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348B1 - 나선형 롤링 도어 - Google Patents

나선형 롤링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348B1
KR101850348B1 KR1020150129925A KR20150129925A KR101850348B1 KR 101850348 B1 KR101850348 B1 KR 101850348B1 KR 1020150129925 A KR1020150129925 A KR 1020150129925A KR 20150129925 A KR20150129925 A KR 20150129925A KR 101850348 B1 KR101850348 B1 KR 101850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rail
door frames
frames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030A (ko
Inventor
김학관
Original Assignee
(주)관우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관우공영 filed Critical (주)관우공영
Publication of KR2016011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형 롤링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롤링 도어는, 수직 입상형태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도어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복수의 지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지주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개재된 소정의 폭을 갖는 기다란 복수의 도어 프레임; 상기 복수의 지주 상단에 각각 형성되며, 나선형의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위로 상승되어 감겨져 수용되는 수용부; 복수의 지주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롤링부; 및 상기 롤링부가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수직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에 설치되는 안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사물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수직 하강중인 경우 도어 프레임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인체 감지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의 동작을 재개시킴으로써 도어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선형 롤링 도어{SNAIL TYPE ROLLING DOOR}
본 발명은 나선형 롤링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링 도어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나선형 롤링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고나 제조 공장 등과 같은 건물의 출입구에는 다양한 형태의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창고 등에 사용되는 출입문은 출입구 상단에 권취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권취 롤러에 출입구를 개폐하는 시트가 롤 상태로 감아지게 하거나 풀어지게 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한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된다.
그밖에 출입문 양측방향으로 문이 미닫이 식으로 개폐되는 미닫이 문이 있는데 이 미닫이 식 출입문은 출입구의 개폐동작이 느릴 뿐 아니라 출입구의 가로 세로폭이 작은 곳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나 출입구의 폭이 넓어질 경우에는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시트로 구성된 출입문은 출입구 상단에 설치된 권취 롤러에 감아지는 수단의 문으로 그 개폐 작동 또한 출입구의 크기에 제한을 받으며, 문을 구성하는 시트가 권취 롤러에 감아지고 풀리는 과정에서 시트에 많은 장력이 작용되고 또한 작동시 소음발생이 심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폭이 넓은 대형출입구인 경우에는 단일문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어 통상적으로 출입구에 수직방향으로 감아지는 문을 여러 개 설치사용하게 되므로 설치시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출입구의 개폐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5749호(2009. 11. 02 등록) "다단으로 승강 절첩 및 확개되는 출입구 개폐용 문"은, 양측에 가이드 프레임을 직립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 직상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봉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는 가요성 시트로 연결된 다수개의 승강바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되, 축봉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게 함으로써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축봉이 회전되게 하면 다수개의 승강바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면서 다단으로 중첩되거나 확개됨과 동시에 승강바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는 절첩되거나 확개되게 하여 출입구가 개폐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승강 바가 얇아야 하며, 외부의 침입이나 단열에 취약한 면이 있었다. 또한, 승강 바의 상승 또는 하강이 오로지 구동모터에 의해 이뤄진다.
따라서 문을 신속하게 구동하기 어렵고 또한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흔들리어 안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도어를 상/하부로 신속하게 롤링시켜 개폐하며, 도어의 승강 또는 하강시 소음을 최소화하며, 도어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나선형 롤링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나선형 롤링 도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롤링 도어는, 수직 입상형태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도어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복수의 지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지주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개재된 소정의 폭을 갖는 기다란 복수의 도어 프레임; 상기 복수의 지주 상단에 각각 형성되며, 나선형의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위로 상승되어 감겨져 수용되는 수용부; 복수의 지주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롤링부; 및 상기 롤링부가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수직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에 설치되는 안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사물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수직 하강중인 경우 도어 프레임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인체 감지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의 동작을 재개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은, 높낮이가 서로 다른 제1 고무패킹과 제2 고무패킹을 상부 측에 포함하고, 상부 측과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 높낮이가 서로 다른 제3 고무패킹과 제4 고무패킹을 하부 측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과 벨트 연결되는 벨트부; 및 일단이 상기 회전축과 연결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지주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연결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으로 감겨지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의 내측에 모헤어가 삽입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의 판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은, 내측에 발포제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투명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도어 프레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 및 바람과 같은 외력이 작용할 때 도어를 요동없이 안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윈드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원활하게 조립하기 위해 제1 가이드 레일 상부 부분과 제1 가이드 레일 하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의 오르내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한 보강 엔드캡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들이 수용되기에 적합한 폭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 각각이 절첩되어 상기 수용부에 나선형상으로 말리어 수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선형 롤링 도어를 신속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도어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승강 또는 하강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어의 설치 공간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롤링 도어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나선형 롤링 도어의 복수의 도어 프레임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서 투명창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나선형 롤링 도어의 수용부의 제2 가이드 레일에 도어 프레임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나선형 롤링 도어의 스프링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롤링 도어의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들을 각각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상기 도 7의 가이드 롤러와 보강 엔드캡 및 도어 프레임에 대한 체결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 또는 유사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의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롤링 도어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롤링 도어(100)는 수직 입상형태의 2 이상의 복수의 지주(110), 상기 복수의 지주(20)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개재된 소정의 폭을 갖는 기다란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 상기 복수의 지주(110)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위로 상승되어 감겨져 수용되는 수용부(130), 복수의 지주(1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롤링부(140) 및 상기 롤링부(140)가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수직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지주(110)는 출입문의 기둥을 형성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지주(110)의 내부에는 각기 제1 가이드 레일(110A)이 형성되고, 이 제1 가이드 레일(110A)은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수직 방향으로 상하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10A)은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과 맞닿는 면의 마찰을 경감하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모헤어(111) 또는 고무 가스켓(1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들 모헤어(111) 및 고무 가스켓(112)은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 외부로부터 물이나 이물 등의 유입방지를 하고, 마찰 등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경우, 가스켓(112)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10A)에 삽입되어 상하이동하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제1 가이드 레일(110A)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수용부(13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감겨져서 수용부(130) 내에 수용될수 있다.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결합되어 문을 형성하며, 사람 또는 차량 등의 사물의 출입 여부에 따라 승/하강하여 문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의 결합에 있어서 맞닿는 부분에서의 소음을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고무패킹(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무패킹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부(130)는 상기 롤링부(140)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상승 이동하여 감겨져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주(110)의 상단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수용부(130)는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가이드하기 위한 나선형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레일(131)은 사각형의 판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 레일(110A)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 이동한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나선형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감겨져 수용된다. 여기서,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의 폭의 넓이는 나선형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위한 치수를 가져야 한다.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들은 도시치는 않았으나 연결결합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측면이 예를 들어, 체인과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상기 복수의 지주(110)의 제1 가이드 레일(111)을 따라 승/하강하고, 제2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수용부(130)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링부(140)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11)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롤링 도어(10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롤링부(140)는 모터(141), 회전축(142), 벨트부(143) 및 스프링부(144)를 포함하는데, 상기 모터(141)는 복수의 지주(1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그 구동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모터(141)는 정역구동모터로서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모터(141)는 전기와 같은 동력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비상시 등을 위해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수동으로 구동되는 경우 사람이 직접 모터(141)와 연결된 회전축(142)을 구동할 수 있다. 회전축(142)은 모터(141)의 출력 축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회전축(142)에는 동력전달 수단으로서 벨트부(143)가 감겨질 수 있다. 또한, 모터(141)의 출력 축에는 감속부(145)가 연결되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롤링부(140)의 벨트부(143)는 회전축(142) 및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과 연결되어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벨트부(143)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의 대향 측면들에 설치되어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이동시키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링부(140)의 스프링부(144)는 그 일단이 회전축(142)과 수평 방향으로 연결결합되고, 타단이 복수의 지주(110) 중 하나의 일측에 연결고정된다. 스프링부(144)는 회전축(142)의 회전력으로 감아지고, 이후 감겨진 힘이 풀리어 원위치로 복귀되어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스프링부(144)의 탄성력 등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144)에는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같거나 동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모터(141)에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터(141)를 구동시켜 회전력을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에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복수의 지주(110)에 인체의 무릎 높이로 설치되는 안전센서(124)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사물의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센서(124)에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모터(141)에 정지신호를 출력하고 그러면 모터(141)의 동작이 정지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수직 하강중인 경우 도어 프레임(120)의 동작이 정지되고, 인체 감지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하강 동작이 계속해서 수행되어 문이 폐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나선형 롤링 도어의 복수의 도어 프레임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내부에 충전부(充塡部; 121)를 포함한다. 충전부(121)는 발포제 성질의 단열재를 포함하지만, 상기 충전부(121)에 충전되는 재료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그들 간의 결합으로 인한 상승 또는 하강시 발생하는 마찰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완충부재로서 고무패킹(122)을 포함하는데, 반드시 고무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무패킹(122)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로 형성되며, 상승 또는 하강에 있어서 유연한 움직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서로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20)은 또한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의 중간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창(123)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의 일 측에는 벨트부(143)가 연결될 수 있는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 중 하단에 형성된 도어 프레임(120)에 벨트부(143)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투명창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높낮이가 서로 다른 제1 고무패킹(122-1)과 제2 고무패킹(122-2)을 상부 측에 포함하고, 하부 측에는 상부 측과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 높낮이가 서로 다른 제3 고무패킹(122-3)과 제4 고무패킹(122-4)이 형성된다. 즉, 서로 연이어 연결되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 사이에서는 제1 고무패킹(122-1)과 제2 고무패킹(122-2) 그리고 제3 고무패킹(122-3)과 제4 고무패킹(122-4)이 서로 맞물려서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무패킹(122-1)과 제2 고무패킹(122-2) 및 제3 고무패킹(122-3)과 제4 고무패킹(122-4)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무패킹(122-1)과 제2 고무패킹(122-2) 및 제3 고무패킹(122-3)과 제4 고무패킹(122-4)의 높낮이가 다르므로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유연하게 꺾어질 수 있다. 투명창(123)은 도어 프레임(120) 안쪽에 삽입되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나선형 롤링 도어의 수용부의 제2 가이드 레일에 도어 프레임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30)는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으로 된 패널이 감겨져 수용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레일(131)을 포함한다. 수용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주를 따라 상승한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을 수용한다. 제2 가이드 레일(131)의 폭은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꺾어지면서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소정폭의 도어 프레임들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므로 곡선으로 형성된 상기 수용부(130)에 용이하게 감겨져 수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131) 내에 수용되어 감겨져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은 상기 제어부(150)로부터의 하강 신호에 의해 모터(141)의 구동력에 의해 수직방향의 제1 가이드 레일(110A)을 따라 하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나선형 롤링 도어의 스프링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부(144)는 지주의 상단 부분에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스프링부(144)는 일단이 회전축(142)의 걸림홈(142-1)에 결합되고, 타단이 고정판(144-1)에 연결 고정된다. 고정판(144-1)은 고정난간(146)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141)로부터 정방향 구동력이 회전축(142)에 전달되면 회전축(142)이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스프링부(144)가 감겨지고, 감겨진 후 외력이 해제되면 역방향으로 풀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축(142)이 ①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상승함과 동시에 스프링부(144)가 감겨진다. 스프링부(144)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같거나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모터(141)로부터 역방향 구동력이 회전축(142)으로 전달되면, 회전축(142)이 ②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프링부(144)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이 모터(141)의 역방향 회전력과 스프링부(144)의 탄성에 의해 빠르게 하강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롤링 도어의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들을 각각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d를 참조하면, 나선형 롤링 도어(110A)의 제1 가이드 레일(110A)은 도어 프레임(120; 도 7 참조)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바(113, 115)를 포함하고, 또한 바람과 같은 외력이 작용할 때 도어를 요동없이 안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윈드락(114)을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d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레일(110A)은 도어 프레임(120)의 원활한 수직 상하이동을 위해 모헤어나 가스켓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 레일 상부 부분(110A-1) 및 제1 가이드 레일 하부 부분(110A-2)이 도시되는데, 이는 도어 프레임(120) 즉 도어 패널을 원활하게 조립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상부 부분(110A-1)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하부 부분(110A-2)은 도시치 않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가이드 레일(110A)은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 즉 도어패널의 오르내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16)를 포함하고, 이 가이드 롤러(116)는 보강 엔드캡(117)을 통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120)과 연결되고, 가이드 롤러(116)는 윈드락(11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므로 도어 프레임(120)은 윈드락(114) 부분에 걸쳐서 외력에 의한 요동이 방지되어 도어가 항상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상기 도 7의 가이드 롤러와 보강 엔드캡 및 도어 프레임에 대한 체결 사시도를 도시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나선형 롤링 도어를 신속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도어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승강 또는 하강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어의 설치 공간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나선형 롤링 도어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하였지만, 이것은 예시 목적이지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롤링 도어 110 : 지주
110A : 제1 가이드 레일 112 : 모헤어
112 : 고무 가스켓 120 : 도어 프레임
121 : 충전부 122 : 고무패킹
122-1 : 제1 고무패킹 122-2 : 제2 고무패킹
122-3 : 제3 고무패킹 122-4 : 제4 고무패킹
123 : 투명창 124 : 안전센서
130 : 수용부 131 : 제2 가이드 레일
140 : 롤링부 141 : 모터
142 : 회전축 142-1 : 걸림홈
143 : 벨트부 144 : 스프링부
144-1 : 고정판 145 : 감속부
146 : 고정난간 150 : 제어부

Claims (8)

  1. 수직 입상형태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도어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복수의 지주와; 내측에 발포제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도어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지주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개재된 소정의 폭을 갖는 기다란 복수의 도어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지주 상단에 각각 형성되며, 나선형의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위로 상승되어 감겨져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지주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과 벨트 연결되는 벨트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축과 연결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지주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연결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으로 감겨지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지주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롤링부와; 상기 롤링부가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수직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에 설치되는 안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사물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수직 하강중인 경우 도어 프레임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인체 감지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의 동작을 재개시키는 나선형 롤링 도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은,
    높낮이가 서로 다른 제1 고무패킹과 제2 고무패킹을 상부 측에 포함하고, 상부 측과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 높낮이가 서로 다른 제3 고무패킹과 제4 고무패킹을 하부 측에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의 내측에 모헤어가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의 판에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도어 프레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 및 바람과 같은 외력이 작용할 때 도어를 요동없이 안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윈드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원활하게 조립하기 위해 제1 가이드 레일 상부 부분과 제1 가이드 레일 하부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의 오르내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한 보강 엔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들이 수용되기에 적합한 폭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 각각이 절첩되어 상기 수용부에 나선형상으로 말리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롤링 도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29925A 2015-03-10 2015-09-14 나선형 롤링 도어 KR101850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66 2015-03-10
KR20150033266 2015-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030A KR20160110030A (ko) 2016-09-21
KR101850348B1 true KR101850348B1 (ko) 2018-05-31

Family

ID=5708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925A KR101850348B1 (ko) 2015-03-10 2015-09-14 나선형 롤링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6738A1 (en) * 2020-10-07 2022-04-14 Pitt-Ohio Express LLC Jamb for loading dock door and system including same
KR102664623B1 (ko) * 2021-08-23 2024-05-09 (주)이노테크 2인 동시 출입 허용 구조를 포함하는 산업안전출입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91Y1 (ko) * 2002-05-07 2002-07-27 주식회사 하나기공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KR200331982Y1 (ko) * 2003-07-01 2003-11-03 김수진 터보 하이 스피드 도어
JP2004270332A (ja) * 2003-03-10 2004-09-30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カーテンのパネル構造
KR200375764Y1 (ko) * 2004-11-05 2005-03-11 김수진 스태킹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91Y1 (ko) * 2002-05-07 2002-07-27 주식회사 하나기공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JP2004270332A (ja) * 2003-03-10 2004-09-30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カーテンのパネル構造
KR200331982Y1 (ko) * 2003-07-01 2003-11-03 김수진 터보 하이 스피드 도어
KR200375764Y1 (ko) * 2004-11-05 2005-03-11 김수진 스태킹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030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261B2 (en) Adjustment mechanisms for shades
US5488982A (en) Lifting door with a slatted armor having articulated slats
KR100443546B1 (ko) 저마찰 에지를 갖는 말아올림형 도어
US5484007A (en) Vertical lift gate with strip cladding in guideways
JP6573996B2 (ja) モータ作動式垂直移動型ゲート
US9487984B2 (en) Trailer overhead door system
US7234502B2 (en) Overhead door apparatus with enclosed counterbalance mechanism
CN115279984A (zh) 门操作系统
US9840869B2 (en) Rolling gate having a door leaf in the form of a flexible curtain
KR101850348B1 (ko) 나선형 롤링 도어
KR102193112B1 (ko) 전선권출장치
US10385600B2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CN111542673B (zh) 一种门
JP4675166B2 (ja) 開閉体装置
EP0117116B1 (en) Roller door
KR102193123B1 (ko) 에어부스
JP3146406B2 (ja) パネル体の開閉装置
JP2003120156A (ja) 開閉装置
JP4179464B2 (ja) シートシャッタ
KR102628152B1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KR200375764Y1 (ko) 스태킹 도어
JP6469439B2 (ja) ホーム柵
US2597824A (en) Garage door
KR102475027B1 (ko)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