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601Y1 - 자동 미닫이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미닫이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3601Y1 KR200463601Y1 KR2020100006730U KR20100006730U KR200463601Y1 KR 200463601 Y1 KR200463601 Y1 KR 200463601Y1 KR 2020100006730 U KR2020100006730 U KR 2020100006730U KR 20100006730 U KR20100006730 U KR 20100006730U KR 200463601 Y1 KR200463601 Y1 KR 2004636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door
- bracket
- door
- latch
- doo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05D15/063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by vertical bol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문틀;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미닫이문; 상기 문틀에 설치되어 상기 미닫이문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미닫이문에 설치되고, 감지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미닫이문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걸쇠를 포함하는 걸쇠 뭉치; 및 상기 미닫이문의 여닫힘을 감지하고, 상기 걸쇠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미닫이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장을 사용한 강제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 기능을 보강한 자동 미닫이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 등의 공동현관이나 특수한 장소(출입통제를 위한 경찰서, 교도소, 은행금고 외) 또는 기타 자동문이 필요한 장소에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 미닫이문(이하에서는 간단히 자동문이라고 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문은 인증신호 또는 출입자의 이동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문을 열거나 닫는다. 이러한 자동문은 사용자가 문 손잡이를 잡고 밀거나 당길 필요가 없으므로, 물건을 들고 출입하거나 또는 손이 오염되어 손으로 문을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에 매우 유리하다.
자동문은 문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조작된다. 구동수단은 모터와 다수의 기어와 벨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자동문을 일 방향(또는 열림 방향) 및 타 방향(또는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실을 한다. 아울러, 구동수단은 모터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모터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동문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잠금 수단의 기능도 병행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문은 구동수단에 의해 문의 닫힘과 열림 작동이 자동으로 수행되면서, 구동수단에 의해 자동문의 잠금 작동이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자동문은 구동수단에 의한 문의 잠금 상태가 견고하지 않고 구동수단이 지탱할 수 있는 외력의 한계가 일반적인 잠금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으므로, 악의를 가진 제3자가 지렛대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문을 쉽게 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문의 여닫힘 작동에 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자동문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잠금 구조를 갖는 자동문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문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잠금 구조를 갖는 자동 미닫이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틀;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미닫이문; 상기 문틀에 설치되어 상기 미닫이문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미닫이문에 설치되고, 감지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미닫이문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걸쇠를 포함하는 걸쇠 뭉치; 및 상기 미닫이문의 여닫힘을 감지하고, 상기 걸쇠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미닫이문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쇠 뭉치는, 상기 미닫이문에 설치되는 고정 축; 상기 고정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미닫이문을 관통하여 아래쪽 문틀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는 걸쇠; 및 상기 미닫이문과 상기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을 위쪽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미닫이문을 향해 하향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과 접촉 또는 맞물리는 감지부분; 및 상기 감지부분을 매개로 상기 브래킷을 아래쪽으로 미는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래킷은 문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됨과 아울러 구멍이 형성된 연장부분을 가지며,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부분은 상기 구멍에 끼워지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선택적으로, 아래쪽 문틀을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쇠의 끝 부분의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래쪽 문틀에는 상기 걸쇠의 끝 부분이 끼워지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멍의 내측 면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홈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걸쇠의 끝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은 자동 미닫이문의 작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걸쇠를 통해 자동 미닫이문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므로, 도구를 이용한 강제침입 시에도 자동 미닫이문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동 미닫이문의 닫힘 또는 열림 작동에 따라 걸쇠가 자동으로 잠금 작동 또는 잠금 해제 작동하므로, 자동 미닫이문의 여닫힘 작동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미닫이문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미닫이문 장치의 걸쇠 뭉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미닫이문 장치 중 감지수단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4a ~ 도 4c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걸쇠 뭉치와 감지수단을 구비한 자동 미닫이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미닫이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걸쇠와 문틀의 결합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미닫이문 장치의 걸쇠 뭉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미닫이문 장치 중 감지수단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4a ~ 도 4c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걸쇠 뭉치와 감지수단을 구비한 자동 미닫이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미닫이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걸쇠와 문틀의 결합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미닫이문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미닫이문 장치의 걸쇠 뭉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미닫이문 장치 중 감지수단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4a ~ 도 4c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걸쇠 뭉치와 감지수단을 구비한 자동 미닫이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미닫이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걸쇠와 문틀의 결합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제1실시형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미닫이문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0), 미닫이문(30), 구동수단(40), 걸쇠 뭉치(50), 감지수단(60)을 포함한다.
문틀(20)은 출입구에 설치되며, 미닫이문(30)이 설정된 이동경로로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구실을 한다. 문틀(20)에는 미닫이문(30), 구동수단(40), 감지수단(60)이 설치된다. 그리고 아래쪽 문틀(20)에는 뒤에서 설명할 걸쇠가 삽입되는 결합구멍(22)이 형성된다. 참고로, 결합구멍(22)은 경우에 따라 문틀(20)이 아닌 바닥에 형성될 수도 있다.
미닫이문(30)은 문틀(20)에 미끄럼이동 또는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미닫이문(30)은 바퀴 또는 호차 등과 같은 구름 수단을 구비한다. 참고로, 문틀(20)에는 한 쌍의 미닫이문들(3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미닫이문(30)만이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 쌍의 미닫이문(30) 중 하나는 필요한 경우에만 움직이도록 평상 시에는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미닫이문(30)은 걸쇠(56)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관통구멍과 설치공간을 갖는다. 걸쇠(56)의 설치공간은 미닫이문(30)에서 문틀(20)과 가까운 부분(도 1 기준으로 왼쪽)에 마련된다.
한편, 미닫이문(30)에는 보조 문(3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보조 문(32)은 비상 시(자동 미닫이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정전 시 또는 화재 시 등)에도 실내 측에 있는 사람의 출입을 가능케 한다. 보조 문(32)은 경첩(34)을 매개로 아무런 전기적인 동력 없이 미닫이문(3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조 문(32)은 미닫이문(30)에서 평상 시 견고하게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보조 문(32)의 설치구조 및 고정구조는 통상적인 회전식 출입문의 구조를 따른다. 이러한 구조는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에서는 당업자라고 한다)가 이미 지득하고 있거나 또는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수단(40)은 문틀(20)에 설치되며, 미닫이문(30)의 여닫힘 작동을 직접적으로 조작하는 구실을 한다. 구동수단(40)은 모터(42)와 복수의 도르래(44)와 벨트(46)를 포함한다. 모터(42)는 문틀(20)에 고정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도르래(44)를 회전시킨다.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임)의 도르래(44)는 문틀(20)에 일정간격(통상적으로는 미닫이문(30)의 이동폭보다 큰 거리)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르래(44) 중 하나(모터(42)에 의해 회전되는 도르래)는 벨트(46)를 마찰 또는 맞물림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톱니 또는 V형 홈을 갖는 형태)를 갖는다. 벨트(46)는 2개의 도르래(44)를 기점으로 설치되어 하나의 무한 궤도를 형성하고, 도르래(4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구조(예를 들어, 도르래의 톱니와 맞물리는 이빨 또는 구멍 또는 V형 단면)를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구동수단(40)은 모터(42)에 의해 회전하는 도르래(44)에 의해 벨트(46)를 양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여기서, 미닫이문(30)은 벨트(46)와 접촉 또는 결합하므로, 벨트(46)의 회전운동 시 출구의 열거나 닫는다. 참고로, 미닫이문(30)의 여닫힘 구동방식은 여기서 설명한 구조 외에 출원 전 공지된 다른 구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의 변경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용이한 설계변경에 해당하므로, 쉽게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걸쇠 뭉치(50)를 설명한다. 걸쇠 뭉치(50)는 미닫이문(30)에 설치되며(바람직하게는 미닫이문(30)의 위쪽에 설치된다), 미닫이문(30)의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그리고 견고히 유지하는 구실을 한다. 걸쇠 뭉치(50)는 고정 축(52), 브래킷(54), 걸쇠(56), 탄성 부재(58)를 포함한다.
고정 축(52)은 미닫이문(30)의 위쪽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브래킷(54)의 상하 움직임을 안내하는 구실을 한다.
브래킷(54)은 고정 축(5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걸쇠(56)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구실을 한다. 브래킷(54)은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는 판 부재로 제작되며, 수직방향으로 구부러진 연장부분(542)을 포함한다. 연장부분(542)은 감지수단(60)과 접촉 또는 결합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장부분(542)에는 감지수단(60)의 일 부분이 끼워지는 구멍(54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54)에는 감지수단(60)에 의한 감지를 가능케 하는 반사판이나 접점 등의 부재가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걸쇠(56)는 강도 및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봉 형태의 구조물이며, 미닫이문(30)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걸쇠(56)의 일 측 끝은 브래킷(54)에 고정 설치되며, 타 측 끝은 미닫이문(30)을 관통하여 아래쪽 문틀(20)을 향해 돌출된다. 따라서 걸쇠(56)는 브래킷(54)의 상하 운동방향에 따라 문틀(20)의 결합구멍(22)에 끼워지거나 또는 문틀(20)의 결합구멍(22)으로부터 빠져나온다.
탄성 부재(58)는 미닫이문(30)과 브래킷(54) 사이에 설치되며, 브래킷(54)을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구실을 한다. 즉, 탄성 부재(58)는 걸쇠(56)의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려는 브래킷(54)을 위쪽으로 밀어올린다. 따라서 걸쇠(56)는 탄성 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문틀(20)의 결합구멍(22)으로부터 빠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탄성 부재(58)로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58)의 탄성력(또는 복원력)은 걸쇠(56)의 자중보다 커야 한다.
다음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감지수단(60)을 설명한다. 감지수단(60)은 문틀(20)에 설치되며, 미닫이문(30)의 여닫힘 상태와 걸쇠(56)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실을 한다. 감지수단(60)은 감지부분(62)과 (브래킷) 구동부분(64)을 포함한다. 감지부분(62)은 감지수단(6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미닫이문(30)을 향해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감지부분(62)에는 브래킷(54)의 구멍(544)을 향해 돌출된 돌기(622)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분(64)은 감지수단(60)을 형성하는 몸체로서, 감지부분(62)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구실을 한다. 구동부분(64)은 솔레노이드 장치 또는 모터와 기어(또는 캠)의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감지부분(62)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분(64) 또는 감지부분(62)에는 브래킷(54)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구동부분(64)은 센서로부터 브래킷의 감지신호(이하에서는 제1신호라 한다)를 수신하면, 감지부분(62)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이와 반대로, 센서로부터 브래킷(54)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미닫이문(30)의 개방을 요청하는 인증신호(이하에서는 제2신호라 한다)를 수신하면, 감지부분(62)을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이 이루어진 자동 미닫이문 장치(10)의 작동구조를 도 4a ~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미닫이문(30)의 이동가능한 상태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54)이 탄성 부재(58)의 탄성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되어 있으며, 걸쇠(56)는 미닫이문(30)의 안쪽에 숨겨진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출입이 완료되어 열렸던 미닫이문(30)이 닫히면, 브래킷(54)의 구멍(544)에 감지수단(60)의 돌기(622)가 끼워진다(도 4b 참조). 그러면 감지수단(60)의 센서는 브래킷(54)의 존재를 감지하고, 감지수단(60)의 구동부분(64)에 제1신호를 송출한다. 구동부분(64)은 제1신호에 의해 감지부분(62)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감지부분(62)은 탄성 부재(58)의 탄성력을 억누르면서 브래킷(54)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브래킷(54)의 하향이동은 걸쇠(56)의 하향이동을 동반하므로, 브래킷(54)의 하향이동에 의해 걸쇠(56)의 끝 부분이 문틀(20)의 결합구멍(22)에 끼워진다(도 4c 참조). 이러한 상태는, 미닫이문(30)이 구동수단(40)과 걸쇠(56) 2가지 수단에 의해 단단히 잠겨진 상태이므로, 악의의 제3자에 의한 강제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 미닫이문 장치(10)에 설정된 인증신호(즉, 제2신호)가 감지수단(60)에 수신되면, 감지수단(60)은 감지부분(62)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감지부분(62)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켰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브래킷(54)을 아래쪽으로 누르던 힘이 사라지므로, 브래킷(54)은 감지부분(62)에 의해 또는 탄성 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걸쇠(56)는 결합구멍(22)으로부터 빠져나와 다시 도 4b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한편, 제2신호는 구동수단(40)에도 전달되어 미닫이문(30)의 개방을 유도하므로, 미닫이문(30)은 브래킷(54)과 감지부분(62)의 접촉 또는 결합이 분리되는 방향(즉, 문의 개방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의 자동 미닫이문 장치(10)는, 미닫이문(30)의 닫힘 상태에서만 걸쇠(56)가 자동으로 문틀(20)에 끼워져 미닫이문(30)의 잠금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므로, 미닫이문(30)의 원활한 여닫힘 작동을 보장하면서 미닫이문(30)의 효과적인 잠금 상태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형태는 걸쇠(56)와 문틀(20)의 구조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차이점을 갖는다. 참고로, 제2실시형태에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미닫이문 장치(10)는 다른 형태의 걸쇠(56)와 문틀(20)을 갖는다.
걸쇠(56)는 문틀(20)의 결합구멍(22)에 끼워지는 끝 부분에 하나 이상의 홈(562)을 가진다. 그리고 결합구멍(22)에는 걸쇠(56)의 홈(562)에 탄력적으로 또는 단단히 맞물릴 수 있는 동수(同數)의 고정부재(24)가 형성된다(도 5 참조). 고정부재(24)는 결합구멍(22)의 둘레에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재질)이나 탄성을 갖는 구조(예를 들어, 판 스프링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걸쇠(56)와 결합구멍(22)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므로, 미닫이문(30)이 닫힌 상태(또는 잠금 상태)에서, 미닫이문(30) 또는 걸쇠(56)가 덜컹거리거나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자동) 미닫이문 장치
20 문틀 22 결합구멍
24 고정부재 30 미닫이문
40 구동수단 50 걸쇠 뭉치
52 고정 축 54 브래킷
542 연장부분 544 구멍
56 걸쇠 562 홈
58 탄성 부재 (또는 스프링) 60 감지수단
62 감지부분 622 돌기
64 구동부분
20 문틀 22 결합구멍
24 고정부재 30 미닫이문
40 구동수단 50 걸쇠 뭉치
52 고정 축 54 브래킷
542 연장부분 544 구멍
56 걸쇠 562 홈
58 탄성 부재 (또는 스프링) 60 감지수단
62 감지부분 622 돌기
64 구동부분
Claims (5)
- 문틀;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미닫이문;
상기 문틀에 설치되어 상기 미닫이문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미닫이문에 설치되고, 감지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미닫이문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걸쇠를 포함하는 걸쇠 뭉치; 및
상기 미닫이문의 여닫힘을 감지하고, 상기 걸쇠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쇠 뭉치는,
상기 미닫이문에 설치되는 고정 축;
상기 고정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미닫이문을 관통하여 아래쪽 문틀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는 걸쇠; 및
상기 미닫이문과 상기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을 위쪽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미닫이문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미닫이문을 향해 하향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과 접촉 또는 맞물리는 감지부분; 및
상기 감지부분을 매개로 상기 브래킷을 아래쪽으로 미는 구동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미닫이문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문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됨과 아울러 구멍이 형성된 연장부분을 가지며,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부분은 상기 구멍에 끼워지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미닫이문 장치. -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래쪽 문틀을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쇠의 끝 부분의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래쪽 문틀에는 상기 걸쇠의 끝 부분이 끼워지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멍의 내측 면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홈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걸쇠의 끝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미닫이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730U KR200463601Y1 (ko) | 2010-06-25 | 2010-06-25 | 자동 미닫이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730U KR200463601Y1 (ko) | 2010-06-25 | 2010-06-25 | 자동 미닫이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037U KR20120000037U (ko) | 2012-01-02 |
KR200463601Y1 true KR200463601Y1 (ko) | 2012-11-14 |
Family
ID=4584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6730U KR200463601Y1 (ko) | 2010-06-25 | 2010-06-25 | 자동 미닫이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360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88915A (zh) * | 2016-08-08 | 2016-11-09 | 浙江奋钧智能科技有限公司 | 防爆式自动开窗器 |
-
2010
- 2010-06-25 KR KR2020100006730U patent/KR20046360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037U (ko) | 2012-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3571B1 (ko) |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 |
KR200427845Y1 (ko) | 슬라이드식 창문의 잠금장치 | |
KR101668632B1 (ko) | 방범·방충창용 자동 록킹장치 | |
KR20160052486A (ko) |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 |
KR101793629B1 (ko) |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 |
RU2564602C1 (ru) | Ручка-блокиратор ошибочных действий для окна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контактного типа | |
KR200463601Y1 (ko) | 자동 미닫이문 장치 | |
KR200443126Y1 (ko) | 발코니창의 자동 잠금장치 | |
KR100718290B1 (ko) |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 |
KR200456588Y1 (ko) |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 |
KR101085433B1 (ko) |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 |
KR101782579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 |
KR101829937B1 (ko) |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 |
KR101390363B1 (ko) | 미닫이 도어 장치 | |
KR100716026B1 (ko) |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 |
KR102558518B1 (ko) |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 |
KR101990693B1 (ko) |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 |
KR101115424B1 (ko) |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 |
KR20000019120U (ko) | 자동문의 비상 개방장치 | |
KR101053339B1 (ko) | 창문의 잠금장치 | |
KR101049153B1 (ko) | 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 | |
KR101163161B1 (ko) | 롤방충망용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방충망 장치 | |
KR100696202B1 (ko) |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 |
KR102260129B1 (ko) |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 |
JP4279419B2 (ja) | 引戸用ガードアーム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