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891Y1 -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891Y1
KR200283891Y1 KR2020020013887U KR20020013887U KR200283891Y1 KR 200283891 Y1 KR200283891 Y1 KR 200283891Y1 KR 2020020013887 U KR2020020013887 U KR 2020020013887U KR 20020013887 U KR20020013887 U KR 20020013887U KR 200283891 Y1 KR200283891 Y1 KR 200283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panel
panel
ver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기공
Priority to KR2020020013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891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은, 다수의 단위 도어부재들의 결합구조로 된 도어 판넬; 도어 판넬에 근접 설치되며, 도어 판넬의 개폐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구동 모터의 구동과 정지, 정/역회전 제어를 위한 회로부 및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콘트롤 판넬;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수직/수평 트랙; 수직/수평 트랙과 도어 본체를 연결하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도어 판넬의 하강시 개입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콘트롤 판넬로 전송하는 포토 센서;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도어 판넬에 연결된 권상 케이블을 감았다 풀었다하는 케이블 드럼; 및 권상 케이블의 감김과 풀림의 정도에 따라 상응하는 토션력으로 권상 케이블에 항상 어느 정도 크기의 텐션이 걸리도록 하여 작은 힘으로도 도어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가 케이블 드럼의 정/역회전에 따른 케이블의 감김과 풀림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구동모터의 정지시에 수동으로도 도어를 어렵지 않게 개폐할 수 있고, 도어 판넬의 어느 위치에서도 최소의 힘과 고속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Overhead door system}
본 고안은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overhead door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일반 건물이나 산업현장의 공장이나 창고 등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하나의 도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어 판넬의 중량과 개폐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무게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최소의 힘으로 고속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동식 셔터 도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1)의 구동축에 제1스프라켓(sprocket)(102)이 설치되고, 여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한편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다 큰 직경의 제2스프라켓(104)이 제1체인(103)에 의해 상기 제1스프라켓(102)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2스프라켓(104)을 고정하는 스프라켓 샤프트(111)의 일측에는 다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제3스프라켓(105)이 설치되고, 셔터바(110)를 상,하로 개폐시키는 셔터 드럼(109)의 고정축(108)의 일측 연장 단부에는 제3스프라켓(105)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4스프라켓(107)이 설치되어 제2체인(106)에 의해 제3스프라켓(105)과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종래 전동식 셔터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터 (101)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 함에 따라 그 회전운동력은 제1스프라켓(102)→ 제1체인(103)→ 제2스프라켓(104)→ 스프라켓 샤프트(111)→ 제3스프라켓(105)→ 제2체인(106)→ 제4스프라켓(107) → 셔터드럼 고정축(108)의 순으로 차례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셔터 드럼(109)이 정회전 혹은 역회전 하게 됨에 따라 셔터바(110)가 상승하여 열리거나 하강하여 닫히게 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전동식 셔터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셔터드럼(109)과 그 고정축(108)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정축(108)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4스프라켓(107)과 모터(101)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제1스프라켓(102) 사이에는 제1,제2체인(103)(106)과 제2,제3 스프라켓(104)(105) 등, 그 동력 전달 메커니즘이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모터(101)의 고장시에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모터(101)가 작동될 수 없을 때, 셔터바(110)를 수동으로 개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셔터바(110)의 개폐 속도가 항상 일정하여, 도어의 개폐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빈번한 출입이 있을 경우 작업능률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 셔터식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의 정지시 수동으로도 도어를 어렵지 않게 개폐할 수 있고, 도어 판넬의 중량과 개폐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무게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최소의 힘으로 고속 작동할 수 있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식 셔터 도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의 도어 판넬 및 수직/수평 트랙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의 콘트롤 판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장치(기기) 및 부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공급전원으로부터 구동모터 및 각종 제어기기들로의 전원 공급 개요도.
도 6 내지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의 콘트롤러 보드의 터미널 블록에 연결되는 각종 릴레이, 리미트 스위치 및 센서들의 회로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모터 102...제1 스프라켓
103...제1 체인 104...제2 스프라켓
105...제3 스프라켓 106...제2 체인
107...제4 스프라켓 108...셔터 드럼 고정축
109...셔터 드럼 110...셔터 바
201...도어 판넬 202...구동모터
203...콘트롤 판넬 204...수직/수평 트랙
205...가이드 롤러 206...포토 센서(안전 센서)
207...케이블 드럼 208...토션 스프링
209...케이블 이탈 방지기 210...접촉 감응 센서
211...하부씰 212...투시창
213...푸시 다운 스프링 214...상부씰
215...힌지 216...변속기어축
217...샤프트 커플러 410...콘트롤러 보드
411...변압기 412...제동저항
413,414,415,460...터미널 블록 420...인버터
430...AC/DC 변환기 440...루프 디텍터 소켓
450...브레이크 릴레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은,
다수의 직사각형 형태의 단위 도어부재들이 그 연접부위가 각각 접힐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완성된 도어 몸체를 이루는 도어 판넬;
상기 도어 판넬의 상단부 일측면에 근접 설치되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한 개폐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모터의 구동과 정지, 정/역회전 제어를 위한 회로부 및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콘트롤 판넬;
상기 도어 판넬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수직 및 수평으로 연속 이음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수직/수평 트랙;
상기 도어 판넬의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개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수직/수평 트랙과 도어 본체를 연결하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수직/수평 트랙의 수직 트랙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부위에 마련되며, 도어 판넬의 하강시 개입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콘트롤 판넬로 전송하는 포토 센서;
상기 수직/수평 트랙의 양측 수직 트랙부의 상단 부위에 상기 모터의 회전 변속 기어 축을 동일 축으로 하여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도어 판넬에 연결된 권상 케이블을 감았다 풀었다하는 케이블 드럼; 및
상기 모터의 회전변속 기어축 상에 적어도 한 개가 설치되며, 상기 권상 케이블의 감김과 풀림의 정도에 따라 상응하는 토션력으로 권상 케이블에 항상 어느 정도 크기의 텐션이 걸리도록 하여 작은 힘으로도 도어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판넬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상기 권상 케이블이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이탈 방지기가 각각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 판넬의 대략 하단부 일측에는 도어가 하강할 시 장애물과 접촉할 경우 그것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콘트롤 판넬로 전송하는 접촉 감응 센서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수평 트랙의 수평 트랙부의 내측 단부의 일측에는 도어의 열림시 도어의 닫힘시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도어가 열림에 따라 도어의 상승 선단부가 수평 트랙부의 내측 단부에 과도한 힘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닫힘동작시 도어 판넬을 부드럽게 밀어주어 케이블 드럼에서 케이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푸시 다운 스프링이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 판넬의 소정 부위에는 도어가 설치된 건물 내부로의 채광이나 투시를 위한 투시창이 더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은 도어 판넬(201), 구동 모터(202), 콘트롤 판넬(203), 수직/수평 트랙(204), 가이드 롤러 (205), 포토 센서(206), 케이블 드럼(207) 및 토션 스프링(2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 판넬(201)은 다수의 직사각형 형태의 단위 도어부재들이 그 연접부위가 각각 접힐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완성된 도어 몸체를 이룬다. 이와 같은 도어 판넬(201)은 아연도 철판 또는 알루미늄 판을 롤 성형함과 동시에 고밀도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발포, 충전 및 접착시킨 단열형 판넬, 철판 혹은 알루미늄 다공판에 글라스 울(glass wool)을 충전한 흡음형 판넬, 알루미늄 섀시 프레임과 투명창이 조합된 투명형 판넬 중의 어느 하나인 다수의 단위 도어부재들을 힌지(215)에 의해 상호 결합시킨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위 도어부재들의 결합부위는 굴곡 작용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판넬(201)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권상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드럼(20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이탈 방지기(209)가 각각 더 설치된다. 또한, 도어 판넬(201)의 대략 하단부 일측에는 도어가 하강할 시 장애물과 접촉할 경우 그것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콘트롤 판넬(203)로 전송하는 접촉 감응 센서(210)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 판넬 (201)의 하단부에는 도어 하단의 지면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외부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하부씰(seal)(211)이 더 마련된다. 또한, 도어 판넬(201)의 소정 부위에는 도어가 설치된 건물 내부로의 채광이나 투시를 위한 투시창(212)이 더 마련된다.
상기 구동 모터(202)는 상기 도어 판넬(201)의 상단부 일측면에 근접 설치되며, 도어 판넬(201)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한 개폐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여기서, 이 구동 모터(202)로는 고속의 회전속도를 일단 어느 정도의 저속의 회전속도로 변속하는 변속 기어장치(202g)가 모터의 축에 설치되어 있는 웜 기어드 (worm geared)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판넬(203)은 구동 모터(20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모터(203)의 구동과 정지, 정/역회전 제어를 위한 회로부 및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수평 트랙(204)은 상기 도어 판넬(201)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수직 및 수평으로 연속 이음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도어 판넬(201)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수직/수평 트랙(204)의 수평 트랙부의 내측 단부의 일측에는 바람직하게는 도어의 열림시 도어의 닫힘시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도어가 열림에 따라 도어의 상승 선단부가 수평 트랙부의 내측 단부에 과도한 힘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닫힘시 도어 판넬 (201)을 부드럽게 밀어주어 케이블 드럼(207)에서 케이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푸시 다운 스프링(213)이 더 설치된다. 또한, 수직/수평 트랙(204)의 수직 트랙부의 상단부와 상기 케이블 드럼(207) 및 토션 스프링(208)들이 설치되어 있는 헤드부 사이의 공간에는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상부씰(214)이 더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205)는 도어 판넬(201)의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개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수직/수평 트랙(204)과 도어 본체를 연결하며, 도어 판넬(201)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포토 센서(206))는 상기 수직/수평 트랙(204)의 수직 트랙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부위에 마련되며, 도어 판넬(201)의 하강시 개입되는 장애물을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콘트롤 판넬(203)로 전송한다.
상기 케이블 드럼(207)은 상기 수직/수평 트랙(204)의 양측 수직 트랙부의 상단 부위에 상기 구동 모터(202)의 회전 변속 기어 축(216)을 동일 축으로 하여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터(20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 판넬(201)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도어 판넬(201)에 연결된 권상 케이블을 감았다 풀었다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토션 스프링(208)은 상기 구동 모터(202)의 회전변속 기어축(216) 상에 적어도 한 개(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설치되며, 상기 권상 케이블의 감김과 풀림의 정도에 따라 상응하는 토션력으로 권상 케이블에 항상 어느 정도 크기의 텐션이 걸리도록 하여 작은 힘으로도 도어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참조 번호 217은 축과 축을 연결해주는 샤프트 커플러(shaft coupler)를 나타낸다.
한편, 도 4는 상기 콘트롤 판넬(20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장치(기기)및 부품들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판넬(203)의 내부에는 시스템을 총체적으로 제어하는 CPU(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러 보드 (410)와, 상기 구동모터(20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420)와,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제어기기들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AC/DC 변환기(430)와, 루프 디텍터 소켓(440)(option 사항임), 브레이크 릴레이(450), 터미널 블록(460) 등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콘트롤러 보드(41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AC 220V를 AC 24V로 강압하는 변압기(411)와, 제동 저항(412) 및 각종 센서, 리미트 스위치, 릴레이 접점의 온/오프와 관련된 회로 단자의 접속을 위한 터미널 블록들(413)(414)(415)이 패키지화되어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품을 이루게 된다.
도 5 내지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의 주요 회로 구성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외부의 공급전원으로부터 구동모터 및 각종 제어기기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개요도이고, 도 6 내지 도 8c는 상기 콘트롤러 보드의 터미널 블록에 연결되는 각종 릴레이, 리미트 스위치 및 센서들의 회로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의 전원으로는 3상 220V(단상 220V나 3상 380V도 사용가능)가 사용되고, 이 전원은 캠스위치(501)를 거쳐 인버터(420)로 직접 전달된다. 또한, 3상(R,S,T) 중에 R상과 T상이 변압기(411)로 공급되어, 변압기(411)에 의해 AC 24V가 만들어지고, 그 AC 24V는 다시 AC/DC 변환기(브리지 다이오드)(430)에 의해 DC 24V로 변환되어, 본 고안의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의 제어 전원으로 공급된다.
제어의 기본회로는 8개의 릴레이와 2개의 타이머, 브레이크 제어용 릴레이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제2 감속시(도어의 하강시) 모터의 운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타이머 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보호와 안전을 위하여 보조 리미트 스위치, 센서 등을 추가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콘트롤러 보드(410)의 X1-터미널 블록(413)의 회로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X1-터미널 블록(413)에는 상기 AC/DC 변환기(430)에 의해 생성된 DC 24V 공급 라인과, 브레이크 저항, 경광등이 접속된다.또한, 도어 하강 시의 제1 감속 및 제2 감속 제어를 위한 신호 라인들과 기동 센서가 접속된다.
도 7은 상기 콘트롤러 보드(410)의 X2-터미널 블록(414)의 회로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터미널 블록(414)에는 수동(MAN), 자동(AUTO), 정지(STOP), 공통접속(COM), 도어 열림(OPEN), 도어 닫힘(CLOSE)과 관련되는 릴레이 접점 및 공통 접속 라인이 접속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상기 콘트롤러 보드(410)의 Y1-터미널 블록(415)의 회로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터미널 블록(415)에는 DC 24V의 공급 라인과, 모터(202)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 접점, 기타 안전장치들을 위한 릴레이 접점, 출구의 개폐를 위한 릴레이 접점, 도어의 열림 및 닫힘 리미트 스위치, 기동 센서, 안전 포토 센서, 접촉 감응 센서, 도어의 열림 및 닫힘시의 감속 리미트 스위치, 상기 인버터(420)와의 접속 라인과 보조 오픈, 클로스 리미트 스위치 등이 접속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도어 열림(open) 동작시, 사용자(운전자)에 의해 눌러진 도어 오픈 스위치에 의한 오픈 명령 신호가 도 8a 내지 도 8c에서의 오픈 리미트 스위치와 보조 리미트 스위치를 거쳐서 들어가게 되면, 구동모터(202)가 작동하고, 그에 따라 도어는 열리게 된다. 즉, 처음에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인버터(420)의 "COM+FX+P1"의 단자를 릴레이가 온(ON) 연결시켜 도어는 최고의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최고 속도는 1단계 모드(st1 MODE)에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어가 최고의 속도로 상승하는 중에 이미 설정해 놓은 리미트 스위치 또는 센서에 감지되면, P1 단자의 연결이 떨어지면서 도어는 감속하게 된다. 이때의 속도는 "drv MODE"에서 변경할 수 있다. 감속된 속도로 유지되다가 상한 리미트 스위치, 또는 센서에 감지되면, "COM"과 "FX"가 떨어지면서 도어는 정지하게 된다.
도어 닫힘(close)의 동작은 상기 도어 열림(open) 동작과 마찬가지로 도 8a 내지 도 8c에서의 클로스 리미트 스위치와 보조 리미트 스위치를 거쳐서 클로스 명령 신호가 인버터(420)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면, 인버터(420)의 제어 기능에 따라 구동모터(202)가 작동하고, 그에 의해 도어는 가속과정을 거치면서 닫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어가 클로스 감속 리미트 스위치(도 8b 참조)에 도달했을 시, 감속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에 의해 도어의 닫힘 속도는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도어가 클로스 리미트 스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어는 멈추게 된다.
한편, 자동 모드시의 동작은 여러 센서들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모션 디텍터(motion detector)나 루프(loop) 디텍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기동 센서들이 동작을 하면, 콘트롤러 보드(410)에 오픈 신호가 보내지고, 그 이후에는 위에서 설명했던 오픈 과정을 거치면서 도어가 열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도어의 자동 모드시에는 도어의 오픈 후, 수 초가 경과된 후에 도어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는 타이머에 의해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때, 이때 물론 타이머는 기동 센서가 감지하고 있는 동안은 동작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도어의 열림 및 닫힘 동작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도어가 클로스 작동 중에 안전 센서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도어는 일단 정지 후 다시 열리게 된다. 즉, 안전 센서의 동작시 감지 신호는 도어의 오픈 유지로 전달되고, 따라서 처음의 클로스 신호는 오픈 신호로 다시 전달된다. 이때, 문이 열리기 전에 모터의 보호를 위해 급반전 방지 타이머를 거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은 도어의 개폐가 케이블 드럼의 정/역회전에 따른 케이블의 감김과 풀림에 의해 이루어지므로,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의 정지시 수동으로도 도어를 어렵지 않게 개폐할 수 있고, 도어 판넬의 중량과 개폐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무게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최소의 힘으로 고속 작동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의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이 제조 공장, 산업용 물류센터, 냉동ㆍ냉장창고, 소방서 차고, 발전소 등의 산업용 건축물이나, 상업용 건물의 방범, 단열, 채광, 기밀성 및 작업효율이 요구되는 장소에 적용될 경우 그 기능의 우수성으로 기존의 도어 시스템에서는 얻을 수 없는 탁월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다.

Claims (8)

  1. 다수의 직사각형 형태의 단위 도어부재들이 그 연접부위가 각각 접힐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완성된 도어 몸체를 이루는 도어 판넬;
    상기 도어 판넬의 상단부 일측면에 근접 설치되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한 개폐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모터의 구동과 정지, 정/역회전 제어를 위한 회로부 및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콘트롤 판넬;
    상기 도어 판넬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수직 및 수평으로 연속 이음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수직/수평 트랙;
    상기 도어 판넬의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개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수직/수평 트랙과 도어 본체를 연결하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수직/수평 트랙의 수직 트랙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부위에 마련되며, 도어 판넬의 하강시 개입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콘트롤 판넬로 전송하는 포토 센서;
    상기 수직/수평 트랙의 양측 수직 트랙부의 상단 부위에 상기 모터의 회전 변속 기어 축을 동일 축으로 하여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도어 판넬에 연결된 권상 케이블을 감았다 풀었다하는 케이블 드럼; 및
    상기 모터의 회전변속 기어축 상에 적어도 한 개가 설치되며, 상기 권상 케이블의 감김과 풀림의 정도에 따라 상응하는 토션력으로 권상 케이블에 항상 어느 정도 크기의 텐션이 걸리도록 하여 작은 힘으로도 도어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판넬은 아연도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을 롤 성형함과 동시에 고밀도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발포, 충전 및 접착시킨 단열형 판넬, 철판 혹은 알루미늄 다공판에 글라스 울을 충전한 흡음형 판넬, 알루미늄 섀시 프레임과 투명창이 조합된 투명형 판넬 중의 어느 하나인 다수의 단위 도어부재들을 힌지에 의해 상호 결합시킨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판넬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권상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이탈 방지기가 각각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판넬의 대략 하단부 일측에는 도어가 하강할 시 장애물과 접촉할 경우 그것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콘트롤 판넬로 전송하는 접촉 감응 센서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판넬의 하단부에는 도어 하단의 지면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외부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하부씰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판넬의 소정 부위에는 도어가 설치된 건물 내부로의 채광이나 투시를 위한 투시창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수평 트랙의 수평 트랙부의 내측 단부의 일측에는 도어의 열림시도어의 상승 선단부가 수평 트랙부의 내측 단부에 과도한 힘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닫힘시 도어 판넬을 부드럽게 밀어주어 케이블 드럼에서 케이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푸시 다운 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수평 트랙의 수직 트랙부의 상단부와 상기 케이블 드럼 및 토션 스프링들이 설치되어 있는 헤드부 사이의 공간에는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상부씰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KR2020020013887U 2002-05-07 2002-05-07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KR200283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887U KR200283891Y1 (ko) 2002-05-07 2002-05-07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887U KR200283891Y1 (ko) 2002-05-07 2002-05-07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774A Division KR100471349B1 (ko) 2002-05-06 2002-05-06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891Y1 true KR200283891Y1 (ko) 2002-07-27

Family

ID=7307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887U KR200283891Y1 (ko) 2002-05-07 2002-05-07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8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47B1 (ko) 2013-01-31 2014-03-04 곽대성 오버헤드 도어용 패널
KR101850348B1 (ko) * 2015-03-10 2018-05-31 (주)관우공영 나선형 롤링 도어
KR102116240B1 (ko) 2019-08-08 2020-05-28 블루코스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어가 설치된 오버헤드 도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47B1 (ko) 2013-01-31 2014-03-04 곽대성 오버헤드 도어용 패널
KR101850348B1 (ko) * 2015-03-10 2018-05-31 (주)관우공영 나선형 롤링 도어
KR102116240B1 (ko) 2019-08-08 2020-05-28 블루코스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어가 설치된 오버헤드 도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433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oll-up door
KR100471349B1 (ko)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JP2012214196A (ja) ホームゲート装置及び安全柵
KR101845861B1 (ko) Cctv 자동 및 수동 승강장치
KR200283891Y1 (ko)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JP4986528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2020183625A (ja) 障害物感知装置、障害物感知方法、開閉体装置及び開閉体制御方法
KR200319623Y1 (ko)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EP0520934B1 (en) Electric drive arrangement for a cord winding and dewinding winch
KR10184332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개폐장치
KR20040027576A (ko) 자동 수동 겸용 오버 헤드 셔터 도어
JP7396822B2 (ja) 開閉体装置及び開閉体制御方法
JP2007016430A (ja) 防火シャッター用安全装置
JP5254176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7466351B2 (ja) 開閉体装置、開閉体装置用外部電源変換装置、及び開閉体装置用外部電源変換ユニット
JPH0543191Y2 (ko)
JP2022173939A (ja) 開閉体装置及び開閉体装置の制御方法
CN115214825B (zh) 一种基于电机自动控制的旋转式物流通道及其控制方法
KR100236244B1 (ko) 방화셔터용 전동개폐장치
JP7305471B2 (ja) シャッター
JPH0748954Y2 (ja) 建物用電動シヤツターにおける安全装置
JP2022113438A (ja) 開閉体装置及び開閉体装置の制御方法
JP2020169501A (ja) シャッターの改修方法
JPH05330789A (ja) 天井クレーンの駆動装置
JPH03318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