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52Y1 -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52Y1
KR200480652Y1 KR2020140006355U KR20140006355U KR200480652Y1 KR 200480652 Y1 KR200480652 Y1 KR 200480652Y1 KR 2020140006355 U KR2020140006355 U KR 2020140006355U KR 20140006355 U KR20140006355 U KR 20140006355U KR 200480652 Y1 KR200480652 Y1 KR 200480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device
binding member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762U (ko
Inventor
정봉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2020140006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5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8Hasp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ㄷ'자 형태의 둘출부를 이용해 문과 결속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결속부재가 구성되는 문 및 고정되는 결속부재중 어느 하나의 문에서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결합이 가능한 잠금장치이다.

Description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made available inside and outside}
본 고안은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의 안과 밖에서 개폐가 가능한 양방향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는 출입문의 안쪽방향과 바깥쪽방향 중 한 방향으로만 쇄정이 가능한 제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출입문은 특정 출입문 이용 시 먼저 출입한 작업자가 울타리 진입 후 안쪽에서 잠금장치를 쇄정하면, 이후 같은 출입문을 이용하고자 하는 작업자는 동일 출입문을 이용할 수 없어, 인근의 다른 출입문을 이용하기 위하여 우회하여 진입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양방향에서 이용 가능한 잠금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양방향에서 개폐가 가능한 종래의 양방향 잠금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잠금장치는, 천공된 가이드편(2)이 일체로 구비된 고정틀체(10)와 'ㄱ'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방향으로 통공(3a)이 구비된 잠금편(3)이 일체로 구비되며 손잡이(4)가 양측에 형성된 빗장부재(20)와, 고정틀체(10)와 일체로 형성된 설치공이 형성된 고정판(5)과, 고정판(5)과 고정틀체(10) 사이에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간부(30)와 빗장부재(20)가 걸리도록 반대쪽 출입문에 구비된 고정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방향 잠금장치는 기존의 잠금장치에 비하여 내측 또는 외측에서 잠금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ㄱ'자 형의 빗장부재(20)가 반대쪽 출입문에 구비된 고정공과 정확히 일치해야만 쇄정결합이 가능하므로 빗장부재(20)가 설치되는 문 또는 반대쪽 출입문의 처짐 발생 시 쇄정결합이 어렵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실용실안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9-000341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잠금장치가 구성되는 문 또는 쇄정결합 하는 문의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쇄정결합이 가능한 양방향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는, 개폐가 가능한 문(100); 상기 문(100)의 폭 방향 일단에 상기 문(100)과 대응하여 구성되는 결속부재(200); 상기 문(100)의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잠금장치(300); 상기 잠금장치(300)는, 잠금시 상기 문(100)의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320)는,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 사이에 상기 결속부재(200)의 두께방향 양면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100)은, 두께 방향으로 개통된 천공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120)는 상기 문(100)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부(121)가 구성되며,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문(100)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121)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천공부(120)를 통하여 상기 문(100)의 내측과 외측에서 슬라이드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는, 일측이 개통된 고정홈(321)이 형성되고,상기 고정홈(321)에 상기 결속부재(200)가 끼워져 결합하며, 상기 결속부재(200) 및 상기 문(100)의 높이방향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결속부재(200)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는, 서로 마주보는 양면에 롤러(312)가 구성되어, 상기 잠금장치(300)와 상기 결속부재(200)의 결합을 유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300)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 사이에 일측 방향으로 결합버튼(330)이 구성되고, 상기 잠금장치(300)가 상기 결속부재(200)와 끼움 결합하여 상기 결합버튼(330)을 압박하면, 상기 돌출부(320)에서 상기 고정홈(321)으로 결합편(340)이 돌출되어 상기 결속부재(200)를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공부(120)는, 상기 문(10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편(122)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고정편(122)과 쇄정 결합되는 끼움편(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100)은, 상기 끼움편(35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편(122)과 상기 끼움편(350)을 쇄정하는 자물쇠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는, 쇄정 결합을 위하여 구성되는 고정편 및 끼움편이 하나의 문에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편과 끼움편이 문의 양측에 각기 구성되어 하나의 문이 처지면 결속이 어려웠던 기존의 문과 다르게,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결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한 쌍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롤러가 구성되어 결속부재와의 슬라이딩 결합 시 돌출부와 결속부재의 마찰작용을 최소화 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결합버튼이 구성되어 결속부재와의 슬라이딩 결합에 따라 결합버튼이 압박되면, 돌출부 내측에 구성되는 결합편이 한 쌍의 돌출부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을 통하여 돌출되어 결속부재와 2차 결합을 이룸으로써, 결속부재와 문의 결합을 공고히 한다.
또한, 문에 하우징이 구성되어 고정편과 끼움편을 쇄정결합하는 자물쇠를 보호함으로써, 자물쇠 파손에 의하여 일어나는 외부인 출입을 예방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양방향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전체 사시도(고정편 및 끼움편 분리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전체 사시도(고정편 및 끼움편 결합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평면도(롤러 결합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평면도(결합버튼 및 결합편 결합시).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1000)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1000)는 문(100), 결속부재(200), 및 잠금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문(100)은 일측에 상기 문(100)의 두께 방향으로 개통된 천공부(120)가 구성되고, 일측단에 문(100)의 높이방향으로 구성된 문틀(11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천공부(120)는 하단에 상기 문(100)의 폭 방향으로 구성된 가이드부(121)와 상기 문틀(110)에서 천공부(120)로 돌출된 고정편(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문(1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양단에서 상기 결속부재(200)가 구성되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320), 및 상기 몸체(310)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21)와 결합하는 결합부재(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몸체(310)에서 상기 문(100)의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편(350)과 상기 한 쌍의 돌출부(320)사이에 구성되는 고정홈(321)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200)는 상기 문(100)의 일측단에 문(100)의 폭 방향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200)는 상기 문(100)과 결합하여 외부의 출입자를 방비하기 위한 역할을 하므로, 문(100)과 결합 가능한 벽, 기둥, 개폐식문과 같은 다양한 대상이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결속부재(200)는 상기 잠금장치(300)를 통하여 상기 문(100)과 결합 가능하고,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 가능하면 충분하다.
즉, 상기 문(100)은 상기 천공부(120)에 결합된 상기 잠금장치(300)를 통하여 상기 결속부재(200)와 결합하여, 외부인의 통제를 제한하는 것이다.
도 3에서는 본 고안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1000)를 구성하는 상기 문(100)과 상기 결속부재(200)가 상기 잠금장치(300)를 통하여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몸체(3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재(360)와, 상기 천공부(12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기 가이드부(121)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하여 상기 문(10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21)는 상기 결합부재(360)와 결합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문(100)의 폭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결합부재(360)가 상기 가이드부(121)에 형성된 홈에 결합하여, 상기 천공부(120)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60)는 타측단에 상기 문(100)의 높이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361)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장치(30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부(121)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이 가능하지만, 상기 가이드부(121)상에 형성된 홈이 녹슬게 되면 상기 결합부재(360)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부(121)의 재질은 쉽게 녹슬지 않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탄소강과 같은 부식에 강한 재질을 권장한다.
또한, 도3에서는 상기 가이드부(121)의 홈이 개통되어 상기 결합부재(360)가 외부에 노출된 도면을 도시하였지만, 가이드부(121)는 폭 방향으로 통공이 천공되고, 가이드부(121)의 통공에 결합부재(360)가 끼워지는 결합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60)가 상기 가이드부(121)에 형성된 통공에 끼워져 외부에서 상기 잠금장치(300)의 조작이 어려워지므로, 잠금장치(30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361)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21)는 두께방향 양면에 상기 손잡이(361)가 끼워져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가이드부(121)에 형성된 통공에 끼워지는 상기 결합부재(360) 타측단에 가이드부(121)양면에 형성된 한 쌍의 통공 밖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손잡이(36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361)는 상기 가이드부(121)의 두께방향 양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잠금장치(300)를 이동 제어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잠금장치(300)와 상기 문(100)의 결합관계는 홈을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 외에도 다양한 이동결합 구조가 가능하며, 상기 잠금장치(300)가 상기 문(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속부재(200)와 끼움결합 하면 충분하므로 방법은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끼움편(350)은 상기 잠금장치(300)의 이동방향으로 관통된 제1 결합공(35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잠금장치(300)가 상기 가이드부(121)를 따라서 상기 문(1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끼움편(350)이 상기 문틀(110)에 형성된 고정편(122)에 끼움결합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편(122)은 타측에 상기 문(100)의 두께 방향으로 천공처리된 제2 결합공(123)이 형성되고, 제2 결합공(123)은 상기 끼움편(350)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편(350)에 형성된 제1 결합공(351)에 상기 고정편(122)이 끼워지고, 고정편(122)에 자물쇠가 채워져 상기 잠금장치(300)과 상기 문(100)이 쇄정결합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문틀(110) 및 상기 결속부재(200)의 두께거리 이상 상호 이격되어 고정홈(321)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장치(300)가 상기 천공부(12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홈(321)에 상기 결속부재(200)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의 이격 거리는 상기 결속부재(200) 및 상기 문틀(110)의 끼움결합이 용이하고, 결속부재(200)가 끼움결합 후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면 충분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잠금장치(300)가 상기 결속부재(200)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가 상기 결속부재(200)의 양면과 각각 맞닿아 고정결합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300)가 가이드부(121)를 따라 상기 천공부(12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돌출부(320)가 상기 결속부재(200)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끼움편(350)이 상기 고정편(122)과 쇄정 결합되어 상기 문(100)과 결속부재(200)가 고정결합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1000)는 상기 문(100)의 양면에 상기 천공부(120)를 덮는 하우징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잠금장치(300)와 상기 결속부재(200)를 쇄정하는 자물쇠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문(100)의 양면에 구성되어 상기 천공부(120)를 보호하는 방법 이외에도, 상기 문틀(110)에서 상기 고정편(122)의 양면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도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자물쇠를 보호하면 충분하므로 그 방법 및 구성의 위치는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잠금장치(300)의 이동 및 상기 잠금장치(300)와 상기 결속부재(200)의 쇄정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통공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상기 잠금장치(300)의 이동방향으로 하나의 통공이 구성될 수 있고, 잠금장치(300)의 이동과 잠금장치(300) 및 결속부재(200)의 쇄정을 위한 통공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잠금장치(300)의 사용이 용이할 정도면 충분하므로 크기와 개수 및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인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1000)에 구비된 상기 잠금장치(30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돌출부에 롤러가 구성된 잠금장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320)가 마주보는 내측 면에 복수개의 롤러(322)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롤러(322)는 상기 돌출부(320) 내측 면에 구성된 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잠금장치(300)가 상기 결속부재(200)에 끼움결합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322)는 상기 결속부재(200)와 상기 잠금장치(300)의 기울기가 어긋나 생겨나는 마찰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돌출부(320)가 상기 결속부재(200)의 양면과 맞닿아 생기는 마찰과 마찰에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현상을 예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롤러(322)는 상기 돌출부(320)에 구성된 홈에 끼워지는 구조 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므로 결합 구조는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2] 결합버튼 및 결합편이 구성된 잠금장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몸체(310)의 일측면에 결합버튼(330)이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320)의 내측 홈에 결합편(340)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버튼(330)은 상기 돌출부(320)사이에 상기 잠금장치(300)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편(340)은 돌출부(320)의 내측면에 구성된 고정홈(321)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편(340)과 상기 결합버튼(330)은 서로 연결되어, 결합버튼(330)이 압박 받으면 상기 결합편(340)이 튀어나오는 구조를 가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편(340)은 상기 몸체(310) 및 상기 돌출부(320) 내부에 구성된 'ㄷ'자 구조를 가지는 홈에 끼움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결합버튼(330)이 압박되어 상기 결합편(340)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어주면, 상기 돌출부(320) 및 상기 몸체(310) 내부에 구성된 홈에서 상기 결합편(340)이 타측으로 밀리며 상기 고정홈(321)으로 상기 결합편(340)이 튀어나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편(340)은 상기 결합버튼(330)의 압박에 따라 상기 돌출부(320)로 돌출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가지는 두가지 재질이 복층으로 결합되어 상기 결합편(340)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으로 휘어지는 성질을 가지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321)로 돌출된 상기 결합편(340)은 상기 결합버튼(330)이 압박되지 않을 경우 상기 몸체(310) 및 상기 돌출부(320)의 내부에 구성된 홈으로 리턴되기 위하여, 상기 몸체(310)의 내부 타측면에 구성된 스프링과 연결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리턴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추천한다.
상기 결합편(340)과 상기 결합버튼(330)의 연결구조는 상기와 같은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지만, 결합버튼(330)이 압박됨에 따라 결합편(340)이 상기 고정홈(321) 외부로 돌출되고, 결합버튼(330)이 압박되지 않을 시 고정홈(321) 내부로 리턴되면 충분하므로 결합편(340)과 결합버튼(330)의 연결구조는 상기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잠금장치(300)가 상기 가이드부(121)를 따라 가이드부(121)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버튼(330)은 상기 문(100)의 일측단에 구성된 문틀(110)에 압박을 받게 되고, 상기 결합편(340)이 상기 고정홈(321)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속부재(200)를 압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200)는 상기 결합편(340)과 대응하는 홈이 양면에 형성되어 결합편(340)과 상기 결속부재(200)의 결합을 공고히 한다.
본 고안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100 : 문
110 : 문틀
120 : 천공부 121 : 가이드부
122 : 고정편 123 : 제2 결합공
200 : 결속부재
300 : 잠금장치
310 : 몸체
320 : 돌출부 321 : 고정홈
322 : 롤러
330 : 결합버튼
340 : 결합편
350 : 끼움편
351 : 제1 결합공
360 : 결합부재

Claims (8)

  1.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로써,
    개폐가 가능한 문(100);
    상기 문(100)의 폭 방향 일단에 상기 문(100)과 대응하여 구성되는 결속부재(200); 및
    상기 문(100)의 폭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잠금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300)는, 잠금시 상기 문(100)의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320)가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 사이에 상기 결속부재(200)가 끼움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는, 서로 마주보는 양면에 롤러(3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10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100)은, 두께 방향으로 개통된 천공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120)에 상기 문(100)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부(121)가 구비되어,
    상기 잠금장치(30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천공부(120)를 통하여 상기 문(100)의 내측과 외측에서 슬라이드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는, 일측이 개통된 고정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21)에 상기 결속부재(200)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300)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돌출부(320) 사이에 일측 방향으로 결합버튼(330)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300)가 상기 결속부재(200)와 끼움 결합하여 상기 결합버튼(330)을 압박하면,
    상기 돌출부(320)에서 상기 고정홈(321)으로 결합편(340)이 돌출되어 상기 결속부재(200)를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120)에는, 상기 문(10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편(122)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고정편(122)과 쇄정 결합되는 끼움편(350)을 포함하는,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100)은, 양면에 상기 천공부(120)를 덮는 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잠금장치(300)와 상기 잠금장치(300) 및 상기 결속부재(200)를 쇄정하는 자물쇠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KR2020140006355U 2014-08-27 2014-08-27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KR200480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55U KR200480652Y1 (ko) 2014-08-27 2014-08-27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55U KR200480652Y1 (ko) 2014-08-27 2014-08-27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62U KR20160000762U (ko) 2016-03-08
KR200480652Y1 true KR200480652Y1 (ko) 2016-06-21

Family

ID=5553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355U KR200480652Y1 (ko) 2014-08-27 2014-08-27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5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54Y1 (ko) * 2002-07-29 2002-10-31 (주)화진금속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2947A (en) * 1989-03-03 1992-12-22 Itt Corporation Power striker for sliding door latch
KR20090003414A (ko) 2007-06-08 2009-01-12 주식회사 스타뱅크 공인전자문서보관소와 전자서명 공인인증서를 이용한부동산 계약의 전자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54Y1 (ko) * 2002-07-29 2002-10-31 (주)화진금속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62U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6873B2 (ja) 開閉装置
KR101918592B1 (ko) 창호용 무락핸들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101237642B1 (ko)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KR101507745B1 (ko) 미닫이창용 잠금장치
KR200480652Y1 (ko) 문의 안 또는 바깥에서 개폐가 가능한 잠금장치
KR200489085Y1 (ko) 잠금장치용 창문 손잡이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61180Y1 (ko) 회전 잠금 타입 창문용 잠금장치
JP2003143268A5 (ko)
JP6414889B2 (ja) 開き扉の施解錠機構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101817762B1 (ko)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
KR101990693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JP2012062617A (ja) 框内蔵型施錠装置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20200142334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053339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100125151A (ko) 창문의 잠금장치
JP4295605B2 (ja) 開閉装置
KR100631100B1 (ko)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JP6238337B2 (ja) 引戸ラッチ装置
JP3981950B2 (ja) 落し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