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663B1 - 미닫이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663B1
KR101548663B1 KR1020140040833A KR20140040833A KR101548663B1 KR 101548663 B1 KR101548663 B1 KR 101548663B1 KR 1020140040833 A KR1020140040833 A KR 1020140040833A KR 20140040833 A KR20140040833 A KR 20140040833A KR 101548663 B1 KR101548663 B1 KR 101548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ndow
wall
closed posi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늘보공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늘보공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늘보공방
Priority to KR102014004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의 손실 방지 및 소음 차단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은 제1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1벽체와, 상기 제1벽체와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창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2벽체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창 및 상기 제2창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창을 폐쇄하는 제1폐쇄위치와, 상기 제1폐쇄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창을 개방하는 제1개방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1도어와, 상기 제2창을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와, 상기 제2폐쇄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창을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2도어와, 일단부는 상기 제1도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도어에 결합되는 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상승하면 다른 하나의 도어가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와이어를 지지하는 도르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닫이 도어 시스템{A sliding door system}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친환경적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건축 분야에서도 에너지의 손실 낭비를 줄이기 위한 각종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에서는 창문을통하여 열에너지의 손실 및 소음의 전달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이에 창문을 통한 에너지의 손실 방지 및 소음 차단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건축물에서는 미닫이 형태의 창문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공고번호 실1984-0002846호(이하, 선행기술) 등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에서의 미닫이 창문은 단일 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을 통한 에너지 손실 및 소음전달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4-00028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의 손실 방지 및 소음 차단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미닫이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은 제1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1벽체와, 상기 제1벽체와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창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2벽체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창 및 상기 제2창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창을 폐쇄하는 제1폐쇄위치와, 상기 제1폐쇄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창을 개방하는 제1개방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1도어;와, 상기 제2창을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와, 상기 제2폐쇄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창을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2도어;와, 일단부는 상기 제1도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도어에 결합되는 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상승하면 다른 하나의 도어가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와이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1폐쇄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2폐쇄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에 의해 상기 제1창 및 상기 제2창이 동시에 폐쇄되며,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1폐쇄위치로부터 상기 제1개방위치로 상승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폐쇄위치로부터 상기 제2개방위치로 하강하여 상기 제1창 및 상기 제2창이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1폐쇄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폐쇄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 중 다른 하나의 도어에 접촉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1개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1도어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개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2도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무게 차이는 10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의 벽체에는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창 및 상기 제2창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3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3벽체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3벽체 사이에서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와이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제3창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3도어;와, 상기 제3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서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와이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제3창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4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을 통해 에너지가 손실되거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창문을 용이하게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100)은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창을 개방 및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미닫이 도어 시스템(100)은 화로의 벽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건물의 벽체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도어가 설치될 수 있는 곳이면 그 제한은 없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벽체(3)는 제1벽체(1)와 제2벽체(2)로 이루어진다. 제1벽체(1)에는 제1창(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2벽체(2)는 제1벽체(1)와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2벽체(2)에는 제1창(1a)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창(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100)은 제1도어(10)와, 제2도어(20)와, 구동와이어(30)와, 도르레(40)를 포함한다.
제1도어(10)는 제1벽체에 형성된 제1창(1a)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어(10)는 후술한 구동와이어(30)에 연결되며, 제1폐쇄위치와 제1개방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제1벽체(1)와 제2벽체(2)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폐쇄위치는 제1도어(10)가 제1창(1a)을 폐쇄하는 위치로 도 1의 (A)에 도시된 위치이다. 그리고, 제1개방위치는 제1도어(10)가 제1폐쇄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제1창이 개방되는 위치이며, 도 1의 (B)에 도시된 위치이다.
제2도어(20)는 제2벽체에 형성된 제2창(2a)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제2도어(20)는 후술한 구동와이어(30)에 연결되며, 제2폐쇄위치와 제2개방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제1벽체(1)와 제2벽체(2)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2폐쇄위치는 제2도어(20)가 제2창(2a)을 폐쇄하는 위치로 도 1의 (A)에 도시된 위치이다. 그리고, 제2개방위치는 제2도어(20)가 제2폐쇄위치로부터 하강하여 제2창(2a)이 개방되는 위치이며, 도 1의 (B)에 도시된 위치이다.
그리고, 제2도어(20)는 제1도어(10)와 거의 동일한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는 제1도어와 제2도어의 무게 차이가 100g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도어(10)와 제2도어(20)의 무게를 동일하게 하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구동와이어에 매달린 상태에서 무게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제1도어 및 제2도어를 승강시킬 수 있다.
구동와이어(30)는 제1도어(10)와 제2도어(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동와이어(30)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상방에 설치된 도르레(40)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와이어(30)의 일단부는 제1도어(10)에 결합(연결)되고, 구동와이어(30)의 타단부는 제2도어(20)에 결합된다.
한편, 미닫이 도어 시스템(100)은 보조와이어(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조와이어(50)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하방에 설치된 보조도르레(60)에 지지되며, 보조와이어(50)의 일단부는 제1도어(10)에 결합되고, 보조와이어의 타단부는 제2도어(2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미닫이 도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0)에 의해 제1창(1a)이 폐쇄되고, 제2도어(20)에 의해 제2창(2a)이 폐쇄된 상태에서 구동와이어(30)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도어(10)가 제1개방위치로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제2도어(20)는 제2개방위치로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창(1a) 및 제2창(2a)이 개방되게 된다. 반대로, 제1창(1a) 및 제2창(2a)이 개방된 상태에서 구동와이어(30)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도어(10)가 제1폐쇄위치로 하강하여 제1창(1a)을 폐쇄하며, 제2도어(20)가 제2폐쇄위치로 상승하여 제2창(2a)을 폐쇄한다.
도르레(40)와 보조도르레(60) 등 도르레의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도르레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도르레가 이용될 경우, 도어들이 더욱더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를 이용하여 벽체에 형성된 창을 2중으로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창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동시에 소음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어(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면, 이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제2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1번의 조작만으로 2개의 도어를 모두 다 개방 또는 폐쇄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도어(10)와 제2도어(20)는 도르레에 의해 지지된 구동와이어(30)의 양단부에 매달려 있는데, 이때 제1도어(10)와 제2도어(20)가 동일한 무게를 가지므로 제1도어(10)와 제2도어(20)는 무게 평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승강시킬 때 매우 작은 힘만으로도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동와이어를 구동(잡아당기기)하기 위한 구동수단, 예를 들어 모터 등이 도르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버튼 조작으로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제1도어 및 제2도어를 가이드하는 레일 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도어 시스템(100)은 보조바퀴(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조바퀴(90)는 도어의 양측면에 설치된다. 도어의 승강시 도어가 흔들리면서 벽체에 부딪히게 될 우려가 있는데, 이와 같이 보조바퀴(90)를 설치하면 보조바퀴가 벽체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안정적으로 도어를 승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200)은 탄성유닛(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탄성유닛(70)을 포함하는데, 1개의 탄성유닛은 제1도어(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다른 1개의 탄성유닛(70)은 제2도어(2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각 탄성유닛(70)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0)가 제1폐쇄위치에 배치되고, 제2도어(20)가 제2폐쇄위치에 배치되면, 제1도어에 설치된 탄성유닛(70)은 제2도어(20)에 접촉되고, 제2도어(20)에 설치된 탄성유닛(70)은 제1도어(10)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탄성유닛(70)은 제1도어(10)와 제2도어(2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즉, 제1도어(10)는 제1벽(1)체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제1창에(1a) 완전히 밀착되게 되고, 제2도어(20)는 제2벽체(2)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제2창(2a)에 완전히 밀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제1벽체 및 제2벽체에 완전히 밀착되면, 창을 통해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과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0)와 제2도어(20)가 폐쇄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는 탄성유닛(70)이 도어들과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도어(10)와 제2도어(2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는 탄성유닛(70)과 도어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탄성유닛(70)이 고무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과정에서 도어와 탄성유닛 간의 마찰에 의해 탄성유닛이 마모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유닛의 외면을 강도가 높은 소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보호하도록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300)은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위치고정수단은 창을 개방한 상태에서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위치고정수단은 고정링(81)과 고정걸이(82)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81)은 제1벽체(1) 및 제2벽체(2)에 하나씩 설치된다. 고정걸이(82)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에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제1도어(10)가 제1폐쇄위치로 상승하면, 고정걸이(82)가 고정링(81)에 걸려서 제1도어(10)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제2도어(20)가 제2폐쇄위치로 하강하면, 고정걸이(82)가 고정링(81)에 걸려서 제2도어(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고정걸이(82)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예를 들어, 구동와이어에 의해 도어에 전달되는 힘)이 가해지면 휘어졌다가 다시 복원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걸이가 고정링에 걸리거나 또는 고정걸이가 고정링에서 걸림 해제될 때에는, 도 4에 확대되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걸이(82)가 어느 정도 휘어지면서 고정링(81)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의 벽체에는 제3벽체(4)가 더 마련된다. 제3벽체(4)는 제1벽체(1)와 제2벽체(2) 사이에 배치되며, 이 제3벽체에는 제1창(1a) 및 제2창(2a)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3창(4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400)은 제3도어(91) 및 제4도어(92)를 더 포함한다.
제3도어(91)는 구동와이어(30)에 연결되며, 제1벽체(1)와 제3벽체(4)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도어(10)가 제1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3도어(91)는 제3창(4a)을 막아서 폐쇄한다. 그리고, 제1도어(10)가 제1개방위치로 승강하면, 제3도어(91)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3창(4a)이 개방된다.
제4도어(92)는 구동와이어(30)에 연결되며, 제2벽체(2)와 제3벽체(4)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도어(20)가 제2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4도어(92)는 제3창(4a)을 막아서 폐쇄한다. 그리고, 제2도어(20)가 제2개방위치로 하강하면, 제4도어(92)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3창(4a)이 개방된다.
즉, 제1도어(10), 제2도어(20), 제3도어(91) 및 제4도어(92)는 구동와이어(30)의 움직임에 따라 동시에 제1창(1a), 제2창(2a) 및 제3창(4a)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한편, 상기한 도어들이 안정적으로 정해진 경로에 따라 승강되도록 보조와이어(50) 및 보조도르레(6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된 창을 4개의 도어를 이용하여 4중으로 폐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에너지 손실 및 소음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도어가 상호 연동되어 동시에 움직이므로, 용이하게 창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는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가 더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510)는 도어(10,20)에 결합되어서 도어와 함께 승강하다가 벽체(3)에 걸려서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520)를 벽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는 커튼부재(530)가 더 구비된다. 커튼부재(530)는 섬유 등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나아가 내열성이 우수하고 열차단 성능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튼부재(530)의 일단부는 벽체에 형성된 창(관통공)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도어(10)에 고정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커튼부재(530)는 두 겹으로 접혀서 도어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한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상승하면, 커튼부재의 일단부도 도어와 함께 상승하고, 이에 따라 창이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튼부재에 의해 열전달 및 소음전달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는 도어(10, 20)에서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또는 도어(10, 2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직각을 이루도록하는 다른 재질의 유닛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제1도어(10)는 '┏' 형태를 이루고, 제2도어(20)는 ' ┛' 형태를 이룬다. 도어들이 창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양 도어들(10, 20)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 형성된 부분은 와이어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유닛들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관하여 제안한다.
먼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유닛(540)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져, 휘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유닛은 도어와 접촉되면 변형되고, 이에 따라 도어가 벽체쪽으로 밀착된다.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유닛(550)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지며, 원통(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유닛은 도어와 접촉되면 변형되고, 이에 따라 도어가 벽체쪽으로 밀착된다.
또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유닛(560)은 바퀴 형태로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은 탄성유닛 가이드(580)를 더 포함한다. 탄성유닛 가이드(580)는 도어의 일측 상단부에 결합된다.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폐쇄될 때, 탄성유닛(570)은 먼저 탄성유닛 가이드에 접촉되고, 이 탄성유닛 가이드(58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점진적으로 변형이 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탄성유닛이 도어의 모서리에 부딪혀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유닛 가이드에 의해 탄성유닛이 점진적으로 변형되므로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1도어(1110)는 상단부가 흰지 결합되어,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도어(1120)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와이어(1130)의 일단부는 제1도어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도어에 결합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를 거치하는 도르레(114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제2도어(1120)가 상승하면 구동와이어(1130)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도어(1110)가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동시에 개방된다.
한편, 도 11의 (B)에서와 같이, 도르레(1140)의 위치를 변경하여주면, 제2도어(1120)가 하강할 때 제1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1도어(1210)는 상단부가 흰지 결합되어,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도어(1220)는 제1도어(121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흰지 결합된다. 제3도어(1230)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와이어(1240)의 일단부는 제3도어(123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도어(1220)에 결합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를 거치하는 복수의 도르레(1250)가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3도어(1230)가 하강하면 구동와이어(1240)가 잡아당겨지고, 이에 따라 제1도어(1210) 및 제2도어(1220)가 접히면서 창(관통공)이 개방되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어(1220)의 하단부에 제4도어(126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면(나머지 구성 즉 제1도어, 제2도어, 제3도어 및 구동와이어의 구조는 제11과 동일), 제3도어(1330)가 하강하였을 때, 도 13에서와 같이 제1도어, 제2도어 및 제4도어가 이동되면서 창이 개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미닫이 도어 시스템 10...제1도어
20...제2도어 30...구동와이어
40...도르레 50...보조와이어
60...보조도르레 70...탄성유닛
81...고정링 82...고정걸이
91...제3도어 92...제4도어
1...제1벽체 1a...제1창
2...제2벽체 2a...제2창
4...제3벽체 4a...제3창

Claims (5)

  1. 제1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1벽체와, 상기 제1벽체와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창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2벽체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창 및 상기 제2창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창을 폐쇄하는 제1폐쇄위치와, 상기 제1폐쇄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창을 개방하는 제1개방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1도어;
    상기 제2창을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와, 상기 제2폐쇄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창을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2도어;
    일단부는 상기 제1도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도어에 결합되는 구동와이어; 및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상승하면 다른 하나의 도어가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와이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1폐쇄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2폐쇄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에 의해 상기 제1창 및 상기 제2창이 동시에 폐쇄되며,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1폐쇄위치로부터 상기 제1개방위치로 상승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폐쇄위치로부터 상기 제2개방위치로 하강하여 상기 제1창 및 상기 제2창이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1폐쇄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폐쇄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 중 다른 하나의 도어에 접촉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1개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1도어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개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2도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무게 차이는 10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벽체에는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창 및 상기 제2창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3창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3벽체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3벽체 사이에서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와이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제3창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3도어; 및
    상기 제3벽체와 상기 제2벽체 사이에서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와이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제3창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4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시스템.
KR1020140040833A 2014-04-04 2014-04-04 미닫이 도어 시스템 KR10154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833A KR101548663B1 (ko) 2014-04-04 2014-04-04 미닫이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833A KR101548663B1 (ko) 2014-04-04 2014-04-04 미닫이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663B1 true KR101548663B1 (ko) 2015-09-14

Family

ID=5424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833A KR101548663B1 (ko) 2014-04-04 2014-04-04 미닫이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02B1 (ko) 2020-08-04 2020-11-24 조석근 접이식 도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8818A (ja) 2005-05-26 2006-12-07 Ykk Ap株式会社 建具
JP2008223413A (ja) 2007-03-15 2008-09-25 Miwa Lock Co Ltd 上げ下げ窓の落下防止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8818A (ja) 2005-05-26 2006-12-07 Ykk Ap株式会社 建具
JP2008223413A (ja) 2007-03-15 2008-09-25 Miwa Lock Co Ltd 上げ下げ窓の落下防止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02B1 (ko) 2020-08-04 2020-11-24 조석근 접이식 도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3219B2 (en) Self-locking balance weight-type insulated glass assembly with internal blinds
KR10173242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US20090288344A1 (en) Cable Brake Bracket
KR101548663B1 (ko) 미닫이 도어 시스템
CN104001706B (zh) 通风柜
KR101830910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장치
JP2012218897A (ja) エレベータ
KR101114554B1 (ko) 침수방지용 건축물의 실내개폐문
CN204646044U (zh) 双层中空玻璃内置百叶窗
JP2009526144A (ja) 衝突後の損傷を軽減させる産業用巻き取り形ドアの羽根板案内システム
JP5478584B2 (ja) 電磁波シールド引き戸
KR100907605B1 (ko) 도어용 안전경첩
KR101588239B1 (ko) 도어 차폐장치
JP6785601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ドア遮煙装置
JP7335790B2 (ja) 屋外設置昇降機のケーブルガイド装置
JP200626485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190001591A (ko) 자석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문턱 승강장치
CN204311893U (zh) 走入式通风柜
KR100985050B1 (ko) 자동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한 미서기 문
KR101246559B1 (ko) 마찰감소 구조를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리프팅장치
JP5479393B2 (ja) 免震スリットカバー構造
JP6257233B2 (ja) 防水板装置
JP5705438B2 (ja) 窓サッシ
KR101894841B1 (ko) 엘리베이터 출입문용 손 끼임 방지구
KR20180000956A (ko)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