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828A -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1828A KR20230071828A KR1020210156683A KR20210156683A KR20230071828A KR 20230071828 A KR20230071828 A KR 20230071828A KR 1020210156683 A KR1020210156683 A KR 1020210156683A KR 20210156683 A KR20210156683 A KR 20210156683A KR 20230071828 A KR20230071828 A KR 202300718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plug
- packing member
- entrance
- ed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1 A6063S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9—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both sliding and plugging, (e.g. for refrigerator c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에 관한 것으로, 철도 차량의 차체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의 테두리 기밀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차체의 출입구를 폐쇄시 기밀 상태를 유지하며 소음 발생 및 외부로부터의 빗물유입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면서도 도어의 개폐시 승객의 손끼임 등으로 인한 부상 방지에 효과적인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출입구와 기밀 상태를 유지하여 방음 및 방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도어의 개폐 동작시 승객의 손끼임 발생하더라도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에는 승/하차를 위한 출입구에 운전자나 승무원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는 자동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식 도어의 일 예로 전동식이나 유압식 등 다양한 방식의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되며 일 예로 지하철 차량의 출입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는 도어가 있다.
그런데, 종래 슬라이딩 방식 도어 시스템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차체에 밀착될 수 없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도어가 닫혔을 때에도 도어와 차체 간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어 차량의 내부와 외부 간의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여 차량의 주행 소음을 비롯한 외부 소음이 그대로 실내에 유입되고, 냉방 및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낭비되며, 차량의 주행 중에 도어의 요동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이는 특히 차량의 운행 속도가 높아질수록 심해짐에 따라 고속 차량의 경우 이상의 문제점이 더욱 커지게 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 방식 도어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플러그 인/아웃 도어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플러그 인/아웃 도어 시스템은 도어가 출입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도어가 차체의 벽면 또는 포켓 내부를 따라 출입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 후 출입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차체에 밀착된 상태로 폐쇄 동작이 이루어지고, 도어가 출입구의 외측으로 인출된 후 차체의 벽면 또는 포켓 내부를 따라 출입구의 측방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개방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러그 인/아웃 도어 시스템에 관련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91565호(참고문헌 1)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철도 차량의 출입문 기밀성 향상을 위한 플러그 인/아웃 개폐 및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데 있어서, 출입구의 일측 측면에 배치되어 차체측에 고정 설치된 잠금장치 베이스와; 상기 잠금장치 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측에 각기 피봇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출입문의 일측 옆면에 설치된 상,하부 잠금핀을 각기 걸어 잠금 및 해제시키는 상,하부 후크와; 상기 잠금장치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출입문 잠금용 구동모터와; 상기 출입문 잠금용 구동모터의 출력단에 연동하여 상호 직각 방향인 후크 작동용 출력축 및 잠금로드 작동용 출력축에서 동시에 회전력이 출력되도록 상기 잠금장치 베이스에 설치된 2축변환기어장치와; 상기 후크 작동용 출력축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후크 작동용 엘보브라켓과; 상기 후크 작동용 엘보브라켓의 타단에 피봇 연결된 후크 작동용 커넥터와; 일단이 상기 후크 작동용 커넥터의 양단에 각기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후크와 하부 후크에 각기 피봇 연결되어 승강 작동하는 상,하부 후크 잠금용 로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에 제안된 개폐 및 잠금장치가 적용되는 플러그 인/아웃 도어 장치(또는 시스템)의 출입문은 차체의 출입구를 폐쇄시 기밀 상태를 유지하여야 철도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부의 빗물 등이 차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출입문의 개폐시 승객의 손끼임 등이 발생하는 경우 부상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함에도 그러한 기밀 구조가 제안된 바 없다.
특히, 이러한 플러그 인/아웃 도어 장치(또는 시스템)의 출입문 기밀구조는 예를 들어 160km/h로 고속 주행하는 철도 차량의 경우 단순 구조를 탈피하여 개선된 구조를 적용함이 필요하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20-0453985호(참고문헌 2)의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등을 철도차량 중 특히 160km/h급 또는 그 이상의 고속 여객열차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는 출입구와 긴밀한 기밀 상태를 유지하여 방음 및 방수 기능을 더욱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도어의 개폐 작동시 승객의 손끼임이 발생하더라도 부상을 방지하는데에도 효과적인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의 테두리 기밀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차체의 출입구를 폐쇄시 기밀 상태를 유지하며 소음 발생 및 외부로부터의 빗물유입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면서도 도어의 개폐시 승객의 손끼임 등으로 인한 부상 방지에 효과적인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도차량 차체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테두리에는 도어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실링용 패킹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는 세이프티 패킹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세이프티 패킹부재는 상기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 장착되되 상기 실링용 패킹부재의 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패킹부재는 몸체의 일단에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협소해지며 중공부가 가운데에 형성되는 안전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 장착되도록 직경이 확장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세이프티 패킹부재의 안전돌부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협소해지면서도 중공부 역시 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해지며 상기 중공부의 전단 내측에는 복귀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돌기는 목부를 통해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끼움돌기는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끼움돌기에는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 끼우기 쉽도록 가운데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중공부에는 엣지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테두리에는 도어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실링용 패킹부재와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 장착되는 세이프티 패킹부재를 구비하여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는 출입구와 긴밀한 기밀 상태를 유지하여 방음 및 방수 기능을 더욱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도어의 개폐시 승객의 손끼임이 발생하더라도 부상 방지 효과가 크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가 구비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가 구비된 시스템의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평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에 적용되는 실링용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에 적용되는 세이프티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가 구비된 시스템의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평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에 적용되는 실링용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인/아웃 도어에 적용되는 세이프티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100)가 적용되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시스템은 철도 차량의 차체(1) 측면에 형성되는 출입구(10)에 설치되어 출입구(10)를 개폐시 플러그 인/아웃 도어(100)(이하, '도어'라 한다.)가 처음 개방되거나 마지막으로 닫힐 때 철도 차량의 차체(1) 내외측으로 플러깅 동작을 하고, 플러깅 동작 이외 상황에서는 차체(1)의 벽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도어 시스템이다.
이러한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시스템은 예를 들어 160km/h급 또는 그 이상의 고속 여객열차에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차체(1)에 형성되는 출입구(10)를 개폐시키는 도어(100)와, 상기 차체(1)의 출입구(10)를 닫은 상태의 도어(10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 잠금장치(200)와, 상기 도어 잠금장치(200)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00)를 플러깅 및 슬라이딩시키며 상기 출입구(10)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장치(300)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도어 잠금장치(200) 및 도어 개폐장치(300)는 열차 제어기와 도어 작동 명령을 송수신하는 도어 제어유닛(4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도어(100)는 테두리에 도어(10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실링용 패킹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는 세이프티 패킹부재가 장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어(100)는 철도차량의 차체(1)에 형성되는 출입구(10)를 개폐하기 위해 출입구(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100)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판넬(101)과, 상기 도어 판넬(101)이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1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도어(100)는 외곽이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도어 프레임(110)은 복수의 가로 및 세로 프레임(111,112)이 교차되는 구조로서, 별도로 윈도우용 유리판(102)을 설치하기 위한 윈도우 프레임(113) 등을 일체로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윈도우가 구비되지 않은 방탄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윈도우가 구비되는 도어(100)는 도 3에서와 같이 윈도우용 유리판(102)이 가운데에 설치되며, 수동으로 도어(100)를 개폐 가능하도록 손잡이(103)가 도어(100)의 중앙 일측 및 하부 일측에 각각 더 구비된다.
한편, 윈도우가 구비되지 않은 방탄구조의 도어(100)는 도 4a 내지 도 4e를 참고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방탄구조를 갖는 도어(100)는 도어 형상을 유지하는 도어 프레임(110)과, 상기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와, 상기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가 고정된 도어 프레임(110)을 감싸 고정되는 인사이드 판넬(130) 및 아웃사이드 판넬(140)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도어(100)는 수동으로 도어(100)를 개폐 가능하도록 손잡이(103)가 상기 도어(100)의 중앙 일측 및 하부 일측에 각각 더 구비된다.
여기서, 도어(100)의 내측(인사이드)은 차체(1)의 실내측을 의미하며, 도어(100)의 외측(아웃사이드)은 차체(1)의 실외측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인사이드 판넬(130)은 차체(1)의 실내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넬을 의미하며, 상기 아웃사이드 판넬(140)은 차체(1)의 실외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넬을 의미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외곽이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복수의 가로 및 세로 프레임(111,112)이 교차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 프레임(110)을 이루는 복수의 가로 및 세로 프레임(111,112)은 모두 방탄 기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어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특히 A6063S로 이루어지며, 강도와 내식성 향상을 위해 아노다이징 처리를 수행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도어 프레임(110)에는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가 제1 체결수단(121)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체결수단(121)은 나사, 볼트 및 너트, 리벳 등 결합 가능한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는 사각 판 형상의 필름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정 두께의 방탄필름을 사용한다. 일 예로 방탄필름은 복수의 필름을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주재질로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PE(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8mm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 프레임(110)에는 판 형상의 미들 판넬(150)의 내측면에 상기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를 부착한 상태에서 제1 체결수단(121)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즉, 상기 미들 판넬(150)의 일면인 외측면은 상기 도어 프레임(110)에 지지되고, 상기 미들 판넬(150)의 타면인 내측면에는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가 부착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미들 판넬(150)은 방탄 기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미들 판넬(150)은 알루미늄 특히 A50502P로 이루어지며, 강도와 내식성 향상을 위해 크롬도금 처리를 수행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 및 미들 판넬(150)이 고정된 도어 프레임(110)은 인사이드 판넬(130)과 아웃사이드 판넬(140)이 감싸면서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인사이드 판넬(130)과 아웃사이드 판넬(140) 역시 상기 미들 판넬(150)과 마찬가지로 방탄 기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인사이드 판넬(130)과 아웃사이드 판넬(140) 역시 미들 판넬(150)과 동일하게 알루미늄 특히 A50502P로 이루어지며, 강도와 내식성 향상을 위해 크롬도금 처리를 수행한 것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인사이드 판넬(130)과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 사이에는 허니콤(Honeycomb) 구조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로서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0)가 더 장착된다.
상기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0)는 알루미늄 박판을 벌집 모양으로 가공한 구조로서 90 ∼ 99%가 빈 공간으로 되어 있어 가볍고 에너지 흡수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해 도어(100)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0)는 A3104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 두께 19mm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0)는 미들 판넬(15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가 부착된 미들 판넬(150)과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0)를 전체적으로 감싸 지지하는 고정용 브라켓(170)을 매개로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고정용 브라켓(170)은 상기 도어 프레임(110)에 상기 제1 체결수단(121)인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브라켓(170)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체결부위의 제작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2개 이상의 구성으로 분할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용 브라켓(170)은 도어 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특히 A6063S로 이루어지며, 강도와 내식성 향상을 위해 아노다이징 처리를 수행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0)와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가 부착된 미들 판넬(150)을 전체적으로 감싸 지지하는 고정용 브라켓(170)에는 인사이드 판넬(130)이 제2 체결수단(131)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이 경우 제2 체결수단(131)은 나사, 볼트 및 너트, 리벳 등 결합 가능한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는 차체(1)를 기준으로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으로 인사이드 판넬(130), 고정용 브라켓(170),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0), 판 형상의 방탄부재(120), 미들 판넬(150), 도어 프레임(110) 및 아웃사이드 판넬(140)이 배치 및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어(100)들은 차체(1)의 출입구(10)를 닫는 경우 기밀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밀구조는 윈도우가 구비되는 도어(100) 구조는 물론 윈도우가 구비되지 않은 방탄구조로 이루어지는 도어(100) 역시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어(100)의 테두리에는 도어(100)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실링용 패킹부재(180)가 전방측에 장착되어 도어(100)가 차체(1)의 출입구(10)를 닫는 경우 외부에서의 빗물 등이 차체(1)의 실내로 유입되는 등을 방지함은 물론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용 패킹부재(180)는 몸체(181)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탄성 밀착날개(182)가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100)가 차체(1)의 출입구(10)를 닫는 경우 도어(100)와 출입구(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빗물 등이 도어(100)와 출입구(1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0)의 일측단 테두리에는 승객의 손끼임 등을 더욱 보호하기 위해 세이프티 패킹부재(190)가 더 장착되며, 이는 상기 실링용 패킹부재(180)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의 일측단 테두리에는 세이프티 패킹부재(190)가 실링용 패킹부재(180) 후측에 이중으로 장착되어 승객의 손끼임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러한 세이프티 패킹부재(190)는 몸체(191)의 일단에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협소해지며 중공부(192a)가 가운데에 형성되는 안전돌부(192)가 형성되어 승객의 손끼임 등이 발생한 경우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고, 상기 몸체(191)의 타단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끼움돌기(193)가 형성되어 도어(100)의 일측단 테두리에 간단히 끼워 고정하여 장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세이프티 패킹부재(190)의 안전돌부(192)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협소해지면서도 중공부(192a) 역시 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해지는 것으로, 상기 중공부(192a)의 전단 내측에는 복귀용 돌기(192b)가 형성되어 승객의 손끼임 등이 해제된 경우 안전돌부(192)의 형상이 변형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유도함은 물론 안전돌부(192)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193)는 목부(194)를 통해 몸체(191)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돌기(193)는 단면이 삼각형상 즉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어(100)의 일측단 테두리에 끼우기 쉽도록 가운데에 관통부(193a)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실링용 패킹부재(180)의 몸체(181) 역시 상기 세이프티 패킹부재(190)의 안전돌부(192)와 동일하게 중공부(181a) 구조로 이루어져 승객의 손끼임 등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링용 패킹부재(180)와 세이프티 패킹부재(190)의 중공부(181a,192a)에는 차체(1) 출입구(10)의 일측면 또는 승객을 감지하기 위한 엣지센서(105,106)가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실링용 패킹부재(180)와 세이프티 패킹부재(190)는 모두 고무(rubber) 재질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나, 밀착력이 우수하고 탄성을 갖는다면 다양한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조함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체 10: 출입구
100: 도어 110: 도어 프레임
120: 방탄부재 130: 인사이드 판넬
140: 아웃사이드 판넬 150: 미들 판넬
160: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 170: 고정용 브라켓
180: 실링용 패킹부재 190: 세이프티 패킹부재
191: 몸체 192: 안전돌부
192a: 중공부 192b: 복귀용 돌기
193: 끼움돌기 193a: 관통부
194: 목부 200: 도어 잠금장치
300: 도어 개폐장치 400: 도어 제어유닛
100: 도어 110: 도어 프레임
120: 방탄부재 130: 인사이드 판넬
140: 아웃사이드 판넬 150: 미들 판넬
160: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 170: 고정용 브라켓
180: 실링용 패킹부재 190: 세이프티 패킹부재
191: 몸체 192: 안전돌부
192a: 중공부 192b: 복귀용 돌기
193: 끼움돌기 193a: 관통부
194: 목부 200: 도어 잠금장치
300: 도어 개폐장치 400: 도어 제어유닛
Claims (7)
- 철도차량 차체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테두리에는 도어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실링용 패킹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는 세이프티 패킹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패킹부재는 상기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 장착되되 상기 실링용 패킹부재의 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패킹부재는 몸체의 일단에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협소해지며 중공부가 가운데에 형성되는 안전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 장착되도록 직경이 확장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패킹부재의 안전돌부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협소해지면서도 중공부 역시 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해지며 상기 중공부의 전단 내측에는 복귀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목부를 통해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끼움돌기는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에는 도어의 일측단 테두리에 끼우기 쉽도록 가운데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는 엣지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6683A KR20230071828A (ko) | 2021-11-15 | 2021-11-15 |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6683A KR20230071828A (ko) | 2021-11-15 | 2021-11-15 |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1828A true KR20230071828A (ko) | 2023-05-24 |
Family
ID=8654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6683A KR20230071828A (ko) | 2021-11-15 | 2021-11-15 |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71828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985Y1 (ko) | 2011-04-25 | 2011-06-10 | 권기윤 |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
KR101191565B1 (ko) | 2011-02-23 | 2012-10-15 | (주)에이디에스레일 | 철도 차량의 출입문 기밀성 향상을 위한 플러그 인/아웃 개폐 및 잠금장치 |
-
2021
- 2021-11-15 KR KR1020210156683A patent/KR20230071828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1565B1 (ko) | 2011-02-23 | 2012-10-15 | (주)에이디에스레일 | 철도 차량의 출입문 기밀성 향상을 위한 플러그 인/아웃 개폐 및 잠금장치 |
KR200453985Y1 (ko) | 2011-04-25 | 2011-06-10 | 권기윤 | 차량 도어용 패킹 부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055642A1 (en) | Door glass over-closing | |
JP2000203778A (ja) | 高速で移動するエレベ―タかごの風騒音を低減する装置 | |
KR20230071828A (ko) |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의 기밀구조 | |
CN203681668U (zh) | 一种侧壁开启式应急疏散客运车车厢 | |
KR20230071829A (ko) |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방탄 도어 | |
KR20230071827A (ko) | 철도차량용 플러그 인/아웃 도어 시스템 | |
CN208456312U (zh) | 一种逃生窗、安防系统和车厢 | |
US20090265995A1 (en) | Door Leaf | |
CN208024131U (zh) | 一种逃生窗、安防系统和车厢 | |
CN208760615U (zh) | 一种高铁用轨道门 | |
EP1254820A3 (en) | Central lock mechanism | |
CN212353961U (zh) | 一种适用于城市轨道交通的翻转式站台门防踏空柔性机构 | |
CN203020029U (zh) | 车窗及车辆 | |
US11702114B2 (en) | Trim assembly for a vehicle | |
CN206749797U (zh) | 一种适用于站台门系统的闸机式安全防护装置 | |
CN106428063A (zh) | 动力集中型动车组端部通道 | |
CN201007171Y (zh) | 应急门 | |
CN213109311U (zh) | 一种垂直上下车的轨道小车车厢结构 | |
KR0120755Y1 (ko) | 철도차량용 도어의 방음장치 | |
KR20090005857U (ko) | 경전철의 운전대 커버장치 | |
JP7187401B2 (ja) | 取手及び取手カバーを備えた車両 | |
CN220410559U (zh) | 一种带有逃生门的司机室头罩 | |
KR0124344Y1 (ko) | 철도차량용 도어의 방음장치 | |
CN216034374U (zh) | 间壁板和轨道车辆 | |
CN218877547U (zh) | 一种eVTOL飞机客舱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