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985Y1 -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985Y1
KR200453985Y1 KR2020110003500U KR20110003500U KR200453985Y1 KR 200453985 Y1 KR200453985 Y1 KR 200453985Y1 KR 2020110003500 U KR2020110003500 U KR 2020110003500U KR 20110003500 U KR20110003500 U KR 20110003500U KR 200453985 Y1 KR200453985 Y1 KR 200453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packing
integrally formed
pa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윤
Original Assignee
권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윤 filed Critical 권기윤
Priority to KR2020110003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웨더스트립과 별도로 도어의 내측 하단에 접착되고 차체에 도어가 닫힐 때 절곡되면서 차체와 도어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여 차량의 내부로 풍절음과 이물질 및 외부 소음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면서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패킹 부재에 의한 차량 외관의 심미감 저하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패킹 부재는 사이드실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밀착되게 도어 웨더스트립의 하부로 내측 도어 패널의 하단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하부로 상기 내측 도어 패널의 하단을 따라 접착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합성고무 재질의 접착부재와; 상단이 상기 접착부재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재와; 중공된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상기 접착부재의 하단과 상기 경사부재의 하단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단이 상기 경사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재와; 상단이 상기 연장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절곡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PACKING MEMBER FOR A DOOR OF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 도어의 하단에 부착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세는 도어 웨더스트립과 별도로 도어의 내측 하단에 접착되고 차체에 도어가 닫힐 때 절곡되면서 차체와 도어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여 차량의 내부로 풍절음과 이물질 및 외부 소음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면서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패킹 부재에 의한 차량 외관의 심미감 저하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절음(風切音)이란, 차량이 50~100km/h 이상의 고속으로 주행할 때 차량 주변의 기류가 차량 외관 표면의 단차, 돌기 등에 의해 산란되어 발생하는 기류소음을 말하는데, 이러한 기류소음이 도어(door)의 웨더스트립, 차체의 패널 및 유리창 등을 투과하여 탑승자의 귀에 도달하여 들린다.
여기서, 웨더스트립(weather strip)은 도어가 차체에 닫힐 때 도어와 차체 사이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패킹 부재를 말하는 것으로,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웨더스트립과 차체에 설치되는 차체 웨더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의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 우수 및 외풍과 같은 것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풍절음은 대부분 웨더스트립을 투과한 소음이 지배적이고, 1khz 이상의 고주파에 해당되는 소음으로서 차량의 웨더스트립 노후 정도와 주행 속도에 따라 풍절음은 더욱 심해져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거부감을 주게 된다.
이때, 소음에 민감한 운전자라면 풍절음의 소음으로 운전에 방해를 받게 되어 안전운전을 위협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풍절음이나 외부잡음을 감소 또는 차단하기 위해 자동차 업계에서는 샤시와 차체를 변형하는 다양한 연구와 개발을 하고 있으며 근래에 일부 개발 업체에서 풍절음을 감쇠시킨 샤시와 차체의 구조를 공개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차량의 판매 비용을 상승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도어(Door)에 부착하여 풍절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대체 부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대체 부재는 직사각형의 띠 형상으로 일측면에 접착재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와 차체의 웨더스트립에 각각 접착되는 것과, 도어의 외측 하단에 접착되는 대체 부재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대체 부재는 합성고무 재질로 제조되는 웨더스트립에 접착됨에 따라 차체에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웨더스트립이 변형됨에 따라 대체 부재가 쉽게 떨어져 나가 풍절음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대체 부재는 도어의 외부측에 접착됨에 따라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외관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면서 고속 주행시에 대체 부재 자체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웨더스트립과 별도로 도어의 내측 하단에 접착되고 차체에 도어가 닫힐 때 절곡되면서 차체와 도어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여 차량의 내부로 풍절음과 이물질 및 외부 소음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면서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패킹 부재에 의한 차량 외관의 심미감 저하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곡부재의 끝단이 상부측으로 재차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재의 끝단이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차체에 도어가 닫힐 때 재차 절곡된 부위의 끝단이 절곡부재에 맞닿아 밀폐된 공기 포켓을 형성하여 풍절음의 차단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지부재와 연장부재의 사이에 원형홈을 형성하여 차체에 도어가 닫힐 때 패킹 부재 자체의 절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패킹 부재의 절곡 시에 상기 원형홈이 밀폐되어 공기 포켓을 형성하여 풍절음의 차단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는, 사이드실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밀착되게 도어 웨더스트립의 하부로 내측 도어 패널의 하단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하부로 상기 내측 도어 패널의 하단을 따라 접착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합성고무 재질의 접착부재와; 상단이 상기 접착부재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재와; 중공된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상기 접착부재의 하단과 상기 경사부재의 하단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단이 상기 경사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재와; 상단이 상기 연장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절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의 상기 절곡부재는, 그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절곡부재의 상단 내측에 근접되게 상부측을 향해 원호형으로 절곡되는 대응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장부재가 연결되는 내측 모서리 부위에 일측이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어 웨더스트립과 별도로 도어의 내측 하단에 접착되고 차체에 도어가 닫힐 때 절곡되면서 차체와 도어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여 차량의 내부로 풍절음과 이물질 및 외부 소음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고, 도어의 외부로 패킹 부재가 노출되지 않아 패킹 부재에 의한 차량 외관의 심미감 저하가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절곡부재의 끝단이 상부측으로 재차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재의 끝단이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차체에 도어가 닫힐 때 재차 절곡된 부위의 끝단이 절곡부재에 맞닿아 밀폐된 공기 포켓을 형성하여 풍절음 및 이물질의 차단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부재와 연장부재의 사이에 원형홈을 형성하여 차체에 도어가 닫힐 때 패킹 부재 자체의 절곡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패킹 부재의 절곡 시에 상기 원형홈이 밀폐되어 공기 포켓을 형성하여 풍절음 및 이물질의 차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차량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도 3의 A-A 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을 보인 도 3의 A-A 선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는 접착부재(10)와, 상기 접착부재(10)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재(20)와, 상기 접착부재(10)와 경사부재(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경사부재(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장부재(40)와, 상기 연장부재(4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절곡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재(10)는 도어 웨더스트립의 하부로 내측 도어 패널의 하단을 따라 접착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전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차량 도어의 내측 하단을 따라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착부재(10)는 연성을 가지는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친환경적이면서 내오존성과 내부식성을 가져 노화나 손상 없이 반영구적인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부재(20)는 상단이 상기 접착부재(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접착부재(10)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부측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에 상기 연장부재(40)가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경사부재(20)는 상기 접착부재(10)에서 상기 연장부재(40)가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재(20)의 상단은 접착부재(10)의 상단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부측이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를 이뤄 차량의 도어가 사이드실에 밀착되게 닫힐 때 상기 도어의 내측과 사이드실의 사이에 기밀되게 개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중공된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상기 접착부재(10)의 하단과 상기 경사부재(20)의 하단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착부재(10)와 경사부재(20)의 사이에 공기 포켓을 형성하면서 상기 경사부재(20)가 상기 접착부재(10)에 대응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장부재(40)는 상단이 상기 경사부재(2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으로, 그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절곡부재(50)가 차량의 도어와 사이드실의 밀착되는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재(50)를 상기 경사부재(20)의 하단에서 하부측으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곡부재(50)는 상단이 상기 연장부재(4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재(4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재(40)와 함께 차량의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에 밀착되는 사이드실에 의해 절곡되어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절곡부재(50)는 도어와 사이드실의 밀착되는 부위에 굽힘되면서 맞닿아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재(50)는 상기 연장부재(40)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사이드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도어에 의해 밀릴 때 보다 손쉽게 절곡된다.
이와 같이 본 패킹 부재는 상기 접착부재(10)와 경사부재(20) 및 지지부재(30)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된 삼각형의 공기 포켓을 통해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을 1차로 밀폐하고, 상기 절곡부재(50)의 절곡된 상태의 밀착을 통해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 사이를 2차로 밀폐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절곡부재(50)는 그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절곡부재(50)의 상단 내측에 근접되게 상부측을 향해 원호형으로 절곡되는 대응 절곡부(51)를 포함한다. 상기 대응 절곡부(51)는 상기 절곡부재(50)의 끝단이 차량의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말려 올라가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에 의해 말려 올라가서 그 끝단이 상기 절곡부재(5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하나의 공기 포켓을 더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대응 절곡부(51)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그 끝단이 상기 절곡부재(5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 사이를 3차로 밀폐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30)와 연장부재(40)가 연결되는 내측 모서리 부위에 일측이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형홈(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원형홈(60)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부재(40)의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연장부재(40)의 절곡에 의해 상기 원형홈(60) 자체가 밀폐되면서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 사이를 4차로 밀폐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패킹 부재는 차량의 도어의 닫힘과 함께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의 사이를 4중으로 밀폐하여 상기 도어와 사이드실의 사이로 풍절음이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본 패킹 부재는 상기 접착부재(10), 경사부재(20), 지지부재(30), 연장부재(40), 절곡부재(50) 및 대응 절곡부(51)가 일체로 형성되고, 실리콘과 같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하나의 패킹 부재를 구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패킹 부재는 차량의 사이드실(1)과 도어(2)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도어(2)의 내측 하단, 즉 상기 도어(2)의 내측 도어 패널의 하단에 접착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도 3의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을 보인 도 3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상기 도어(2)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접착부재(10)의 전면에 접착제를 바르거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2)의 외측 패널과 내측 도어 패널(2a)의 하단 접속부 또는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의 하단을 따라 접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10)가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의 하단에 접착되면 상기 경사부재(20)에 의해 연장부재(40)가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연장부재(40)의 하단에는 절곡부재(50)가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을 향해 절곡된 상태로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재(50)의 하단에 형성되는 대응 절곡부(51)는 그 끝단이 상기 절곡부재(50)의 내측면에 근접되게 원호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도어(2)가 상기 사이드실(1)에 대응하여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의 하단은 사이드실(1)의 단차부(1a)에 대응되고, 상기 도어(2)에 설치되는 도어 웨더스트립(3)이 상기 단착부의 상단에 대응되며, 상기 도어(2)의 내측면은 상기 사이드실(1)에 설치되는 차체 웨더스트립(4)에 대응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대응되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2)가 상기 사이드실(1)에 대응하여 닫히게 되면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의 하단은 사이드실(1)의 단차부(1a)에 밀착되고, 상기 도어(2)에 설치되는 도어 웨더스트립(3)이 상기 단착부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기 도어(2)의 내측면은 상기 사이드실(1)에 설치되는 차체 웨더스트립(4)에 밀착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패킹 부재는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과 사이드실(1)의 단차부(1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과 사이드실(1) 사이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패킹 부재의 밀폐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접착부재(10)가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에 접착된 상태로 상기 경사부재(20)의 외측이 상기 단차부(1a)의 수직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지지부재(3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접착부재(10)와 경사부재(20) 및 지지부재(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삼각형의 중공를 통해 공기 포켓이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과 사이드실(1)의 사이에 1차적으로 밀폐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연장부재(40)가 상기 단착부의 수직면에 의해 밀려 절곡되면서 상기 지지부재(30)와 연장부재(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원형홈(60)이 찌그러지면서 상기 원형홈(60) 자체가 밀폐되어 공기 포켓이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과 사이드실(1)의 사이에 2차적으로 밀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부재(40)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절곡부재(50)는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과 외측 도어 패널(2b)의 접속부에 밀착되면서 이에 근접되는 상기 단차부(1a)의 수평면에 밀착되어 상기 도어(2)와 사이드실(1) 사이에 3차적으로 밀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부재(50)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대응 절곡부(51)는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과 외측 도어 패널(2b)의 접속부에 의해 밀려 올라가 그 끝단이 상기 절곡부재(5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대응 절곡부(51) 자체가 동그랗게 말려 하나의 공기 포켓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과 사이드실(1)의 사이에 4차적으로 밀폐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2)가 상기 사이드실(1)에 대응하여 닫힌 상태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패킹 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2)와 사이드실(1)에 4번의 밀폐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풍절음이나 기타 이물질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접착부재 20 : 경사부재
30 : 지지부재 40 : 연장부재
50 : 절곡부재
51 : 대응 절곡부
60 : 원형홈
1 : 사이드실
1a : 단차부
2 : 도어
2a : 내측 도어 패널 2b : 외측 도어 패널
3 : 도어 웨더스트립
4 : 차체 웨더스트립

Claims (3)

  1. 사이드실(1)에 형성되는 단차부(1a)에 밀착되게 도어 웨더스트립(3)의 하부로 내측 도어 패널(2a)의 하단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3)의 하부로 상기 내측 도어 패널(2a)의 하단을 따라 접착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합성고무 재질의 접착부재(10)와;
    상단이 상기 접착부재(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재(20)와;
    중공된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상기 접착부재(10)의 하단과 상기 경사부재(20)의 하단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30)와;
    상단이 상기 경사부재(2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재(40)와;
    상단이 상기 연장부재(4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재(4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절곡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재(50)는,
    그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절곡부재(50)의 상단 내측에 근접되게 상부측을 향해 원호형으로 절곡되는 대응 절곡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와 연장부재(40)가 연결되는 내측 모서리 부위에 일측이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형홈(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KR2020110003500U 2011-04-25 2011-04-25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KR200453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500U KR200453985Y1 (ko) 2011-04-25 2011-04-25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500U KR200453985Y1 (ko) 2011-04-25 2011-04-25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985Y1 true KR200453985Y1 (ko) 2011-06-10

Family

ID=4448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500U KR200453985Y1 (ko) 2011-04-25 2011-04-25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9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020B1 (ko) 2021-02-16 2021-10-28 박무원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KR20230071828A (ko) 2021-11-15 2023-05-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361U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도어 하부 실링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361U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도어 하부 실링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020B1 (ko) 2021-02-16 2021-10-28 박무원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KR20230071828A (ko) 2021-11-15 2023-05-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472B1 (ko) 자동차의 오프닝 웨더스트립 고정구조
US20140196379A1 (en) Sealing system for a frameless door of a vehicle
US20140157679A1 (en) Door weather strip for motor vehicle
JP3028353B2 (ja) ボディサイドウエザーストリップ
KR200453985Y1 (ko)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WO2023227000A1 (zh) 一种隐藏式外水切及具有其的车辆
JP4836741B2 (ja) 車両の前部構造
US8752888B2 (en) Sunroof glass lifting prevention device and sunroof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115107487A (zh) 玻璃滑块、密封条、齐平式车门及汽车
CN101920646A (zh) 一种汽车行李箱副密封条
KR102042030B1 (ko) 차량용 도어 웨더스트립
KR100412867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의 체결구조
JP5347423B2 (ja) ドアシール構造
JPH1159179A (ja) 自動車のドアシール構造
KR100217534B1 (ko) 실링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오프닝어퍼 웨더스트립 구조
JP2009023583A (ja)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H07290961A (ja) ドア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のエンドキャップ取付構造
JP3676598B2 (ja) サッシュドアのシール取付構造
JP4585112B2 (ja) ダブルシール付き自動車用サイドバイザー
JP3600410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KR0177082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부착구조
CN202264623U (zh) 车门门边侧的挡水条
KR20030000621A (ko) 자동차용 도어 벨트 웨더스트립의 고정구조
JPS5989221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20060131342A (ko) 버스의 러기지 플랩도어 실링용 웨더스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