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454Y1 -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454Y1
KR200293454Y1 KR2020020022651U KR20020022651U KR200293454Y1 KR 200293454 Y1 KR200293454 Y1 KR 200293454Y1 KR 2020020022651 U KR2020020022651 U KR 2020020022651U KR 20020022651 U KR20020022651 U KR 20020022651U KR 200293454 Y1 KR200293454 Y1 KR 200293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ll
cam
locking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룡
Original Assignee
(주)화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진금속 filed Critical (주)화진금속
Priority to KR2020020022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454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케이스(10)에 코일스프링(22)으로 탄설되는 랫치볼트(20)와, 랫치볼트(2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는 가동플레이트(40)와, 가동플레이트(40)를 작동시키는 한쌍의 캠(50)(51)과, 캠의 가동을 제어하는 록킹바(30)로 구성된 통상의 도어랫치에 있어서,
록킹바(30)의 전, 후방에는 본체케이스(10)와 케이스덮개(12)에 각각 형성된 통공부(10a)(12a)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4)(35)를 형성하여 각 돌출부(34)(35)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공(34a)(35a)에 각각 록킹레버(36)(37)를 나사결합하고, 록킹바(30)의 중앙에는 돌출부(34)(35)와 직각방향으로 관통공(38)을 형성하여 내부에 코일스프링(38a)과 고정볼(38b)을 투입하여 고정볼(38b)이 안내블럭(14)에 형성된 위치설정공(14a)에 끼워질 수 있게하며, 가압돌부(32)가 형성된 반대쪽 측면에는 양측으로 곡면(39a)이 형성된 볼고정부(39)를 형성하여, 서로 맞붙어있는 내측캠(50)과 외측캠(51)에 각각 형성된 볼삽입홈(50b)(51b)과 안내블럭(14)의 전, 후 양측에 형성된 볼안착홈(14b)간에 안착된 한 쌍의 록킹볼(60)(61)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내측캠(50)과 외측캠(51)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므로서 도어랫치의 잠금 설정 및 해제가 도어랫치의 양방향에서 모두 가능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방향에 상관없이 도어랫치를 간편하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The full duplex locking equipment for door latch}
본 고안은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랫치가 설치된 출입문의 안쪽과 바깥쪽 양측에서 잠금장치를 설정, 해제할 수 있게 하므로서, 바깥쪽으로 밀어서 여는 문이나 안쪽으로 당겨서 여는 문에 상관없이 도어랫치의 간편한 설치가 가능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랫치란, 출입문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중에서 열쇠가 없이 록킹바를 누르거나 당겨내서 잠금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한 잠금장치의 일종으로서, 열쇠를 이용하지 않기때문에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일반 방문이나 또는 욕실문등에 많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랫치는 기본적인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본체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문틀에 형성되는 볼트삽입부를 출입하며 문이 고정되게 하는 랫치볼트(20')와, 랫치볼트(20')의 가동을 제어하여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록킹레버(36')가 설치되는 록킹바(34')와, 랫치볼트를 가동시키는 가동플레이트(40') 및 가동플레이트를 작동시키기위해 문손잡이의 스핀들이 끼워지는 스핀들결합공(50a')를 형성한 캠(50')(51')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도어래치는 문의 잠금을 제어하는 록킹바가 도어랫치의 일측으로만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통상적으로 한 방향으로만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이 말은 문을 잠그는 록킹바를 반드시 문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도어랫치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랫치에서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위한랫치볼트는 통상적으로 문이 닫히는 쪽으로 곡면을 형성한 상태로 설치되기때문에, 일반적인 도어랫치는 바깥쪽으로 밀어서 열리는 문에 설치해야 한다는 제약이 생긴다.
그러나, 건물에 설치되는 출입문 중에는 바깥쪽으로 밀어서 열리는 문만 있는것이 아니라, 이와 정 반대방향으로 안쪽으로 당겨서 여는 문도 있기때문에 이러한 문에 도어랫치를 설치할때는 록킹바를 문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랫치볼트의 곡면이 형성된 방향을 반대로 뒤집어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랫치볼트를 반대로 뒤집기 위해서는 본체케이스 내부에서 코일스프링으로 탄설된 랫치볼트를 강제로 당겨낸 후 방향으로 돌려야 하기때문에 작업이 불편할 뿐 만 아니라, 랫치볼트를 반대방향으로 뒤집는 경우에는 본체케이스의 설치면에 부착되는 커버(100)의 작동공(101)과 랫치볼트(20')간의 유격이 어긋나서 랫치볼트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랫치의 내부에 이중캠을 설치하여 각 캠에 잠금설정을 위한 록킹볼을 설치하고, 양방향에서 작동이 가능케 설치된 록킹바에는 록킹볼의 선택적인 고정을 위한 볼고정부를 형성하므로서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 설정이 가능케하여 문을 여는 방향에 상관없이 어느 방향으로든지 도어랫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랫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랫치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횡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도어랫치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횡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어랫치를 문의 안쪽에서 잠금설정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횡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도어랫치가 설치된 문이 잠금설정된 상태일때의 정면
횡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도어랫치를 문의 바깥쪽에서 잠금 설정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횡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도어랫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케이스 12 : 케이스덮개
10a, 12a : 통공부 14 : 안내블럭
14a : 위치설정공 14b : 볼안착홈
16 : 랫치커버 16a : 작동공
20 : 랫치볼트 22 : 코일스프링
30 : 록킹바 32 : 가압돌부
34, 35 : 돌출부 34a, 35a : 나사공
36, 37 : 록킹레버 38 : 관통공
38a : 코일스프링 38b : 고정볼
39 : 볼고정부 39a : 곡면
40 : 가동플레이트 42 : 캠걸림공
50 : 내측캠 51 : 외측캠
50a, 51a : 스핀들결합공 50b, 51b : 볼삽입홈
60, 61 : 록킹볼 70 : 문손잡이
72 : 스핀들 80 : 문틀
90 : 문
본체케이스(10)에 코일스프링(22)으로 탄설되는 랫치볼트(20)와, 랫치볼트(2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캠걸림공(42)을 형성한 가동플레이트(40)와, 문손잡이의 스핀들이 끼워지는 스핀들결합공(50a)(51a)을 형성하여 가동플레이트(40)를 작동시키는 한쌍의 캠(50)(51)과, 캠의 가동을 제어하여 도어랫치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본체케이스(10) 내부의 안내블럭(14)에 설치되는 록킹바(30)로 구성된 통상의 도어랫치에 있어서,
록킹바(30)의 전, 후방에는 본체케이스(10)와 케이스덮개(12)에 각각 형성된 통공부(10a)(12a)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4)(35)를 형성하여 각 돌출부(34)(35)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공(34a)(35a)에 각각 록킹레버(36)(37)를 나사결합하고,
록킹바(30)의 중앙에는 돌출부(34)(35)와 직각방향으로 관통공(38)을 형성하여 내부에 코일스프링(38a)과 고정볼(38b)을 투입하여 고정볼(38b)이 안내블럭(14)에 형성된 위치설정공(14a)에 끼워질 수 있게하며, 가압돌부(32)가 형성된 반대쪽 측면에는 양측으로 곡면(39a)이 형성된 볼고정부(39)를 형성하여,
서로 맞붙어있는 내측캠(50)과 외측캠(51)에 각각 형성된 볼삽입홈(50b)(51b)과 안내블럭(14)의 전, 후 양측에 형성된 볼안착홈(14b)간에 안착된 한 쌍의 록킹볼(60)(61)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내측캠(50)과 외측캠(51)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어랫치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록킹바(30)를 도어랫치의 전, 후 양측 어디에서든지 작동시킬 수 있기때문에, 문이 여닫히는 방향에 상관없이 도어랫치를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을 실시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랫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체케이스(10')의 설치면 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랫치볼트(20')는 일측으로 곡면(39a')이 형성되어 이 곡면(39a')이 도어랫치를 문에 설치했을때, 문이 닫히는 쪽으로 향하게 되며, 그 방향이 바로 문의 안쪽이 되기때문에 이 방향으로 록킹바(30')의 돌출부(34')가 돌출되어 그 단부에 록킹레버(36')가 설치되게된다.
이에 반해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외형상으로는 종래의 도어랫치와 흡사하나,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록킹바(30)의 돌출부(34)(35)가 본체케이스(10)와 케이스덮개(12) 양측으로 모두 돌출되어 각각의 돌출부(34)(35)에 록킹레버(36)(37)가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도어랫치의 양측방향에서 도어랫치의 잠금설정 및 잠금해제가 가능케 되는데, 이러한 본 고안의 도어랫치가 잠금이 설정되거나 해제되는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6은 록킹바(30)가 잠금해제 상태일때를 나타낸 평면 횡단면 예시도로서 록킹바(30)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8) 내부에 투입된코일스프링(38a)에 의해 탄설된 고정볼(38b) 안내블럭(14)에 형성된 위치설정공(14a)에 끼워진 상태이기때문에, 록킹바(30)는 고정볼(38b)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록킹바(30)가 잠금해제인 상태에서 문을 여닫기위해 문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문손잡이의 스핀들(72)이 끼워지는 내측캠(50)이나 외측캠(51)은 모두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기때문에, 내측캠(50)이나 외측캠(51)의 회전에 의해 가동플레이트(40)가 후퇴하면서, 랫치볼트(20)가 작동하여 문을 여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6은 도어랫치를 문의 안쪽에서 잠금설정한 상태를 나타낸평면 횡단면 예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문의 안쪽(IN)에서 록킹바(30)의 돌출부(34)에 설치된 록킹레버(36)를 누르게되면, 록킹바(30)는 본체케이스(10) 내부로 투입되면서 록킹바(30)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고정부(39)가 외측캠(51)의 볼삽입홈(51b)에 끼워져 있는 록킹볼(61)과 밀착되면서 록킹볼(61)을 볼삽입홈(51b) 내부에서 고정시키므로서 볼삽입홈(51b)에 끼워져 있는 록킹볼(61)은 안내블럭(14)에 형성된 볼안착홈(14b)과 외측캠(51)에 형성된 홈에 반반씩 설쳐진 상태에서 록킹바(30)의 볼고정부(39)에 의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록킹볼(61)이 고정되게되면, 문의 바깥쪽에서 문손잡이를 회전시켜 랫치볼트(20)를 후퇴시키려하면,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록킹볼(61)에 의해 문손잡이의 스핀들(72)이 끼워진 외측캠(51)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외측캠(51)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기때문에 외측캠(51)에 의한 가동플레이트(40)의 작동을 차단하여 랫치볼트(20)가 후퇴하지 않게 하므로서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8은 위에서 도 6내지 도 7을 기준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반대방향(OUT)으로 록킹바(30)를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인 작동은 동일하되, 다만, 록킹볼(60)이 내측캠(50)에 형성된 볼삽입홈(50b)에 끼워지므로서 내측캠(50)의 회전을 억제하여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차이점이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기본작동과 크게 다르지 않기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랫치의 잠금 설정 및 해제가 도어랫치의 양방향에서 모두 가능하기때문에, 도어랫치의 설치방향이 반대가 되더라도 록킹바의 작동이 어느 방향에서든지 가능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방향에 상관없이 도어랫치를 간편하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본체케이스(10)에 코일스프링(22)으로 탄설되는 랫치볼트(20)와, 랫치볼트(2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캠걸림공(42)을 형성한 가동플레이트(40)와, 문손잡이의 스핀들이 끼워지는 스핀들결합공(50a)(51a)을 형성하여 가동플레이트(40)를 작동시키는 한쌍의 캠(50)(51)과, 캠의 가동을 제어하여 도어랫치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본체케이스(10) 내부의 안내블럭(14)에 설치되는 록킹바(30)로 구성된 통상의 도어랫치에 있어서,
    록킹바(30)의 전, 후방에는 본체케이스(10)와 케이스덮개(12)에 각각 형성된 통공부(10a)(12a)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4)(35)를 형성하여 각 돌출부(34)(35)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공(34a)(35a)에 각각 록킹레버(36)(37)를 나사결합하고,
    록킹바(30)의 중앙에는 돌출부(34)(35)와 직각방향으로 관통공(38)을 형성하여 내부에 코일스프링(38a)과 고정볼(38b)을 투입하여 고정볼(38b)이 안내블럭(14)에 형성된 위치설정공(14a)에 끼워질 수 있게하며, 가압돌부(32)가 형성된 반대쪽 측면에는 양측으로 곡면(39a)이 형성된 볼고정부(39)를 형성하여,
    서로 맞붙어있는 내측캠(50)과 외측캠(51)에 각각 형성된 볼삽입홈(50b)(51b)과 안내블럭(14)의 전, 후 양측에 형성된 볼안착홈(14b)간에 안착된 한 쌍의 록킹볼(60)(61)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내측캠(50)과 외측캠(51)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KR2020020022651U 2002-07-29 2002-07-29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KR200293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651U KR200293454Y1 (ko) 2002-07-29 2002-07-29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651U KR200293454Y1 (ko) 2002-07-29 2002-07-29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454Y1 true KR200293454Y1 (ko) 2002-10-31

Family

ID=7312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651U KR200293454Y1 (ko) 2002-07-29 2002-07-29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4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762U (ko) * 2014-08-27 2016-03-08 한국철도공사 양방향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762U (ko) * 2014-08-27 2016-03-08 한국철도공사 양방향 잠금장치
KR200480652Y1 (ko) * 2014-08-27 2016-06-21 한국철도공사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964B2 (en) Flush mounted latch
CN111386378A (zh) 一种铰链封闭件
US7240523B2 (en) Slide latch assembly
US20020060456A1 (en) Spring-loaded camlock
KR200293454Y1 (ko)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20110003030U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50108689A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EP0552033B1 (en) Locking handle
KR200293324Y1 (ko) 도어랫치의 잠금 해제장치
KR200293455Y1 (ko)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GB222635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ndle assemblies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KR100360849B1 (ko)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KR100436497B1 (ko)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JP7238091B2 (ja) 錠アセンブリ
US11976503B2 (en) Wrap-around gate latch
KR200444843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1383622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KR100215646B1 (ko) 잠김방지장치를 구비한 문개폐구
KR100365502B1 (ko) 잠금장치
KR200352130Y1 (ko) 출입문용 안전 도어록 장치
GB2593480A (en)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