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020B1 -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020B1
KR102319020B1 KR1020210020368A KR20210020368A KR102319020B1 KR 102319020 B1 KR102319020 B1 KR 102319020B1 KR 1020210020368 A KR1020210020368 A KR 1020210020368A KR 20210020368 A KR20210020368 A KR 20210020368A KR 102319020 B1 KR102319020 B1 KR 10231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ling
cushion
mount
clea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원
Original Assignee
박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원 filed Critical 박무원
Priority to KR102021002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5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on or reduction of noise, e.g. of rattling or vibration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에 부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되는 쿠션 중공부를 형성하는 쿠션 보디 유닛; 및 쿠션 보디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의해 피동으로 벤딩되며, 쿠션 보디 유닛을 소정의 방향으로 틸팅 유도하는 디렉션 테일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System for sealing gap with selective pressing force}
본 발명은 두 개의 물체 예컨대, 어느 한 오브젝트와 또 다른 오브젝트 사이에서 완전한 밀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들 밀착이 불량한 갭(gap) 상에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하여 갭을 실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드라이브를 하면서 음악을 듣거나 대화를 하는데 있어서 소음은 방해요소가 되기도 한다. 또한, 소음은 승차감과 연결되기 때문에 최대한 소음을 줄이는 것이 편안한 승차 환경을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연식이 된 차량은 새 차량에 비해 주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외부 소음에 더 잘 노출되는데, 차량의 외부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주된 요인은 차량에 부착된 고무 몰딩이 헐거워지거나 고무탄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비나 바람을 막기 위해 차량 문 안팎으로 부착되어 있는 고무 몰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되어, 차량의 틈 사이로 바람이 들어와 소음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발생하는 소음을 풍절음이라고 하는데, 풍절음이란 창을 닫고 고속으로 주행할 때 '슈슈', '샤샤' 하는 비교적 주파수 높은 소리(500Hz~5kHz)로 들려오는 것을 말한다. 풍절음은 주행 속도나 풍향에 따라 변하게되며 때로는 굉음에 가까운 소리를 내기도 한다.
풍절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도어 패킹을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비, 바람, 먼지 등이 실내에 침입을 방지하고, 주행 시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면서 문을 여닫을 때의 충격을 방지하며 도어와 유리를 보조 지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로어 웨더스트립 (공개번호 제10-2005-0005332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자동차용 로어 웨더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선단이 서로 용접되는 아웃터패널 및 인너패널과, 인너패널측에 밀착되는 도어트림을 포함하는 사이드도어에 결합되어, 그 사이드도어를 닫을 때 차체와 밀착되는 로어 웨더스트립에 있어서, 도어트림과 인너패널 사이에 위치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일단에서 절곡되며 도어트림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어지는 절곡고정부와, 고정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사이드도어를 닿을 때 차체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자동차 도어의 웨더 스트립(공개번호 제10-2018-0035262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도어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차종에 따라 상이한 대응부분의 밀착 단차부 깊이에 관계없이 공기나 빗물 및 풍절음을 용이하게 차단하는 자동차 도어의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웨더스트립은 도어의 가장자리변을 따라 형성된 플랜지에 끼워지는 캐리어부와, 캐리어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대응부분의 밀착 단차부의 모서리를 감싸는 시일부를 포함하며, 시일부는 모서리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제1시일립과, 모서리의 내측면에 밀착하는 제2시일립을 구비하며, 도어가 닫히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제1시일립의 끝단부과 제2시일립의 끝단부는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있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차량용 도어의 웨더 스트립 (등록번호 제10-1413194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개시된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은 차량 리어 도어의 내측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메인 웨더스트립과, 도어의 루프 측에 설치되는 서브 웨더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 웨더스트립과 서브 웨더스트립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게 성형되되, 서브 웨더스트립은 메인 웨더스트립의 상측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고, 메인 웨더스트립과 서브 웨더스트립의 연결 부분 양측에 도어의 내측면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메인 웨더스트립의 상측 부분을 제외한 하측 부분 양단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메인 웨더스트립의 하측 부분이 서로 분할되며 그 분할된 부분이 제3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메인 웨더스트립과 서브 웨더스트립의 연결 부분에서 서브 웨더스트립의 일측 단부에는 메인 웨더스트립과 별개로 연장된 연장 부분이 구비되되, 그 연장 부분이 제1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메인 웨더 스트립과 서브 웨더스트립의 연결 부분은 그 메인 웨더스트립의 제1 단면부와 서브 웨더스트립의 제2 단면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메인 웨더스트립의 하측 부분에서 서로 분할된 부분의 단면과, 서브 웨더스트립의 일단에서 연장된 부분의 단면 형상이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선행 기술들에서 개시된 발명의 경우, 웨더스트립을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의 틈새를 막아주고, 풍절음 방지하게 되지만,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혹은 차량의 도어나 차량의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서 호환되지 않는다.
또한, 에쿠스나 제네시스 같은 고급 차량들에는 엔진룸, 도어, 트렁크 등에 2중, 3중의 몰딩이 적용되어 있지만 일반 차량은 단일 몰딩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풍절음이나 미세먼지 유입을 차단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번호 제10-2005-0005332호 공개번호 제10-2018-0035262호 등록번호 10-141319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9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290479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오브젝트와 오브젝트 상호간의 갭을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실링하는 소재의 노후와 혹은 피로 파괴 등에 의한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한다.
셋째, 오브젝트 상호간에 실링하는 부재가 제 위치의 임의 이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은 마운트 오브젝트와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에 접근하여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실링 오브젝트 사이에 형성되는 갭(gap)을 실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에 부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object direction)에 따라 수축되는 쿠션 중공부를 형성하는 쿠션 보디 유닛; 및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의해 피동으로 벤딩되며,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을 소정의 방향(tilting direction)으로 틸팅 유도하는 디렉션 테일 유닛(direction tail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은,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을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 일면에 고정시키는 어태칭 보디(attaching body)부; 상기 어태칭 보디부에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태칭 보디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쿠션 중공부를 형성하는 루프 보디부; 및 상기 어태칭 보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루프 보디부를 홀딩하며, 상기 디렉션 테일 유닛이 벤딩되는 방향에 따라 틸팅되어, 상기 루프 보디부가 형성하는 상기 쿠션 중공부를 선택적으로 협소하게 하는 틸팅 보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은,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의 외피를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방수하는 실링 레이어(sealing layer); 및 상기 실링 레이어에 둘러 쌓여,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다공성 셀(cell)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압착력에 대한 쿠션력을 제공하며, 상기 쿠션력의 해제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구비하는 소프트 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쿠션 보디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어태칭 보디부를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으로 인력을 형성시키는 클렌칭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상기 클렌칭 유닛은, 상기 어태칭 보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벤딩 형성되어 클렌칭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클렌칭 공간 상에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타면을 가압하는 하부 클렌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재질과 구조적인 역학 구도를 통하여, 오브젝트 상호간의 갭을 효율적으로 실링하게 된다.
둘째, 구조적인 변형을 통한 재질의 텐션과 재질 자체의 압착력에 의한 힘을 가중하여, 갭의 실링 기능을 배가 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중, 어태칭 테일부를 절단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중, 어태칭 테일부를 절단한 상태의 측면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중, 어태치 테일부를 절단한 상태에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를 중심으로 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사시도 상에서 버츄얼 커팅 라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 상에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클렌칭 텐션부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중, 어태칭 테일부를 절단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중, 어태칭 테일부를 절단한 상태의 측면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중, 어태치 테일부를 절단한 상태에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를 중심으로 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사시도 상에서 버츄얼 커팅 라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측면도 상에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클렌칭 텐션부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의 경우, 도 5, 8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오브젝트(mount object)와 실링 오브젝트(sealing object) 사이의 갭(gap)을 실링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마운트 오브젝트라 함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즉, 실링하기 위한 구조체가 장착되고 고정 부착되는 대상체에 해당하며,
실링 오브젝트라 함은, 마운트 오브젝트와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물체인데, 실링 오브젝트가 마운트 오브젝트와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통하여 마운트 오브젝트와의 실링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틈 즉, 갭(gap)이 발생되는 물체를 의미하게 된다.
실링 오브젝트와 마운트 오브젝트는 통상적으로 견고하고 딱딱한 재질 예컨대, 강화 플라스틱이나, 스틸 혹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이 주를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실링 오브젝트와 마운트 오브젝트는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는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들 근접시 발생되는 충격이나, 기타 표면의 변형이나 찍힘 혹은 기타 불가피한 현상에 의한 틈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은 도 1, 6,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보디 유닛(cushion body unit, 100), 및 디렉션 테일 유닛(direction tail unit, 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쿠션 보디 유닛(100)의 경우,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에 부착되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장방향 형성되는 몸체이다.
쿠션 보디 유닛(10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장방향 형성되는 쿠션 중공부(101)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쿠션 중공부(101)가 수축됨에 따라 구조적인 형태를 통해 외부의 압박에 대한 저항을 형성하고, 이러한 저항을 통하여 실링력을 배가 시키게 된다.
쿠션 보디 유닛(100)은 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 즉, 실링 오브젝트가 마운트 오브젝트 상에 접근하는 움직임에 따라 수축되는 현상을 가지는데, 이러한 수축에 대한 저항력은 구조적인 매카니즘과 재질의 탄성력이 중복적으로 적용된다.
디렉션 테일 유닛(200)의 경우, 쿠션 보디 유닛(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의해 피동적으로 벤딩(bending)되며, 쿠션 보디 유닛(100)으로 하여금 소정의 방향(tilting direction)으로 틸팅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쿠션 보디 유닛(100)의 경우, 도 1, 2, 3, 6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칭 보디(attaching body)부(110), 루프 보디(roof body)부(120) 및 틸팅 보디(tilting body)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어태칭 보디부(110)는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구성이다.
어태칭 보디부(110)는 쿠션 보디 유닛(100)을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에 기초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어태칭 보디부(110)는 위와 같은 기능의 발현을 위하여, 해당 어태칭 보디부(110)가 직접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에 접착, 본딩 혹은 기타 매개체를 통하여 본딩될 수 있다. 도 4 및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칭 보디부(110)의 표면에는 본딩 레이어부(21) 및 본딩 커버부(22)를 포함하여 배치될 수 있는데, 본딩 레이어부(21)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면상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본딩 커버부(22)는 본딩 레이어부(21)의 접착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임시로 커버하는 층에 해당한다. 본딩 커버부(22)는 본딩 레이어부(21) 상을 커버하고 있다가, 어태칭 보디부(110)가 마운트 오브젝트 일면에 부착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 탈거되어 버려지고, 본딩 레이어부(21)만이 어태칭 보디부(110) 상에 잔존하게 된다. 본딩 레이어부(21)는 어태칭 보디부(110) 상에 본딩되어 있다가, 마운트 오브젝트와 어태칭 보디부(110)를 상호 접합시키게 된다.
루프 보디부(120)의 경우,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칭 보디부(110)의 루프(roof) 즉, 지붕을 형성하게 되는 구성이다.
루프 보디부(120)는 어태칭 보디부(110)에 대면하되, 어태칭 보디부(1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쿠션 중공부(101)를 마련하게 된다.
틸팅 보디부(130)의 경우,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칭 보디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루프 보디부(120)를 홀딩하게 된다.
틸팅 보디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렉션 테일 유닛(200)이 벤딩되는 방향에 따라 틸팅되는데, 루프 보디부(120)가 형성한느 쿠션 중공부를 선택적으로 협소하게끔 한다.
틸팅 보디부(130)는 테일 팔로잉부(131), 및 틸팅 팔로잉부(132)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하면, 틸팅 보디부(130)는 테일 팔로잉부(131), 및 틸팅 팔로잉부(132)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도 9를 기준으로 하면 틸팅 보디부(130)는 틸팅 필로잉부(132)만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테일 팔로잉부(131)는 디렉션 테일 유닛(200)에 인접하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디렉션 테일 유닛(200)이 말려 들어가는 방향에 따라 수동, 피동적으로 틸팅하는 구성이다.
틸팅 팔로잉부(132)의 경우, 디렉션 테일 유닛(200)에 인접하지 않되, 디렉션 테일 유닛(200)이 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면, 틸팅 팔로잉부(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쿠션 중공부(101)의 공간을 협소하게 하면서 틸팅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소정의 방향(tilting direction)의 경우,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실링 오브젝트가 일정한 단차(도 5 참조)를 형성하며, 마운트 오브젝트의 단부를 일정 덮는 형태로 접근(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하는 경우, 디렉션 테일 유닛(200)은 실링 오브젝트에서 튀어 나온 부분에 의해 눌러지면서 테일 팔로잉부(131)가 마운트 오브젝트의 단부를 대향하도록 틸팅하는 방향이 소정의 방향을 의미하게 된다.
소정의 방향의 경우, 도 8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실링 오브젝트가 마운트 오브젝트의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접근(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하는 경우, 디렉션 테일 유닛(200)은 실링 오브젝트에 의해서 측면이 눌러지면서 틸팅 보디부(130)가 틸팅하는 방향을 의미하게 된다.
소정의 방향(tilting direction)의 경우, 도 12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실링 오브젝트가 루프 보디부(12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접근(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하는 경우, 디렉션 테일 유닛(200)은 어태칭 보디부(110)와 하부 클렌칭부(310)가 연장 형성된 부분을 미끄러지듯이 눌러지면서 테일 팔로잉부(131)가 틸팅하는 방향이 소정의 방향을 의미하게 된다.
쿠션 보디 유닛(100)은 자체의 재질이 2중, 즉, 2중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보디 유닛(100)은 실링 레이어(sealing layer, 102) 및 소프트 셀(soft cell)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레이어(102)의 경우, 쿠션 보디 유닛(100)의 외피(outer surface)를 형성하며, 외부로부터의 습기의 침부를 방지하도록 방수하며,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침습적 압박으로부터 저항하는 구성이다.
실링 레이어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 셀부(103)가 존재한다.
소프트 셀부(103)의 경우, 실링 레이어(102)가 형성하는 외피로부터 보호받으며, 실링 레이어(102)의 하부 및 내부를 형성하며 쿠션 보디 유닛(1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소프트 셀부(103)의 경우, 다공성 셀(cell)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압착력에 대한 쿠션력(cushion force)를 형성하고 제공하며, 외부 쿠션력의 해제시에는 쿠션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구비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보디 유닛(100)은 버츄얼 커팅 라인(L)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버츄얼 커팅 라인(L)이란 육안으로는 관찰되지 않지만, 마운트 오브젝트 상에 장착되고 고정되는 길이에 맞추어지는 가상의 커팅 라인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해당 커팅 라인의 길이에 맞추어져 장방향이 최소한으로 형성되는 라인을 의미하게 된다.
버츄얼 커팅 라인은 임의 설정 가능하며, 이렇게 임의 설정된 라인을 따라 절개되어 마운트 오브젝트 상에 고정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은 클렌칭 유닛(clenching unit, 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렌칭 유닛(300)은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보디 유닛(10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마운트 오브젝트의 타면을 가압하여 어태칭 보디부(110)를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으로 인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클렌칭 유닛(300)은 하부 클렌칭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클렌칭부(310)는 어태칭 보디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성인데, 어태칭 보디부(110)는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벤딩 형성되어 클렌칭 공간(H)을 형성하게 된다.
하부 클렌칭부(310)는 이러한 클렌칭 공간(H) 내에 마운트 오브젝트의 단부를 삽입하여 마운트 오브젝트의 타면을 가압하게 된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렌칭 유닛(300)은 하부 클렌칭부(310) 내에 인입 둔턱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 둔턱부(311)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클렌칭부(310)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클렌칭 공간(H) 방향으로 내향 벤딩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해당 인입 둔턱부(311)의 내향 벤딩을 통해 인입되는 마운트 오브젝트의 단부가 임의 탈거 되거나 임의 벗겨짐 혹은 임의 위치 이탈되는 현상을 저감시키게 된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렌칭 유닛(300)은 하부 클렌칭부(310) 내에 인입 투스(tooth)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 투스부(312)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클렌칭부(310)의 내면에 배치된 다수의 내향 방향성의 돌기에 해당한다.
인입 투스부(312)는 복수 개의 내향 돌기로 구성되어 인입되는 마운트 오브젝트의 단부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오브젝트의 단부가 외향 임의 탈거되는 현상을 최소화 시키게 된다.
인입 투스부(312)의 복수 개의 내향 돌기는 자체적인 텐션 즉 탄성력을 구비하게 되는바, 클렌칭 공간(H) 내에 인입된 마운트 오브젝트의 단부의 임의, 불규칙적인 외력이 발생하면 할수록 내향 인입력을 작용시켜, 인입 투스부(312)는 마운트 오브젝트의 외향 임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클렌칭 유닛(300)의 경우,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렌칭 텐션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렌칭 텐션부(320)의 경우, 어태칭 보디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하부 클렌칭부(310)까지 연장되는데, 하부 클렌칭부(310)의 내부에 함입되어 있는 구성이다.
클렌칭 텐션부(320)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C자 혹은 U 자 형태로 이루어져 자체적인 재질의 특성(속성)에 의하여 마운트 오브젝트를 강하게 움켜쥐도록 하는 구성이다.
클렌칭 텐션부(320)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텐션부(321)와 압축 텐션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렌칭 텐션부(320)의 외향 부분 즉, 외면부는 인장 텐션부(321)인바, 금속성 재질로서 압축 강도보다 인장 강도에 강한 재질을 형성시키고, 클렌칭 텐션부(320)의 내향 부분 즉, 내면부는 압축 텐션부(322)인바, 세라믹 혹은 강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서 인장 강도보다 압축 강도에 강한 재질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L: 버츄얼 커팅 라인(virtual cutting line)
F1: 오브젝트 디렉션(object direction)
F2: 틸팅 디렉션(tilting direction)
H: 클렌칭 공간(clenching space)
10: 어태칭 테일(attaching tail)부
21: 본딩 레이어부
22: 본딩 커버부
100: 쿠션 보디 유닛
101: 쿠션 중공부
102: 실링 레이어(sealing layer)
103: 소프트 셀부
104: 소프트 중공부
110: 어태칭 보디부
111: 픽싱 둔턱부
120: 루프 보디부
130: 틸팅 보디부
131: 테일 팔로잉부
132: 틸팅 팔로잉부
200: 디렉션 테일 유닛(direction tail unit)
300: 클렌칭 유닛(clenching unit)
310: 하부 클렌칭부
311: 인입 둔턱부
312: 인입 투스(tooth)부
320: 클렌칭 텐션부

Claims (5)

  1. 마운트 오브젝트(mount object)와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에 접근하여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실링 오브젝트(sealing object) 사이에 형성되는 갭(gap)을 실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에 부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object direction)에 따라 수축되는 쿠션 중공부를 형성하는 쿠션 보디 유닛; 및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링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의해 피동으로 벤딩되며,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을 소정의 방향(tilting direction)으로 틸팅 유도하는 디렉션 테일 유닛(direction tail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은,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을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 일면에 고정시키는 어태칭 보디(attaching body)부;
    상기 어태칭 보디부에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태칭 보디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쿠션 중공부를 형성하는 루프 보디부;
    상기 어태칭 보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루프 보디부를 홀딩하며, 상기 디렉션 테일 유닛이 벤딩되는 방향에 따라 틸팅되어, 상기 루프 보디부가 형성하는 상기 쿠션 중공부를 선택적으로 협소하게 하는 틸팅 보디(tilting body)부;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의 외피를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방수하는 실링 레이어(sealing layer); 및
    상기 실링 레이어에 둘러 쌓여, 상기 쿠션 보디 유닛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다공성 셀(cell)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외부 압착력에 대한 쿠션력을 제공하며, 상기 외부 압착력의 해제시 상기 쿠션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구비하는 소프트 셀(soft cell)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쿠션 보디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어태칭 보디부를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으로 인력을 형성시키는 클렌칭 유닛(clenching unit)를 포함하며,
    상기 클렌칭 유닛은,
    상기 어태칭 보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벤딩 형성되어 클렌칭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클렌칭 공간 상에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의 타면을 가압하는 하부 클렌칭부; 및
    C자 혹은 U자 형태로 상기 하부 클렌칭부 내부에 함입 배치되어, 상기 마운트 오브젝트를 강하게 움켜쥐도록 텐션을 가하는 클렌칭 텐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렌칭 텐션부는,
    상기 클렌칭 텐션부가 형성하는 C자 혹은 U자 형태의 곡면 중 외향 부분을 형성하는 금속성 재질로서 인장 강도를 보강하는 인장 텐션부; 및
    상기 클렌칭 텐션부가 형성하는 C자 혹은 U자 형태의 곡면 중 내향 부분으로서 상기 인장 텐션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압축 강도를 보강하는 압축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20368A 2021-02-16 2021-02-16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KR10231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68A KR102319020B1 (ko) 2021-02-16 2021-02-16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68A KR102319020B1 (ko) 2021-02-16 2021-02-16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020B1 true KR102319020B1 (ko) 2021-10-28

Family

ID=7823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368A KR102319020B1 (ko) 2021-02-16 2021-02-16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0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186A (ja) * 1992-03-18 1993-10-12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ウエザーストリップ
KR960030832U (ko) * 1995-03-17 1996-10-22 도어용 웨더스트립
KR20050005332A (ko) 2003-07-01 2005-01-13 한일이화주식회사 로어 웨더스트립
JP2008290479A (ja) 2007-05-22 2008-12-04 Kasei Kogyo Kk 建設機械の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構造
KR100941431B1 (ko) * 2008-08-22 2010-02-11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로워 웨더 스트립
KR200453985Y1 (ko) 2011-04-25 2011-06-10 권기윤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KR101413194B1 (ko) 2012-11-05 2014-06-27 유일고무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KR20180035262A (ko) 2016-09-28 2018-04-06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자동차 도어의 웨더 스트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186A (ja) * 1992-03-18 1993-10-12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ウエザーストリップ
KR960030832U (ko) * 1995-03-17 1996-10-22 도어용 웨더스트립
KR20050005332A (ko) 2003-07-01 2005-01-13 한일이화주식회사 로어 웨더스트립
JP2008290479A (ja) 2007-05-22 2008-12-04 Kasei Kogyo Kk 建設機械の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構造
KR100941431B1 (ko) * 2008-08-22 2010-02-11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로워 웨더 스트립
KR200453985Y1 (ko) 2011-04-25 2011-06-10 권기윤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KR101413194B1 (ko) 2012-11-05 2014-06-27 유일고무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KR20180035262A (ko) 2016-09-28 2018-04-06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자동차 도어의 웨더 스트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0587A (en) Weatherstrip for automotive vehicle
JP2002240571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5968750B2 (ja) グラスランとベルトラインのウェザストリップの接続構造
KR102319020B1 (ko) 선택적 압착력을 구비한 갭 실링 시스템
JP2002103985A (ja) シールリップ付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6033629B2 (ja) グラスランとベルトラインインナーウェザストリップの接続構造
JP3054843B2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2014097750A (ja) ガラスラン
JP4284828B2 (ja) 車両の透光パネル取り付け構造
JP2581244Y2 (ja) ウエザストリップ構造
CN218400174U (zh) 车门玻璃密封结构及汽车
JP3884285B2 (ja) 自動車の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H11342746A (ja) ウェザストリップ
KR20130063123A (ko) 자동차의 도어 웨더 스트립
KR100345688B1 (ko) 센터필러의 웨더스트립의 취부구조
CN217863672U (zh) 一种车身侧围密封结构及车辆
JP3433709B2 (ja) フロントウインドモールの取付構造
US11981271B2 (en) Vehicle body soundproof structure
JP4135368B2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2906916B2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KR970010998B1 (ko) 프레임레스 도어용 웨더 스트립
JP2604441Y2 (ja) 車両のドア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構造
JP3666718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構造
JP3328737B2 (ja) ハードトップ車用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2006335110A (ja) ガラスラ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