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07Y1 - 샤워부스 - Google Patents

샤워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07Y1
KR200467807Y1 KR2020110004219U KR20110004219U KR200467807Y1 KR 200467807 Y1 KR200467807 Y1 KR 200467807Y1 KR 2020110004219 U KR2020110004219 U KR 2020110004219U KR 20110004219 U KR20110004219 U KR 20110004219U KR 200467807 Y1 KR200467807 Y1 KR 200467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ail
door
closing do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060U (ko
Inventor
이종열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동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110004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0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4Slida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bstract

샤워부스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샤워부스는, 서로 마주보는 벽면의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 우측의 상기 수직 프레임에 일측이 지지되는 고정도어; 상기 고정도어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도어 지지부 및 제1 레일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 개폐도어 삽입부 및 제2 레일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레일 고정공이 마주보도록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 양단이 상기 제1,2 레일 고정공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도어에 지지되는 레일; 및 적어도 두 쌍 이상의 롤러들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폐작동하는 개폐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샤워부스{SHOWER BOOTH}
본 고안은 샤워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에 설치되는 샤워부스의 개폐도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개폐도어의 열림시 또는 닫힘시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샤워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는 샤워부스가 설치된다. 이 샤워부스는 욕실에 샤워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샤워공간의 사생활 보호는 물론, 샤워시 비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샤워부스는 협소한 욕실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욕실의 양측 벽에 프레임을 설치한 후 이 프레임에 개폐도어를 설치하거나, 프레임에 레일을 설치하여 개폐도어가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샤워부스는 개폐도어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상하부에 레일을 설치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이 곤란하였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한 샤워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샤워부스의 개폐도어가 열린상태 또는 닫힌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샤워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샤워부스로서,
서로 마주보는 벽면의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
우측의 상기 수직 프레임에 일측이 지지되는 고정도어;
상기 고정도어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도어 지지부 및 제1 레일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
개폐도어 삽입부 및 제2 레일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레일 고정공이 마주보도록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
양단이 상기 제1,2 레일 고정공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도어에 지지되는 레일; 및
적어도 두 쌍 이상의 롤러들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폐작동하는 개폐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의 상면 또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열림 및 닫힘시에 상기 롤러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충격을 완충하고,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의 상면 또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저면에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롤러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만곡진 걸림부가 형성되며, 자체 탄성을 갖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일측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고정도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레일과 상기 고정도어의 지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볼트부재;
상기 고정도어 측에서 상기 지지볼트부재와 체결되는 너트부재; 및
상기 지지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와 고정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용 완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설치공에 나사부가 끼워지는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나사부와 체결되는 체결공을 구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공은 상기 나사부와의 체결시 풀림이 방지되도록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레일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돌출된 나사부가 형성된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질 수있다.
상기 롤러 및 이탈방지수단과 개폐도어 사이에는 롤러용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바닥 프레임 또는 바닥 트레이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도어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상면 또는 바닥 트레이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는 개폐작동시 하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 유동방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하부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개폐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개폐도어와 고정도어의 일부가 겹치는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하단부 양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동 지지단이 양측에서 마주보도록 연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유동방지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각 유동 지지단에는 충격흡수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개폐도어가 상부측에 배치된 레일에 지지되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탈방지수단에 의해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 또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의 상면에 스토퍼가 구비되므로 개폐도어의 개폐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개폐도어의 닫힘상태 또는 열림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샤워부스의 개폐도어가 열린상태 또는 닫힌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샤워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부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워부스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a,3b는 도 1에 도시된 샤워부스의 설치상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a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스토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 유동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부스는 서로 마주보는 벽면의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과, 우측 수직 프레임(10B)에 일측이 지지되는 고정도어(30)와, 고정도어(3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도어 지지부(22) 및 제1 레일 고정공(24)이 형성되어 우측 수직 프레임(10B)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 도어측 레일 지지부재(20)와, 개폐도어 삽입부(52) 및 제2 레일 고정공(54)이 형성되어 제1,2 레일 고정공(24,54)이 마주보도록 좌측 수직 프레임(10A)의 상단에 설치되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50)와, 양단이 제1,2 레일 고정공(24,54)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일측이 고정도어(30)에 지지되는 레일(100)과, 적어도 두 쌍 이상의 롤러(80)들에 의해 레일(10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폐작동하는 개폐도어(4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는 고정도어(30)를 지지하고 레일(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욕식의 양측 벽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나 서로 일치되지 않고 어긋나게 설치된다. 그리고,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의 하단부는 바닥 프레임(10C)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닥 트레이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의 하단부에는 바닥 프레임(10C)이 설치되어 그 양단이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의 하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의 각 하단부가 바닥 트레이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트레이는 샤워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단품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닥 트레이 대신에 샤워 공간의 바닥을 시멘트 등으로 형성하고 입구에 턱을 형성하여 이 턱에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하고, 고정도어(30)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는 "⊃"형성되어 고정도어(3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거나 개폐도어(40)의 일측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도어(30)는 우측 수직 프레임(10B)에 일측이 지지되고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반투명의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도어(30)의 하단은 별도의 지지 프레임에 의해 바닥 프레임(10C)의 상면에 설치된다.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20)는 고정도어(30) 측에서 레일(100)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도어(3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도어 지지부(22)가 일측에 형성되고, 고정도어 지지부(22) 일측에는 레일(1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제1 레일 고정공(24)이 형성되어 우측 수직 프레임(10B)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20)의 상면에는 스토퍼(60)가 설치된다.
이 스토퍼(60)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50)의 상면에도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개폐도어(40)의 열림 및 닫힘시에 롤러(80)와 접촉되어 개폐도어(40)의 개폐충격을 완충하고,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퍼(60)는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20)의 상면 또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5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62)와, 저면에는 롤러(80)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홈(64A)이 형성되고, 안착홈(64A)의 일측에는 안착홈(64A)에 안착된 롤러(80)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만곡진 걸림부(64B)가 형성되며, 자체 탄성을 갖도록 고정부(62)에서 일측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부(64)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60)는 지지부(64)가 충분한 탄성을 갖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지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50)는 일측에 개폐도어(40)가 닫힐 때 개폐도어(4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개폐도어 삽입부(52)가 형성되고, 이 개폐도어 삽입부(52)의 일측에는 레일(100)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레일 고정공(5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50)는 제1 레일 고정공(24)이 제2 레일 고정공(54)과 마주보도록 좌측 수직 프레임(10A)의 상단에 결합된다.
레일(100)은 개폐도어(40)에 설치되는 롤러(80)가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이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20)와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50)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100)이 세워진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상부측이 롤러(80)를 안내하고, 하부측은 이탈방지수단(90)에 지지되기 위한 것이다.
개폐도어(40)는 투명이나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유리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도어(40)는 적어도 두 쌍 이상의 롤러(80)들에 의해 레일(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레일(100)은 그 일부가 고정도어(30)의 내측(개폐도어와 마주보는 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재(70)를 구비한다. 이 지지부재(70)는 레일(100)의 일측 영역을 고정도어(30)의 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0)과 고정도어(30)의 지지공(3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볼트부재(72)와, 고정도어(30) 측에서 지지볼트부재(72)와 체결되는 너트부재(74)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볼트부재(72) 및 너트부재(74)의 내면과 고정도어(30)의 내측 및 외측면 그리고 지지공(32) 사이에는 합성수지재로 된 레일용 완충부재(76)가 설치된다. 이 레일용 완충부재(76)는 레일(100)과 고정도어(30)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경질의 지지볼트부재(72) 및 너트부재(74)가 직접 유리재로 된 고정도어(3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개폐도어(40)에 설치되는 롤러(80)는 개폐도어(40)가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삽입홈(82A)이 형성된 회전부재(82)와, 회전부재(8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을 구비하여 회전부재(82)의 내부에 결합되고, 개폐도어(40)의 설치공(42)에 나사부(84A)가 끼워지는 회전지지부재(84)와, 개폐도어(40)의 외측에서 설치공(42)을 통하여 나사부(84A)와 체결되는 체결공(86A)을 구비한 고정부재(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체결공(86A)은 나사부(84A)와의 체결시 풀림이 방지되도록 고정부재(86)의 중심에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체결공(86A)은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개폐도어(40)를 사이에 두고, 설치공(42) 내부에서 나사부(84A)가 체결공(86A)에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부재(86)를 임의로 회전시키거나 회전지지부재(84)를 임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임의로 편심회전을 시켜야 하는 것이나, 기구의 작동중(개폐도어의 슬라이딩시)에는 회전지지부재(84) 또는 고정부재(86)를 임의로 편심 회전시킬 수 없고, 또한 회전지지부재(84) 또는 고정부재(86)가 자체체적으로 편심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풀림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개폐도어(40)는 롤러(80)가 레일(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수단(90)을 구비한다. 이 이탈방지수단(90)은 레일(100)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92A)이 형성되고, 일측에 돌출된 나사부(92B)가 형성된 이탈방지부재(92)와, 개폐도어(40)의 외측에서 나사부(92B)에 체결되는 고정너트(9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탈방지수단(90)은 이탈방지홈(92A)에 레일(100)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개폐도어(40)에 고정되므로 개폐도어(40)의 슬라이딩시 롤러(8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서 이탈방지수단(90)은 롤러(80)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80)와 짝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롤러(80)의 회전지지부재(82)와 고정부재(86) 그리고 개폐도어(40)의 내,외측면과 설치공(42) 사이에 및 고정너트(94)와 이탈방지부재(92) 그리고 개폐도어(40)의 내,외측면과 설치공(42) 사이에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된 롤러용 완충부재(88,96)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롤러용 완충부재(88,96)는 강한 조임에 의해 개폐도어(40)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과 바닥 프레임(10C)을 샤워부스가 설치될 장소의 양측 벽 및 바닥에 각각 설치하고, 고정도어(30)를 설치한다.
이어서, 우측 수직 프레임(10B)의 상단 및 고정도어(30)의 상단 일부에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20)를 설치한다. 즉, 고정도어 지지부(22)에 고정도어(3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좌측 수직 프레임(10A)의 상단에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 부재(50)를 설치한다. 이때,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50)는 벽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어서, 고정도어(30)의 하단부를 별도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바닥 프레임(10C)에 지지한다. 이로써 고정도어(30)는 안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고정도어(30)가 설치되고, 각 레일 지지부재(20,50)가 설치되면, 레일(100)의 양단을 각 레일 지지부재(20,50)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즉, 레일(100)의 양단을 제1,2 레일 고정공(24,54)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70)를 이용하여 레일(100)의 일부를 고정도어(30)에 고정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0)과 고정도어(30)를 사이에 두고 지지볼트부재(72)와 너트부재(74)를 체결하여 레일(100)의 일부가 고정도어(3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20)의 상면에는 스토퍼(60)를 설치한다. 이 스토퍼(60)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50)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20)에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어서, 개폐도어(40)를 레일(100)에 설치하되, 먼저 롤러(80)를 개폐도어(40)에 고정 설치한다. 즉, 삽입홈(82A)을 구비한 회전부재(82)를 회전 지지부재(84)와 결합하고, 개폐도어(40)를 사이에 두고 설치공(42) 내에서 회전 지지부재(84)의 나사부(84A)에 와 고정부재(86)의 체결공(86A)을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때, 회전 지지부재(84) 및 고정부재(86)와 개폐도어(40) 사이에는 롤러용 완충부재(88)를 설치한다.
그리고, 체결공(86A)은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86)를 설치공(42)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재(84)를 회전시켜 체결한다.
이 과정으로 롤러(80)의 설치가 완료되면, 삽입홈(82A)에 레일(10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개폐도어(40)를 레일(100)에 설치한다.
이어서, 롤러(8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설치공(42)에 이탈방지수단(90)을 설치한다. 이를 위해서, 이탈방지홈(92A)에 레일(10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한 후 이탈방지부재(92)의 나사부를 설치공(42)에 삽입하고, 개폐도어(40)를 사이에 두고 고정너트(94)를 이탈방지부재(92)에 체결한다.
한편, 개폐도어(40)의 개폐작동시 개폐도어(40)의 양측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ㄷ"자 형상의 지지블럭을 좌,우측 수직 프레임(10A,10B)의 하단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샤워부스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샤워부스가 설치되고, 개폐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개폐도어(40)에 구비된 손잡이를 취부하여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각각의 롤러(80)가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100)에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롤러(80)의 하부에 롤러(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90)이 구비됨으로써 롤러(80)가 레일(10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개폐도어(40)가 열리게 되면 롤러(80)가 스토퍼(60) 측으로 이동하여 스토퍼(60)에 접촉되면서 관성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게 되고, 열림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80)가 스토퍼(60)에 접촉되면, 롤러(80)의 삽입홈(82A) 외주면이 하향 돌출된 걸림부(64B)에 접촉되면서 지지부(64)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 과정으로 개폐도어(40) 열림동작으로 인한 충격이 완충되고, 이어서 롤러(80)가 진입하게 되면 롤러(80)의 삽입홈(82A) 외주면이 안착홈(84A)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들어 올려졌던 지지부(64)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 과정으로 롤러(80)가 안착홈(64A)에 안착되므로 개폐도어(40)가 임의로 닫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취부한 후 개폐도어(40)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롤러(80)가 이동하면서 걸림부(64B)에 간섭되면서 지지부(64)를 들어 올리면서 스토퍼(6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a,6b는 개폐도어(40)의 하부측을 지지하여 개폐도어(40)의 슬라이딩시 개폐도어(40)의 하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 유동방지부재(110)를 도시하고 있다.
하부 유동방지부재(110)는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40)가 닫혔을 때 개폐도어(40)와 고정도어(30)의 일부가 겹치는 영역에 구비되고, 개폐도어(40)의 하단부 양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동 지지단(111)이 양측에서 마주보도록 연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하부 유동방지부재(11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각 유동 지지단(111)의 단부가 개폐도어(40)의 하단면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양측의 유동 지지단(111)의 끝단부가 각각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는 유동 지지단(111)의 끝단부만 개폐도어(4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개폐도어(40)와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하부 유동방지부재(11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하부 유동방지부재(110)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각 유동 지지단(111)에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충격흡수체(11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체(112)는 개폐도어(40)와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어 개폐도어(4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충격흡수체(112)는 하부 유동방지부재(110)가 경질의 금속재 등으로 구성될 경우, 유동 지지단(111)에 개폐도어(40)가 접촉되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 유동방지부재(110)는 개폐도어(40)가 롤러(80)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될 때, 개폐도어(40)의 하부를 지지하여 개폐도어(40)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A,10B : 좌,우측 수직 프레임 10C : 바닥프레임
20,50 : 제1,2 레일 지지부재 22 : 고정도어 지지부
52 : 개폐도어 삽입부 24,54 : 제1,2 레일 고정공
30 : 고정도어 32 : 지지공
40 : 개폐도어 42 : 설치공
60 : 스토퍼 62 : 고정부
64 : 지지부 64A : 안착홈
64B : 걸림부 70 : 지지부재
72 : 지지 볼트부재 74 : 너트부재
76 : 레일용 완충부재 80 : 롤러
82 : 회전부재 82A : 삽입홈
84 : 회전지지부재 84A : 나사부
86 : 고정부재 86A : 체결공
90 : 이탈방지수단 92 :이탈방지부재
92A : 이탈방지홈 94 : 고정너트
100 : 레일 110 : 하부 유동방지부재
111 : 유동 지지단 112 : 충격흡수체

Claims (10)

  1. 샤워부스로서,
    서로 마주보는 벽면의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
    우측의 상기 수직 프레임에 일측이 지지되는 고정도어;
    상기 고정도어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도어 지지부 및 제1 레일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
    개폐도어 삽입부 및 제2 레일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레일 고정공이 마주보도록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
    양단이 상기 제1,2 레일 고정공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도어에 지지되는 레일; 및
    적어도 두 쌍 이상의 롤러들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폐작동하는 개폐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의 상면 또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열림 및 닫힘시에 상기 롤러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충격을 완충하고,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도어측 레일 지지부재의 상면 또는 개폐도어측 레일 지지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저면에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롤러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만곡진 걸림부가 형성되며, 자체 탄성을 갖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일측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고정도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레일과 상기 고정도어의 지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볼트부재;
    상기 고정도어 측에서 상기 지지볼트부재와 체결되는 너트부재; 및
    상기 지지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와 고정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용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설치공에 나사부가 끼워지는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나사부와 체결되는 체결공을 구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나사부와의 체결시 풀림이 방지되도록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레일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돌출된 나사부가 형성된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및 이탈방지수단과 개폐도어 사이에는 롤러용 완충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바닥 프레임 또는 바닥 트레이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도어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상면 또는 바닥 트레이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개폐작동시 하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 유동방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하부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개폐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개폐도어와 고정도어의 일부가 겹치는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하단부 양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동 지지단이 양측에서 마주보도록 연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동방지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각 유동 지지단에는 충격흡수체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KR2020110004219U 2011-05-17 2011-05-17 샤워부스 KR200467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19U KR200467807Y1 (ko) 2011-05-17 2011-05-17 샤워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19U KR200467807Y1 (ko) 2011-05-17 2011-05-17 샤워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60U KR20120008060U (ko) 2012-11-27
KR200467807Y1 true KR200467807Y1 (ko) 2013-07-11

Family

ID=4751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219U KR200467807Y1 (ko) 2011-05-17 2011-05-17 샤워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865Y1 (ko) * 2015-06-22 2016-11-18 주식회사 세계종합태양에너지 샤워부스용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549Y1 (ko) 1994-07-27 1999-06-15 전주범 상부측에롤러가설치된쇼케이스의도어구조
KR200425313Y1 (ko) 2006-06-16 2006-09-11 권혁정 슬라이드형 샤워부스
KR20060133817A (ko) * 2005-06-21 2006-12-27 김창규 슬라이딩식 샤워도어
KR200437080Y1 (ko) 2007-07-06 2007-10-31 문상연 수납장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549Y1 (ko) 1994-07-27 1999-06-15 전주범 상부측에롤러가설치된쇼케이스의도어구조
KR20060133817A (ko) * 2005-06-21 2006-12-27 김창규 슬라이딩식 샤워도어
KR200425313Y1 (ko) 2006-06-16 2006-09-11 권혁정 슬라이드형 샤워부스
KR200437080Y1 (ko) 2007-07-06 2007-10-31 문상연 수납장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60U (ko)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01314A (zh) 方便擦窗的多功能隐藏式铰链
KR200467807Y1 (ko) 샤워부스
KR101303105B1 (ko) 출입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및 슬라이드 겸용 출입문
JP6682187B2 (ja) 建具
KR10108543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KR20100120035A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966891B1 (ko) 롤러가 구비된 힌지장치
KR101867038B1 (ko) 미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욕실수납장
JP5079572B2 (ja) 間仕切へのドアの取付構造
KR20180109830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KR101745399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KR101745401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JP5103094B2 (ja) 引戸装置
KR20180064984A (ko)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JP4025266B2 (ja) スライドドア
KR101453280B1 (ko) 장애우 화장실용 슬라이드 도어 프레임 구조
KR20160119954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용 롤러장치
JP2021195808A (ja) 建具
JP4196338B2 (ja) 開き戸機構付き引き戸
KR102196135B1 (ko) 도어용 손낌방지장치
JPH0736059Y2 (ja) 連動障子の構造
KR100723916B1 (ko) 유리문 상부경첩
JP7253917B2 (ja) 浴室用建具
KR101916232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