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857Y1 - 행거식 미닫이문 - Google Patents

행거식 미닫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857Y1
KR200275857Y1 KR2020020004913U KR20020004913U KR200275857Y1 KR 200275857 Y1 KR200275857 Y1 KR 200275857Y1 KR 2020020004913 U KR2020020004913 U KR 2020020004913U KR 20020004913 U KR20020004913 U KR 20020004913U KR 200275857 Y1 KR200275857 Y1 KR 200275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rail
roll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아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아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아키텍
Priority to KR2020020004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857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자의 발에 걸릴 수 있는 문턱을 제거함으로써 출입자가 출입할 때 발이 문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물질의 침입에 따른 베어링의 파손으로 인한 롤러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행거식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식 미닫이문은,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간부(5)가 형성되며, 실내의 출입구에 해체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강재 문틀(1)과, 문틀(1)의 한 쪽 절반부를 폐쇄하도록 문틀(1)에 설치되는 벽체(3)와, 측부 일부분이 벽체(3)와 중첩된 상태에서 문틀(1)의 다른 쪽 절반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양측에 쿠션 부재(20)가 제공되는 슬라이드 문체(2)와, 문틀(1)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5) 내에서 문틀(1)의 내측에 설치되고 라운드 형상의 레일면을 가지는 레일 부재(6)와, 문체(2)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부재(9)에 설치되고, 레일면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외주면이 레일 부재(6)의 레일면을 수용하도록 호형 단면의 홈으로 형성되는 롤러(10)와, 롤러(10)가 레일 부재(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 부재(9)에 제공되는 레일 탈락 방지구(12)와, 문체(2)와 벽체(3)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문틀(1)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조립체(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행거식 미닫이문{Hanger type of sliding door}
본 고안은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문턱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의 행거식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학교 교실 문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슬라이드식 미닫이문에 있어서는 문짝의 상부 및 하부에 슬라이드 홈과 걸림턱 또는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레일 부재가 설치되고, 미닫이문의 상부 및 하부 부분에는 상기된 바와 같은 걸림홈과 걸림턱 또는 슬라이드 레일 부재에 타고 이동하는 롤러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이 교실 등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미닫이문은 문턱의 하부 부분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기 때문에, 출입자들의 발이 걸리게 되거나 롤러의 베어링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에 의하여, 롤러의 파손에 따른 도어의 개폐시에 소음 발생 및 도어 개폐 곤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출입자의 발에 걸릴 수 있는 문턱을 제거함으로써 출입자가 출입할 때 발이 문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물질의 침입에 따른 베어링의 파손으로 인한 롤러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행거식 미닫이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식 미닫이문의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행거식 미닫이문의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행거식 미닫이문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행거식 미닫이문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틀 2 : 문체
3 : 벽체 4 : 힌지 도어
5 : 공간부 6 : 레일 부재
7 : 지지 부재 8, 11, 13, 19 : 체결구
9 : 연결 부재 10 : 롤러
12 : 레일 탈락 방지구 14 : 가이드 롤러 조립체
15 : 측부 롤러 16 : 러버 부재
17 : 벽 18 : 고정체
20 : 쿠션 부재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간부(5)가 형성되며, 실내의 출입구에 해체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강재 문틀(1)과; 상기 문틀(1)의 한 쪽 절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문틀(1)에 설치되는 벽체(3)와; 측부 일부분이 상기 벽체(3)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문틀(1)의 다른 쪽 절반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양측에 쿠션 부재(20)가 제공되는 슬라이드 문체(2)와; 상기 문틀(1)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5) 내에서 문틀(1)의 내측에 설치되고 라운드 형상의 레일면을 가지는 레일 부재(6)와; 상기 문체(2)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부재(9)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면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외주면이 상기 레일 부재(6)의 레일면을 수용하도록 호형 단면의 홈으로 형성되는 롤러(10)와; 상기 롤러(10)가 상기 레일 부재(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9)에 제공되는 레일 탈락 방지구(12)와; 상기 문체(2)와 벽체(3)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상기 문틀(1)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조립체(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식 미닫이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공간부(5)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 도어(4)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에서, 상기 공간부(5)는 바람직하게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 도어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 조립체(14)는 문체(2)의 바닥이 통과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통로(14a), 상기 문체(2)의 외측과 접촉하도록 상기 통로(14a)의 외측에 제공되는 측부 롤러(15), 및 상기 문체(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통로(14a)의 외측에 제공되는 러버 부재(16)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식 미닫이문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행거식 미닫이문은 교실과 같은 실내 건물의 입구에 해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강재 문틀(1)과, 문틀(1) 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즉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문체(2)와, 문틀(1)의 한 쪽 절반 부분을 폐쇄하도록 문틀(1) 내의 일측에 고정되는 벽체(3)를 포함한다. 문틀(1) 내에 설치되는 문체(2)와 벽체(3)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문체(2)는 문틀(1)의 다른 쪽 절반 부분을 개폐하도록 슬라이드된다.
문틀(1)은 문체(2)의 하부에 위치된 문턱을 가지지 않는 구조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구(19)들에 의하여 벽(17)에 고정된다. 문틀(1)이 벽(17)에 고정될 때, 문체(2)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벽(17)에 직접 고정되는 대신에, 벽(17)에 고정된 고정체(18)에 고정된다. 문틀(1)이 고정체(18)에 고정되었을 때, 문틀(1)과 고정체(18)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은 문체(2)가 폐쇄될 때 벽(17)에 부딪히는 것에 의한 문체(2)의 변형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문체(2)는 도 2a 및 도 2b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 측부에 손잡이 홈(2a)이 제공되고, 사용자는 이 손잡이 홈(2a)을 이용하여 문체(2)를 벽체(3)로 밀어서 문체(2)를 개방한다.
문틀(1)은 문틀(1)의 상부 부분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하는 공간부(5)가 상측에 제공되며, 이러한 공간부(5)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힌지 도어(4)에 의하여 개폐된다. 그러므로, 공간부(5)가 힌지 도어(4)에 의하여 폐쇄되었을 때,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공간부(5)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수평으로 연장하는 중공의 사각 형상의 지지 부재(7)가 벽체(3)의 상부 바로 위에서 공간부(5)를 형성하는 문틀(1)의 내측면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지지 부재(7)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벽체(3)의 두께보다 약간 큰 두께를 가지므로, 지지 부재(7)의 외측면은 지지 부재(7)가 문틀(1) 내에 설치되었을 때 벽체(3)로부터 약간 외측에 위치된다.
지지 부재(7)의 외측면에는 수직 부분과 수평 부분을 가진 L자 형상의 레일 부재(6)가 설치된다. 레일 부재(6)는 수직 부분이 다수의 체결구(8)에 의하여 지지 부재(7)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수평 부분은 문체(2)의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수직 부분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레일 부재(6)의 일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의 레일면이 수평 부분의 외측 단부 부분에 형성되고, 연결 부재(9)를 통하여 문체(2)의 상부에 연결되는 롤러(10)가 레일 부재(6)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면에 설치된다. 롤러(10)의 외주면은 라운드 형상의 레일 부재(6)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호형 홈으로 형성된다.
연결 부재(9)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체(2)의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 부분이 문체(2)의 상부면에 체결구(11)에 의하여 고정되고 수직 부분의 상부에 롤러(10)가 고정된다. L자 형상을 가지는 연결 부재(9)를 통하여 문체(2)에 설치된 롤러(10)가 레일 부재(6)에 설치되었을 때, 일정 높이의 공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부재(6)와 문체(2)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문체(2)에 설치된 롤러(10)가 레일 부재(6)에 설치될 때, 문체(2)가 약간 들어 올려짐으로써, 레일 부재(6)에 설치된 롤러(10)가 레일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롤러(10)가 레일 부재(6)의 레일면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 부재(6)의 하부에 위치된 연결 부재(9)에는 레일 탈락 방지구(12)가 제공된다.
레일 탈락 방지구(12)는 연결 부재(9)를 일정 길이 이상 관통하도록 연결 부재(9)에 체결되는 체결구이며, 이러한 레일 탈락 방지구(12)는 레일 부재(6)의 밑면으로부터 롤러(10)와 레일 부재(6)의 원호면의 깊이 및 높이(T)보다 작은 거리(t)의 범위에서 연결 부재(9)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문체(2)는 롤러(10)와 레일 부재(6)가 분리될 수 있는 높이 이상 들어 올려질 수 없기 때문에, 문체(2)에 설치된 롤러(10)가 레일 부재(6)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에 설치되는 문체(2)와 벽체(3)는 판체들로 형성되어 있으며, 판체들 사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벌집 형상체가 제공된다. 문틀(1) 내에 고정된 벽체(3)와 문체(2)의 중첩되는 부분에는 도 2a 및 도 2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 조립체(14)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 조립체(14)는 체결구(13)들에 의하여 문틀에 설치되고, 중앙 부분에 문체(2)의 바닥이 통과하는 통로(14a)를 가진다. 문체(2)의 외측과 접촉하는 측부 롤러(15)가 통로(14a)의 외측에 제공되며, 문체(2)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러버 부재(16)가 통로(14a)의 내측에 제공된다. 문체(2)는 개폐될 때, 상기된 바와 같은 측부 롤러(15)와 러버 부재(16)에 의하여 문체(2)가 내외측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이드된다.
한편, 문체(2)의 좌우측에는 고무로 만들어지는 쿠션 부재(20)가 각각 제공되고, 각각의 쿠션 부재(20)는 문체(2)가 개폐될 때 문체(2)의 좌우측이 문틀(1)의 좌우에 부딪힐 때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 공간(20a)이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쿠션 부재(20)가 문체(2)의 양측에 제공됨으로써, 문체(2)와 문틀(1) 사이에 출입자의 신체 일부가 끼는 경우에도, 출입자가 상해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문체(2)의 손잡이 홈(2a)에 인접한 문틀(1)에는 문체(2)의 손잡이 홈(2a)에 인접하여 설치된 쿠션 부재(20)를 수용하기 위한 홈(1a)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문체(2)가 폐쇄되었을 때, 문체(2)의 손잡이 홈(2a)에 인접하여 설치된 쿠션 부재(20)가 문틀(1)에 형성된 홈(1a)에 수용되므로, 쿠션 부재(20)로 인한 외관미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문체(2)에는 일정한 크기의 창이 제공될 수 있으며, 외관미를 향상시키도록 칼라 강판 마감재 또는 섬유재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실내에 크기가 큰 집기를 반입하고자 할 때에는 벽체(3)가 문틀(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크기가 큰 집기도 실내로 용이하게 반입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식 미닫이 문에 의하면, 문체가 문틀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문체의 하부에 제공된 문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종래의 미닫이문에 비교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개폐될 수 있는 한편, 롤러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롤러의 수명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Claims (3)

  1.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간부(5)가 형성되며, 실내의 출입구에 해체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강재 문틀(1)과;
    상기 문틀(1)의 한 쪽 절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문틀(1)에 설치되는 벽체(3)와;
    측부 일부분이 상기 벽체(3)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문틀(1)의 다른 쪽 절반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양측에 쿠션 부재(20)가 제공되는 슬라이드 문체(2)와;
    상기 문틀(1)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5) 내에서 문틀(1)의 내측에 설치되고 라운드 형상의 레일면을 가지는 레일 부재(6)와;
    상기 문체(2)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부재(9)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면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외주면이 상기 레일 부재(6)의 레일면을 수용하도록 호형 단면의 홈으로 형성되는 롤러(10)와;
    상기 롤러(10)가 상기 레일 부재(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9)에 제공되는 레일 탈락 방지구(12)와;
    상기 문체(2)와 벽체(3)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상기 문틀(1)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조립체(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식 미닫이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5)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위하여 힌지 도어(4)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식 미닫이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 조립체(14)는 문체(2)의 바닥이 통과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통로(14a), 상기 문체(2)의 외측과 접촉하도록 상기 통로(14a)의 외측에 제공되는 측부 롤러(15), 및 상기 문체(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통로(14a)의 외측에 제공되는 러버 부재(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식 미닫이문.
KR2020020004913U 2002-02-19 2002-02-19 행거식 미닫이문 KR200275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913U KR200275857Y1 (ko) 2002-02-19 2002-02-19 행거식 미닫이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913U KR200275857Y1 (ko) 2002-02-19 2002-02-19 행거식 미닫이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857Y1 true KR200275857Y1 (ko) 2002-05-16

Family

ID=7305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913U KR200275857Y1 (ko) 2002-02-19 2002-02-19 행거식 미닫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8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26B1 (ko) * 2007-02-16 2007-06-15 주식회사 한주 에이 피 에스 미서기 창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26B1 (ko) * 2007-02-16 2007-06-15 주식회사 한주 에이 피 에스 미서기 창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0660A (en) Screen door for large door opening
JP2698562B2 (ja) 建物用シャッタ装置
KR200275857Y1 (ko) 행거식 미닫이문
KR200389361Y1 (ko) 롤식 방충망
KR100904761B1 (ko) 안전부재가 장착된 미닫이문
KR102558518B1 (ko)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KR20180109830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JP392597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ー装置
WO2006137804A1 (en) Top hung sliding door system for interior use
JP3124226B2 (ja) 吊扉式引戸構造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JP5666970B2 (ja) 鉄道車両用スライドプッシュ式ドア装置
JP5112653B2 (ja) 上吊式引き戸サッシにおける網戸支持構造
KR100928956B1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KR102145243B1 (ko) 교실용 슬라이딩 도어
JP2000234481A (ja) 引き戸装置
KR200196550Y1 (ko)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JP2006070645A (ja) 引き戸装置
JP2005105705A (ja) 潜り戸付遮煙防火折戸における遮蔽構造
KR102625667B1 (ko) 레일 및 무레일 겸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JP3145400U (ja) 網戸
JP2543565Y2 (ja) 雨戸枠
JP2007332616A (ja) 開閉体装置
JPH0726597U (ja) スラットカーテンの出入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