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550Y1 -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550Y1
KR200196550Y1 KR2020000011406U KR20000011406U KR200196550Y1 KR 200196550 Y1 KR200196550 Y1 KR 200196550Y1 KR 2020000011406 U KR2020000011406 U KR 2020000011406U KR 20000011406 U KR20000011406 U KR 20000011406U KR 200196550 Y1 KR200196550 Y1 KR 200196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ield
opening
closing
rai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도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도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도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11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5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거공간 및 사무공간에 설치되는 도어의 문턱을 바닥마감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시키고 도어의 하단에서 차폐장치가 출몰되게한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하단부에 별도의 차폐장치를 설치하여 도어를 개방시에는 차폐장치가 상승하여 도어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도어를 폐쇄시에는 차폐장치가 하강작동케 함으로 각 실간에 소음 및 빛을 차단시킬 수 있게한 것으로 문틀에 형성된 문턱을 제거한 도어(D)의 구조에 있어서,바닥과 도어(D)을 약 10∼30mm 정도로 공간을 형성시키고 도어(D)의 하단 내측으로 상승 및 하강 출몰하는 차폐구(1)를 내장시키고 도어(D)의 측면 힌지부에 작동간(2)을 돌출설치하여서 도어(D)의 개폐에 따라 차폐구(1)가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Description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Coming and going apparatus for covering downwards of door at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고안은 주거공간 및 사무공간에 설치되는 도어의 문턱을 바닥마감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시키고 도어의 하단에서 차폐장치가 출몰되게한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하단부에 별도의 차폐장치를 설치하여 도어를 개방시에는 차폐장치가 상승하여 도어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도어를 폐쇄시에는 차폐장치가 하강작동케 함으로 각 실간에 소음 및 빛을 차단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주거 및 사무공간에 설치되어 각 실간을 차단하는 도어는 문틀을 개방된 벽면에 설치하고 그 내측으로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문틀에 형성된 문턱으로 인하여 노약자가 사용할 때 불편하고 유아의 경우 보행기 및 유모차의 통행시 문턱이 손상되어 실내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문턱을 제거하고 도어를 하단으로 연장시켜 일부 사용하고 있으나 바닥면에 밀착시켜 사용시는 도어의 하단이 바닥에 접촉되어 바닥장식재가 손상되거나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도어의 하단이 바닥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소음과 빛의 차단이 완벽하지 않아 각 실간의 프라이버시 확보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문턱을 제거하여 바닥마감재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도어의 개폐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하고 도어를 폐쇄시는 하단에 장착된 차폐장치의 하강으로 인하여 각 실간 소음과 빛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게한 도어의 차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도어의 차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어의 하단과 바닥을 약 10∼30mm 정도의 공간을 형성시키고 도어의 내부에 상승 및 하강하는 차폐장치를 내장시키고 도어의 개폐작동시 경첩으로 힌지를 구성하는 도어의 측면부에 돌출 설치되는 작동간을 설치하여 돌출된 작동간이 도어를 폐쇄시킬 때 문틀에 접촉되면서 압착되어 도어의 내부로 삽입되고 작동간에 연결된 로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작동하면서 차폐장치가 하강하여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차폐장치가 바닥에 밀착되고 도어가 개방되면 작동간이 탄발되어 차폐장치가 상승하게 구성된 차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조도
도 2 는 도 1 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상태를 설명한 측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폐구
(2) 작동간
(3) 테이퍼진 랙
(4)(4') 인장스프링
(5)(5') 피니언
(6)(6') 로드
(7) 압축스프링
(D) 도어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조도로서 차폐장치의 상승 및 하강작동하는 원리를 실시예를 통하여 도시한 것이고,도 2 는 도 1 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상태를 설명한 측단면 구조도로서 도어의 개방시는 차폐장치가 상승되고 도어를 개방시는 차폐장치가 하강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문틀에 형성된 문턱을 제거한 도어(D)의 구조에 있어서,
바닥과 도어(D)을 약 10∼30mm 정도로 공간을 형성시키고 도어(D)의 하단 내측으로 상승 및 하강 출몰하는 차폐구(1)를 내장시키고 도어(D)의 측면 힌지부에 작동간(2)을 돌출설치하여서 도어(D)의 개폐에 따라 차폐구(1)가 상승 및 하강시키는 구조이다.
상기한 구조의 일실시예로서,
도어(D)의 하단 내측으로 차폐구(1)를 형성하되 차폐구(1)의 상부면은 테이퍼진 랙(3)으로 형성시키고 좌,우 양측은 인장스프링(4)(4')에 의해 도어(D)의 내측에 지지시키고 테이퍼진 랙(3) 상에는 양측으로 피니언(5)(5')을 로드(6)(6')로 작동간(2)에 연결시키고 작동간(2)의 내측에는 압축스프링(7)이 설치된 구조로서 그 작동은 도어(D)가 개방되어 있을때는 작동간(2)의 내측에 설치된 압축스프링(7)이 작동간(2)을 밀고 차폐구(1)의 상단 양측에 설치된 인장스프링(4)(4')의 탄발력에 의해 차폐구(1)가 도어(D)의 내측으로 상승되고 작동간(2)은 도어(D)의 외부 즉 경첩 힌지부의 문틀쪽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도어(D) 개방시 하단의 차폐구(1)가 바닥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바닥장식재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도어(D)를 폐쇄시는 측면 힌지축으로 돌설된 작동간(2)이 문틀에 접촉,압착되어 작동간(2)이 도어(D)의 내측으로 밀리면 작동간에 로드(6)(6')로 연결된 피니언(5)(5')이 차폐구(1)의 상단에 테이퍼진 랙(3)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폐구(1)를 하강시키고 작동간(2)이 완전히 압착된 상태(도어가 완전 폐쇄된 상태)가 되면 차폐구(1)는 바닥에 밀착되어 각 실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D)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압축스프링(7)은 압축되어 있으며 인장스프링(4)(4')은 최대한 인장되어 있으며 도어(D)가 개방을 시작하면 압축스프링(7)은 서서히 작동간(2)을 밀고 인장스프링(4)(4')은 차폐구(1)를 당겨서 상승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외에도 도어(D)의 하단에 차폐구(1)가 설치되는 구조와 작동간(2)에 의하여 차폐구(1)를 상승,하강시키는 실시예의 경우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노약자 및 유아가 사용하거나 실내 인테리어공사시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문틀의 문턱을 제거하는 도어에 적용이 용이하고 또한 차폐장치로 인한 문제점인 소음과 빛을 차단하여 사용상의 각 실간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문틀에 형성된 문턱을 제거한 도어(D)의 구조에 있어서,
    바닥과 도어(D)을 약 10∼30mm 정도로 공간을 형성시키고 도어(D)의 하단 내측으로 상승 및 하강 출몰하는 차폐구(1)를 내장시키고 도어(D)의 측면 힌지부에 작동간(2)을 돌출설치하여서 도어(D)의 개폐에 따라 차폐구(1)가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차폐구(1)의 상부면은 테이퍼진 랙(3)으로 형성시키고 좌,우 양측은 인장스프링(4)(4')에 의해 도어(D)의 내측에 지지시키고 테이퍼진 랙(3) 상에는 양측으로 피니언(5)(5')을 로드(6)(6')로 작동간(2)에 연결시키고 작동간(2)의 내측에는 압축스프링(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KR2020000011406U 2000-04-21 2000-04-21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KR200196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06U KR200196550Y1 (ko) 2000-04-21 2000-04-21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06U KR200196550Y1 (ko) 2000-04-21 2000-04-21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550Y1 true KR200196550Y1 (ko) 2000-09-15

Family

ID=1965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406U KR200196550Y1 (ko) 2000-04-21 2000-04-21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5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62B1 (ko) 2009-05-22 2009-11-24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KR20170004612A (ko) * 2015-07-03 2017-01-11 민병수 방화문
KR102057501B1 (ko) * 2017-07-31 2019-12-19 차명길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62B1 (ko) 2009-05-22 2009-11-24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KR20170004612A (ko) * 2015-07-03 2017-01-11 민병수 방화문
KR101726856B1 (ko) 2015-07-03 2017-04-14 민병수 방화문
KR102057501B1 (ko) * 2017-07-31 2019-12-19 차명길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326B1 (ko)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KR20070045542A (ko) 창틀
KR200196550Y1 (ko)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KR101858083B1 (ko) 창호용 기밀 유지 장치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100594929B1 (ko) 공동주택 방문의 소음방지구조
KR200183456Y1 (ko) 문턱제거형 도어의 기밀장치
KR102162816B1 (ko) 폴딩도어용 커버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0561053B1 (ko) 도어용 경첩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JP3145400U (ja) 網戸
KR20190001591A (ko)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KR200219207Y1 (ko) 문지방이 불필요한 여닫이 문
JP2003193764A (ja) ドアボトムの閉鎖装置
JP3038340U (ja) 開き窓の構造
KR20190062810A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가스켓 조립구조
KR200275857Y1 (ko) 행거식 미닫이문
JP5112653B2 (ja) 上吊式引き戸サッシにおける網戸支持構造
KR200373247Y1 (ko) 미서기 창호
KR20090034152A (ko)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JP2554295Y2 (ja) 可動沓摺装置
JPS6039427Y2 (ja) 昇降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