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556U -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 Google Patents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556U
KR20150002556U KR2020130010679U KR20130010679U KR20150002556U KR 20150002556 U KR20150002556 U KR 20150002556U KR 2020130010679 U KR2020130010679 U KR 2020130010679U KR 20130010679 U KR20130010679 U KR 20130010679U KR 20150002556 U KR20150002556 U KR 201500025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door
packing member
elastic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2020130010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556U/ko
Publication of KR201500025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09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hollow sealing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1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out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out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도어나 창문 또는 샷시에 설치되어 바람의 유입과 소음을 차단하는 패킹부재로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설치면에 마련되며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된 탄성덮개와 상기 완충공간에 배치되는 탄성튜브로 이루어져, 2중 기밀구조를 갖도록 베이스 패널에 탄성덮개를 형성시키고 베이스 패널과 탄성덮개 사이에 탄성튜브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도어와 문틀에 압착되게 끼움되어 도어와 문틀사이의 기밀을 유지시켜 바람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샷시나 창문의 틈에 기밀을 유지시키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 packing a commodity }
본 고안은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중 기밀구조를 갖도록 베이스 패널에 탄성덮개를 형성시키고 베이스 패널과 탄성덮개 사이에 탄성튜브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도어와 문틀에 압착되게 끼움되어 도어와 문틀사이의 기밀을 유지시켜 바람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샷시나 창문의 틈에 기밀을 유지시키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 개폐되거나 슬라이드 개폐되는 도어의 문과 문틀 사이에는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를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틈새를 둔다 그 틈새로 외풍, 먼지, 소음이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풍지 및 방풍패널를 사용한다.
종래에 사용되던 문풍지는 스펀지타입의 문풍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풍지는 직사각단면 형상의 롤타입스펀지 일측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접착층을 도어의 측면에 부착함으로써 도어를 닫으면 스펀지타입의 문풍지 쿠션으로 인하여 방풍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펀지타입의 문풍지는 충분한 쿠션작용을 하면서 바람을 막고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도어와 문틀 사이에서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하여 스펀지 입자들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문풍지를 사용하는 겨울철이 끝날 무렵에는 주변과 도어 미관이 매우 지저분해지고 방풍효과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측면에 부착된 문풍지는 제거하기도 어려워 입자가 지저분하게 떨어진 스펀지타입의 문풍지를 그냥 붙이고 지내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스펀지타입의 문풍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13550호 에서와 같이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다양한 문풍지가 개발되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문풍지(방풍패널)는 일단에 돌출되게 문에 부착되어 문틀과 문짝사이에 돌출된 부분이 절곡되면 끼움되도록 함으로서, 바람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문풍지는 돌출되어 절곡되는 부분이 문짝과 문틀사이에 눌려진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므로,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찰면적이 넓어 마모와 문짝의 도색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돌출되어 절곡되는 부분이 길게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부분적으로 틈이 생겨 공기가 그 틈으로 유동되어 찬바람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2중 기밀구조를 갖도록 베이스 패널에 탄성덮개를 형성시키고 베이스 패널과 탄성덮개 사이에 탄성튜브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도어와 문틀에 압착되게 끼움되어 도어와 문틀사이의 기밀을 유지시켜 바람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샷시나 창문의 틈에 기밀을 유지시키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출입도어나 창문 또는 샷시에 설치되어 바람의 유입과 소음을 차단하는 패킹부재로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설치면에 마련되며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된 탄성덮개와 상기 완충공간에 배치되는 탄성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이스 패널의 고정면에는 양측에 긴 고정패널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널들은 상기 고정면의 중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덮개는 일측에 곡선의 선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선단부의 높이 보다 높도록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와 상기 끼움부를 연결하며 경사지게 끼움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덮개에는 선단부의 내측면에 상기 탄성튜브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홈부가 더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튜브를 고정시키도록 스토퍼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부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는 슬릿을 형성시켜, 상기 베이스패널에서 상기 탄성덮개의 단부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끼움경사부와 지지부는 상기 슬릿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는 2중 기밀구조를 갖도록 베이스 패널에 탄성덮개를 형성시키고 베이스 패널과 탄성덮개 사이에 탄성튜브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도어와 문틀에 압착되게 끼움되어 도어와 문틀사이의 기밀을 유지시켜 바람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샷시나 창문의 틈에 기밀을 유지시키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10)(이하 설명의 편의상 패킹부재라 명명함)은 출입도어나 창문 또는 샷시에 설치되어 바람의 유입과 소음을 차단하는 패킹부재로서, 이에 이와같은 패킹부재(10)는 베이스 패널(20)과 상기 베이스 패널(20)의 설치면(21)에 마련되며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된 탄성덮개(30)와 상기 완충공간에 배치되는 탄성튜브(40)로 이루어져, 도어(100)에 체결된 패킹부재(10)가 도어(100)와 문틀(200) 사이에 억지끼움되어 바람이나 소음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패널(20)은 바형상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덮개(3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튜브(40)는 관구조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튜브(40)는 상기 베이스 패널(20)과 상기 탄성덮개(30) 사이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며, 다르게는 끼움된 후 접착 또는 융착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덮개(30)는 양단부가 폐쇄된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며, 관통되게 관구조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탄성덮개(30)는 상기 베이스 패널(20)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20)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덮개(30)는 일측에 도어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문틀에 걸림되는 방지하도록 곡선의 선단부(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선단부(31)의 높이 보다 높도록 지지부(33)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31)와 상기 지지부(33)를 연결하며 상향으로 경사지게 끼움경사부(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경사부(3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어(100)를 닫는 과정에서 문틀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순차적으로 경사진 끼움경사부(32) 및 지지부(33)가 문틀에 안내되어 억지끼움 된다. 상기 선단부(31), 끼움경사부(32) 및 지지부(33)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패킹부재(10)를 도어(100)의 테두리에 부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도어(100)를 회전시켜 문틀(200)을 폐쇄시키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도어(100)와 문틀(200)사이에 패킹부재(10)가 억지끼움되고, 탄성덮개(30)와 탄성튜브(40)의 탄성에 의해 문틀을 가압하여 도어와 문틀사이의 틈을 밀폐시킴으로서, 틈으로 바람이나 소음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패널(20)의 고정면(22)에는 양측에 긴 고정패널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널(221)들은 상기 고정면(22)의 중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패널(221)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어(100)의 측면에 억지끼움됨으로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접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덮개(30)에는 선단부의 내측면에 상기 탄성튜브(4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홈부(34)가 더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튜브(40)를 고정시키도록 곡선의 스토퍼(35)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패널(20) 사이에는 슬릿(36)을 형성시켜, 상기 베이스패널(20)에서 상기 탄성덮개(30)의 단부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끼움경사부(32)와 지지부(33)는 상기 슬릿(36)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튜브(40)와 상기 스토퍼(35)가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지지부(33)와 상기 끼움경사부(32)가 도어(100)와 문틀(200)사이 또는 샷시(300)의 레일홈과 가이드돌기(400) 사이에 억지끼움시 자체 탄성과 상기 탄성튜브(40)와 상기 스토퍼(35)에 의한 탄성에 의해 틀을 밀폐하여 바람이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지지부(33)와 끼움경사부(32)는 상기 슬릿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시켜, 블랙시블하게 구부러져 억지끼움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단부와 인장력 집중되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패킹부재(10)는 상호 맞닿는 미닫이 창의 테두리에 부착하여 미닫이 창이 상호 맞닿을 시 그 사이 틈으로 바람이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선단부(31)에는 곡선의 안내홈(3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311)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롤러(312)가 더 설치된다.
즉,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문틀에 선단부가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문틀이 상기 롤러(312)이 미끄럼 이동되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 : 패킹부재 20 : 베이스 패널
30 : 탄성덮개 40 : 탄성튜브
21 : 설치면 22 : 고정면
221 : 고정패널 31 : 선단부
311 : 안내홈 312 : 롤러
32 : 끼움경사부 33 : 지지부
34 : 홈부 35 : 스토퍼
36 : 슬릿 100 : 도어
200 : 문틀 300 : 샷시
400 : 가이드돌기

Claims (5)

  1. 출입도어나 창문 또는 샷시에 설치되어 바람의 유입과 소음을 차단하는 패킹부재로서,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설치면에 마련되며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된 탄성덮개; 및
    상기 완충공간에 배치되는 탄성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이스 패널의 고정면에는 양측에 긴 고정패널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널들은 상기 고정면의 중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덮개는 일측에 곡선의 선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선단부의 높이 보다 높도록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와 상기 끼움부를 연결하며 경사지게 끼움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덮개에는 선단부의 내측면에 상기 탄성튜브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홈부가 더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튜브를 고정시키도록 스토퍼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부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는 슬릿을 형성시켜, 상기 베이스패널에서 상기 탄성덮개의 단부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끼움경사부와 지지부는 상기 슬릿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는 곡선의 안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KR2020130010679U 2013-12-23 2013-12-23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KR201500025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79U KR20150002556U (ko) 2013-12-23 2013-12-23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79U KR20150002556U (ko) 2013-12-23 2013-12-23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56U true KR20150002556U (ko) 2015-07-01

Family

ID=5379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679U KR20150002556U (ko) 2013-12-23 2013-12-23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55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539A (zh) * 2018-10-09 2019-01-01 泰州智艺门业有限公司 一种隔音效果好的木门
KR102466630B1 (ko) * 2022-02-22 2022-11-11 서부성 슬라이딩 창문 틈새막이
KR102505343B1 (ko) * 2022-05-27 2023-03-06 서부성 슬라이딩 창문 틈새막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539A (zh) * 2018-10-09 2019-01-01 泰州智艺门业有限公司 一种隔音效果好的木门
KR102466630B1 (ko) * 2022-02-22 2022-11-11 서부성 슬라이딩 창문 틈새막이
KR102505343B1 (ko) * 2022-05-27 2023-03-06 서부성 슬라이딩 창문 틈새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472B1 (ko) 자동차의 오프닝 웨더스트립 고정구조
US9073421B2 (en) Molding element for joining a part to a fixed window pane of a vehicle
EA025521B1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одвижных автомобильных стекол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465697B1 (ko) 미서기 창호의 기밀보강재
KR20150002556U (ko)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KR101404706B1 (ko) 창호용 필링피스
KR101321711B1 (ko) 미닫이문용 기밀재
KR20150069678A (ko) 조립식 레일을 구비한 창틀프레임
KR20130000368U (ko) 미닫이 창호문의 레일 방풍재
KR102027387B1 (ko)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를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에서 유리 지지 단열 브라켓에 밀봉 부재로 부착 설치되는 탄성 가스켓의 설치 구조
KR101541419B1 (ko) 창호기밀재 풍지튜브
CN204002366U (zh) 一种门窗密封胶条支架组件
JP2016117343A (ja) 車両のドア開口部構造
JP2009006788A (ja) 窓板の装着方法と該方法に用いる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KR101504265B1 (ko) 타원형 구조를 갖는 발포 풍지판
KR20140004502U (ko) 창호용 방풍부재
KR102185082B1 (ko) 방풍용 틈막이 기구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JP6352582B2 (ja) ドアサッシュ
KR200453985Y1 (ko)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KR20130006567U (ko) 미닫이 창호문의 레일 방풍재
EP1922221A1 (en) Window sealing and guiding arrangements for vehicle doors and windows
EP4033063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elastic gasket attached and installed as sealing member to glass-supporting insulation bracket in sliding window having two-side supporting frame window chassis
KR20190001418U (ko)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CN213359909U (zh) 一种门窗密封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