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954A -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954A
KR20160119954A KR1020150048784A KR20150048784A KR20160119954A KR 20160119954 A KR20160119954 A KR 20160119954A KR 1020150048784 A KR1020150048784 A KR 1020150048784A KR 20150048784 A KR20150048784 A KR 20150048784A KR 20160119954 A KR20160119954 A KR 2016011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frame
hinge
fol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주
Original Assignee
(주)이지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폴딩 filed Critical (주)이지폴딩
Priority to KR102015004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9954A/ko
Publication of KR2016011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문, 즉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등으로 마감된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바닥면 위에 바로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는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레일에 형성된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머 상기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롤러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일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ROLLER APPARATUS FOR FOLDING DOOR}
본 발명은 접이문, 즉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등으로 마감된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바닥면 위에 바로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말 그대로 접이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외력에 대응해 내구성이 보장되며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어 외부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폴딩도어는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기존 문들의 50% 개폐구조를 90% 이상으로 열리게 하여 주거용으로는 넓은 생활공간을 그리고 상가용으로는 고객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여 주로 고급 레스토랑, 아파트, 주택, 상가 등의 출입구 또는 분합문에 쓰이는 추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폴딩도어(1)는 문틀프레임(100)과, 도어(200)와, 하부롤러경첩(300)과, 상부롤러경첩(400)과, 중간힌지경첩(500)과, 고정힌지경첩(600)과, 이동프레임(700)을 포함한다.
상기 문틀프레임(100)은 하부프레임(120)과, 상부프레임(110)과, 좌측프레임(130)과 우측프레임(140)을 포함하는 측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레일(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레일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200)는 상기 문틀프레임(100)을 따라 절첩되는데, 상기 도어(200)는 4각 형태의 도어프레임(210)에 끼워지는 도어글라스(22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어(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첩부와, 하부레일(121)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하부롤러경첩(300)과, 도어(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경첩부와, 상부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상부롤러경첩(400)을 포함한다. 하부롤러경첩(300)과 상부롤러경첩(400)의 경첩부는 도어(200)와 이동프레임(700)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중간힌지경첩(500)은 상기 하부롤러경첩(300) 및 상부롤러경첩(400)이 결합되지 않은 도어(200)의 타측면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도어(200)의 절첩시 상기 문틀프레임(100)을 벗어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고정힌지경첩(600)은 상기 좌측프레임(130)과, 상기 좌측프레임(130)과 마주보는 도어(200)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도어(200)가 절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700)은 상기 측부프레임 중 우측프레임(140)에 이웃하고 있는 도어(2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우측프레임(140)과 이웃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이동프레임(700)과 도어(200)의 일측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상부롤러경첩(400)과 하부롤러경첩(300)이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프레임(130)과, 이에 이웃하는 도어(200)의 도어프레임(21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고정힌지경첩(600)이 결합되는 결합돌기(131,213)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도어프레임(21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중간힌지경첩(500)이 결합되는 결합돌기(213)가 형성되며, 이동프레임(700)과, 이에 이웃하는 도어프레임(21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하부롤러경첩(300)과 상부롤러경첩(400)이 결합되는 결합돌기(710,2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프레임(130)과 이에 마주보는 도어프레임(210) 사이와, 도어프레임(210)들 사이와, 이동프레임(700)과 이에 마주보는 도어프레임(210) 사이와, 이동프레임(700)과 우측프레임(140) 사이에 각각 도어패킹(800)이 구비되어 있다. 다만, 이동프레임(700)과 우측프레임(140) 사이에는 도어패킹(800)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두 쌍의 도어패킹(800)이 면접된다.
즉, 방음 및 방풍을 위해 측부프레임(130,140)과, 도어프레임(210)과, 이동프레임(700)의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면접하는 한 쌍의 도어패킹(80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도어패킹(800)의 서로 마주보는 접면에 각각 오목부(820)와 볼록부(810)가 구비되고, 일측 오목부(820)와 타측 볼록부(810)가 면접하고, 일측 볼록부(810)와 타측 오목부(820)가 면접함으로써 방음 및 방풍효과와 함께 빗물차단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좌측프레임(130)과 우측프레임(140)과 도어프레임(210)과 이동프레임(700)의 측벽에는 도어패킹(8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패킹고정부(132,141,214,720)가 구비되고, 도어패킹(800)은 접면의 이면에 고정돌기(830)가 구비되어 고정돌기(830)를 패킹고정부(132,141,214,72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롤러경첩(300)은 지지기둥(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부(320)와, 상기 지지기둥(310)의 측부에 설치된 경첩부(330)를 포함한다. 경첩부(330)는 각각 도어의 도어프레임(210) 또는 이동프레임(70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기둥(310)에 결합된 한 쌍의 경첩부(330)는 각각 도어프레임(210)과 이동프레임(700)에 형성된 결합돌기(213,710)와 끼움결합되도록 끼움돌기(3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부(320)는 몸체(312)의 양측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롤러(322)와, 상기 몸체(32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롤러(323)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직롤러(322)는 하부프레임(120)의 바닥면인 하부레일(121)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수평롤러(323)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부커버(122)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커버(122)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롤러의 상부에 상기 수평롤러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높이(두께)가 두껍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콘크리트 바닥면(G) 속에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G1'은 마루 등 바닥 마감재이다.
즉, 기존에 설치된 콘크리트 바닥을 파쇄하여 철거한 다음, 하부프레임(120)을 삽입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감을 한 다음, 폴딩도어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부프레임(120)을 바닥면에 매립하여 설치하지 않고 바닥면 위에 바로 설치할 경우, 하부프레임의 높이(두께)가 높아(두꺼워) 미관상 좋지 않을 뿐더러 통행 중 걸려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을 철거하는데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이 난해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롤러가 구동롤러의 전방이나 후방에 구비되어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이 하부프레임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립하지 않고 바닥면 위에 바로 폴딩도어를 설치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는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레일에 형성된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머 상기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롤러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일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하부레일의 내측벽을 따라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면은 상기 구동롤러의 상면보다 낮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저면은 상기 구동롤러의 저면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경첩부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중심에는 지지기둥이 결합되고, 상기 경첩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전측과 후측에는 각각 구동롤러와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중심에는 상기 지지기둥이 결합되는 결합홀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롤러가 구동롤러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이나 후방에 구비되기 때문에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의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가이드롤러가 하부프레임의 커버의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의 두께가 더욱 얇아진다.
이와 같이 하부프레임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립하지 않고 바닥면 위에 바로 폴딩도어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폴딩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딩도어의 분리상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폴딩도어의 사용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폴딩도어의 하부롤러경첩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하부롤러경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딩도어는 문틀프레임과, 도어와, 중간힌지경첩과, 고정힌지경첩과, 롤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는 하부롤러경첩과 상부롤러경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에 대한 실시예는 하부롤러경첩으로 국한하여 설명한다.
상기 문틀프레임은 하부레일이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부레일이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측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문틀프레임내에서 절첩되면서 이동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개 구비된다.
기타,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부롤러경첩과, 중간힌지경첩과, 고정힌지경첩 등을 포함하며, 이것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인 하부롤러경첩(30)은 경첩부(33)와, 롤러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경첩부(33)는 종래기술과 같이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롤러부(32)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기둥(31)을 구비한다. 상기 경첩부(33)는 결합돌기(33a)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롤러부(32)는 상기 경첩부(33)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상기 롤러부(32)는 상기 지지기둥(31)과 결합하는 몸체(32a)와, 상기 몸체(32a)의 저부에 구비되어 하부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롤러(32c)와, 가이드롤러(32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2a)의 중심에는 상기 지지기둥(31)과 결합하는 결합홀(32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32d)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구동롤러(32c)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구동롤러(32c)가 하부프레임(40)의 하부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32b)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롤러(32b)는 상기 몸체(32a)의 저부에 구비되지만, 상기 구동롤러(32c)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구동롤러(32c)는 회전축(S1)이 수평으로 구비되지만, 가이드롤러(32b)는 회전축(S2)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축(S2)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S1)과 직교한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32c)가 하부레일(41)에 수직하게 구름접촉할 때는 상기 가이드롤러(32b)는 상기 하부프레임(40), 하부레일(41)의 내측벽(42)과 접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구동롤러(32c)가 수직하지 않으면 상기 도어가 기울어지고, 이 때 상기 가이드롤러(32b)는 비로소 상기 하부프레임(40)의 내측벽(42)에 접하면서 도어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40)의 양측 상단에서 바깥쪽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그(43)가 연장형성된다. 이것은 하부프레임(40)을 콘크리트나 마감재 등의 바닥면에 매립하지 않고 바닥면 위에 설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통행 중 걸려 넘어지거나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롤러(32b)의 상부는 상기 구동롤러의 상면보다 낮고, 구동롤러의 저면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7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서는 수평롤러(323)가 수직롤러(322)의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수평롤러(323)의 상면은 수직롤러(322)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하부프레임의 높이(두께)가 높을(두꺼울)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가이드롤러(32b)가 구동롤러(32c)의 상부나 하부가 아닌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부프레임(40)의 높이가 종래기술에 비해 현저히 낮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프레임(4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면 위에 바로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하부프레임(40)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면 중에 설치하지 않고, 바닥면 위에 설치하더라도 미관이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하부프레임(40)을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수단으로서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인 하부롤러경첩의 경첩부에 형성된 결합돌기(33a)를 도어프레임(210)과 이동프레임(700)에 형성된 결합돌기(도 4의 213, 710)와 끼움결합한다.
30: 하부롤러경첩(실시예)
31: 지지기둥
32: 롤러부
32a: 몸체
32b: 가이드롤러
32c: 구동롤러
32d: 결합홀
33: 경첩부

Claims (8)

  1.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레일에 형성된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머 상기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롤러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일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하부레일의 내측벽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면은 상기 구동롤러의 상면보다 낮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저면은 상기 구동롤러의 저면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경첩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심에는 지지기둥이 결합되고,
    상기 경첩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전측과 후측에는 각각 구동롤러와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심에는 상기 지지기둥이 결합되는 결합홀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KR1020150048784A 2015-04-07 2015-04-07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KR20160119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784A KR20160119954A (ko) 2015-04-07 2015-04-07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784A KR20160119954A (ko) 2015-04-07 2015-04-07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954A true KR20160119954A (ko) 2016-10-17

Family

ID=5725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784A KR20160119954A (ko) 2015-04-07 2015-04-07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9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2075A (zh) * 2016-11-28 2017-02-08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滑动式折叠窗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2075A (zh) * 2016-11-28 2017-02-08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滑动式折叠窗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1691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
KR20180109830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KR101759322B1 (ko) 마감과 추가 시공을 겸하는 폴딩 도어용 일체형 하부 레일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20160088604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
KR20160119954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KR101745399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KR101966891B1 (ko) 롤러가 구비된 힌지장치
KR101745401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JP6873658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6837807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KR101866539B1 (ko)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KR20170135392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KR20090132669A (ko) 레일덮개가 장착된 창틀 및 상기 창틀의 레일 위에서 구름운동하는 롤러부
KR101916232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시공하는 방법
KR20180007863A (ko) 폴딩도어의 롤러유닛 구조
KR101706378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폴딩도어를 직접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JP2014070370A (ja) 開口構造及び開口施工方法
JP7277277B2 (ja) スライド扉機構及びブース
KR20160116444A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용 창틀
KR200467807Y1 (ko) 샤워부스
KR101841724B1 (ko) 개별 폴딩구조를 갖는 도어 시스템
KR200368137Y1 (ko) 문틀 설치 구조
KR20220082250A (ko) 마감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KR20170100961A (ko) 롤러가 구비된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7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929

Effective date: 2019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