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498B1 - 장애인용 문틀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문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498B1
KR102303498B1 KR1020210032602A KR20210032602A KR102303498B1 KR 102303498 B1 KR102303498 B1 KR 102303498B1 KR 1020210032602 A KR1020210032602 A KR 1020210032602A KR 20210032602 A KR20210032602 A KR 20210032602A KR 102303498 B1 KR102303498 B1 KR 10230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frame
floor
support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그린
Priority to KR102021003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이 손쉽게 출입할 수 있는 문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지지하고 욕실 또는 화장실의 입구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배치되고 바닥에 설치되되 외력이 가해지면 접히는 문턱과, 상기 바닥에 매설되고 상기 문턱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이 해제된 상태에서 휠체어가 상기 문턱을 밀면 상기 문턱의 상부가 상기 바닥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문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휠체어가 지나갈 때 문턱이 접히고 휠체어가 문턱을 지난 후에는 자동으로 복원되며, 물기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문틀 장치{Door frame device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이 손쉽게 출입할 수 있는 문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틀은 건축용 부재로서 종전에는 문틀은 건축업자들의 몫이었다. 그러나 건축기술이 정교해짐에 따라 도어 업체가 문틀까지 같이 제작하여 건축현장에 납품하는 경우가 거의대부분이다.
통상 도어는 문틀 프레임과 도어로 이루어져 있는데 필요 시 방염등급에 따라 소재가 달라지기도 하고 특수한 방염처리를 하기도 한다. 문틀프레임의 소재는 금속제, 플라스틱제, 돌 등 무기소재, 나무 혹은 나무 관련제품 등 거의 모든 소재를 다 사용한다. 이는 그만큼 가공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문틀이 장애인, 특히 휠체어를 타는 사람들은 문틀로 인해서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그 이유는 문틀은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서 휠체어가 이를 쉽게 통과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건축업체들이 문틀을 돌출시키는 이유는 미관상의 문제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문제는 화재 시 문틀이 불꽃을 차단해 주어야 하는 것과 소음을 차단해 주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또한,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문틀은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돌출시킬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휠체어를 탄 사람들은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했다. 그래서 집안에 장기적으로 휠체어를 타야 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바닥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문틀을 조정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경우 본래 문틀을 높게 하는 이유로부터 집을 안전하게 보호하거나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새어나오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행기술 제10-2012-0018908호가 개발되었지만, 문턱에 물이 고이면 여전히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새어나오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고, 특히 외력이 가해지면 문턱이 바닥으로 인입되는 문제가 있어서 문턱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문턱에 물이 고이면 스프링이 산화되는 문제가 있고, 문턱에 이물질이 쌓여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8908호(공개일자 2012년03월06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휠체어가 지나갈 때 문턱이 접히고 휠체어가 문턱을 지난 후에는 자동으로 복원되며, 물기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용 문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를 지지하고 욕실 또는 화장실의 입구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배치되고 바닥에 설치되되 외력이 가해지면 접히는 문턱과, 상기 바닥에 매설되고 상기 문턱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이 해제된 상태에서 휠체어가 상기 문턱을 밀면 상기 문턱의 상부가 상기 바닥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문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문턱은,
상기 바닥에 매설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자유 회전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으로부터 자유 회전하는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세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프레임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세로프레임이 상기 바닥으로 접히면서 상기 가로프레임이 하강할 수 있다.
또, 상기 문턱은,
상기 세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을 복원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문턱은,
상기 문턱의 외면에 설치되는 누출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누출방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문턱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누출방지수단은,
상기 문턱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소섬유 및 상기 탄소섬유와 결합하고 상기 문턱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탄성재질의 방수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기둥에 상기 고정수단을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기둥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휠체어의 출입을 검출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가 상기 욕실 또는 화장실 밖으로 나오면 상기 고정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문턱을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로프레임을 상승시켜 상기 가로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승강롤러 및 상기 승강롤러를 승강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롤러가 하강하면 외력에 의해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이 접히면서 상기 승강롤러와 밀착하여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승강롤러가 상승하면 상기 승강롤러가 상기 가로프레임과 밀착하여 상기 가로프레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문턱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문턱이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턱이 해제된 상태에서 휠체어의 바퀴로 문턱을 밀면 문턱이 바닥으로 접혀서 휠체어가 손쉽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가 문턱을 통과하면 탄성체에 의해서 문턱이 신속하게 복원됨으로써 휠체어가 지나간 후에도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턱의 외면에 누출방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휠체어의 바퀴에 의해서 문턱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기가 문턱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의 출입상태를 검출함으로써 휠체어가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나오면 고정수단이 작동하면서 문턱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외력에 의해 문턱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턱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재질의 방수막으로 인해서 문턱이 복원될 수 있고, 문턱과 기둥 사이로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문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문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문틀 장치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문틀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문틀 장치는, 복수의 기둥(1), 문턱(2), 고정수단(3) 및 제어부(7)를 포함한다. 여기에, 작동스위치(4), 감지센서부(5) 및 알림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둥(1)은, 도어(D)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욕실 또는 화장실의 입구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문턱(2)과 결합한다.
문턱(2)은,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지지프레임(21), 세로프레임(22) 및 가로프레임(23)을 포함한다. 여기에, 탄성체(25) 및 누출방지수단(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1)은, 고정수단(3)을 수용하는 수단으로, 대략 상부가 개구된 기다란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은 세로프레임(22)과 결합하되 대략 경첩방식으로 결합하며, 욕실 또는 화장실 입구의 바닥에 매설된다.
세로프레임(22)은, 문턱(2)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2개가 마련되되 대략 기다란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지지프레임(2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경첩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로프레임(22)은 지지프레임(21)으로부터 자유회전할 수 있다.
가로프레임(23)은, 문턱(2)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대략 기다란 패널모양으로 형성되되 길이는 세로프레임(22)에 대응하고, 전단은 전방에 배치된 세로프레임(22)의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은 후방에 배치된 세로프레임(22)의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세로프레임(22)과 가로프레임(23)은 경첩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로프레임(23)과 세로프레임(22)은 링크형태로 결합되고, 전방의 세로프레임(22)이 회전하면 가로프레임(23)이 회전하는 세로프레임(22)의 방향으로 따라 이동하고, 후방의 세로프레임(22) 또한 가로프레임(23)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세로프레임(22)과 가로프레임(23)이 연결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이동하면 가로프레임(23) 및 세로프레임(22)이 동시에 작동한다.
또한, 가로프레임(23)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세로프레임(22)과 함께 바닥으로 완전히 접힐 때 세로프레임(22)과 지지프레임(21)의 연결된 부분으로 인해서 세로프레임(22)이 바닥으로 완전히 밀착하지 않고 들뜰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세로프레임(22)과 지지프레임(21)의 연결된 부분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가로프레임(23)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가로프레임(23) 및 세로프레임(22)이 바닥으로 완전히 접히면, 가로프레임(23)의 저면이 세로프레임(22)과 지지프레임(21)의 연결된 부분에 밀착하고, 세로프레임(22)은 바닥에 완전히 밀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휠체어(W)가 문턱(2)을 넘을 때 부드럽게 지나갈 수 있다.
걸림부(24)는, 탄성체(25)를 구속하는 수단으로, 지지프레임(21) 및 세로프레임(2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탄성체(25)는, 세로프레임(22) 및 가로프레임(23)을 복원시키는 수단으로, 리턴스프링 등이 사용되고, 복수가 마련된다.
또한, 탄성체(25)는 세로프레임(22)과 지지프레임(21)을 결합하는 축에 끼워지고, 일단은 세로프레임(22)에 마련된 걸림부(24)에 구속되고, 타단은 지지프레임(21)에 마련된 걸림부(24)에 구속된다. 이에 따라, 세로프레임(22)이 및 가로프레임(23)이 바닥으로 접힌 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25)에 의해서 세로프레임(22) 및 가로프레임(23)이 원 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휠체어(W)가 문턱(2)을 지날 때 세로프레임(22) 및 가로프레임(23)이 휠체어(W)의 바퀴에 밀려서 바닥에 밀착되고, 휠체어(W)가 문턱(2)을 완전히 지나가면 탄성체(25)에 의해서 세로프레임(22) 및 가로프레임(23)이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원되어 화장실 또는 욕실로부터 물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탄성체(25)를 생략하면 휠체어(W)가 문턱(2)을 완전히 지나면 세로프레임(22) 및 가로프레임(23)이 바닥에 접힌 상태로 놓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외부로 누출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탄성체(25)로 인해서 세로프레임(22) 및 가로프레임(23)이 신속하게 복원됨으로써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출방지수단(26)은, 문턱(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탄소섬유(261) 및 방수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섬유(261)는, 문턱(2)이 마모 및 방수부재(26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되 내마모성 및 마찰계수가 높고, 방수부재(262)의 양면에 밀착되어 방수부재(262)와 접합 되며, 문턱(2)의 외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문턱(2)을 밟거나 휠체어(W)가 문턱(2)을 지나갈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문턱(2)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방수부재(262)가 찢어지거나 마모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부재(262)는, 문턱(2) 내부로 물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2장의 탄소섬유(261) 사이에 배치되되 탄소섬유(261)와 접합된다. 이에 따라, 방수부재(262)에 의해서 물기 등의 이물질이 문턱(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물기 등의 이물질로 인해 작동수단(32)이 오작동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누출방지수단(26)은 문턱(2)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지만, 방수부재(262)는 기둥(1)의 하부 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1)과 문턱(2) 사이로 물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프레임(23) 및 세로프레임(22)과 밀착하는 누출방지수단(26)은 가로프레임(23) 및 세로프레임(22)과 함께 작동하고, 기둥(1)에 설치되는 방수부재(262)는 문턱(2)이 작동할 때 늘어나며, 문턱(2)에 외력이 제거되면 방수부재(262)에 의해서 복원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방수부재(262)에 의해서 문턱(2) 내부 및 문턱(2)과 기둥(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더불어 문턱(2)의 복원원력을 추가로 상승시킬 수 있다.
고정수단(3)은, 문턱(2)의 돌출된 형태를 고정 및 지지하는 수단으로, 지지프레임(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지지수단(31) 및 작동수단(3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단(31)은, 문턱(2)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복수가 마련되되 문턱(2)의 길이방향으로 롤러(R)가 마련되고, 작동수단(32)에 의해 승강하며, 제1지지부(311), 제2지지부(312), 제3지지부(313) 및 제4지지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311), 제2지지부(312), 제3지지부(313) 및 제4지지부(314)는 동일하게 형성되되 작동수단(32)과 결합하는 로드(L) 및 로드(L)와 결합하면서 문턱(2)을 지지하는 롤러(R)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수단(31)은 롤러(R)의 회전축이 문턱(2)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문턱(2)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제1지지부(311), 제2지지부(312), 제3지지부(313) 및 제4지지부(314)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작동수단(32)은, 지지수단(31)을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지지프레임(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지지부(311), 제2지지부(312), 제3지지부(313) 및 제4지지부(314)를 각각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작동수단(32)에 의해서 지지수단(31)이 하강할 때, 가로프레임(23) 및 세로프레임(22)의 접히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제1지지부(311), 제2지지부(312), 제3지지부(313) 및 제지지부가 하강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작동스위치(4)를 누르면 작동수단(32)이 작동하고, 제1지지부(311), 제2지지부(312), 제3지지부(313) 및 제4지지부(314)가 하강한다. 이때, 제1지지부(311) 및 제2지지부(312)는 완전히 하강하여 문턱(2)이 접힐 때 전방의 세로프레임(22)이 제1지지부(311) 및 제2지지부(312)의 롤러(R)에 밀착하여고, 제3지지부(313)는 하강하되 제2지지부(312)보다 소정 높게 배치되며, 제4지지부(314)는 제3지지부(313)보다 소정 높게 배치되어 제3지지부(313) 및 제4지지부(314)의 롤러(R)가 가로프레임(23)의 저면에 밀착한다. 이에 따라, 휠체어(W)가 문턱(2)을 지날 때 휠체어(W) 및 이용자의 하중에 의해서 가로프레임(23) 및 세로프레임(22)이 하부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작동수단(32)은, 유압실린더 또는 볼스크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작동스위치(4)는, 작동수단(32)을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기둥(1)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어부(7)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작동스위치(4)를 누르면 작동수단(32)이 작동하여 지지수단(31)이 하강한다.
여기서, 작동스위치(4)는 기둥(1)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7)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욕실 또는 화장실의 내부에서 기둥(1)의 후면에 배치된 작동스위치(4)를 누르면 작동수단(32)이 작동되어 지지수단(31)이 상승하여 문턱(2)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는 외부에서 다른 사람이 문턱(2)을 밟거나 외력에 의해서 문턱(2)이 밀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문턱(2)과 도어(D)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욕실 또는 화장실에 들어가면 내부에 배치된 작동스위치(4)를 눌러서 이를 방지할 수도 있다.
감지센서부(5)는, 이용자가 욕실 또는 화장실의 출입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복수가 마련되고, 기둥(1)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전방에 배치되는 제1감지센서(51) 및 후방에 배치되는 제2감지센서(52)를 포함하며,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문턱(2)을 지나면, 제1감지센서(51)에서 먼저 감지하고 이후 제2감지센서(52)가 감지함으로써, 이용자의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전방의 작동스위치(4)를 누른 후 욕실 또는 화장실의 도어(D)를 열고 들어가면 제1감지센서(51) 및 제2감지센서(52)가 순차적으로 이용자를 감지한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작동수단(32)이 작동하여 지지수단(31)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내부에 배치된 작동스위치(4)를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문턱(2)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이용자가 욕실 또는 화장실로 들어가면, 지지수단(31)이 하강한 상태로 유지되되 제1지지부(311), 제2지지부(312), 제3지지부(313) 및 제4지지부(314)가 들어갈 때와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지지부(313) 및 제4지지부(314)가 완전히 하강하고, 제2지지부(312)는 제3지지부(313)보다 소정 높게 배치되며, 제1지지부(311)는 제2지지부(312)보다 소정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나오면 휠체어(W)의 바퀴가 문턱(2)을 밀어서 문턱(2)이 반대쪽으로 바닥에 밀착하면서 지지수단(31)이 문턱(2)을 지지한다. 이후, 이용자가 욕실 또는 화장실을 나오면 제2감지센서(52) 및 제1감지센서(51)가 순차적으로 감지하고, 이용자가 문턱(2)을 완전히 벗어나면 지지수단(31)이 완전히 상승하여 문턱(2)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즉, 감지센서부(5)에 의해서 이용자의 출입을 검출하여 작동수단(32)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알림부(6)는, 욕실 또는 화장실에 이용자의 출입 여부를 외부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기둥(1)의 전면에 설치되고,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욕실 또는 화장실의 내부로 들어가면 알림부(6)에서 이를 출력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외부에 있는 사람이 실수로 문턱(2)을 밟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알림부(6)는 지지수단(31)의 승강여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알림부(6)를 통해 지지수단(31)의 승강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외부에 있는 사람이 실수로 문턱(2)을 밟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림부(6)는 글자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둥(1)의 후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욕실 또는 화장실의 내부에서 지지수단(31)의 승강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장애인은 이를 통해 안전하게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나갈 수 있다.
제어부(7)는, 기둥(1)의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수단(32), 작동스위치(4), 감지센서부(5) 및 알림부(6)를 제어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문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평상시에는 지지수단(31)이 상승한 상태로 배치되어 문턱(2)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휠체어(W)를 탄 장애인이 작동스위치(4)를 누르면 작동수단(32)이 작동하면서 지지수단(31)이 하강한다. 이때, 알림부(6)에서 지지수단(31)의 하강상태를 출력한다.
장애인은 알림부(6)를 통해 지지수단(31)이 완전히 하강한 것을 확인한 후 도어(D)를 열고 욕실 또는 화장실로 진입한다.
휠체어(W)가 욕실 또는 화장실로 진입하면 감지센서부(5)가 이를 감지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휠체어(W) 바퀴가 문턱(2)을 밀어내어 문턱(2)이 바닥으로 완전히 접히면서 휠체어(W)가 손쉽게 통과할 수 있다.
휠체어(W)가 문턱(2)을 완전히 통과하면, 탄성체(25)에 의해서 문턱(2)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제어부(7)는 감지센서부(5)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하여 작동수단(32)을 작동시켜 제1지지부(311), 제2지지부(312), 제3지지부(313) 및 제4지지부(314)를 휠체어(W)가 들어갈 때와 반대로 정렬시킨다. 이때, 제어부(7)는 알림부(6)를 통해 욕실 또는 화장실에 장애인의 여부 및 지지수단(31)의 승강상태를 출력시킨다.
장애인이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나오면, 문턱(2)이 접히면서 휠체어(W)가 용이하게 문턱(2)을 지날 수 있다.
여기서, 가로프레임(23)이 상부로 소정 볼록하기 때문에 욕실 또는 화장실로부터 물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휠체어(W)가 문턱(2)을 완전히 벗어나면, 감지센서부(5)가 이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7)는 감지센서부(5)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토대로 작동수단(32)을 작동시켜 지지수단(31)을 완전히 상승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기둥
2; 문턱
21; 지지프레임
22; 세로프레임
23; 가로프레임
24; 걸림부
25; 탄성체
26; 누출방지수단
261; 탄소섬유
262; 방수부재
3; 고정수단
31; 지지수단
311; 제1지지부
312; 제2지지부
313; 제3지지부
314; 제4지지부
R; 롤러 L; 로드
32; 작동수단
4; 작동스위치
5; 감지센서부
51; 제1감지센서
52; 제2감지센서
6; 알림부
7; 제어부
D; 도어
W; 휠체어

Claims (8)

  1. 도어를 지지하고 욕실 또는 화장실의 입구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배치되고 바닥에 설치되되 외력이 가해지면 접히는 문턱; 상기 바닥에 매설되고 상기 문턱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이 해제된 상태에서 휠체어가 상기 문턱을 밀면 상기 문턱의 상부가 상기 바닥으로 접히고,
    상기 문턱은, 상기 바닥에 매설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자유 회전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으로부터 자유 회전하는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세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프레임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세로프레임이 상기 바닥으로 접히면서 상기 가로프레임이 하강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로프레임을 상승시켜 상기 가로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승강롤러; 및 상기 승강롤러를 승강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롤러가 하강하면 외력에 의해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이 접히면서 상기 승강롤러와 밀착하여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승강롤러가 상승하면 상기 승강롤러가 상기 가로프레임과 밀착하여 상기 가로프레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문턱의 형상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문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은,
    상기 세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을 복원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문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은,
    상기 문턱의 외면에 설치되는 누출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누출방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문턱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문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수단은,
    상기 문턱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소섬유; 및
    상기 탄소섬유와 결합하고 상기 문턱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탄성재질의 방수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문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기둥에 상기 고정수단을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문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휠체어의 출입을 검출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가 상기 욕실 또는 화장실 밖으로 나오면 상기 고정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문턱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문틀장치.
  8. 삭제
KR1020210032602A 2021-03-12 2021-03-12 장애인용 문틀 장치 KR10230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602A KR102303498B1 (ko) 2021-03-12 2021-03-12 장애인용 문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602A KR102303498B1 (ko) 2021-03-12 2021-03-12 장애인용 문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498B1 true KR102303498B1 (ko) 2021-10-19

Family

ID=7822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602A KR102303498B1 (ko) 2021-03-12 2021-03-12 장애인용 문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4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69Y1 (ko) * 2001-09-27 2001-12-29 윤성훈 차폐단을 이용한 접착형, 장착형 문풍지
KR100762246B1 (ko) * 2007-02-13 2007-10-01 문현승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KR20100115166A (ko) * 2009-04-17 2010-10-27 한국과학기술원 탄성완충돌기를 이용한 여닫이문의 차음조립체 및 차음구조
KR20120018908A (ko) 2010-08-24 2012-03-06 김주현 휠체어용 문틀
KR20190001591A (ko) * 2018-12-16 2019-01-04 윤규형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KR20190114364A (ko) * 2018-03-30 2019-10-10 박종태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69Y1 (ko) * 2001-09-27 2001-12-29 윤성훈 차폐단을 이용한 접착형, 장착형 문풍지
KR100762246B1 (ko) * 2007-02-13 2007-10-01 문현승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KR20100115166A (ko) * 2009-04-17 2010-10-27 한국과학기술원 탄성완충돌기를 이용한 여닫이문의 차음조립체 및 차음구조
KR20120018908A (ko) 2010-08-24 2012-03-06 김주현 휠체어용 문틀
KR20190114364A (ko) * 2018-03-30 2019-10-10 박종태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KR20190001591A (ko) * 2018-12-16 2019-01-04 윤규형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498B1 (ko) 장애인용 문틀 장치
JPH0880333A (ja) 側部に出入口を備えた浴槽
KR102077249B1 (ko)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KR102126043B1 (ko)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KR101650874B1 (ko) 안전진단기능을 갖춘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1268509B1 (ko)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KR101940648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KR100916648B1 (ko) 건축구조물 계단에 설치되는 장애인 이동로
RU160234U1 (ru) Лестничный лифт
KR101131885B1 (ko) 안전진단기능을 갖춘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2642956B1 (ko) 자동 높이조절용 난간장치
IT201900006919A1 (it) Piattaforma elevatrice e impianto elevatore comprendente la piattaforma elevatrice
JPH05118180A (ja) 半自動ドア
KR100338788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JP4604256B2 (ja) 車椅子用昇降機
KR20080004762A (ko) 풀오픈 도어시스템
JP6190719B2 (ja) 防水扉の動作制御装置及び防水扉
JP4635176B2 (ja) 車椅子用昇降機の安全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車椅子用昇降機
KR101071307B1 (ko) 풋 밸브를 구비한 소변기용 무전력 자동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변장치
KR102563245B1 (ko) 무선신호를 이용한 계단 겸용의 리프트 장치
JP5517207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644867B2 (ja) 車椅子用昇降機の組立構造
KR102076172B1 (ko) 안전진단기능을 갖춘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시스템
JP2004307205A (ja) 階段昇降装置
EP0556882A1 (en) Safety door with guided movement and free r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