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378B1 - 미닫이용 창틀 위에 폴딩도어를 직접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 Google Patents

미닫이용 창틀 위에 폴딩도어를 직접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378B1
KR101706378B1 KR1020150045081A KR20150045081A KR101706378B1 KR 101706378 B1 KR101706378 B1 KR 101706378B1 KR 1020150045081 A KR1020150045081 A KR 1020150045081A KR 20150045081 A KR20150045081 A KR 20150045081A KR 101706378 B1 KR101706378 B1 KR 10170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folding door
cov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807A (ko
Inventor
홍성주
Original Assignee
(주)이지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폴딩 filed Critical (주)이지폴딩
Priority to KR102015004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37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도어용 창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용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용 창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용 창틀은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을 덮고 상면이 편평한 판상의 하부커버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상부프레임을 덮는 상부커버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측부프레임을 덮는 측부커버를 포함하는 커버프레임; 및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레일이 형성되는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과, 상기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과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에 연결되는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폴딩도어용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닫이용 창틀 위에 폴딩도어를 직접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Flame for folding door}
본 발명은 폴딩도어용 창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용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용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말 그대로 접이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외력에 대응해 내구성이 보장되며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어 외부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폴딩도어는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기존 문들의 50% 개폐구조를 90% 이상으로 열리게 하여 주거용으로는 넓은 생활공간을 그리고 상가용으로는 고객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여 주로 고급 레스토랑, 아파트, 주택, 상가 등의 출입구 또는 분합문에 쓰이는 추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폴딩도어는 문틀프레임(100)과, 복수의 도어(200)와, 하부롤러경첩(300)과, 상부롤러경첩(400)과, 중간힌지경첩(500)과, 고정힌지경첩(600)과, 이동프레임(700)을 포함한다.
상기 문틀프레임(100)은 하부프레임(120)과, 상부프레임(110)과, 좌측프레임(130)과 우측프레임(140)을 포함하는 측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레일(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레일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도어(200)는 일측이 상기 문틀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절첩되는데, 상기 도어(200)는 4각 형태의 도어프레임(210)에 끼워지는 도어글라스(22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어(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첩부와, 하부레일(12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하부롤러경첩(300)과, 도어(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경첩부와,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상부롤러경첩(400)을 포함한다. 하부롤러경첩(300)과 상부롤러경첩(400)의 경첩부는 도어(200)와 도어(200), 또는 도어(200)와 이동프레임(700)를 각각 연결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중간힌지경첩(500)은 상기 하부롤러경첩(300) 및 상부롤러경첩(400)이 결합되지 않은 도어(200)의 타측면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도어(200)의 절첩시 상기 문틀프레임(100)을 벗어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고정힌지경첩(600)은 상기 좌측프레임(130)과, 상기 좌측프레임(130)과 마주보는 도어(200)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도어(200)가 절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700)은 상기 측부프레임 중 우측프레임(140)에 이웃하고 있는 도어(2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우측프레임(140)과 이웃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이동프레임(700)과 도어(200)의 일측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상부롤러경첩(400)과 하부롤러경첩(300)이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프레임(130)과, 이에 이웃하는 도어(200)의 도어프레임(21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고정힌지경첩(600)이 결합되는 결합돌기(131,213)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도어프레임(21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중간힌지경첩(500)이 결합되는 결합돌기(213)가 형성되며, 이동프레임(700)과, 이에 이웃하는 도어프레임(21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하부롤러경첩(300)과 상부롤러경첩(400)이 결합되는 결합돌기(710,2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프레임(130)과 이에 마주보는 도어프레임(210) 사이와, 도어프레임(210)들 사이와, 이동프레임(700)과 이에 마주보는 도어프레임(210) 사이와, 이동프레임(700)과 우측프레임(140) 사이에 각각 도어패킹(800)이 구비되어 있다. 다만, 이동프레임(700)과 우측프레임(140) 사이에는 도어패킹(800)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두 쌍의 도어패킹(800)이 면접된다.
즉, 방음 및 방풍을 위해 측부프레임(130,140)과, 도어프레임(210)과, 이동프레임(700)의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면접하는 한 쌍의 도어패킹(80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도어패킹(800)의 서로 마주보는 접면에 각각 오목부(820)와 볼록부(810)가 구비되고, 일측 오목부(820)와 타측 볼록부(810)가 면접하고, 일측 볼록부(810)와 타측 오목부(820)가 면접함으로써 방음 및 방풍효과와 함께 빗물차단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좌측프레임(130)과 우측프레임(140)과 도어프레임(210)과 이동프레임(700)의 측벽에는 도어패킹(8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패킹고정부(132,141,214,720)가 구비되고, 도어패킹(800)은 접면의 이면에 고정돌기(830)가 구비되어 고정돌기(830)를 패킹고정부(132,141,214,72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롤러경첩(300)은 지지기둥(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부(320)와, 상기 지지기둥(310)의 측부에 설치된 경첩부(330)를 포함한다. 경첩부(330)는 각각 도어의 도어프레임(210) 또는 이동프레임(70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기둥(310)에 결합된 한 쌍의 경첩부(330)는 각각 도어프레임(210)과 이동프레임(700)에 형성된 결합돌기(213,710)와 끼움결합되도록 끼움돌기(3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부(320)는 몸체(312)의 양측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롤러(322)와, 상기 몸체(32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가이드롤러(3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롤러(322)의 상부에 상기 제1가이드롤러(323)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롤러(323)의 저면이 상기 구동롤러(322)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롤러경첩(400)은 지지기둥(3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몸몸체20)와, 상기 지지기둥(410)의 측부에 설치된 경첩부(430)를 포함한다. 경첩부(430)는 각각 도어의 도어프레임(210) 또는 이동프레임(70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기둥(410)에 결합된 한 쌍의 경첩부(430)는 각각 도어프레임(210)과 이동프레임(700)에 형성된 결합돌기(213,710)와 끼움결합되도록 끼움돌기(4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42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가이드롤러(323)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200)의 하부에는 하부롤러경첩이 결합되고, 도어의 상부에는 상부롤러경첩이 결합된다. 하부롤러경첩의 구동롤러(322)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하부레일(121)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로 인해 구동롤러(322)는 하부레일(121)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도어(200)를 절첩한다. 이 때, 상기 제1가이드롤러(323)는 하부프레임(120)의 상부의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즉, 구동롤러(322)가 구름접촉하여 도어(200)를 절첩할 때 제1가이드롤러(323)는 도어(200)가 기울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주면서 마찰없이 부드럽게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롤러경첩의 제2가이드롤러(421)는 하부가 개구된 상부프레임(110)에 삽입 설치되고, 제2가이드롤러(421)는 상부레일(111)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한다. 상부롤러경첩의 제2가이드롤러(421) 역시 도어(200)가 이동할 때 기울지 않고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마찰없이 부드럽게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하부프레임(120)의 하부롤러경첩(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20)의 내부에 롤러부(320)가 삽입되고, 하부프레임(120)의 상부에 있는 경첩부(330)에 도어프레임(210)의 하부가 결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하부프레임(120)의 내부에 삽입된 롤러부(320)의 구동롤러(322)는 하부레일(121)에 안착된다. 또한, 제1가이드롤러(323)는 하부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즉, 마주보는 상부덮개(122)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롤러(322)는 하부프레임(120)의 바닥면인 하부레일(121)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롤러(323)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부덮개(122)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덮개(122)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롤러(322)의 상부에 상기 제1가이드롤러(323)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높이(두께)가 두껍다. 즉, 제1가이드롤러(323)의 저면이 구동롤러(322)의 상면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콘크리트 바닥면(G)에 고정 설치되고, 그 위를 마감재(G1)로 처리한다.
그러므로 기존에 설치된 콘크리트 바닥을 파쇄하여 철거한 다음, 하부프레임(120)을 삽입하고, 다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고정한 다음, 폴딩도어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바닥면 중에 설치하지 않고 바닥면 위에 바로 설치할 경우, 하부프레임의 높이가 높아 미관상 좋지 않을 뿐더러 통행 중 걸려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을 철거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이 난해한 문제가 있다. 특히,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한 다음에 시공을 해야하므로 콘크리트 경화하는 동안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을 철거하고 폴딩도어를 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존에 섀시 등 미닫이창이 설치된 것을 제거하고, 그 위치에 폴딩도어를 설치하기도 한다.
도 10은 종래 일반적인 미닫이창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창은 미닫이용 창틀과, 한 쌍의 미닫이용 도어(S2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S200)는 사각형태의 도어프레임(S210)과, 도어글라스(S220)로 구성된다.
상기 미닫이용 창틀은 하부프레임(S120)과 상부프레임(S110)과 한 쌍의 측부프레임(S130,S140)으로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미닫이용 도어(S200)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부프레임(S120)에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미닫이용 레일(S121)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어프레임(S210)의 저면에는 상기 미닫이용 레일(S121)이 안착되도록 장착홈(S2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미닫이용 도어(S200)는 상기 미닫이용 레일(S12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창을 개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미닫이창을 제거하고 그 위치에 폴딩도어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미닫이용 창틀(S110~S140)에서 미닫이용 도어(S200)를 탈거하고, 미닫이용 창틀(S110~S140)을 철거한다. 상기 미닫이용 창틀(S110~S140)을 모두 철거한 다음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을 설치하고, 복수의 도어를 장착하여 완성된다.
즉, 미닫이용 창틀(S110~S140)을 철거한 다음,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을 고정해야 하는데, 그 과정을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S120)을 철거하고, 그 위치에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120)을 삽입한다.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이 미닫이용 창틀보다 폭이 좁기 때문에 남는 공간은 콘크리트 모르타르(CM)를 타설하고 경화될 때까지 기다린다. 콘크리트 모르타르(CM)가 경화되어 하부프레임(120)이 바닥면에 고정되면 하부프레임(120)의 내부에 하부롤러경첩의 구동롤러(도 7의 '322')가 삽입되도록 장착한다.
다음으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용 창틀의 측부프레임(S130)을 철거하고, 철거된 빈 공간은 콘크리트 모르타르(CM)를 타설하여 벽체(W)의 표면과 동일하게 마감하고 경화될 때까지 기다린다. 콘크리트 모르타르(CM)가 경화되면 그 위에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130)을 고정한다. 통상 나사못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130)을 벽체(W)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용 창틀의 상부프레임(S110)을 철거하고, 철거된 빈 공간은 콘크리트 모르타르(CM)를 타설하여 천장(R)의 표면과 동일하게 마감하고 경화될 때까지 기다린다. 콘크리트 모르타르(CM)가 경화되면 그 위에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110)을 고정한다. 통상 나사못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110)을 천장(R)에 고정한다. 콘크리트 모르타르(CM)가 경화되고 상부프레임(110)이 고정되면 상부프레임(110)에 형성된 상부레일(111)에 상부롤러경첩의 제2가이드롤러(도 7의 '421')가 삽입되도록 장착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닫이창이 설치된 곳에 미닫이창을 제거하고 폴딩도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미닫이용 창틀을 철거하는 작업이 어렵다.
특히, 철거한 공간에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모르타르 를 타설, 경화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비로소 폴딩도어용 도어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이 매우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닫이용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용 창틀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용 창틀은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을 덮고 상면이 편평한 판상의 하부커버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상부프레임을 덮는 상부커버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측부프레임을 덮는 측부커버를 포함하는 커버프레임; 및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레일이 형성되는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과, 상기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과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에 연결되는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폴딩도어용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미닫이용 레일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한 쌍의 미닫이용 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은 양측벽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걸림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레일은 도어의 하부에 결합된 구동롤러 또는 제1가이드롤러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에는 상부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은 상기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의 하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과 하부커버,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상부프레임과 상부커버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측부프레임과 측부커버는 각각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와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커버와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 상기 측부커버와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은 각각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닫이용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미닫이용 창틀을 철거하기 위한 작업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더욱이, 미닫이용 창틀을 철거한 자리에 폴딩도어를 설치한 다음에 실시하는 마감작업, 예를 들어 콘크리트 타설, 미장, 도장, 도배, 마루 등 바닥재 시공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시간과 비용이 획기적으로 감축된다.
도 1은 종래 폴딩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딩도어의 분리상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폴딩도어의 사용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폴딩도어의 하부롤러경첩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폴딩도어의 상부롤러경첩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난 하부롤러경첩과 상부롤러경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2에 나타난 하부롤러경첩이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미닫이창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미닫이창을 철거하고 폴딩도어를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기존 미닫이용 창틀에 커버프레임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하부롤러경첩과 하부프레임 및 하부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기존 미닫이용 창틀에 커버프레임과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1)는 미닫이용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로서, 그 구성은 미닫이용 창틀(S110 ~ S140)과, 미닫이용 창틀(S110 ~ S140)을 덮는 커버프레임(C110 ~ C140)과, 상기 커버프레임(C110 ~ C140)에 안착되거나 결합되는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F110 ~ F140)과, 복수의 도어(200)와, 하부롤러경첩(30)과, 상부롤러경첩(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프레임(C110 ~ C140)은 상기 미닫이용 창틀(S110 ~ S140)의 하부프레임(S120)을 덮는 하부커버(C120)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상부프레임(S110)을 덮는 상부커버(C110)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측부프레임(S130,S140)을 덮는 측부커버(C130,C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F110 ~ F140)은 상기 하부커버(C12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레일(F121)이 형성되는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F120)과, 상기 상부커버(C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F110)과, 상기 하부프레임(F120)과 상부프레임(F110)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F130,F14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200)는 사각형태의 도어프레임과 도어글라스로 이루어지고, 좌측 측부프레임(F130)과 인접하는 도어프레임의 하부와 상부에는 고정힌지경첩(도 4의 '60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도어(2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중간힌지경첩(도 4의 '500')이 결합되고, 상기 우측 도어(200)의 우측에는 이동프레임(도 4의 '700')이 구비된다. 상기 우측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롤러경첩(도 6의 '400')과 하부롤러경첩(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상부프레임(S110)의 하부를 상부커버(C110)로 덮고, 그 아래에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F110)이 결합된다. 여기서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F110)에는 상부레일(F1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레일(F111)에는 제2가이드롤러(도 6의 '421')가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참고로,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F110)과 상부롤러경첩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상부프레임(110)과 상부롤러경첩(400)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S120)의 상부를 하부커버(C120)로 덮고, 그 위에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F120)이 결합된다. 여기서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F120)에는 하부레일(F121)이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측부프레임(S130,S140)의 일측을 측부커버(C130,C140)로 덮고, 그 위에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F130, F140)이 결합된다. 여기서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F130, F14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측부프레임(130,140)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하부롤러경첩(30)은 경첩부(33)와, 롤러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경첩부(33)는 종래기술과 같이 상기 도어(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롤러부(32)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기둥(31)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부(32)는 상기 경첩부(33)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상기 롤러부(32)는 상기 지지기둥(31)과 결합하는 몸체(32a)와, 상기 몸체(32a)의 저부에 구비되어 하부레일(F121)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롤러(32c)와, 제1가이드롤러(32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2a)의 중심에는 상기 지지기둥(31)과 결합하는 결합홀(도 16의 '32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32d)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구동롤러(32c)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구동롤러(32c)가 하부프레임(40)의 하부레일(F12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롤러(32b)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롤러(32b)는 상기 몸체(32a)의 저부에 구비되지만, 상기 구동롤러(32c)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구동롤러(32c)는 회전축이 수평으로 구비되지만, 제1가이드롤러(32b)는 회전축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롤러(32b)의 회전축은 상기 구동롤러(32c)의 회전축과 직교한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32c)가 하부레일(F121)에 수직하게 구름접촉할 때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32b)는 상기 하부레일(F121)의 내측벽(F122)과 접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구동롤러(32c)가 수직하지 않으면 상기 도어(200)가 기울어지고, 이 때 상기 제1가이드롤러(32b)는 비로소 상기 하부레일(F121)의 내측벽(F122)에 접하면서 도어(2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32b)의 상면은 상기 구동롤러(32c)의 상면보다 낮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5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서는 제1가이드롤러(323)가 구동롤러(322)의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1가이드롤러(9323)의 상면은 구동롤러(322)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하부프레임(120)의 높이(두께)가 높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가이드롤러(32b)가 구동롤러(32c)의 상부나 하부가 아닌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부프레임(F120)의 높이가 종래기술에 비해 현저히 낮아진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하부커버(C120)는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S120)을 덮는 구성요소로서, 상면이 편평한 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판재의 양측 단부(C124)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보강부재(C121)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C121)는 도어(2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C121)는 판상의 상기 하부커버(C120)의 하부에 중공된 관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C120)에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홀(h)을 통해 상기 부강부재(C121)를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S120)과 나사결합시킨다.
상기 하부커버(C120)의 상부에는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F120)이 안착되는데, 상기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F120)은 상기 하부롤러경첩의 구동롤러(32c)가 안착되는 하부레일(F12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롤러경첩(30)의 제1가이드롤러(32b)는 상기 하부레일의 내측벽(F122)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F120)은 양측벽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걸림방지판(F123)이 형성된다. 이것은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F120)이 매몰되지 않고, 하부커버(C120)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사람이 통행하면서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F120)의 측벽에 걸려서 부상당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7 (a)를 참조하면,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S120)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하부커버(C120)를 덮는다. 상기 하부커버(C120)는 상기 미닫이용 하부프레임(S120)에 형성된 한 쌍의 미닫이용 레일(도 12의 'S12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미닫이용 레일(S121) 사이에 보강부재(도 15의 C121)가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도 15의 'h')을 통과해 보강부재(도 15의 C121)에 체결수단인 나사못(B2)을 체결하여 미닫이용 하부프레임(S120)과 하부커버(C120)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하부커버(C120)의 상면에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F120)을 안착시키고, 체결수단인 나사못(B1)을 체결하여 하부프레임(F120)과 하부커버(C120)를 체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프레임(F120)에 형성된 하부레일(F121)에 하부롤러경첩(30)이 결합된 도어(200)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C120)의 절곡된 양측 단부(C124)와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S120)의 양측 단부(S125) 사이에는 실리콘 등을 충진하여 마감처리한다. 미설명부호 'G'는 바닥면이고, 장판이나 마루판 등의 'G1'은 바닥재이다.
도 17 (b)를 참조하면, 미닫이용 창틀의 측부프레임(S130)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측부커버(C130)를 덮는다. 이 상태에서 보강부재(C131)에 나사못(B4)을 체결하여 미닫이용 측부프레임(S130)에 측부커버(C130)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측부커버(C130)에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F130)을 안착시키고, 나사못(B3)을 체결하여 측부프레임(F130)과 제2결합판(C132)을 체결하여 측부프레임(F130)을 고정한다.
먼저, 도 17 (c)를 참조하면, 미닫이용 창틀의 상부프레임(S110)을 철거하지 않고, 그 아래에 상부커버(C110)를 덮는다. 이 상태에서 보강부재(C111)에 나사못(B6)을 체결하여 미닫이용 상부프레임(S110)에 상부커버(C110)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커버(C110)에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F110)을 안착시키고, 나사못(B5)을 체결하여 상부프레임(F110)과 제2결합판(C132)을 체결하여 상부프레임(F110)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프레임(F110)에 형성된 상부레일(F111)에 상부롤러경첩이 결합된 도어를 장착한다.
상기 나사못(B1~B6)은 공지의 다른 체결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C120)의 양측 단부(C125)가 미닫이용 창틀의 양측 단부(S125)의 바깥에서 이를 완전히 감싸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외에는 도 17(a)에 나타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1: 폴딩도어
S110 ~ S140: 미닫이용 창틀
C110 ~ C140: 커버프레임
F110 ~ F140: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
30: 하부롤러경첩
31: 지지기둥
32: 롤러부
32a: 몸체
32b: 가이드롤러
32c: 구동롤러
32d: 결합홀
33: 경첩부

Claims (9)

  1.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에 있어서,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을 덮고 상면이 편평한 판상의 하부커버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상부프레임을 덮는 상부커버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측부프레임을 덮는 측부커버를 포함하는 커버프레임; 및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레일이 형성되는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과, 상기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과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에 연결되는 한 쌍의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폴딩도어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미닫이용 레일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에는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상기 한 쌍의 미닫이용 레일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은 양측벽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걸림방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레일은 도어의 하부에 결합된 구동롤러 또는 제1가이드롤러를 안내하며,
    상기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에는 상부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레일은 상기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의 하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하부프레임과 하부커버,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상부프레임과 상부커버와, 상기 미닫이용 창틀의 측부프레임과 측부커버는 각각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측부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와 고정힌지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와 폴딩도어용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커버와 폴딩도어용 상부프레임, 상기 측부커버와 폴딩도어용 측부프레임은 각각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KR1020150045081A 2015-03-31 2015-03-31 미닫이용 창틀 위에 폴딩도어를 직접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KR10170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81A KR101706378B1 (ko) 2015-03-31 2015-03-31 미닫이용 창틀 위에 폴딩도어를 직접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81A KR101706378B1 (ko) 2015-03-31 2015-03-31 미닫이용 창틀 위에 폴딩도어를 직접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807A KR20160116807A (ko) 2016-10-10
KR101706378B1 true KR101706378B1 (ko) 2017-02-15

Family

ID=5714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081A KR101706378B1 (ko) 2015-03-31 2015-03-31 미닫이용 창틀 위에 폴딩도어를 직접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3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63B1 (ko) * 2014-02-24 2015-01-26 홍성주 폴딩도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364U (ko) * 1994-08-25 1996-03-15 창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63B1 (ko) * 2014-02-24 2015-01-26 홍성주 폴딩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807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5033C1 (ru) Дверная петля, а также внутренняя дверь
KR101745401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KR101745399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KR101759322B1 (ko) 마감과 추가 시공을 겸하는 폴딩 도어용 일체형 하부 레일
KR20170001691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
KR101706378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폴딩도어를 직접 설치 가능하게 하는 폴딩도어용 창틀
KR101916232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시공하는 방법
KR20180109830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KR20160116444A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용 창틀
KR101866539B1 (ko)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KR20170100914A (ko) 롤러가 구비된 힌지장치
KR20160088604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
KR101330750B1 (ko)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수직축 높이조절장치
KR20160119954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KR101932657B1 (ko) 행거도어의 레일결합구조
JPH0913800A (ja) 間仕切り用の開口枠の構造
KR200368137Y1 (ko) 문틀 설치 구조
JP2645696B2 (ja) 車庫におけるシャッター取付装置
JP6694001B2 (ja) 出入口用建具
CA2989961C (en) Adjustable shim and pre-hung door with the same
KR20220082250A (ko) 마감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KR20170135392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JP6412712B2 (ja) 出入口用建具
KR20170100961A (ko) 롤러가 구비된 힌지장치
JP3789907B2 (ja) 引き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