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91A -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91A
KR20190001591A KR1020180162687A KR20180162687A KR20190001591A KR 20190001591 A KR20190001591 A KR 20190001591A KR 1020180162687 A KR1020180162687 A KR 1020180162687A KR 20180162687 A KR20180162687 A KR 20180162687A KR 20190001591 A KR20190001591 A KR 2019000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magnet
door frame
threshold memb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912B1 (ko
Inventor
윤규형
Original Assignee
윤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규형 filed Critical 윤규형
Priority to KR102018016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9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문틀을 기준으로 상호 마주하여 이어지는 바닥면에 단차가 있는 곳에 설치된 출입문의 문턱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턱부재는 바닥문틀에 힌지 결합된다. 바닥문틀 내측 밑면에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자석에 대응하여 문턱부재 내측 윗면에 상기 자석과 척력이 발생하도록 자석이 부착된다. 상호 척력에 의해 문턱부재는 상승 상태를 유지하며 문턱부재 위에서 수직 하중이 가해지면 문턱부재가 회동하여 문턱부가 완만한 경사면으로 변형되대 수직 하중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승 상태를 회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턱부재의 승강장치로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영구자석외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가 없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The rise-and-fall apparatus of a threshold with a height difference using magnets}
본 발명은 문 안팎의 바닥면의 높낮이 차이가 있는 곳에 설치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상승된 문턱에 의해 소음이나 연기(유독가스) 및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보행자나 운반장치의 하중이 가해지면 하강하여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는 문턱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화재로 인한 인명 사고는 화열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건물 내로 확산되는 연기에 의해 호흡곤란으로 인한 질식사로 이어져 피해가 더 커진다. 그 기술적 대책 중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시 화열이 다른 공간으로 옮겨가 화재구역이 확대되거나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다른 구역으로 침입 또는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내 구획된 공간에 방화문을 설치하고 있다. 방화문외에 일반 문에서도 또한 문턱은 일상적인 소음 차단의 효과로 인해 필수적인 장치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평소 문이 열려 있는 경우에는 문턱으로 인해 보행이나 휠체어등 운반장치의 이동에 방해가 되었다. 또한 통상 바닥 문틀을 기준으로 상호 마주하는 바닥면에 높낮이 차가 있는 경우에는 바닥문틀에 턱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문이 열렸을 경우에는 하강하고 방화문이 닫혔을 경우에는 상승하는 문턱 승강장치를 구비한 방화 도어가 한국공개특허 제2014-0068684호 등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방화문의 문턱 승강장치는 문이 닫히는 힘을 전달하여 문턱이 상승하는 기능을 구현하느라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이 불확실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고장이 잦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문 안과 밖의 단차가 있을 경우 턱의 발생이 불가피한 조건에서 일반적인 문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보행이나 휠체어등 운반기구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게 문턱부가 완만한 경사구간으로 변형되대 경제적이면서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문의 문턱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문턱 승강장치는, 바닥문틀에 힌지 결합된 문턱부재와, 문턱부재 내측 윗면에 고정된 영구 자석과, 문턱부재내의 자석과 상호척력이 작용하도록 바닥문틀 밑면에 고정된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소에는 일반적인 문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보행이나 휠체어등 운반기구가 문턱에 접촉하면 문턱부가 완만한 경사구간으로 변형되어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구자석 외에 다른 부품이 쓰이지 않으므로 간편하게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한 문턱 승강장치가 적용된 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 안과 밖의 바닥면 높이가 다른 곳에 설치된 문턱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턱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문턱부재가 하강한 것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턱 승강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턱 승강장치(100)는 여닫히는 문(10)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문틀(20)에 설치된다.
도 2는 문 안팎의 높은쪽 바닥(400)과 낮은쪽 바닥(410)으로 바닥면 높이가 다른 곳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문턱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문턱 승강의 외관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3의 보다 상세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4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바닥문틀(20)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틀의 절곡부재나 압출 부재로 되어있으며, 상부측면은 문 안과 밖의 바닥 높이에 따라서 위상부측면(22)과 아래상부측면(23)으로 구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문턱부재(110)가 설치되는 사각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위상부측면(22)의 개구부에는 문턱부재(110)가 힌지(300)결합된다. 아래 상부측면(23)의 개구부에는 문턱부재(110)가 회동함에 따라 승 하강하는 면을 안내하도록 유도판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유도판부(21)는 문턱부재(110)의 상승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닥문틀((20)의 안쪽 밑면에는 사각 개구부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자석(210)을 받히는 하부자석 받침판(211)이 다수 곳(본 실시예에서는 3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자석(210)은 하부자석 받침판(211)위에 설치한다.
문턱부재(110)는 위상부측면(22)의 개구부에 힌지 결합되며, 문턱부(111)와 지지판부(112)를 구비한다. 문턱부재(110) 내측 윗면에는 바닥문틀((20) 안쪽 밑면에 설치된 하부자석(210)과 대응하되 척력이 발생하도록 상부자석(200)이 설치된다. 상호 대응하여 설치된 상부자석(200)과 하부자석(210)은 척력에 의해 화살표B 방향으로 문턱부재(110)가 상승하며 또한 지지판부(112)에 의해 상승 높이가 제한 된다.
도 6은 보행이나 휠체어등 운반장치이 이동하면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문턱부재(110)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문턱 부재(110)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문턱부재(110)의 하강은 지지판부(112)가 바닥문틀 내측 밑면과 맞닿음으로 제한된다. 문턱부재(110)에 가해진 하강 압력이 해소되면 문턱부재(110)는 상부자석(200)과 하부자석(210)간의 척력에 의해 본래 상태로 상승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부자석(200)과 하부자석(210)은 영구자석을 이용하며, 경제성이나 가공성을 고려할 때 훼라이트 자석이 바람직하다.
10 : 문 20 : 바닥 문틀
21 : 유도판부 22 : 위 상부측면
23 : 아래 상부측면 30, 30' : 수직문틀
100 : 문턱 승강장치 110 : 문턱 부재
111 : 문턱부 112 : 지지판부
200 : 상부자석 210 : 하부자석
211 : 하부자석 받침판 300 : 힌지
400 : 높은쪽 바닥 410 : 낮은쪽 바닥

Claims (4)

  1. 문 안팎의 바닥면에 높낮이 차가 있는 곳에 설치된 출입문에 바닥 문틀에 있어서,
    상부측면은 문 안팎의 바닥 높이에 대응하여 위상부측면과 아래상부측면으로 구성되대 길이 방향으로 사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자석 지지판과 하부자석 지지판 위에 설치되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바닥문틀;
    상기 하부자석과 대응하여 내측 상단에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위상부측면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아래상부측면에 삽입되는 문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턱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부재 내측 상단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상부자석과, 상부자석과 대응되대 척력이 발생하도록 바닥문틀에 부착되는 하부자석 지지판위에 설치되는 하부자석을 특징으로하는 문턱 승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부재 하부가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판에 의해 문턱부재의 승강과 하강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턱 승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바닥문틀 아래상부측면에 형성된 사각 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부를 두어 문턱부재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턱 승강장치

KR1020180162687A 2018-12-16 2018-12-16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KR102068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687A KR102068912B1 (ko) 2018-12-16 2018-12-16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687A KR102068912B1 (ko) 2018-12-16 2018-12-16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91A true KR20190001591A (ko) 2019-01-04
KR102068912B1 KR102068912B1 (ko) 2020-01-21

Family

ID=6501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687A KR102068912B1 (ko) 2018-12-16 2018-12-16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498B1 (ko) * 2021-03-12 2021-10-19 주식회사 아키그린 장애인용 문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684A (ko) * 2012-11-28 2014-06-09 아이팜 주식회사 방화문의 문턱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684A (ko) * 2012-11-28 2014-06-09 아이팜 주식회사 방화문의 문턱 승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498B1 (ko) * 2021-03-12 2021-10-19 주식회사 아키그린 장애인용 문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912B1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CA2832198C (en) Window sash counterbalance with independently operable sashes
EP3418243B1 (en) Elevator apparatus
KR101984325B1 (ko) 문 개폐 장치용 발판 기구
KR20190001591A (ko)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KR101324039B1 (ko)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장치
KR101023954B1 (ko) 전동방식에 의한 창호의 리프트 및 슬라이드 장치
KR101858083B1 (ko) 창호용 기밀 유지 장치
KR20090082966A (ko) 미닫이 창호
KR100753579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CN105569501B (zh) 墙体
JP5385644B2 (ja) 上げ下げ窓
KR100561053B1 (ko) 도어용 경첩
JP2003166381A (ja) 開閉扉の密閉装置
KR100342881B1 (ko) 개폐형 문지방
KR20190000490U (ko)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JP4542853B2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KR102276872B1 (ko) 창호용 틈새 방지구
KR200168187Y1 (ko) 개폐형 문지방
JP2006188904A (ja) 上吊り引き戸の振れ止め装置
KR20150054101A (ko) 도어 차폐장치
KR102625667B1 (ko) 레일 및 무레일 겸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548663B1 (ko) 미닫이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