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246B1 -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246B1
KR100762246B1 KR1020070014911A KR20070014911A KR100762246B1 KR 100762246 B1 KR100762246 B1 KR 100762246B1 KR 1020070014911 A KR1020070014911 A KR 1020070014911A KR 20070014911 A KR20070014911 A KR 20070014911A KR 100762246 B1 KR100762246 B1 KR 10076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nsor
disabled
entran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승
김청복
Original Assignee
문현승
김청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승, 김청복 filed Critical 문현승
Priority to KR102007001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05Y2400/454Control modes for accommodating handicapped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구 외측 벽면과 천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된 제1감지센서와; 상기 출입구의 내측 벽면과 천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에서 출입구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된 제2감지센서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내측의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하여 천정과 벽면과 변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3감지센서와;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측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된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제1, 제2, 제3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제3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동안에는 제1, 제2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더라도 도어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제3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제2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인체가 감지될 때 도어가 개방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애인이 이용하는 화장실의 도어가 장애인 및 보호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되, 화장실의 변기를 장애인이 이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도어에 접근하는 사람이 감지되더라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GATEWAY CONTROL SYSTEM OF TOILET FOR HANDICAPPED PERS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장애인용 화장실 102 : 출입구
103 : 제1감지세서 104 : 제2감지센서
105 : 제3감지센서 106 : 구동모터
107 : 도어 108 : 제어부
109 : 오픈 스위치 110 : 호출 스위치
111 : 표시등 112 : 타이머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공간에 장애인용 변기시설이 설치된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애인이 이용하는 화장실의 도어가 장애인 및 보호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되, 화장실의 변기를 장애인이 이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도어에 접근하는 사람이 감지되더라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에는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과 장애인이 용변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장애인 보조시설이 설비된 장애인 화장실이 겸비되어 있다.
상기한 장애인 화장실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화장실의 출입구는 최소한 휠체어가 출입하여야 하므로 일반 화장실의 출입구보다 약 2배 정도 크다.
그리고, 내부는 휠체어가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할당되어야 함은 물론, 스스로의 힘으로 용변을 보지 못하거나, 스스로 변기까지 이동할 수 없는 장애인을 도와줄 보호자가 장애인과 함께 행동해야 하므로 그에 따라 내부의 공간도 상당히 넓게 설계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애인 화장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장애인 및 보호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다는 명분으로 제작된 것에 반하여 그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즉, 상기 장애인 화장실은 출입구와 화장실의 넓이 또는 크기만 확장시켰을 뿐이지 장애인이 활동하는 데 장애되는 요소는 제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지금까지의 장애인 화장실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 중 일부는 아직까지도 열고 닫는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있으므로 팔을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에게는 상당한 불편함을 주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의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화장실의 출입구에 접철식 자바라를 설치한 경우도 가끔 볼 수 있는 바, 상기한 자바라는 그 설치의 편리함보다는 여닫을 때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취하여 채택설치된 것이어서, 장금장치가 견고하지 못하므로, 장애인이 화장실에서 용변을 볼 때 출입구 밖에서 다른 사용자가 문을 열면 그대로 열리게 되어 장애인의 사생활이 침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자바라의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자칫 자바라가 한순간에 파손될 수 있어 출입구 자체가 파손되므로 잠금장치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용변을 보고 있는 장애인의 사생활이 무단으로 침해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장애인 화장실의 도어를 장애인이 직접 개폐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도어가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함은 물론 내측에서 장애인이 용변을 보고 있을 경우에는 장애인의 의지에 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사생활이 보호되도록 하는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일정 크기의 공간에 장애인용 변기시설이 설치된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101)의 출입구(102) 외 측 벽면과 천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출입구(102)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된 제1감지센서(103)와; 상기 출입구(102)의 내측 벽면과 천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에서 출입구(102)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된 제2감지센서(104)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101) 내측의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하여 천정과 벽면과 변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3감지센서(105)와; 상기 출입구(102)에 설치되며, 구동모터(106)의 동력에 의하여 측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출입구(102)를 개폐하도록 된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107)와; 상기 제1, 제2, 제3감지센서(103)(104)(105)와 연결되어 제3감지센서(105)에 의해 인체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동안에는 제1, 제2감지센서(103)(104)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더라도 도어(107)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제3감지센서(105)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제2감지센서(103)(10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인체가 감지될 때 도어(107)가 개방되도록 구동모터(106)를 제어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화장실(101)의 출입제어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제3감지센서(103)(104)(105)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실의 도어(107) 내측 벽면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06)가 제어부(108)의 제어보다 우선하여 도어(107)를 개방시키게 하는 오픈 스위치(109)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화장실의 변기 또는 변기에 인접한 벽면 소정위치에 호출 스위치(110)를 설치하고, 호출 스위치(110)가 온(ON)되면 제어부(108)로 신호를 전달하 여 출입구(102) 외측의 천정 또는 벽면 소정위치에 설치된 표시등(111)을 온(ON)시켜 외부에 호출을 표시한 후, 제1감지센서(103)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제3감지센서(105)에 의하여 인체가 감지되더라도 제어부(108)는 출입구(102)가 개방되도록 구동모터(106)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은, 장애인 화장실(101)의 출입구(102)에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107)를 설치하고, 화장실의 외측과 내측 천정 또는 벽면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제1감지센서(103)와 제2감지센서(104)를 설치하여 출입구(102)를 출입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제1, 제2감지센서(103)(104)에서 출입자가 감지되면 하술하게 될 특정 조건을 제외한 상태에서는 제어부(108)가 구동모터(106)를 제어하여 도어(107)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출입구(102)를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한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107)는 관공서, 은행, 공항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빈번하게 출입하는 출입구(102)에 설치되고, 출입구(102)의 내, 외측 상단에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설치하여 인체가 감지되면 도어(107)를 개방한 후 일정시간 동안 도어(107)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주변에서 통상적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 화장실의 출입구(102)에는 상기한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107)를 설치하고, 출입구(102)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열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감지센서(103)와 제2감지센서(104)를 설치한다.
상기 제1감지센서(103)는 출입구(102) 외측의 천정 또는 출입구(102) 상부의 벽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출입구(102)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상기 제2감지센서(104)도 출입구(102) 내측의 천정 또는 출입구(102) 상부의 벽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출입구(102)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감지센서(103)와 제2감지센서(104)에 의해 출입구(102)의 외측과 내측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제어부(108)는 도어(107)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06)를 제어하여 도어(107)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출입구(102)가 개방되게 제어하고, 이때, 제어부(108)는 타이머(112)에서 발생하는 시간 데이타를 참조하여 도어(107)가 일정시간 동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06)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화장실 내측의 변기 또는 변기 주변의 벽면 또는 천정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감지센서(105)를 설치하여 변기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3감지센서(105)는 변기의 사용 여부 또는 변기에 장애인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화장실의 변기에서 인체감지센서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열감지 센서 또는 압전센서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1, 제2, 제3감지센서(103)(104)(105)에 대하여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열감지 센서로서 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출시되고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인체감지센서 중 당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손쉽게 이들 중 실시가능한 센서를 채택하여 설치/시공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센서의 종류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언급하지 않은 인체감지용 센서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출입구(102)의 외측과 내측에 설치된 제1, 제2감지센서(103)(104)에 의해 출입구(102)의 도어(107)가 개방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장애인이 변기를 사용하고 있는 시점에서 또 다른 장애인(또는 사용자)이 출입구(102)로 접근할 경우 도어(107)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장애인의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8)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제3감지센서(105)에서 사람(장애인)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상태에서는 제1감지센서(103)와 제2감지센서(104)에서 인체가 감지된다 하더라도 제어부(108)가 도어(107)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하는 특정 조건의 알고리즘에 의해 달성되게 한다.
상기한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제3감지센서(105)에 의해 인체가 감지된 신호가 발생하면 이 신호에 의하여 제1, 제2감지센서(103)(104)와 제어부(108)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차단되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도 있 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감지센서(105)에서 인체가 감지된다는 것은 장애인이 변기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1, 제2감지센서(103)(104)에서 인체가 감지된다 하더라도(출입구(102)의 내, 외측에서 출입구(102)에 접근하는 사람이 있더라도) 출입구(102)의 도어(107)가 개방되지 않게 하여 장애인의 사생활이 보장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8)는 제3감지센서(105)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상황에서만 제1, 제2감지센서(103)(10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인체가 감지될 때 도어(107)가 개방되도록 구동모터(106)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장애인 화장실의 경우, 통상적으로 용변을 장애인 스스로 보는 경우가 있는 반면, 장애인 혼자서도 용변을 해결하지 못하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보호자가 용변을 도와주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장애인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조력한 후, 화장실에 함께 있을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호자는 다시 화장실 밖으로 나가고 장애인이 용변을 본 후, 용변이 끝나면 보호자가 다시 화장실로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한 특수한 경우에서도 출입구(102)의 도어(107)를 개폐제어되도록 하기 위하여 출입구(102)의 내측 벽면에 오픈 스위치(109)를 설치하여 오픈 스위치(109)가 온(ON)되면, 제3감지부에서 인체가 감지되는 상태라도 도어(107)가 슬라이딩되 어 오픈되게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화장실의 변기 또는 변기에 인접한 벽면 소정위치, 즉, 장애인이 동작시키기 용이한 위치에 호출 스위치(110)를 설치하고, 이 호출 스위치(110)가 온(ON)되면, 호출 스위치(110)에서 제어부(108)로 신호를 전달하여 출입구(102) 외측의 천정 또는 벽면 소정위치에 설치된 표시등(111)을 온(ON)시켜 외부에 호출을 표시하게 한다.
이때, 상기 출입구(102) 외측에서의 제1감지센서(103)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제3감지센서(105)에 의하여 인체가 감지되더라도 제어부(108)는 출입구(102)가 개방되도록 구동모터(106)를 제어함으로써 화장실 외부에 있던 보호자가 화장실 내부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애인이 화장실을 이용할 경우에 보다 편리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변 시 장애인의 사생활이 보호되도록 하고, 보호자와 함께 화장실을 이용할 경우에도 출입구 도어의 개폐가 보호자 및 장애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일정 크기의 공간에 장애인용 변기시설이 설치된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구 외측 벽면과 천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된 제1감지센서와;
    상기 출입구의 내측 벽면과 천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에서 출입구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된 제2감지센서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내측의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하여 천정과 벽면과 변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3감지센서와;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측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된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제1, 제2, 제3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제3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동안에는 제1, 제2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더라도 도어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제3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제2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인체가 감지될 때 도어가 개방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의 도어 내측 벽면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구동모터가 제어부의 제어보다 우선하여 도어를 개방시키게 하는 오픈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의 변기 또는 변기에 인접한 벽면 소정위치에 호출 스위치를 설치하고, 호출 스위치가 온(ON)되면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출입구 외측의 천정 또는 벽면 소정위치에 설치된 표시등을 온(ON)시켜 외부에 호출을 표시한 후, 제1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제3감지센서에 의하여 인체가 감지되더라도 제어부는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KR1020070014911A 2007-02-13 2007-02-13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KR10076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11A KR100762246B1 (ko) 2007-02-13 2007-02-13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11A KR100762246B1 (ko) 2007-02-13 2007-02-13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246B1 true KR100762246B1 (ko) 2007-10-01

Family

ID=3941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911A KR100762246B1 (ko) 2007-02-13 2007-02-13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2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312B1 (ko) * 2009-08-31 2010-02-16 박성수 장애인용 화장실 종합시스템
KR101209688B1 (ko) * 2010-10-13 2012-12-07 사회복지법인 원각선원 환자용 케어장치 및 방법
JP2019002236A (ja) * 2017-06-19 2019-01-10 株式会社ハマネツ 屋外用個室
KR102303498B1 (ko) * 2021-03-12 2021-10-19 주식회사 아키그린 장애인용 문틀 장치
KR20220019868A (ko) 2020-08-10 2022-02-18 (주)파크이즈건축사사무소 장애인 화장실의 시공방법 및 장애인 화장실
US11613196B2 (en) * 2020-02-12 2023-03-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amp system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962A (ja) * 2001-10-24 2003-05-08 Inax Corp シャワートイレ用セ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962A (ja) * 2001-10-24 2003-05-08 Inax Corp シャワートイレ用センサ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312B1 (ko) * 2009-08-31 2010-02-16 박성수 장애인용 화장실 종합시스템
KR101209688B1 (ko) * 2010-10-13 2012-12-07 사회복지법인 원각선원 환자용 케어장치 및 방법
JP2019002236A (ja) * 2017-06-19 2019-01-10 株式会社ハマネツ 屋外用個室
JP7008931B2 (ja) 2017-06-19 2022-01-25 株式会社ハマネツ 屋外用個室
US11613196B2 (en) * 2020-02-12 2023-03-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amp system for vehicle
KR20220019868A (ko) 2020-08-10 2022-02-18 (주)파크이즈건축사사무소 장애인 화장실의 시공방법 및 장애인 화장실
KR102303498B1 (ko) * 2021-03-12 2021-10-19 주식회사 아키그린 장애인용 문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246B1 (ko) 장애인용 화장실의 출입제어시스템
US8141296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locking and unlocking bathroom stall door
US6967587B2 (en) Hands-free door opener and method
TW201116697A (en) Hands-free door opening system and method
JP3909300B2 (ja) 自動走行車椅子、車椅子自動走行システム、及び車椅子の自動走行方法
KR101118984B1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도어 개폐 송신장치
JP2001152750A (ja) 自動ドア用センサ及びそのセンサを備えた自動ドア装置
KR20070052630A (ko)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문 자동 개폐장치
JP2005009080A (ja) 入退室管理装置
JP2007138579A (ja) 窓(扉、戸等の開閉手段を含む)のロック部の自動施錠及び/又は開錠と、センサーによる窓の開閉を司る窓の自動開閉システム
JP2899942B2 (ja) 自動ドア装置
KR100577315B1 (ko) 부속장치를 일체화한 자동문 작동기
JP2002188204A (ja) トイレブースシステム
JP4731872B2 (ja) 自動ドアの開閉装置
JP2699139B2 (ja) 自動扉装置
JPH0610557A (ja) ドアの警告装置
JP2023045190A (ja) 自動ドア装置、自動ドア装置の制御方法、及び自動ドア装置の制御用プログラム
KR100881575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 장치
JP2899943B2 (ja) 自動ドア装置
KR20100010123A (ko) 유아를 위한 베란다 추락사고 방지 시스템
JP3066026U (ja) 電気錠装置
JP4544469B2 (ja) 開閉扉
JPH04131487A (ja) 自動扉
JP2002309853A (ja) 開閉扉
JP2002092754A (ja) 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