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418U -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418U
KR20190001418U KR2020170006252U KR20170006252U KR20190001418U KR 20190001418 U KR20190001418 U KR 20190001418U KR 2020170006252 U KR2020170006252 U KR 2020170006252U KR 20170006252 U KR20170006252 U KR 20170006252U KR 20190001418 U KR20190001418 U KR 201900014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late
rail
shaped body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2020170006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418U/ko
Publication of KR20190001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4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판상몸체로 제작되는 것이어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조가 손쉽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창틀프레임의 레일에 창짝을 결합한 후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설치된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창짝의 측면에 강한 결속력으로 결합되어 창짝의 슬라이드 개폐동작시 절대로 빠져 이탈되지 않는 것은 기본이고,
특히, 판상몸체의 상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경질부로 형성하고 하부는 경질부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부로 형성함과 동시에, 판상몸체의 절개부 내면과 돌출연장부 외면에 연질판막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창짝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하고 난 다음에 창짝을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하게 되면 창짝의 개폐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면서도 판상몸체 하부의 연질부가 이동방향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지속적으로 밀폐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연질판막에 의해 절개부와 레일의 틈새는 물론 창짝과 레일바닥면과의 미새틈새까지도 모두 완벽하게 밀폐하여 주므로 틈새를 통해 바람은 물론 그 밖에 소음이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여 줌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양질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는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 슬라이딩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측면에 내면이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몸체고정수단(110)과, 레일결합홈(21)에 대응되도록 소정깊이로 절개되어 창틀프레임(10)의 레일(11)이 삽입되는 절개부(120) 및 측면으로 돌출되어 틈새 밀폐부분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 돌출연장부(130)가 구비되는 판상몸체(100)를 구성하되,
상기 판상몸체(100)의 상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경질부(a)로 형성하고 하부는 경질부(a)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부(b)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판상몸체(100)의 절개부(120) 내면과 돌출연장부(130) 외면에 연질판막(14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Windshield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판상몸체로 제작되는 것이어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조가 손쉽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창틀프레임의 레일에 창짝을 결합한 후에 외부에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설치된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창짝의 측면에 강한 결속력으로 결합되어 창짝의 슬라이드 개폐동작시 절대로 빠져 이탈되지 않는 것은 기본이고,
가장 특징적인 것은 판상몸체의 상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경질부로 형성하고 하부는 경질부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부로 형성함과 동시에, 판상몸체의 절개부 내면과 돌출연장부 외면에 연질판막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창짝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하고 난 다음에 창짝을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하게 되면 창짝의 개폐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면서도 판상몸체 하부의 연질부가 이동방향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지속적으로 밀폐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연질판막에 의해 절개부와 레일의 틈새는 물론 창짝과 레일바닥면과의 미새틈새까지도 모두 완벽하게 밀폐하여 주므로 틈새를 통해 바람은 물론 그 밖에 소음이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여 줄 수 있는 양질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에 관한 것이다.
창호란 창(Window)과 문(Door)의 총칭으로서, 창은 주로 채광, 환기 등의 목적에 사용되며, 문은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창호는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밀성, 단열성, 수밀성, 방음성, 내풍압성 등이 높아야 함은 당연하다.
때문에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 및 창틀의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헤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창짝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므로 창틀프레임의 레일 위해 창짝이 얹혀져 이동해야 하는 구조상 혹은 창짝을 창틀프레임에 끼워넣거나 빼내기 위한 구조상 창짝은 창틀프레임과 필수불가결하게 틈이 생길수 밖에 없으므로 이 틈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이나 해충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모헤어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모헤어가 설치되지 않은 것도 많이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별도의 바람막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3-2041호에 개시되는데 일예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창짝(20)이 슬라이딩 자재되도록 결합설치되는 창틀프레임(10)의 레일(11) 사이로 끼워지는 몸체(1),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적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밀착날개(2), 상기 몸체(1)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레일(11)의 내측벽에 압입되는 톱날(3a)을 구비하는 고정철편(3)으로 구성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하측 창틀프레임(10)의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레일(11)과 레일(11)사이에 설치되어 창짝(20)과 창틀프레임(10) 사이의 간격에 의한 틈새(12)를 막아 바람이나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철편(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몸체(1)의 외부로 돌출된 톱날(3a)은 레일(11)의 내측벽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박히면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창문용 바람막이는 창짝(20)의 저면의 경우에는 다수개로 분할된 밀착날개(2)들이 각각 휘어지면서 창짝(20)의 저면에 밀착되므로 틈새(12)가 거의 없으나, 창짝(20)의 상면은 창짝(20)을 떼고 붙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간격을 유지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와 같은 간격유지를 위해 바람막이의 전체 두께를 좌우하는 몸체(1)의 두께나 밀착날개(2)의 높이를 너무 높게 형성할 수 없어서 여전히 밀착날개(2)와 창짝(20)사이의 틈새(12)가 벌어져 있거나 또는 접촉면이 매우 작기 때문에 방음효과와 밀폐효과가 없거나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는 고정철편(3)의 톱날(3a)이 레일(11)의 내측벽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박히면서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바람막이를 레일(11) 사이에 끼울 때 레일(11) 측벽에 흠집이 생기고, 한번 강제로 압입하여 고정하면 바람막이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았다.
즉, 바람막이를 레일(11)에서 분리하고 재설치할 경우, 우선적으로 창짝(20)을 떼어내야 하므로 번거롭고 부 주위로 유리가 깨지거나 할 염려가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고정철편(3)의 톱날(3a)이 레일(11) 내측벽에 박혀 있기 때문에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제로 분리하면 마찰에 의해 톱날부분이 쉽게 부러지거나 휘어져 버리기 때문에 한번 고정한 바람막이는 재사용이 어렵고 분리시 레일(11) 측벽이 흠집이 생기거나 떨어져 나가서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였다.
그러는 한편, 이러한 종래의 바람막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이기 때문에 창짝(20)을 떼고 붙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간격을 유지할 수밖에 없고, 아무리 정확한 치수로 잘 만든다고 하더라도 조립 오차가 생길 수밖에 없으며, 여하튼 완벽한 기밀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없던 것보다는 좋지만 여전히 바람이나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떨어지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판상몸체로 제작되는 것이어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조가 손쉽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창틀프레임의 레일에 창짝을 결합한 후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설치된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창짝의 측면에 강한 결속력으로 결합되어 창짝의 슬라이드 개폐동작시 절대로 빠져 이탈되지 않는 것은 기본이고,
가장 특징적인 것은 판상몸체의 상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경질부로 형성하고 하부는 경질부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부로 형성함과 동시에, 판상몸체의 절개부 내면과 돌출연장부 외면에 연질판막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창짝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하고 난 다음에 창짝을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하게 되면 창짝의 개폐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면서도 판상몸체 하부의 연질부가 이동방향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지속적으로 밀폐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연질판막에 의해 절개부와 레일의 틈새는 물론 창짝과 레일바닥면과의 미새틈새까지도 모두 완벽하게 밀폐하여 주므로 틈새를 통해 바람은 물론 그 밖에 소음이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여 줌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양질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는 기본적으로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 슬라이딩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측면에 내면이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몸체고정수단과, 레일결합홈(21)에 대응되도록 소정깊이로 절개되어 창틀프레임(10)의 레일(11)이 삽입되는 절개부(1000a) 및 측면으로 돌출되어 틈새 밀폐부분을 확장시켜 줄 수 있는 돌출연장부가 구비되는 판상몸체를 구성하되,
상기 판상몸체의 상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경질부로 형성하고 하부는 경질부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부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판상몸체의 절개부 내면과 돌출연장부 외면에 연질판막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몸체고정수단은 선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으로 구성하여, 슬라이딩 창호용 창짝의 상,하부측 레일결합홈에 좌,우 탄성걸림편을 삽입시키면 좌,우 탄성걸림편의 걸림돌기가 창짝 내면의 수직 걸림요홈에 견실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몸체고정수단을 선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으로 구성할 경우 판상몸체 내면을 요입부로 형성하여서, 슬라이딩 창호용 창짝의 상,하부측 레일결합홈에 좌,우 탄성걸림편을 삽입시킬시 판상몸체가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눌려지면서 좌,우 탄성걸림편의 걸림돌기가 창짝 내면의 수직 걸림요홈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고정수단은 판상몸체에 나사삽입공을 형성하여서, 슬라이딩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의 상단부 및 하단부 측면에 내면에 나사체결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은 물론,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과 나사삽입공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슬라이드 창호용 바람막이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판상몸체로 제작되는 것이어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조가 손쉽고 제작단가를 낮춰줄 수 있다.
또한, 판상구성되는 좌,우 탄성걸림편 및 나사삽입공을 이용하여 창짝 상부 및 하부 측면에 밀착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하면 사용중 판상몸체가 빠지면서 분리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다.
그러는 한편 본 고안은 판상몸체 내면에 요입부가 형성되므로 슬라이딩 창호용 창짝의 상,하부측 레일결합홈에 좌,우 탄성걸림편을 삽입시킬시 판상몸체가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좌,우 탄성걸림편의 걸림돌기가 창짝 내면의 수직 걸림요홈에 더욱 더 용이하게 결합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가장 특장점은 판상몸체를 창짝 상부 및 하부 측면에 밀착고정하게 되면 상기 판상몸체를 구성하는 절개부에는 창틀프레임의 레일이 삽입되고 측면으로 돌출되어진 돌출연장부는 타측 창짝의 틈새부분까지도 밀폐하여 주는데,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판상몸체의 상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경질부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경질부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부의 연질부가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창짝과 레일사이의 틈새 높이가 높거나 또는 낮거나 상관없이 틈새를 완벽하게 밀폐하여 주게 된다.
또한, 판상몸체의 절개부 내면과 돌출연장부 외면에 연질판막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와 레일의 틈새는 물론 창짝과 레일바닥면과의 틈새까지도 모두 연질판막이 완벽하게 밀폐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는 창짝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하고 난 다음에 창짝을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하게 되면 창짝의 개폐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면서도 판상몸체 하부의 연질부가 이동방향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지속적으로 밀폐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연질판막에 의해 절개부와 레일의 틈새는 물론 창짝과 레일바닥면과의 미새틈새까지도 모두 완벽하게 밀폐하여 주므로 틈새를 통해 바람은 물론 그 밖에 소음이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이 최대한 차단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바람막이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종래 바람막이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바람막이의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바람막이를 하측 문틀프레임 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종래 바람막이를 상측 문틀프레임 내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막이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5는 바람막이를 창짝 상단부에 설치하기 전단계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바람막이를 창짝 하단부에 설치하기 전단계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바람막이의 구성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8은 바람막이의 구성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9는 좌,우 탄성걸림편을 창짝 상,하단부 내부의 수직 걸림요홈에 결합하여 바람막이를 고정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바람막이를 창짝에 고정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는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 슬라이딩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측면에 내면이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몸체고정수단(110)과, 레일결합홈(21)에 대응되도록 소정깊이로 절개되어 창틀프레임(10)의 레일(11)이 삽입되는 절개부(120) 및 측면으로 돌출되어 틈새 밀폐부분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 돌출연장부(130)가 구비되는 판상몸체(100)를 구성하되,
상기 판상몸체(100)의 상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경질부(a)로 형성하고 하부는 경질부(a)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부(b)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판상몸체(100)의 절개부(120) 내면과 돌출연장부(130) 외면에 연질판막(14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고정수단(110)은 선단에 걸림돌기(111a)가 형성된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111)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창호용 창짝(20)의 상,하부측 레일결합홈(21)에 좌,우 탄성걸림편(111)을 삽입시키면 좌,우 탄성걸림편(111)의 걸림돌기(111a)가 창짝(20) 내면의 수직 걸림요홈(20a)에 견실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몸체고정수단(110)을 선단에 걸림돌기(111a)가 형성된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111)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판상몸체(100) 내면에 요입부(100a)를 형성하여서,
슬라이딩 창호용 창짝(20)의 상,하부측 레일결합홈(21)에 좌,우 탄성걸림편(111)을 삽입시킬시 판상몸체(100)가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좌,우 탄성걸림편(111)의 걸림돌기(111a)가 창짝(20) 내면의 수직 걸림요홈(20a)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는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몸체고정수단(110)을 판상몸체(100)에 나사삽입공(112)을 형성하여서,
슬라이딩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측면에 내면에 나사(112a)체결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여기에 한정됨이 없이 상기 판상몸체(100)에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111)과 나사삽입공(112)을 동시에 형성하여 더욱더 안정되게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슬라이드 창호용 바람막이의 설치시 상기 판상몸체(100)에 구성되는 몸체고정수단(110)을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111)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먼저, 창짝(20) 측면 하부의 레일결합홈(21)을 상측으로 소정 높이 더 절개하여 좌,우 탄성걸림편(111)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창틀프레임(10)에 형성된 레일(11)에 창짝에 형성된 레일삽입홈(21)을 결합하여 창짝(20)이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설치완료한다.
이와 같이 창짝(20)을 설치하고 나면 창짝(20)은 떼고 붙이기 위한 구조상 어쩔 수 없이 창짝(20) 상부와 레일(11)사이에는 좌,우 탄성걸림편(111)이 삽입될 수 있는 틈새가 자연스럽게 생기게 되고, 창짝(20) 측면 하부에는 레일결합홈(21)을 소정높이로 절개하였기 때문에 이 역시 좌,우 탄성걸림편(111)이 삽입될 수 있는 틈새가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의 슬라이드 창호용 바람막이를 손으로 잡고 판상몸체(100)의 내면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111)을 레일결합홈(21)에 생긴 틈새로 강제로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하면 좌,우 탄성걸림편(111) 선단이 오므라들었다가 펴지면서 선단의 걸림돌기(111a)가 창짝(20) 내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걸림요홈(20a)에 결합 되므로 판상몸체(100)가 창짝(20) 상부 및 하부 측면에 밀착고정된다.
이때, 판상몸체(100) 내면에 요입부(100a)를 형성하면 슬라이딩 창호용 창짝(20)의 상,하부측 레일결합홈(21)에 좌,우 탄성걸림편(111)을 삽입시킬시 판상몸체(100)가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좌,우 탄성걸림편(111)의 걸림돌기(111a)가 창짝(20) 내면의 수직 걸림요홈(20a)에 더욱 더 용이하게 결합된다.
그러는 한편, 상기 판상몸체(100)에 구성되는 몸체고정수단(110)을 나사삽입공(112)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창짝(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측면에 내면을 밀착시키되 나사삽입공(112)을 통해 나사(112a)를 창짝(20) 측면에 체결하여 판상몸체(100)를 창짝(20) 상부 및 하부 측면에 밀착고정하면 된다.
이와같이 하면 상기 판상몸체(100)가 매우 견실하게 결합되어 사용중 판상몸체(100)가 빠지면서 분리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그러는 한편, 판상몸체(100)를 창짝(20) 상부 및 하부 측면에 밀착고정하게 되면 상기 판상몸체(100)를 구성하는 절개부(120)에는 창틀프레임(10)의 레일(11)이 삽입되고 측면으로 돌출되어진 돌출연장부(130)는 타측 창짝(20)의 틈새부분까지도 밀폐하여 주는데,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판상몸체(100)의 상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경질부(a)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경질부(a)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부(b)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부의 연질부(b)가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창짝(20)과 레일(11)사이의 틈새 높이가 높거나 또는 낮거나 상관없이 틈새를 완벽하게 밀폐하여 주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판상몸체(100)의 절개부(120) 내면과 돌출연장부(130) 외면에 연질판막(1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120)와 레일(11)의 틈새는 물론 창짝(20)과 레일바닥면과의 틈새까지도 모두 연질판막이 완벽하게 밀폐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하여 본 고안의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를 창짝(20)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하고 난 다음에 창짝(20)을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하게 되면 창짝(20)의 개폐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면서도 판상몸체(100) 하부의 연질부(b)가 이동방향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지속적으로 밀폐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연질판막(140)에 의해 절개부(120)와 레일(11)의 틈새는 물론 창짝(20)과 레일바닥면과의 미새틈새까지도 모두 완벽하게 밀폐하여 주므로 틈새를 통해 바람은 물론 그 밖에 소음이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이 최대한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a:경질부 b:연질부
10:창틀프레임 11:레일
20:창짝 20a:수직 걸림요홈
21:레일결합홈 100:판상몸체
100a:요입부 110:몸체고정수단
111:좌,우 탄성걸림편 111a:걸림돌기
112:나사삽입공 112a:나사
120:절개부 130:돌출연장부
140:연질판막

Claims (4)

  1.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 슬라이딩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측면에 내면이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몸체고정수단(110)과, 레일결합홈(21)에 대응되도록 소정깊이로 절개되어 창틀프레임(10)의 레일(11)이 삽입되는 절개부(120) 및 측면으로 돌출되어 틈새 밀폐부분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 돌출연장부(130)가 구비되는 판상몸체(100)를 구성하되,
    상기 판상몸체(100)의 상부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경질부(a)로 형성하고 하부는 경질부(a)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부(b)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판상몸체(100)의 절개부(120) 내면과 돌출연장부(130) 외면에 연질판막(14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고정수단(110)은 선단에 걸림돌기(111a)가 형성된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111)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창호용 창짝(20)의 상,하부측 레일결합홈(21)에 좌,우 탄성걸림편(111)을 삽입시키면 좌,우 탄성걸림편(111)의 걸림돌기(111a)가 창짝(20) 내면의 수직 걸림요홈(20a)에 견실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고정수단(110)을 선단에 걸림돌기(111a)가 형성된 한쌍의 좌,우 탄성걸림편(111)으로 구성할 경우 판상몸체(100) 내면을 요입부(100a)로 형성하여서,
    슬라이딩 창호용 창짝(20)의 상,하부측 레일결합홈(21)에 좌,우 탄성걸림편(111)을 삽입시킬시 판상몸체가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눌려지면서 좌,우 탄성걸림편(111)의 걸림돌기(111a)가 창짝(20) 내면의 수직 걸림요홈(20a)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고정수단(110)은
    판상몸체(100)에 나사삽입공(112)을 형성하여서,
    슬라이딩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측면에 내면에 나사(112a)체결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KR2020170006252U 2017-12-05 2017-12-05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KR201900014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52U KR20190001418U (ko) 2017-12-05 2017-12-05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52U KR20190001418U (ko) 2017-12-05 2017-12-05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18U true KR20190001418U (ko) 2019-06-13

Family

ID=6681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252U KR20190001418U (ko) 2017-12-05 2017-12-05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4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842A (ko) * 2020-05-29 2021-12-07 문여진 틈이 없는 미닫이 창호 레일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이의 설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842A (ko) * 2020-05-29 2021-12-07 문여진 틈이 없는 미닫이 창호 레일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이의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040B1 (ko) 창호용 풍지부재
KR10173170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KR20150069678A (ko) 조립식 레일을 구비한 창틀프레임
KR20190001418U (ko)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EP2578764A1 (en) A roof window with a barrel bolt and such a barrel bolt
KR200478715Y1 (ko)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KR101875656B1 (ko) 차량용 도어 가변 벨트 몰딩 구조
JP4419799B2 (ja) 固定ガラス用ウエザストリップ
KR100864724B1 (ko) 전자제품용 도어 조립구조
KR101212248B1 (ko) 손 끼임에 의한 부상 방지기능을 갖는 문짝과 문틀 또는 창과 창틀
KR101759032B1 (ko) 미닫이 창호용 부착 설치형 외기 차단용구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20150002556U (ko)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KR102027837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
KR200397838Y1 (ko) 창문유리 실리콘 오염방지캡
KR101472225B1 (ko) 창호용 방풍부재, 이를 가지는 창호 프레임 및 방풍부재의 시공방법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JP3179727B2 (ja) 複合サッシ
KR20170006918A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20130000290U (ko)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101792495B1 (ko) 바닥 설치용 방풍 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KR20190051568A (ko)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KR19990022140U (ko) 미닫이식창호용스토퍼
KR20190078444A (ko) 창문틀과 목재창틀사이에 단열캡이 적용된 목재창틀
KR200320169Y1 (ko) 가변형 문틀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