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715Y1 -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715Y1
KR200478715Y1 KR2020140004552U KR20140004552U KR200478715Y1 KR 200478715 Y1 KR200478715 Y1 KR 200478715Y1 KR 2020140004552 U KR2020140004552 U KR 2020140004552U KR 20140004552 U KR20140004552 U KR 20140004552U KR 200478715 Y1 KR200478715 Y1 KR 200478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wer side
space
fram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정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정종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2020140004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7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09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hollow sea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 바닥홈에 쌓이는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창틀에 형성한 물배출구멍을 막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창문의 하단면과 창틀의 하측 여유공간부 바닥면 사이 간격을 좁혀 이들 사이에 방음 및 방풍을 위한 기밀부재의 설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음 및 방풍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은, 창틀과, 창틀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창문과, 창틀과 창문 사이에 설치되어 방음 및 방풍 기능을 수행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창틀의 상,하측 안쪽면에는 창문을 끼워넣기 위해 깊게 형성한 상,하측 여유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창틀의 하측 여유공간부에 설치되어 창문의 하단면과의 사이 간격을 좁힘과 동시에 하측 여유공간부의 깊이를 낮추기 위한 덮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프레임은 상기 창문의 하단면에 대향하여 하측 여유공간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의 양측벽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닫이식 창호시스템{Sliding Window System}
본 고안은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 바닥홈의 청소와 빗물 배출이 용이함과 동시에, 창틀 하부에 대한 방음 및 방풍 기능을 더욱 강화시킨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은 사각형태의 창틀(1)과, 이 창틀(1)에 끼워져 좌우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창문(2,3)으로 구성된다.
창틀(1)의 안쪽에는 창문(2,3)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돌출부(1a)가 형성되어 있고, 창문(2,3)의 바깥면에는 가이드돌출부(1a)에 끼워지는 가이드홈부(2a,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창문(2,3)의 가이드홈부(2a,3a)를 창틀(1)의 가이드돌출부(1a)에 끼워 장착하기 위해서는 창틀(1)의 상부에 깊은 여유공간부(1b)를 형성해야 한다.
통상, 창틀(1)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또는 인발 성형하여 길게 제조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창틀(1)을 구성하는 상,하,좌,우측 프레임 모두 동일한 단면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창틀(1)의 하부에도 상측 여유공간부(1b)와 동일한 구성의 깊이가 깊은 하측 여유공간부(1b)가 구비되어 있고, 이로 인해 하측 여유공간부(1b)에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너무 깊어 이물질 제거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창틀(1)에는 하측 여유공간부(1b)에 빗물이 유입될 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해 하측 여유공간부(1b)에서 외부로 통하는 물배출구멍(1c)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물배출구멍(1c)은 하측 여유공간부(1b) 바닥과 수평선상에 위치한 창틀(1)의 측벽을 수평방향으로 관통시켜 형성한 것으로,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써 물배출구멍(1c) 내에 이물질이 잔존하여 고착되기 쉽고, 고착된 이물질이 쌓여 물배출구멍(1c)을 일부 막아 물의 원활한 배출을 더욱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창문(2,3)의 하단면과 창틀(1)의 하측 여유공간부(1b) 바닥면 사이 간격이 커서 이들 사이에 방음 및 방풍을 위한 기밀부재(4)의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주로 창틀(1)의 가이드돌출부(1a)와 창문(2,3)의 가이드홈부(2a,3a) 사이에 기밀부재(4)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 기밀부재(4)를 2중으로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여 방음 및 방풍 성능을 더욱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기밀부재(4)로서 모헤어를 사용하였던 것으로, 모헤어는 구조상 다수의 모헤어 사이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기 쉬운 단점이 있고, 방풍 및 방음 성능도 그다지 높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발코니용 미닫이 창호의 경우, 시방서에 규정된 창호의 방음 및 방풍 성능을 유지할 수 없어 2중창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이를 충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창틀 바닥홈에 쌓이는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창틀에 형성한 물배출구멍을 막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창문의 하단면과 창틀의 하측 여유공간부 바닥면 사이 간격을 좁혀 이들 사이에 방음 및 방풍을 위한 기밀부재의 설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음 및 방풍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기밀부재로는 밀폐성 및 탄성이 좋은 고무재질을 이용하여 방풍 성능을 높이고, 기밀부재가 창문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는 미끄럼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단섬유를 조밀하게 형성하여 창문을 열고 닫을 때 창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틀; 상기 창틀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틀과 창문 사이에 설치되어 방음 및 방풍 기능을 수행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창틀의 상,하측 안쪽면에는 창문을 끼워넣기 위해 깊게 형성한 상,하측 여유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하측 여유공간부에 설치되어 창문의 하단면과의 사이 간격을 좁힘과 동시에 하측 여유공간부의 깊이를 낮추기 위한 덮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프레임은 상기 창문의 하단면에 대향하여 하측 여유공간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의 양측벽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덮개프레임의 결합구성은, 상기 여유공간부의 양측벽에 후크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프레임의 결합부에는 상기 후크돌기에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창문의 하단면과 상기 덮개프레임의 덮개부 사이에 더 설치되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고무재질로 제조되어 창문의 하단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덮개프레임의 덮개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탄성부로 이루어진 기밀본체; 및 상기 탄성부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합성수지재의 단섬유를 상기 접착층에 수직으로 심어서 부착시킨 미끄럼체로 이루어진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기밀본체의 고정부는 내부에 자체 탄성변형을 크게 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기밀본체의 탄성부는 반원형 또는 반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탄성변형을 크게 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하측 여유공간부의 바닥판 하부에 빗물배출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의 바닥판에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와 빗물배출공간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멍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하고, 상기 빗물배출공간부의 바닥과 수평선상에 위치한 창틀의 측벽에 외부와 통하는 빗물배출구멍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하며,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연결구멍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빗물배출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빗물배출구멍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창틀의 하부에 형성된 하측 여유공간부의 깊이를 낮게 하는 덮개프레임이 설치됨에 따라, 하측 여유공간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게 되며, 창틀의 하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 이물질은 덮개프레임에 남고 빗물만 덮개프레임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측 여유공간부로 유입되고, 이어서 연결구멍을 통해 빗물배출공간부로 유입되어 빗물배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에 의해 연결구멍 또는 빗물배출구멍이 막히는 것이 방지되고 더욱이 하측 여유공간부와 빗물배출공간부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빗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창틀의 하측 여유공간부에 설치된 덮개프레임에 의해 창문의 하단면과의 간격을 좁힐 수 있고, 이로써 창문의 하단면과 덮개프레임 사이에 방음 및 방풍을 위한 기밀부재의 설치가 가능하여 창문 하부에서의 방음 및 방풍 기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기밀부재의 기밀본체는 탄성과 밀폐력이 좋은 고무재질로 구성하고, 기밀본체의 표면에 형성한 미끄럼체는 미끄럼성이 좋은 합성수지재의 단섬유로 구성함에 따라,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는 고무재질의 기밀본체에 의해 방음 및 방풍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창문을 열고 닫을 때에는 합성수지재의 단섬유로 이루어진 미끄럼체에 의해 창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소음을 최소화하여 미닫이 창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서 창틀의 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서 덮개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서 창문의 하단면과 덮개프레임 사이에 기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미닫이 창호시스템에서 기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나타낸 기밀부재의 사용 상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은 사각틀 형태의 창틀(10)과, 이 창틀(10)에 끼워져 좌우 이동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창문(20,30)과, 상기 창틀(10)과 창문(20,30) 사이에 설치되어 방음 및 방풍 기능을 수행하는 기밀부재(40)를 구비한다.
창틀(10)의 안쪽면에는 가이드돌출부(11)가 형성되고, 창문(20,30)의 바깥쪽면에는 상기 가이드돌출부(11)에 끼워지는 가이드홈부(21,31)가 형성되어 창문(20,30)의 직선이동을 안내하여 미닫이식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창틀(10)의 상측 가이드돌출부(11) 양쪽에는 깊게 형성한 여유공간부(12)가 형성되어 창문(20,30)의 상측 가이드홈부(21,31)를 가이드돌출부(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창문(20,30)을 들어올려 하측의 가이드홈부(21,31)를 창틀(10)의 하측 가이드돌출부(11)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 창틀(10)을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또는 인발성형하여 길게 제조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창틀(10)을 구성하는 상,하,좌,우측 프레임 모두 동일한 단면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의 하측에도 창틀(10)의 상부에 깊게 형성한 여유공간부(12)와 동일한 하측 여유공간부(13)가 구비되고, 이로써 창문(20,30)의 하단면(20a,30a)과 여유공간부(13) 사이의 간격이 매우 크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창문(20,30)의 하단면(20a,30a)과 하측 여유공간부(13) 사이의 간격을 좁힘과 동시에 하측 여유공간부(13)의 깊이를 낮추는 덮개프레임(50)이 하측 여유공간부(13)에 설치된다.
덮개프레임(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20,30)의 하단면(20a,30a)에 대향하여 하측 여유공간부(13)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여 상부를 덮는 덮개부(51)와, 상기 덮개부(51)의 양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13)의 양측벽에 결합되는 결합부(52)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프레임(50)의 결합구성은,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13)의 양측벽에 후크돌기(52a)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프레임(50)의 결합부(52)에는 상기 후크돌기(52a)에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되는 결합홈(52b)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측 여유공간부(13)에 덮개프레임(50)을 끼워 넣는 동작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덮개프레임(50)은 창문(20,30)의 하단면(20a,30a)과 덮개프레임(50)의 덮개부(51) 사이에 좁은 간격을 형성하여 기밀부재(40)의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하측 여유공간부(13)의 깊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밀부재(40)는 도 5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본체(41)와 미끄럼체(42)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밀본체(41)는, 탄성 및 밀폐력이 좋은 고무재질로 제조되는 것으로, 창문(20,30)의 하단면(20a,30a)에 고정되는 고정부(41a)와, 고정부(41a)에 일체로 형성되어 대향측 덮개프레임(50)의 덮개부(51)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탄성부(41b)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밀본체(41)의 고정부(41a)는 화살촉형으로 형성하여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창문(20,30)의 하단면(20a,30a)에 형성한 구멍(20b,30b)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41a) 내부에는 자체 탄성변형을 크게 하는 공간부(41c)를 형성하여 창문(20,30)의 구멍(20b,30b)에 끼워 넣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본체(41)의 탄성부(41b)는 반원형 또는 반 타원형상으로 형성하여 바깥쪽의 곡면을 접촉면으로 하고, 탄성부(41b) 내부에 자체 탄성변형을 크게 하는 공간부(41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체(42)는, 기밀본체(41)를 구성하는 탄성부(41b)의 접촉면에 접착층(42a)을 형성하고, 고압정전계에 의한 정전흡입력을 이용하여 단섬유(42b)를 접착층(42a)에 수직으로 심어서 부착시키는 플로킹(Flocking) 가공을 실시하여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단섬유(42b)는 원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섬유부스러기를 말하며, 대략 0.2∼0.8mm의 길이로 절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단섬유(42b)는 복원력과 미끄럼성이 좋은 합성수지 등과 같은 원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창틀(10)은 하측 여유공간부(13)의 바닥판 하부에 빗물배출공간부(14)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13)의 바닥판에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13)와 빗물배출공간부(14)를 연결하는 연결구멍(15)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빗물배출공간부(14)의 바닥과 수평선상에 위치한 창틀(10)의 측벽에는 외부와 통하는 빗물배출구멍(16)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13)의 바닥면은 상기 연결구멍(15)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빗물배출공간부(14)의 바닥면은 상기 빗물배출구멍(16)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의 하측 여유공간부(13)에 덮개프레임(50)이 설치됨에 따라, 하측 여유공간부(13)의 깊이를 덮개프레임(50)의 덮개부(51) 높이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덮개프레임(50)의 덮개부(51) 상에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깊이가 낮기 때문에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여유공간부(13) 내에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이물질은 덮개프레임(50)의 덮개부(51) 상에 남고 빗물만 덮개프레임(50)과 창틀(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측 여유공간부(13)로 유입되고, 하측 여유공간부(13)의 바닥판에 형성한 연결구멍(15)을 통해 빗물배출공간부(14)로 유입되어 빗물배출구멍(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에 의해 연결구멍(15) 또는 빗물배출구멍(16)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하측 여유공간부(13)의 바닥면은 연결구멍(15)을 향해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빗물배출공간부(14)의 바닥면은 빗물배출구멍(16)을 향해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므로, 빗물을 연결구멍(15)과 빗물배출구멍(16)으로 유도하여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0,30)의 하단면(20a,30a)과 덮개프레임(50)의 덮개부(51) 사이에 설치된 기밀부재(40)에 의해서는, 창틀(10)의 가이드돌출부(11)와 창문(20,30)의 가이드홈부(21,31) 사이에 설치된 기밀부재(40)와 함께 창문(20,30)의 하부에서의 방음 및 방풍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기밀부재(40)는, 고정부(41a)가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창문(20,30)에 형성한 구멍(20b,30b)에 끼워 넣어 고정하기 용이하며, 고정부(41a)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41c)에 의해서는 고정부(41a)의 탄성변형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구멍(20b,30b)에 끼워 넣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1b)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접촉면에 구비된 미끄럼체(42)가 대향측 덮개프레임(50)의 덮개부(51) 표면에 접촉되고, 탄성이 좋은 고무재질의 기밀부재(40)에 의해 미끄럼체(42)가 탄력적으로 덮개프레임(50)과 접촉되므로, 창문(20,30)과 덮개프레임(50) 사이의 방음 및 방풍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부(41b)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41d)에 의해 탄성부(41b)의 탄성변형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방음 및 방풍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문(20,30)의 개폐동작에 의해 덮개프레임(50)과의 틈새가 미세하게 변화되어도 탄성부(41b)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들 사이의 기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덮개프레임(50)의 덮개부(51)에 탄력적으로 접촉된 미끄럼체(42)는, 단섬유(42b)로 구성되어 그 끝단이 덮개부(51)의 표면에 밀착하는 것에 의해 굴곡된 상태로 덮개프레임(50) 표면에 밀착되고, 대략 0.2∼0.8mm의 짧은 길이로 매우 조밀하게 형성된 단섬유(42b)는 복원력과 미끄럼성이 좋은 합성수지 등과 같은 원사로 제조되어 창문(20,30)의 개폐로 인한 이동시, 덮개프레임(5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창문(20,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이동시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기밀부재(40)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방음 및 방풍 성능을 높일 경우에도 미끄럼성이 좋은 미끄럼체(42)에 의하여 창문(20,3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창틀 11 : 가이드돌출부
12,13 : 여유공간부 20,30 : 창문
21,31 : 가이드홈부 40 : 기밀부재
41 : 기밀본체 42 : 미끄럼체
50 : 덮개프레임 51 : 덮개부
52 : 결합부

Claims (7)

  1. 창틀; 상기 창틀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창문; 및 상기 창틀과 창문 사이에 설치되어 방음 및 방풍 기능을 수행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창틀의 상,하측 안쪽면에는 창문을 끼워넣기 위해 깊게 형성한 상,하측 여유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하측 여유공간부에 설치되어 창문의 하단면과의 사이 간격을 좁힘과 동시에 하측 여유공간부의 깊이를 낮추기 위한 덮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프레임은 상기 창문의 하단면에 대향하여 하측 여유공간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의 양측벽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프레임의 결합구성은, 상기 여유공간부의 양측벽에 후크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프레임의 결합부에는 상기 후크돌기에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는, 창문의 하단면과 상기 덮개프레임의 덮개부 사이에 더 설치되며,
    상기 기밀부재는, 고무재질로 제조되어 창문의 하단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덮개프레임의 덮개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탄성부로 이루어진 기밀본체; 및 상기 탄성부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합성수지재의 단섬유를 상기 접착층에 수직으로 심어서 부착시킨 미끄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본체의 고정부는 내부에 자체 탄성변형을 크게 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본체의 탄성부는 반원형 또는 반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탄성변형을 크게 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하측 여유공간부의 바닥판 하부에 빗물배출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의 바닥판에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와 빗물배출공간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멍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하고, 상기 빗물배출공간부의 바닥과 수평선상에 위치한 창틀의 측벽에 외부와 통하는 빗물배출구멍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하며, 상기 하측 여유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연결구멍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빗물배출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빗물배출구멍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KR2020140004552U 2014-06-17 2014-06-17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KR200478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52U KR200478715Y1 (ko) 2014-06-17 2014-06-17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52U KR200478715Y1 (ko) 2014-06-17 2014-06-17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715Y1 true KR200478715Y1 (ko) 2015-11-09

Family

ID=5470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552U KR200478715Y1 (ko) 2014-06-17 2014-06-17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7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512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단열복합창용 단열 방풍장치
WO2019098489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동양정공 리프트업 슬라이딩 방범창의 기밀 구조
KR20200002415U (ko) * 2019-04-24 2020-11-03 김재열 엘리베이터 틈새 보완재
KR102478385B1 (ko) * 2021-06-28 2022-12-15 선민구 조립성이 개선된 창짝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서기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50Y1 (ko) 2000-04-24 2000-09-15 주식회사중앙Cmi 미세기 창호용 창호틀
KR200212911Y1 (ko) 2000-08-01 2001-02-15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KR100968479B1 (ko) * 2008-06-03 2010-07-07 주식회사 효성금속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KR101408424B1 (ko) * 2013-11-19 2014-06-17 원종진 기밀성이 우수한 미서기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50Y1 (ko) 2000-04-24 2000-09-15 주식회사중앙Cmi 미세기 창호용 창호틀
KR200212911Y1 (ko) 2000-08-01 2001-02-15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KR100968479B1 (ko) * 2008-06-03 2010-07-07 주식회사 효성금속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KR101408424B1 (ko) * 2013-11-19 2014-06-17 원종진 기밀성이 우수한 미서기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512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단열복합창용 단열 방풍장치
KR101868960B1 (ko) * 2016-10-14 2018-06-19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단열복합창용 단열 방풍장치
WO2019098489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동양정공 리프트업 슬라이딩 방범창의 기밀 구조
KR20200002415U (ko) * 2019-04-24 2020-11-03 김재열 엘리베이터 틈새 보완재
KR200492994Y1 (ko) * 2019-04-24 2021-01-12 김재열 엘리베이터 틈새 보완재
KR102478385B1 (ko) * 2021-06-28 2022-12-15 선민구 조립성이 개선된 창짝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서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715Y1 (ko)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CN107075900B (zh) 密封设备
KR101465697B1 (ko) 미서기 창호의 기밀보강재
KR102064636B1 (ko) 수밀성능 향상 구조가 적용된 슬라이딩 창호
KR101225671B1 (ko) 창호 시스템
KR101543761B1 (ko) 기밀형 창호 구조물
KR101318590B1 (ko) 도어용 오토시일 어셈블리
KR20050105103A (ko) 이중창 구조의 창틀
KR101877471B1 (ko) 복합 미서기 창호
KR102079314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JP6492618B2 (ja) 車両のドア開口部構造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2335902B1 (ko)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200455083Y1 (ko) 문짝용 방풍부재
KR101792495B1 (ko) 바닥 설치용 방풍 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CN109415924A (zh) 左右推拉窗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KR100979489B1 (ko) 실링의 설치를 위한 창틀 구조
KR200400850Y1 (ko) 창문용 방음 바람막이
JP2016148220A (ja) 面材保持部品及び建具
JP2019035317A (ja) 建具
KR200345035Y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 유지용 피스
KR200465825Y1 (ko) 방풍 및 방음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KR20190001418U (ko)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