으로 나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막대수단(220)의 조작부(224)가 지점 C를 기준으로 왼쪽(도 9 기준 방향임)에 있으면, 탄성 스프링(230)이 조작부(224)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가하고, 이와 반대로, 막대수단(220)의 조작부(224)가 지점 C를 기준으로 오른쪽(도 9 기준 방향임)에 있으면, 탄성 스프링(230)이 조작부(22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문 잠금장치는 막대수단(220)의 위치가 탄성 스프링(230)에 의해 항상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가지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한 오작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문 잠금장치는, 막대수단(220)의 조작부(224)가 임계점(즉, 지점 C)를 지난 시점에서는, 탄성 스프링(230)이 막대수단(220)의 회전 동작을 조력하는 구실을 하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막대수단(220)을 조작하기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효과를 더욱더 향상시키기 위해 구동수단으로 무부하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걸쇠 구동구조를 도시한 문 잠금장치의 내부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충격에 의해 조작 막대가 걸쇠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문 잠금장치에 설치되는 갈고리형 걸쇠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갈고리형 걸쇠의 결합도이고,
도 5 ~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걸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의 내부 구성들 중 주요구성들만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문 잠금장치에서 막대수단과 탄성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문 잠금장치 202: 몸체
204: 제1핀 206: 회전 축
208: 곡선 홈 220: 막대수단
222: 기어부 224: 조작부
226: 제2핀 230: 탄성 스프링
232: 제1끝머리 234: 제2끝머리
100: 걸쇠 10: 구동부재
20, 30: 판재 40, 50: 갈고리부재
42, 52: 머리부 44, 54: 몸통부
46, 56: 경사면 60: 탄성부재(또는 코일 스프링)

Claims (6)

  1. 몸체 내부에, 인증신호 또는 열쇠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정해진 곡선 구간을 회전 운동하는 막대수단; 상기 막대수단에 의해 직선 운동하며 출입문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를 변경하는 걸쇠;를 포함하는 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막대수단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과 제2방향으로의 회전에 각각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 측 끝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타 측 끝은 상기 막대수단의 끝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의 양 끝은 상기 몸체 내부 및 상기 막대수단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리형태로 감겨지고,
    상기 몸체 내부와 상기 막대수단은 상기 탄성 스프링의 양 끝이 걸릴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돌출된 핀을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문 잠금장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쇠조작 또는 인증신호입력에 의한 모터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결합되는 한 쌍의 판재들;
    상기 한 쌍의 판재들 사이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 및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에 회전 관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은 걸쇠가 문 잠금장치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판재들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걸쇠가 문 잠금장치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문틀 또는 스트라이크 부재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한 쌍의 판재들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한 쌍의 판재들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삼각형상의 머리부; 및 걸쇠의 문 잠금장치 내측으로의 이동 시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이 모아질 수 있도록 문 잠금장치의 벽면과 맞닿는 경사면을 갖는 몸통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은 상기 탄성부재의 양 끝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면에 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재들의 회전 중심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 있는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20090016946U 2009-12-29 2009-12-29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0455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46U KR200455526Y1 (ko) 2009-12-29 2009-12-29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46U KR200455526Y1 (ko) 2009-12-29 2009-12-29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22U KR20110006722U (ko) 2011-07-06
KR200455526Y1 true KR200455526Y1 (ko) 2011-09-14

Family

ID=4508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946U KR200455526Y1 (ko) 2009-12-29 2009-12-29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2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950A (ja) * 1995-12-14 1997-06-24 Hinaka Seisakusho:Kk 引き戸用鎌錠
JPH1113331A (ja) 1997-06-26 1999-01-19 Itoki Crebio Corp 扉のラッチ装置
JP2003049572A (ja) 2001-08-03 2003-02-21 Shinkansai Bearing Co Ltd 鎌 錠
KR200410238Y1 (ko) 2005-12-21 2006-03-07 김재식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950A (ja) * 1995-12-14 1997-06-24 Hinaka Seisakusho:Kk 引き戸用鎌錠
JPH1113331A (ja) 1997-06-26 1999-01-19 Itoki Crebio Corp 扉のラッチ装置
JP2003049572A (ja) 2001-08-03 2003-02-21 Shinkansai Bearing Co Ltd 鎌 錠
KR200410238Y1 (ko) 2005-12-21 2006-03-07 김재식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22U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565B1 (ko) 개선된 회전식 차단 장치
US7836737B2 (en) Lock for pivotal doors and sliding doors
JP3681638B2 (ja) 電磁ロック機構
TWI611089B (zh) 裝設於雙扇門的鎖具構造
US20100263416A1 (en) Door Lock with Transmission Mechanism
JP6073950B2 (ja) 押し引きモーチスロック
US10626634B2 (en) Anti-barricading turn hub assembly for a door lockset
US20040145189A1 (en) Lock assembly with two hook devices
KR100872687B1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KR200456002Y1 (ko)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도어락
CN113167081B (zh) 锁组件
KR20090009954U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200455526Y1 (ko)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08039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200456973Y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0451041Y1 (ko) 충격에 의한 걸쇠의 강제이동을 방지하는 문 잠금장치
KR102261424B1 (ko) 안전도어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CN219281469U (zh) 锁舌组件以及锁体
EP3262256B1 (en) Universal lock with sliding stop mechanism
KR200478346Y1 (ko) 래치볼트의 좌우수 전환 구조체
CN115012740B (zh) 锁具、推拉门及储物柜
CN212773837U (zh) 一种锁舌驱动机构
JPH11117592A (ja) 引き出し回転型クレモンロック装置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