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911Y1 -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 Google Patents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911Y1
KR200212911Y1 KR2020000021916U KR20000021916U KR200212911Y1 KR 200212911 Y1 KR200212911 Y1 KR 200212911Y1 KR 2020000021916 U KR2020000021916 U KR 2020000021916U KR 20000021916 U KR20000021916 U KR 20000021916U KR 200212911 Y1 KR200212911 Y1 KR 200212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hake
window
airtigh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문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1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911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창의 하부에 흔들림 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ㄷ채널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걸이식 창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부재가 상ㆍ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창틀 지지구와; 상부에는 유리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유리고정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창틀 지지구가 결합되는 창틀 지지구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는 복수개의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 하부의 길이방향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여, 하부로 집중되는 하중 및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하부 창틀에 돌출레일의 형성을 배제하고자 하며, 기밀고무 사용시 마찰저항력으로 인한 많은 힘의 소요 및 잦은 교체의 문제를 해결하고,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단열 및 방음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Hanging window frame having improved lower part}
본 고안은 걸이식 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창틀부재에 창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흔들림 방지부재를 구비한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창의 구조는 상부창틀 및 하부창틀에 레일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레일 위를 활주 할 수 있는 롤러가 창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레일로부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은 깊고 넓게 제작되야 했으며, 창 또는 창틀의 하부에는 공기의 차단을 위해 많은 양의 방풍모가 설치되어야 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창은 모든 하중이 롤러와 레일의 접촉면에 모임으로 인하여 여닫는데 다소 많은 힘이 필요하여 손잡이를 부착해야 했고, 소음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거실과 발코니를 잇는 대형 창일 경우 하부창틀의 돌출된 레일을 밟고 다녀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식 창이 고안되기도 하였다.
종래 걸이식 창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창틀(2)에는 롤러(4)가 이동할 수 있는 레일(6)이 형성되고, 롤러(4)는 롤러고정판(8)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창짝(10)의 하부에는 기밀고무(12)가 형성되어 단열, 방음 및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밀재는 두가지 문제가 야기되어 기밀재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첫째는, 기밀고무(12)가 바닥면(14)에 닿을 경우 기밀고무(12)와 바닥면(14)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창(16)을 여ㆍ닫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밀고무(12)가 빨리 닳아서 자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는, 기밀고무(12)가 바닥면(14)과 밀착이 되지 않을 경우 그 간격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바람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기밀재 본래의 역할인 단열, 방음 및 이물질 유입 등의 문제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든 하중이 하부로 집중되어 여닫을 때 많은 힘이 들어 손잡이를 설치하고, 돌출된 레일을 밟고 다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밀고무가 바닥면에 닿아 마찰에 의해 힘이 많이 소요되고, 기밀고무가 바닥면과 밀착이 되어있지 않을 경우 야기되는 단열, 방음 및 이물질 유입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걸이식 창으로 제작하여 하부로의 집중 하중을 방지하고, 하부 창틀용 부재에 형성되어 있던 레일을 제거한다.
그리고, 하부 창틀용 부재에 흔들림 방지 부재를 설치하여 흔들림을 방지하고, 흔들림 방지부재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단열, 방음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가 설치되는 걸이식 창을 제작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종래 걸이식 창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하부 창틀용 부재의 단면도.
도 4는 기밀부재가 하부 창틀에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
도 5는 기밀부재가 흔들림 방지구에 삽입된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기밀고무 20; 창틀 지지구
22; 하부 창틀용 부재 24; 흔들림 방지구
30; 창틀 지지구 장착홈 32; 스프링
34; 턱 36; 하부창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의 구성은, ㄷ채널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걸이식 창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 부재가 상ㆍ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창틀 지지구를 형성한다.
하부 창틀용 부재의 상부에는 유리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유리고정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창틀 지지구가 결합되는 창틀 지지구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는 복수개의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 하부의 길이방향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ㄷ채널형으로 형성된 창틀 지지구(20)의 내부에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22)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구(24)를 배치시킨다.
하부 창틀용 부재(22)의 상부에는 유리(26)를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유리고정홈(28)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창틀 지지구(20)가 결합될 수 있는 창틀 지지구 장착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창틀 지지구(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스프링(32)이 구비되어 흔들림 방지구(24)를 상ㆍ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흔들림 방지구(24)의 형상은 상부측과 하부측의 두께를 달리하여 이음부분에 턱(34)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ㄷ채널형상의 창틀 지지구(20)내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하여, 창틀 지지구(2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기밀부재(38)는 하부 창틀(36)에 밀착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단열 및 방음에도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하부 창틀(36)에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40)을 형성하여, 고정홈(40)내에서 흔들림 방지구(24)가 이동 및 활주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흔들림 방지구(24)의 하부의 길이방향에는 이물질의 침투, 단열 및 방음의 효과를 위하여 연질의 PVC로 제작된 기밀부재(38)를 일체 되도록 형성한다.
도 4 또는 5는 기밀부재(38)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기밀부재(38)를 하부 창틀(36)에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흔들림 방지구(24)의 양측면에 가스킷 형상의 홈(42)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 후 상기 홈(42)에 맞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기밀부재(38)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걸이식 창에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흔들림 방지부재를 설치하여, 하부로의 집중하중을 방지하여 여닫는데 필요한 손잡이의 형성을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거실과 발코니를 잇는 대형창의 경우 하부 창틀에 돌출 형성된 레일의 형성을 방지하여 밟고 다니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었다.
또한, 흔들림 방지구에 기밀부재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종래의 문제였던 기밀고무가 바닥에 닿을 경우 여닫는데 필요한 많은 힘의 소요를 줄일 수 있고, 바닥과의 마찰로 인하여 기밀고무를 자주 교체해야하는 문제와 기밀고무가 바닥과 간격을 유지할 때 발생하는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단열 및 방음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밀재 본래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3)

  1. ㄷ채널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걸이식 창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 부재가 상ㆍ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창틀 지지구와;
    상부에는 유리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유리고정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창틀 지지구가 결합되는 창틀 지지구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는 복수개의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 하부의 길이방향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KR2020000021916U 2000-08-01 2000-08-01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KR200212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16U KR200212911Y1 (ko) 2000-08-01 2000-08-01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16U KR200212911Y1 (ko) 2000-08-01 2000-08-01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911Y1 true KR200212911Y1 (ko) 2001-02-15

Family

ID=7305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916U KR200212911Y1 (ko) 2000-08-01 2000-08-01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9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715Y1 (ko) 2014-06-17 2015-11-09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715Y1 (ko) 2014-06-17 2015-11-09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835B1 (ko)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도어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KR100914756B1 (ko)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AU2011362732B2 (en) Hidden rail type window and door system
MXPA03000159A (es) Puertas montadas en carriles con sistema de antidescarrilamiento de ajuste a presion.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JP2016531225A (ja) 分離脱着自在のセグメント構造のレールフレームを含むスライディング防虫窓の取付け構造
KR100894305B1 (ko)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KR200212911Y1 (ko)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KR101538499B1 (ko)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20190002138A (ko) 슬라이딩 도어용 안내레일
KR101756115B1 (ko) 창문 이탈방지용 판스프링
KR102504250B1 (ko) 유격이 없는 창호
KR101484665B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 부재
KR101155683B1 (ko) 여닫이문 하단용 모헤어 프레임
CN205277206U (zh) 净化门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20140004502U (ko) 창호용 방풍부재
KR20130098014A (ko)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KR20110005077U (ko) 문짝용 방풍부재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KR200198692Y1 (ko) 행거도어의 승강식 밀폐장치
KR101764162B1 (ko) 폴딩도어의 외곽프레임 조립체
JP4239217B2 (ja) 引戸
KR102121211B1 (ko)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알루미늄재질의 창호
KR20190136175A (ko) 외풍 차단을 겸하는 미닫이식 창호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