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518B1 -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 Google Patents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518B1
KR102558518B1 KR1020200107586A KR20200107586A KR102558518B1 KR 102558518 B1 KR102558518 B1 KR 102558518B1 KR 1020200107586 A KR1020200107586 A KR 1020200107586A KR 20200107586 A KR20200107586 A KR 20200107586A KR 102558518 B1 KR102558518 B1 KR 10255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p
fixed
foreign mat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719A (ko
Inventor
김광민
Original Assignee
김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민 filed Critical 김광민
Priority to KR102020010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5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54Horizontally-sliding wing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wall; Pocke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이 열릴 때의 신체 끼임사고(압궤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문이 열리고 닫힐 때 문짝과 문짝 틈새로의 이물질 끼임 문제를 간단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에 난 출입구 둘레에 부착시공되는 문틀; 상기 문틀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열고 닫도록 양방향 슬라이딩 개폐동작하는 동작문짝; 상기 문틀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차폐하되, 상기 동작문짝을 사이에 두어 상기 동작문짝의 진입 및 진출이 가능케 한 두 개의 고정문짝; 및,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상태의 상기 동작문짝 일측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문짝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동작문짝과 상기 고정문짝의 틈새를 차단하여 상기 틈새로의 이물질 침입을 차단하고 억지침입한 이물질은 포획 및 차후회수가 가능토록 하는 이물질끼임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SAFETY POCKET-DOOR FOR CLASSROOM}
본 발명은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이 열릴 때의 신체 끼임사고(압궤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문이 열리고 닫힐 때 문짝과 문짝 틈새로의 이물질 끼임 문제를 간단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에 관한 것이다.
인간(人間, human being)은 살아가는 동안 다양한 공간과 접하고 그 공간 속에서 자신의 삶을 영위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집이며, 집을 통해 우리는 나와 이방인, 나와 타자(他者 / 타인)의 구분을 만들어 낸다. 학교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다.
우리네 아동과 청소년들은 학기 동안 집 이외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교실)에서 보낸다는 점에서 학교의 교실은 제2의 생활공간일 뿐만 아니라 제2의 집과 같은 장소가 된다.
즉, 교실은 일반인과 학생 그리고 나와 타인을 구별시켜주는 공간으로, 학생들은 교실에서 꿈꾸고 상상하며 체험함으로써 자신들만의 공간을 만들어 간다. 또한, 교실을 통해 세계로 나아갈 준비를 하고 그것을 통해 세계를 맞이한다. 이렇듯, 교실은 단순히 공부를 하는 공간만이 아닌 그들(학생) 세상의 중심이자 자기 존재의 뿌리가 되는 곳이다.
여기서, 앞서 서술한 교실은 복도와 분리되는 공간이므로 그들 공간을 통할 수 있게 한 출입구에는 문(교실문)이 설치되기 마련이다. 그러한 교실문은 개폐구조에 따라 여닫이문(casements door)과 미닫이문(sliding door)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여닫이문은 힌지(경첩)를 축으로 문짝을 회전시켜서 공간을 개폐하는 구조를 가지며, 미닫이문은 어느 일측으로 문짝을 옆으로 밀어서 공간을 개폐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 여닫이문은 앞서 설명한 회전식 개폐구조의 특성상 충돌/충격사고 및 문짝과 문틀 사이에 팔(손가락 등)이나 다리(무릎, 발까락 등)가 끼어 다치는 압궤(壓潰)사고의 문제가 빈번하다.
또한, 문짝의 회동공간에는 어떠한 물건도 비치해 둘 수 없는 사용불가한 공간인 관계로 그만큼 교실공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어, 학교의 교실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문은 안전사고의 방지목적과 더불어 공간활용성이 높은 미닫이문을 채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서, 통상의 미닫이문의 설치구조와 동작관계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벽체에 형성된 출입구에 문틀을 시공하고, 그 문틀에 끼워진 채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sliding) 개폐되는 문짝(이하 "동작문짝"이라 함)을 조립하며, 상기 동작문짝의 상하부에는 문짝의 슬라이딩을 돕는 이동부재(롤러, 바퀴)가 설치되는데, 상기 동작문짝을 옆으로 밀어 슬라이딩 개폐시킴에 있어, 지금까지 설명한 통상의 미닫이문은 동작문짝이 외부로 노출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동작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가 끼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압궤사고(crush injury)의 위험성이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14930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314546호 등을 통해, 두 개의 고정문짝 사이공간으로 동작문짝이 수납되도록 하여 압궤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포켓도어가 개시되었는 바, 종래의 상기 포켓도어는, 두 개의 고정문짝 사이공간으로 동작문짝이 진입출(進入出)되어 출입구를 열고 닫는 구조를 따른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문짝 양측에 두 개의 고정문짝이 밀접배치되는 구조적 특성상, 상기 동작문짝이 고정문짝의 사이공간으로 진출입하는 슬라이딩 개폐과정에서 문짝(동작문짝)과 문짝(고정문짝)의 틈새로 이물질이 끼이거나 사이공간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듯, 상기한 틈새에 이물질이 끼이면 동작문짝의 동작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출입구의 개폐동작이 원활치 못한 폐단이 유발되고, 그와 같은 이물질 끼임상태로 동작문짝을 계속해서 동작시킬 경우 문짝 표면의 훼손(스크래치 발생 등) 및 파손이 야기된다.
결국, 포켓도어의 장점(공간활용성 증대 및 압궤사고의 방지)은 그대로 살리면서도 구조적 특성상 문짝과 문짝 틈새로의 이물질 끼임으로 유발되는 여러 문제점(문짝의 훼손/파손 및 동작불량)을 단번에 해소할 수 있는 포켓도어의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14930호(1999.05.20.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4546호(2003.05.15.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동작하는 문짝(동작문짝)을 사이에 둔 두 개의 고정문짝 구비를 통한 포켓형 도어구조를 달성하여, 문짝과 문틀 사이로의 신체 끼임사고(압궤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문짝의 일단에 이물질끼임방지장치를 추가장착하여, 동작문짝과 고정문짝의 틈새로 이물질이 끼이거나 그 틈새를 통해 고정문짝들 사이공간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에 난 출입구 둘레에 부착시공되는 문틀; 상기 문틀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열고 닫도록 양방향 슬라이딩 개폐동작하는 동작문짝; 상기 문틀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차폐하되, 상기 동작문짝을 사이에 두어 상기 동작문짝의 진입 및 진출이 가능케 한 두 개의 고정문짝; 및,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상태의 상기 동작문짝 일측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문짝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동작문짝과 상기 고정문짝의 틈새를 차단하여 상기 틈새로의 이물질 침입을 차단하고 억지침입한 이물질은 포획 및 차후회수가 가능토록 하는 이물질끼임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끼임방지장치는, 상기 고정문짝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문짝과 일체를 형성하며 상기 동작문짝의 일단부에 일부위에 중첩배치되되 회전 가능한 상태로 힌지되는 마감커버와, 상기 마감커버의 연장선단부 근접내측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동작문짝과 상기 고정문짝의 틈새를 차단하여 상기 틈새로의 이물질 침투 및 끼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물질차단수단과, 상기 틈새로 억지침투한 이물질을 포착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기 고정문짝들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이물질포착수단과,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고정문짝의 상호 접촉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마감커버를 구속하여 상기 마감커버의 외향회전이 방지되게 하는 커버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이물질차단수단은, 상기 마감커버의 내면에 구비된 제1체결브래킷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길다란 모판과, 상기 모판에 수많은 모헤어가 부착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포착수단은, 상기 마감커버의 내면에 구비된 제2체결브래킷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길다란 장착베이스와, 상기 장착베이스에 다수의 갈고리가 균등간격마다 구비결합된다.
더하여, 상기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마감커버를 향하는 상기 고정문짝 일단에 부착되는 결착앵글과, 상기 고정문짝을 향하는 상기 마감커버 일단에 부착되고, 상기 마감커버가 상기 동작문짝과 밀접한 상태가 될 경우 상기 결착앵글에 구속되어 상기 마감커버의 외향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결속앵글로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는, 두 개의 고정문짝 사이에 마련된 사이공간으로 동작문짝이 진입출됨으로써, 동작문짝의 개방동작에 필요한 여유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가 끼어 압궤사고를 입는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다 안전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고정문짝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이물질끼임방지장치가 동작문짝과 고정문짝의 틈새를 차단하여 그 틈새로의 이물질 침투가 방지되도록 함에 더해 억지침투한 이물질을 포착하고 차후 용이한 회수가 가능케 됨으로써,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틈새 깊숙한 곳에 끼인 이물질의 회수(분리)는 물론이거니와 그러한 회수를 통해 이물질 끼임으로 인한 문짝(동작문짝, 고정문짝)의 훼손과 파손 방지 및 문짝(동작문짝)의 비정상적인 개폐동작과 그로 인한 개폐동작 성능저하의 원인이 완벽히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교실의 출입구 이외에도 각종 건축물의 실내 또는 실외 출입구의 개폐를 위한 용도로써 본 발명을 설치하여 전술한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하는 제품경쟁력의 확보 및 이를 통한 기업이익의 창출과 더불어, 어린아이나 청소년들이 학기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의 교실에서 교실문과 연관해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 특히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부위가 끼어 부상당하는 압궤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현행 학교 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학교시설안전관리기준」에 부합하는 안전한 교내시설과 환경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와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에 있어서, 이물질끼임방지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에 있어서, 이물질끼임방지장치 중 마감커버의 회동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와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에 있어서 이물질끼임방지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에 있어서 이물질끼임방지장치 중 마감커버의 회동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A)는, 벽체에 난 출입구 둘레(테두리)에 부착시공되는 문틀(1)과, 상기 문틀(1)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출입구의 일부를 열고 닫도록 양방향 슬라이딩 개폐동작하는 동작문짝(2)과, 상기 문틀(1)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출입구의 일부를 차폐(遮蔽, 가려막음)하되 상기 동작문짝(2)을 사이에 두어 그 동작문짝(2)의 진입 및 진출이 가능케 한 두 개의 고정문짝(3)과, 출입구를 폐쇄하는 상태의 동작문짝(2) 일측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문짝(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동작문짝(2)과 고정문짝(3)의 틈새를 차단하여 그 틈새로의 이물질 침입을 차단하고 억지침입한 이물질은 포획 및 차후회수가 가능토록 하는 이물질끼임방지장치(4)를 포함한다.
문틀(1)은, 상기 동작문짝(2)과 고정문짝(3)을 끼워넣기 위함에 더해 상기 동작문짝(2)의 양방향 슬라이딩 안내를 위한 틀(frame)인 것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벽체에 난 출입구의 둘레에 부착시공된다.
동작문짝(2)은, 출입구를 열고 닫기 위해 상기 문틀(1) 내측에서 양방향 슬라이딩 개폐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문틀(3) 내측에 끼워지고 두 개의 상기 고정문짝(3)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고정문짝(3)들의 사이공간으로 진입출하는 양방향 슬라이딩 이동(개폐동작)의 동작으로 인하여 출입구의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두 개의 고정문짝(3)은, 상기 문틀(1)의 일측에 설치하여 출입구의 일부위가 차폐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동작문짝(2)의 양방향 슬라이딩 개폐동작시 사이공간으로의 동작문짝(2) 진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 중첩되되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됨으로써 상기 동작문짝(2)의 진입출이 가능한 사이공간(30)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문짝(3)들은, 화재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허니컴 내장형 철제 방화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목재, 합성수지재 등)의 것으로 달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물질끼임방지장치(4)는, 상기 고정문짝(3)과 동작문짝(2)의 틈새로 이물질(먼지, 소지품 등)이 끼이거나 그 틈새를 거쳐 고정문짝(3)들의 사이공간(30)으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문짝(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고정문짝(3)과 일체를 형성하며 상기 동작문짝(2)의 일단부에 일부위에 중첩배치되되 회전 가능한 상태로 힌지되는 마감커버(41)와, 상기 마감커버(41)의 연장선단부 근접내측에 구비된 상태로 동작문짝(2)과 고정문짝(3)의 틈새를 차단하여 그 틈새로의 이물질 침투 및 끼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물질차단수단(42)과, 상기 틈새로 억지침투한 이물질을 포착하여 그 이물질이 상기 고정문짝(3)들의 사이공간(30)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이물질포착수단(43)과, 상기 마감커버(41)와 고정문짝(3)의 상호 접촉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마감커버(41)를 구속하여 그 마감커버(41)의 외향회전이 방지되게 하는 커버고정수단(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커버(41)는, 철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정해진 형태로 형상화한 것으로, 상기 이물질차단수단(42)의 조립결합을 위한 제1체결브래킷(411)과, 상기 이물질포착수단(42)의 조립결합을 위한 제2체결브래킷(412)이 내면의 정해진 각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을 집어넣고 외측으로 잡아당겨 연장선단부가 외향회전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이물질포착수단(43)의 외부노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물질포착수단(43)에 포착된 이물질의 회수가 용이케 하기 위한 핑거홈(413)이 연장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차단수단(42)은, 상기 제1체결브래킷(411)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길다란 모판(421)에 수많은 수의 모헤어(mohair, 422)를 부착구성한 것으로, 상기 모판(421)으로부터 뻣어난 모헤어(422)들이 동작문짝(2) 표면에 닿아 틈새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틈새로의 이물질 침투가 상기 모헤어(422)들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포착수단(43)은, 상기 제2체결브래킷(412)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길다란 장착베이스(431)에 다수의 갈고리(hook, 432)를 균등간격마다 구비결합한 것으로, 상기 장착베이스(431)로부터 돌출된 갈고리(432)들의 선단이 동작문짝(2) 표면에 근접됨으로써 상기 틈새로 억지침투되는 이물질이 상기 갈고리(432)들에 포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고정수단(44)은, 상기 마감커버(41)를 향하는 고정문짝(3)의 일단에 부착되는 결착앵글(441)과, 상기 고정문짝(3)을 향하는 마감커버(41)의 일단에 부착되고 상기 마감커버(41)가 동작문짝(2)과 밀접한 상태가 될 경우 상기 결착앵글(441)에 구속되어 마감커버(41)의 외향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결속앵글(442)로 구성된다.
미 설명부호, (h)는 상기 동작문짝의 정해진 위치에 구비결합되어 그 동작문짝을 옆으로 밀어서 슬라이딩 개폐동작시키 사용자 조작에 필요한 손잡이(handle)이고, (910)은 상기 동작문짝 상단에 장착되는 행거롤(Hanger roll)이며, (920)은 문틀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guide rail)이고, (930)은 상기 동작문짝 하단에 장착되는 주행롤(driving roll)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실의 출입구 개방 또는 폐쇄와 더불어 그 과정을 위해 양방향 슬라이딩 개폐동작하는 문짝(동작문짝)과 문틀 사이로의 신체 끼임으로 인한 압궤사고 등 사고방지의 목적은 물론이거니와 문짝(동작문짝)과 문짝(고정문짝)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틈새를 통해 문짝들(두 개의 고정문짝)의 사이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A)를 설치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틀(1)을 교실의 출입구에 우선적으로 부착시공한 후에, 상기 문틀(1) 내측에 동작문짝(2)을 위치시킨 다음, 그 동작문짝(2)을 사이에 두어 두 개의 고정문짝(3)을 문틀(1)의 일측에 고정설치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A)를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작문짝(2)의 상단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행거롤(91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문짝(3)들 상부에는 가이드레일(92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행거롤(910)들이 가이드레일(920)에 거치상태로 그를 따라 주행하고 또한 동작문짝(2)의 하단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주행롤(930 / 바퀴)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행거롤(910)들 및 주행롤(930)의 구름동작에 의거 동작문짝(2)의 손쉽고 원활한 슬라이딩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두 개의 고정문짝(3)에 의해 동작문짝(2)의 개방시 필요한 여유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문짝과 문틀 사이로의 신체 끼임으로 인한 압궤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문짝(2)을 옆으로 밀어서 출입구를 개방함에 있어, 상기 동작문짝(2)이 고정문짝(3)들 사이에 마련된 사이공간(30)으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동작문짝(2)과 상기 고정문짝(3) 틈새에 이물질(먼지, 소지품 등)이 끼이거나 그 틈새로 이물질이 침투되어 고정문짝(3)들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바, 이는 상기 고정문짝(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 이물질끼임방지장치(4)에 의거 방지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동작문짝(2)을 옆으로 밀어 그 동작문짝(2)이 상기 고정문짝(3)들의 사이공간(30)으로 진입하여 출입구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동작문짝(2)과 고정문짝(3)의 틈새로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는 것을 상기 이물질끼임방지장치(4) 중 이물질차단수단(42)의 모헤어(422)들이 우선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헤어(422)에 걸리거나 혹은 상기 틈새로 이물질이 억지침투할 경우에는, 상기 이물질끼임방지장치(4) 중 이물질포착수단(43)의 갈고리(432)들이 침투 이물질을 포착하게 됨으로써 고정문짝(3)들 사이공간(30)으로의 유입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커버(41)를 외향회전시켜 이물질차단수단(42)과 이물질포착수단(43)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함을 통해, 상기 갈고리(432)들에 포착된 이물질을 간단히 분리해 낼 수 있고, 이로써 결국 틈새 깊숙한 곳에 끼인 이물질이라 하더라도 간단히 회수(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틈새에 끼인 이물질로 인한 동작문짝(2)의 표면스크래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A)에 의하면, 두 개의 고정문짝(3) 사이에 마련된 사이공간(30)으로 동작문짝(2)이 진입출됨으로써, 상기 동작문짝(2) 개방동작에 필요한 여유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가 끼어 압궤사고를 입는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다 안전하도록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끼임방지장치(4)가 동작문짝(2)과 고정문짝(3)의 틈새를 차단하여 그 틈새로의 이물질 침투가 방지되도록 함에 더해 억지침투한 이물질을 포착하고 차후 용이한 회수가 가능케 됨으로써,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틈새 깊숙한 곳에 끼인 이물질의 회수(분리)는 물론이거니와 그러한 회수를 통해 이물질 끼임으로 인한 문짝(동작문짝, 고정문짝)의 훼손과 파손 방지 및 문짝(동작문짝)의 비정상적인 개폐동작과 그로 인한 개폐동작 성능저하의 원인이 완벽히 해소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참고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교실에 난 출입구 이외에도 각종 건축물의 실내외에 난 출입구의 개폐를 위한 용도로써도 본 발명의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A)를 설치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포켓도어, 1 : 문틀
2 : 동작문짝, 3 : 고정문짝
4 : 이물질끼임방지장치, 30 : 사이공간
41 : 마감커버, 42 : 이물질차단수단
43 : 이물질포착수단, 44 : 커버고정수단
411 : 제1체결브래킷, 412 : 제2체결브래킷
413 : 핑거홈, 421 : 모판
422 : 모헤어, 431 : 장착베이스
432 : 갈고리, 441 : 결착앵글
442 : 결속앵글

Claims (5)

  1. 벽체에 난 출입구 둘레에 부착시공되는 문틀;
    상기 문틀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열고 닫도록 양방향 슬라이딩 개폐동작하는 동작문짝;
    상기 문틀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차폐하되, 상기 동작문짝을 사이에 두어 상기 동작문짝의 진입 및 진출이 가능케 한 두 개의 고정문짝; 및,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상태의 상기 동작문짝 일측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문짝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동작문짝과 상기 고정문짝의 틈새를 차단하여 상기 틈새로의 이물질 침입을 차단하고 억지침입한 이물질은 포획 및 차후회수가 가능토록 하는 이물질끼임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끼임방지장치는, 상기 고정문짝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문짝과 일체를 형성하며 상기 동작문짝의 일단부에 일부위에 중첩배치되되 회전 가능한 상태로 힌지되는 마감커버와,
    상기 마감커버의 연장선단부 근접내측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동작문짝과 상기 고정문짝의 틈새를 차단하여 상기 틈새로의 이물질 침투 및 끼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물질차단수단과,
    상기 틈새로 억지침투한 이물질을 포착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기 고정문짝들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이물질포착수단과,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고정문짝의 상호 접촉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마감커버를 구속하여 상기 마감커버의 외향회전이 방지되게 하는 커버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수단은, 상기 마감커버의 내면에 구비된 제1체결브래킷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길다란 모판과,
    상기 모판에 모헤어를 부착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포착수단은, 상기 마감커버의 내면에 구비된 제2체결브래킷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길다란 장착베이스와,
    상기 장착베이스에 다수의 갈고리를 균등간격마다 구비결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마감커버를 향하는 상기 고정문짝 일단에 부착되는 결착앵글과,
    상기 고정문짝을 향하는 상기 마감커버 일단에 부착되고, 상기 마감커버가 상기 동작문짝과 밀접한 상태가 될 경우 상기 결착앵글에 구속되어 상기 마감커버의 외향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결속앵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KR1020200107586A 2020-08-26 2020-08-26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KR10255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86A KR102558518B1 (ko) 2020-08-26 2020-08-26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86A KR102558518B1 (ko) 2020-08-26 2020-08-26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719A KR20220026719A (ko) 2022-03-07
KR102558518B1 true KR102558518B1 (ko) 2023-07-25

Family

ID=8081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586A KR102558518B1 (ko) 2020-08-26 2020-08-26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955B1 (ko) 2022-07-27 2023-02-06 문시스 주식회사 반자동 포켓도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4690A (ja) * 2009-09-30 2011-04-14 Sanwa Shutter Corp 引戸装置の指詰め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075Y2 (ja) * 1989-05-12 1994-12-0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防塵構造を備えたドア
KR100214930B1 (ko) 1997-06-17 1999-08-02 김찬근 포켓도어
KR200314546Y1 (ko) 2002-11-08 2003-05-27 주식회사 한올 방음 포켓 슬라이딩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4690A (ja) * 2009-09-30 2011-04-14 Sanwa Shutter Corp 引戸装置の指詰め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719A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642B2 (en) Safety door and doorframe assembly
US20130212947A1 (en) Load Bearing Structural Closure System
KR102558518B1 (ko)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US9863180B2 (en) Assembly for closing an opening
KR101142521B1 (ko) 다중 슬라이딩 자동문
RU2589634C1 (ru) Сдвижное окно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чностью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100994430B1 (ko) 건축물용 단열 방범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17478A (ko) 여닫이 출입문용 방범장치및 분리 회동형 방충장치의케이스
US3291192A (en) Screen door for sliding glass doors
KR101529853B1 (ko)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KR101119980B1 (ko) 추락방지 방범 안전창호 구조물
KR20050111559A (ko) 아코디언식 방충망
JP6480232B2 (ja) 網戸付きサッシ
KR101096583B1 (ko)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KR100782371B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KR20000019120U (ko) 자동문의 비상 개방장치
JPH0113187Y2 (ko)
KR200275857Y1 (ko) 행거식 미닫이문
KR200387010Y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CN215684462U (zh) 挡鼠板
JPS5851337Y2 (ja) 玄関用サツシ
KR102450259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0411852Y1 (ko) 현관용 외부 식별 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