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982B1 -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 Google Patents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982B1
KR102091982B1 KR1020190141592A KR20190141592A KR102091982B1 KR 102091982 B1 KR102091982 B1 KR 102091982B1 KR 1020190141592 A KR1020190141592 A KR 1020190141592A KR 20190141592 A KR20190141592 A KR 20190141592A KR 102091982 B1 KR102091982 B1 KR 10209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ling
window
window frame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범수
Original Assignee
한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범수 filed Critical 한범수
Priority to KR1020190141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창호프레임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레일의 상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을 차폐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있어서,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창틀프레임의 내측 단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레일에 형성된 배수홀을 차단하는 밀폐부와 밀페부에 수용되어 수평프레임을 향해 승하강하는 차단부 및 차단부의 일측이 수평프레임의 일면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밀폐부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SEALING MECHANISM FOR WINDOW FRAME CREVICE}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레일에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창호프레임을 형성하는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으로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차단부를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창호프레임을 차폐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시스템은, 창틀의 상단 하부면과 하단 상부면에 각각 가이드레일이 한 쌍이 하향 또는 상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창짝이 슬라이딩되어 좌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창짝의 프레임 상단과 하단에 바퀴(도르래)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창문시스템은 미닫이식이라고 하며, 이러한 미닫이식에서는 상기 바퀴가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을 해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창문을 기립보관 및 적재할 때, 바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창문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바퀴가 은폐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창문시스템에서는 가이드레일에 바퀴가 굴러가는 구름접촉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바퀴와 가이드레일, 창문 프레임과 가이드레일 또는 창틀 사이에 이격공간 또는 틈새 및 창틀과 이동 창짝간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틈이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틈새는 대기오염물질, 벌레, 소음 등의 유입경로 및 침입경로를 제공하고 특히 열교차에 의한 열손실의 발생을 크게 하여 실내에서 냉, 난방기구를 가동하여 냉, 난방을 하여도 열손실이 크며, 이에 따라, 냉, 난방비가 증가하는 문제점 등을 유발한다.
전술한 문제점 등을 방지하기 위해 헤어모 및 가스킷 등 차폐부재를 창짝 등에 부착하여 틈새를 차단하고 있으나 이를 완벽히 제거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기존 창호의 밀폐 형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닫힘 시 교차되어 마주보는 고정창 수직부와 이동창짝 수직부간에 자연발생적으로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하기 위해 수직부 어느 한 편 이상에 가스킷 또는헤어모, 고리살 등을 설치 고정하여 외기를 차단하며, 동시에 레일과 창짝 수평부와의 공간을 차단하기 위해 가스킷 또는 헤어모 등을 창틀의 특정부위에 설치 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차폐 방법은 첫째 밀착부재간의 연속성이 차단된 부위에 필연적으로 틈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창짝 수직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의 상하부 간에도 필연적으로 공간이 발생된다.
이러한 공간을 없애기 위해 상하부에 풍지판을 설치하지만 이 또한 수평 수직부간에 고정 부착된 차폐부재와의 연속성이 없어 필연적으로 틈이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마주보는 창짝 사이공간에 차폐바를 형성하고 차폐바에 헤어모를 부착하여 틈을 차단하고 있으나 창짝 수직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창문시스템에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이격공간 및 틈새를 최소화하고 완전 차단함으로써, 냉, 난방 시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소음을 차단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창문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5132호 (2004.08.27. 공개)인 '슬라이딩 창문의 밀착 닫힘을 위한 가이드장치'를 살펴보면, 하나의 창틀에 일측은 고정창문이 설치되고 타측은 슬라이드 창문이 설치된 창호구조에 있어서, 창틀의 상, 하부와 고정창문의 상, 하부에 각각 뒤쪽 공간을 갖도록 안내로울러를 설치하고 슬라이드 창문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유도편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창문이 최종 닫힘 단계에서 전, 후단의 유도편이 각각 해당 안내로울러에 의해서 뒤로 이동되어 창틀과 고정창문에 설치된 고무완충재에 밀착되는 상태로 닫혀지게 구성하며, 상기한 창문의 이동작동은 슬라이드 창문하단에 설치한 호차와 그 상판에 결합된 지지판과의 유동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금속재의 제1창틀프레임, 제2창문프레임과 합성수지재의 제2창틀프레임, 제2창문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번잡하였다. 즉, 이형 재질의 제1창틀프레임 및 제2창틀프레임, 그리고 이형 재질의 제1창문프레임 및 제2창문프레임을 서로 끼운 후,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체결볼트를 체결시켜서 결합시키므로 조립작업이 번잡하였고, 접착제 도포부위 또는 볼트 체결부위 때문에 이형프레임의 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51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틀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레일에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창호프레임을 형성하는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으로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차단부를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창호프레임을 차폐하는 새로운 구조의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창호프레임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레일의 상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을 차폐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 단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접촉하는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벽체가 형성되어 수용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이 상기 레일에 형성된 배수홀에 억지끼움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 접촉부와 상기 수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이 절곡되어 상기 레일의 측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벽체의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기둥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둥의 일측이 구 형상의 볼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돌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밀폐부;
상기 몸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향해 승하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차단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차단부를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부, 상기 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벽이 형성되어 상기 판부의 일면에 상기 플레이트가 적층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돌기가 상기 레일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된 요철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일측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이 상기 체결돌기부에 대응하여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내측면에 반구형상의 오목한 홈이 서로 마주보며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승하강 시, 상기 체결돌기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차단부의 승강시 실내 또는 실외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면으로 상기 차단부의 타측이 밀착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는 창틀프레임의 중앙부분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창문 시스템에서 존재하는 이격공간 및 틈새를 차단하여 냉방 및 난방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여 사생활을 보호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는 레일에 형성된 배수홀을 차폐하는 밀폐부의 일면을 승하강하는 차단부에 의해 사용자가 환기 시에는 밀폐부를 하강시키고, 외부 환경요인에 대응하여 밀폐부를 승강하여 창호프레임의 단부면에 형성된 단차를 차단하는 단순한 구조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단부를 형성하는 체결홈부가 바디부에 형성되어 바디부를 승하강 시, 체결돌기부에 체결됨에 따라, 바디부의 승하강을 제한함으로써, 승강된 차단부가 단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차단부가 승강하여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을 더욱 밀착시키도록 하여 창호프레임의 차폐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가 창호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를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를 단면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의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가 창호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를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를 단면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의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10)는 베이스부(100), 밀폐부(200), 차단부(300) 및 경사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10)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창호프레임(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레일(11)의 상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을 차폐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있어서,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창틀프레임의 내측 단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 베이스부의 일면에 접촉하는 플레이트(211)가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벽체가 형성되어 수용부(212)를 형성하는 몸체부(210)와 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이 레일에 형성된 배수홀(11a)에 억지끼움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 접촉부(220)와 수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이 절곡되어 레일의 측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부(230) 및 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벽체의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기둥형상으로 돌출되고, 기둥의 일측이 구 형상의 볼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돌기부(240)를 포함하여 형성된 밀폐부(200), 몸체부에 수용되어 수평프레임을 향해 승하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차단부(300) 및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 방향으로 차단부를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경사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창호프레임(12)은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되어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창호 및 우측창호 한 쌍을 이룬다. 그리고 창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레일(11)을 따라 좌우로 각각 슬라이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10)는 창호프레임(12)을 형성하는 좌측창호의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상부 일면 및 타면과 하부 일면 및 타면에 해당하는 창틀프레임에 설치된다. 또한, 우측창호도 좌측창호에 설치된 형상과 동일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여기 명세서의 도면은 편의를 위해 창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형상 및 좌측창호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창틀프레임의 내측 단부면에 설치된다.
즉, 베이스부(100)는 좌측창호의 수평프레임과 우측창호의 수평프레임이 위치하는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레일(11)의 사이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밀폐부(20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00)는 판부(110), 수용홈(120) 및 체결부(130)를 포함한다.
판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밀폐부(200) 및 체결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판부(110)는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홈(120)은 판부(110)의 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벽이 형성되어 판부(110)의 일면에 플레이트(211)가 수용된다.
체결부(130)는 수용홈(12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돌기가 레일(11)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된 요철에 체결된다.
즉, 체결부(130)는 수용홈(120)을 형성시키는 벽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판부(110)가 레일(11)사이에 안착되게 한다. 이를 위해, 체결부(130)는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밀폐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일면에 적층되고, 레일(11)에 형성된 배수홀(11a)을 차단한다.
이러한 밀폐부(200)는 몸체부(210), 제1 접촉부(220), 제2 접촉부(230) 및 체결돌기부(24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베이스부(100)의 일면에 접촉하는 플레이트(211)가 형성되고, 플레이트(211)의 양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벽체가 형성되어 수용부(212)를 형성한다.
플레이트(21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부(110)의 일면에 접촉하여 수용홈(120)에 수용된다.
수용부(212)는 플레이트(211)의 양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벽체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차단부(300)를 수용한다.
또한, 수용부(212)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그 길이만큼 후술하는 차단부(300)가 수용된 상태로 승하강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용부(212)는 벽체의 내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1 요철부(212a)를 더 포함한다.
제1 요철부(212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12)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반구형상의 띠가 복수개로 등간격을 이루며 수직하게 배치되고, 반구의 지름은 소정의 지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요철부(212a)는 후술하는 바디부(310)의 외측에 형성된 제2 요철부(310a)에 체결되어 바디부(310)가 승하강하는 왕복이동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은 제1 접촉부(220)는 수용부(21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이 배수홀(11a)에 억지끼움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접촉부(220)는 수용부(212)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말단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11)에 형성된 배수홀(11a)에 억지끼움 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접촉부(220)는 원호의 형상이므로 배수홀(11a)의 크기에 상관없이 억지끼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 접촉부(230)는 수용부(21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이 절곡되어 레일(11)의 측면에 접촉한다.
이러한 제2 접촉부(230)는 제1 접촉부(220)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몸체부(210)가 흔들리거나 베이스부(100)의 일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접촉부(220)에 위치하는 레일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레일의 일면에 밀착된다.
체결돌기부(240)는 몸체부(210)의 일면으로부터 벽체의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돌기부(240)는 일측이 구 형상의 볼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체결돌기부(24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둥의 일측에 구 형상의 볼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단부(300)는 밀페부(200)에 수용되어 창호프레임(12) 방향으로 승하강을 한다.
이를 위해, 차단부(300)는 바디부(310) 및 체결홈부(320)를 포함한다.
바디부(310)는 일측이 수용부(212)에 수용되고, 타측이 창호프레임(12)의 단부면에 형성된 단차에 위치하여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바디부(310)는 양면이 수용부(212)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넓이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체결홈부(320)가 바디부(310)의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게 한다.
또한, 바디부(310)의 외측면은 제2 요철부(310a)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요철부(310a)는 수용부(2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요철부(212a)에 체결되어 바디부(310)의 승하강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바디부(310)는 제1 바디부(311)와 제2 바디부(312)로 형성된다.
제1 바디부(311)는 내부에 체결홈부(320)가 형성된 것으로 수용부(212)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외측면에 제1 요철부(212a)에 대응하여 제2 요철부(310a)가 형성된다.
제2 바디부(312)는 제1 바디부(311)의 수직한 일측에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 바디부(3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및 일단에 패킹부재가 결합되어, 창호프레임(12)의 틈새를 차단하여 창문을 통해 실내측과 실내측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열전달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 바디부(312)는 승강 시, 창호프레임에 형성된 단차의 일측에 밀착되어 창호프레임(12)의 틈새를 기밀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홈부(320)는 바디부(310)의 일측이 체결돌기부(240)에 대응하여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고, 관체의 내측면에 반구형상의 오목한 홈이 서로 마주보며 복수개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체결홈부(320)는 제1 바디부(311)에 위치하고 일측이 개방되어 체결돌기부(240)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관체의 내측은 체결돌기부(240)에 형성된 구 형상의 볼에 대응하여 반구형상의 홈이 서로 마주보면 복수개로 배치된다.
이러한 체결홈부(320)는 밀폐부(200)를 형성하는 몸체부(210)의 내부에서 승하강 시, 체결돌기부(240)에 체결되어 바디부(310)의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외부의 환경요인을 차단하기 위해 창문을 폐쇄하는 경우, 바디부(310)의 타측을 잡고 수직하게 잡아당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10)는 좌측창호 및 우측창호의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에 대응하여 창틀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바디부(310)를 수직하게 잡아당기되, 경사부(400)를 따라 잡아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디부(310)의 타측을 잡아당겨 창호프레임(12)에 형성된 단차의 일면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체결홈부(320)는 체결돌기부(240)를 수용하여 바디부(310)의 타측이 창호프레임(12)에 형성된 단차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수용부(212)에 형성된 제1 요철부(212a)와 바디부(31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요철부(310a)가 서로 체결되어 체결홈부(320)의 역할을 도와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경사부(400)는 수평프레임(13)의 길이방향 일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차단부(300)를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경사부(400)는 수용부(212)에 수용된 차단부(300)를 승강 시, 수용부(212)의 경사방향에 대응하도록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차단부(300)가 수평프레임 방향으로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부(400)는 차단부(300)의 승강시 실내 또는 실외방향으로 노출되는 수평프레임의 일면으로 차단부(300)의 타측이 밀착되어 창호프레임(12)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11 : 레일
11a : 배수홀
12 : 창호프레임
12a : 단차
13 : 수평프레임
100 : 베이스부
110 : 판부
120 : 수용홈
130 : 체결부
200 : 밀폐부
210 : 몸체부
211 : 플레이트
212 : 수용부
212a : 제1 요철부
220 : 제1 접촉부
230 : 제2 접촉부
240 : 체결돌기부
300 : 차단부
310 : 바디부
310a : 제2 요철부
311 : 제1 바디부
312 : 제2 바디부
320 : 체결홈부
400 : 경사부

Claims (5)

  1.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창호프레임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레일의 상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을 차폐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 단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접촉하는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벽체가 형성되어 수용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이 상기 레일에 형성된 배수홀에 억지끼움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 접촉부와 상기 수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말단이 절곡되어 상기 레일의 측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벽체의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기둥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둥의 일측이 구 형상의 볼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돌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밀폐부;
    상기 몸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향해 승하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차단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차단부를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부;
    상기 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벽이 형성되어 상기 판부의 일면에 상기 플레이트가 적층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돌기가 상기 레일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된 요철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일측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이 상기 체결돌기부에 대응하여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내측면에 반구형상의 오목한 홈이 서로 마주보며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승하강 시, 상기 체결돌기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차단부의 승강시 실내 또는 실외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면으로 상기 차단부의 타측이 밀착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20190141592A 2019-11-07 2019-11-07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209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92A KR102091982B1 (ko) 2019-11-07 2019-11-07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92A KR102091982B1 (ko) 2019-11-07 2019-11-07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982B1 true KR102091982B1 (ko) 2020-03-20

Family

ID=6995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592A KR102091982B1 (ko) 2019-11-07 2019-11-07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977A (ko) 2021-05-07 2022-11-15 김병철 창 틈새 기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132A (ko) 2003-02-20 2004-08-27 탁동호 슬라이딩 창문의 밀착 닫힘을 위한 가이드장치
KR101614213B1 (ko) * 2014-09-22 2016-04-20 박규성 도어용 창호 기밀 보온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664115B1 (ko) * 2014-09-12 2016-10-11 (주) 텍스토머 창호용 방풍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132A (ko) 2003-02-20 2004-08-27 탁동호 슬라이딩 창문의 밀착 닫힘을 위한 가이드장치
KR101664115B1 (ko) * 2014-09-12 2016-10-11 (주) 텍스토머 창호용 방풍부재
KR101614213B1 (ko) * 2014-09-22 2016-04-20 박규성 도어용 창호 기밀 보온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977A (ko) 2021-05-07 2022-11-15 김병철 창 틈새 기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10B1 (ko) 미닫이 창호의 다기능 슬라이딩 틈새 방지구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20010026968A (ko) 레일채움형 창호장치
KR102055623B1 (ko) 창문 강화용 보조 유닛
KR101441504B1 (ko)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레일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방충창 설치 구조
KR102079314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2242701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318590B1 (ko) 도어용 오토시일 어셈블리
KR101321711B1 (ko) 미닫이문용 기밀재
KR200478715Y1 (ko)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KR20090082966A (ko) 미닫이 창호
KR102169716B1 (ko)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538499B1 (ko)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101966431B1 (ko) 슬라이딩 창호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1896427B1 (ko) 밀폐형 슬라이딩 자동문
KR102660315B1 (ko) 틈이 없는 미닫이 창호 레일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588239B1 (ko) 도어 차폐장치
KR20090112775A (ko) 미닫이문용 방풍부재 및 그 장착구조
KR102335902B1 (ko)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KR101597518B1 (ko) 안전창의 상하 승강식 풍지판 장치
KR101928737B1 (ko) 창문틀방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