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420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420B1
KR101732420B1 KR1020160032409A KR20160032409A KR101732420B1 KR 101732420 B1 KR101732420 B1 KR 101732420B1 KR 1020160032409 A KR1020160032409 A KR 1020160032409A KR 20160032409 A KR20160032409 A KR 20160032409A KR 101732420 B1 KR101732420 B1 KR 101732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levator
elevator door
hinge
f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만
Original Assignee
조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만 filed Critical 조용만
Priority to KR102016003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외벽프레임(130) 및 엘리베이터 프레임(140)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고정부(211)와,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모양은 일부가 개방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힌지결합홈(217)과,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4)와, 힌지결합홈(217)에 끼워져 힌지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봉(215)이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6)가 형성된 경질유동부(212)와, 경질유동부(213)에서 결합봉(215)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결합된 연질유동부(213) 및, 고정부(211)의 걸림부(214) 및 경질유동부(212)의 걸림부(216)에 양 끝을 걸어 결합되는 스프링(218)으로 이루어지며, 힌지결합된 경질유동부(212)는 스프링(218)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유동하도록 형성되어 경질유동부(212)의 끝부분에 형성된 연질유동부(213)가 열고 닫히는 엘리베이터 도어(110)의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힌지결합과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안전패드(경질유동부와 연질유동부)가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도어의 유동틈새가 없도록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 FINGER FROM INSERTING IN A DO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외벽프레임(130) 및 엘리베이터 프레임(140)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고정부(211)와,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모양은 일부가 개방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힌지결합홈(217)과,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4)와, 힌지결합홈(217)에 끼워져 힌지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봉(215)이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6)가 형성된 경질유동부(212)와, 경질유동부(213)에서 결합봉(215)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결합된 연질유동부(213) 및, 고정부(211)의 걸림부(214) 및 경질유동부(212)의 걸림부(216)에 양 끝을 걸어 결합되는 스프링(218)으로 이루어지며, 힌지결합된 경질유동부(212)는 스프링(218)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유동하도록 형성되어 경질유동부(212)의 끝부분에 형성된 연질유동부(213)가 열고 닫히는 엘리베이터 도어(110)의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수직 승강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대부분의 아파트, 고층건물 등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엘리베이터 승객, 특히 어린이들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동 틈새로 손가락이 끼는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종래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1442577호에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동틈새에 손가락이 끼었을 때 틸팅플레이트를 후진시켜 틈새를 벌려 손가락을 빼 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사후적이 조치의 기술이었으며,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332674호에 엘리베이터 도어에 근접하는 ㄷ자형 고무를 설치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여전히 틈새가 존재하고 강한 힘으로 틈새로 문과함께 끼어 들어가는 손가락을 탄성고무로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도어와 외벽프레임 사이, 그리고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도어 유동틈새로 손가락이 끼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요망되었으며, 본 발명은 외벽프레임 및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연질유동부 또는 경질유동부에 형성된 버러쉬가 접하도록 형성하여 도어의 유동틈새가 없도록 구성한 것으로 손가락이 도어의 유동틈새로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힌지결합과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경질유동부와 연질유동부가 유동되도록 형성하여 개폐되는 엘리베이트 도어 표면에 연질유동부 및/또는 경질유동부에 형성된 버러쉬, 부직포가 접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유동틈새로 손가락 또는 손이 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외벽프레임(130) 및 엘리베이터 프레임(140)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고정부(211)와,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모양은 일부가 개방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힌지결합홈(217)과,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4)와, 힌지결합홈(217)에 끼워져 힌지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봉(215)이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6)가 형성된 경질유동부(212)와, 경질유동부(213)에서 결합봉(215)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결합된 연질유동부(213) 및, 고정부(211)의 걸림부(214) 및 경질유동부(212)의 걸림부(216)에 양 끝을 걸어 결합되는 스프링(218)으로 이루어지며, 힌지결합된 경질유동부(212)는 스프링(218)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유동하도록 형성되어 경질유동부(212)의 끝부분에 형성된 연질유동부(213)가 열고 닫히는 엘리베이터 도어(110)의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질유동부(212)에서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버러쉬 또는 부직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미닫이문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110)는 외벽프레임(130)과 엘리베이터 프레임(140)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공간(150)으로 들어가고 나오면서 개폐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런데 엘리베이터 도어(110)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와 외벽프레임 사이 및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는 유동틈새가 형성되며 이 유동틈새로 도어와 함께 손가락이 끼어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하곤 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동틈새로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기술과는 달리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보호패드(연질유동부 및 경질유동부)를 회전유동시켜 보호패드가 도어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도어와 외벽프레임 사이 및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유동틈새가 없도록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활짝 열린 상태에서는 보호패드(연질유동부 및 경질유동부)는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접히게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출입구 통행에 장애를 감소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벽프레임 및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고정부를 부착 설치되며 힌지결합과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경질유동부와 연질유동부가 회전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연질유동부(213) 또는 경질유동부(212)에 형성된 부직포, 버러쉬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접촉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비교적 얇은 연질유동부가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도어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열리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따라 손이 유동틈새로 가다가 연질유동부에 부딪치면서 연질유동부 위로 손이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되어 효과적으로 손끼임 사고를 방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호패드가 접촉한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유동부 또는 연질유동부에서 도어와 접촉하는 부분에 버러쉬나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힌지결합과 스프링 탄성에 의해 보호패드(연질유동부(213) 및 경질유동부(121))가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동틈새를 없앤 것으로, 열리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따라 유동틈새로 끼어 들어가던 손은 자연스럽게 보호패드 위로 올라 오게 되면서 유동틈새로 손 끼임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활짝 열린 상태에서는 보호패드(연질유동부 및 경질유동부)가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전유동하여 접히게 되어 엘리베이터 출입구 통행에 장애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질유동부 및/또는 연질유동부에서 도어와 접촉하는 부분에 버러쉬 또는 부직포를 형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리고 닫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도 1:본 발명의 손끼임 방지장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도 2의 설치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4:접촉부분에 버러쉬 또는 부직포가 형성된 실시예이다.
도 4:엘리베이터 도어에 마찰감소부재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고무의 탄성을 이용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끼임 방지장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의 손끼임 방지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트 출입구 양쪽의 외벽프레임(130)과 엘리베이터 프레임(140)에 부착 설치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끼임 방지장치(210)는 외벽프레임(130)과 엘리베이터프레임(140)에 고정부(211)가 부착되며,
경질유동부(212)는 고정부와 힌지결합되어 안전패드(경질유동부와 연질유동부)는 스프링(218)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유동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경질유동부(212)는 경질 PVC합성수지, PE, PP 등으로 형성되며, 연질유동부(213)는 경질유동부(212)의 끝부분에 이형압출성형, 접착제접착, 돌출구-돌출홈에 의한 결합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되며, 연질유동부(213)은 PVC 이형압출시 미끄러짐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파라핀 등의 첨가제를 혼합한다.
경질유동부(212)의 결합봉(215)을 고정부(211)의 힌지결합홈(217)에 끼워서 결합한 다음, 스프링(218)을 걸림부(214,216)에 걸게 되면 스프링(218)의 인장력에 의해 힌지부를 중심으로 안전패드(경질유동부와 연질유동부)는 회전유동하게 되며, 스프링(218)은 하나의 손끼임 방지장치(110)에 1개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장스프링,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도 2와 도 3에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안전패드(경질유동부와 연질유동부)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엘리베이터 도어(110)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연질유도부(213)가 도어 표면에 접촉되어 도어의 유동틈새로 없어지기 때문에 손이 도어를 따라 유동틈새로 끼어 들어가다 안전패드 위로 자연스럽게 올라오게 되어 유동틈새에 끼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경질유동부(212)에서 도어와 접하는 부분에 버러쉬(219)를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리고 닫히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킨 것이며, 버러쉬 대신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일부에 유리시트 또는 수지시트를 형성한 마찰감소부재(250)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이 매끈하지 못한 경우가 많고, 이 경우 표면과 접하는 연질유도부(213)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마모방지를 소정 두께의 마찰방지부재를 형성한 것이다.
도 6은 도2,3의 힌지결합 및 스프링 대신, 고정부(311)과 경질유동부(312) 사이에 고무(321)를 접착하여 고무(321)의 탄성에 의해 경질유동부(312) 및 연질유동부(313)이 유동하도록 형성한 것이며, 이와 같이 고무탄성에 의해 연질유동부가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결합은 힌지결합홈(217)과 결합봉(215)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구멍에핀을 꽂아서 형성된 구멍-핀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범주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110:엘리베이터 도어 130:외벽프레임 135:고정부재 140:엘리베이터 프레임 150:유동공간 210:손끼임 방지장치 211:고정부 212:경질유동부 213:연질유동부 214,216:걸림부 217:힌지결합홈 218:스프링 215:결합봉 219:버러쉬 250:마찰감소부재

Claims (2)

  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외벽프레임(130) 및 엘리베이터 프레임(140)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고정부(211)와,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모양은 일부가 개방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힌지결합홈(217)과,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4)와,

    힌지결합홈(217)에 끼워져 힌지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봉(215)이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6)가 형성된 경질유동부(212)와,

    경질유동부(212)에서 결합봉(215)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결합된 연질유동부(213) 및,

    고정부(211)의 걸림부(214) 및 경질유동부(212)의 걸림부(216)에 양 끝을 걸어 결합되는 스프링(218)으로 이루어지며,

    힌지결합된 경질유동부(212)는 스프링(218)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유동하도록 형성되어 경질유동부(212)의 끝부분에 형성된 연질유동부(213)가 열고 닫히는 엘리베이터 도어(110)의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질유동부(212)는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버러쉬(219) 또는 부직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20160032409A 2016-03-17 2016-03-17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1732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09A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6-03-17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09A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6-03-17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420B1 true KR101732420B1 (ko) 2017-05-04

Family

ID=5874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409A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6-03-17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4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00Y1 (ko) 2017-07-31 2018-01-03 (주)현대기업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KR101985519B1 (ko) 2018-06-22 2019-06-03 이예원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141494B1 (ko) * 2019-11-19 2020-08-05 문창식 손 끼임 방지 장치 및 손 끼임 방지 문
KR20210025797A (ko) 2019-08-28 2021-03-10 윔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문 손끼임 방지장치
KR20210054702A (ko) 2019-11-06 2021-05-14 이예원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638557B1 (ko) 2023-05-23 2024-02-20 이성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5791A2 (en) 2004-07-13 2006-01-19 Kone Corporation Safety device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5791A2 (en) 2004-07-13 2006-01-19 Kone Corporation Safety device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00Y1 (ko) 2017-07-31 2018-01-03 (주)현대기업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KR101985519B1 (ko) 2018-06-22 2019-06-03 이예원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20210025797A (ko) 2019-08-28 2021-03-10 윔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문 손끼임 방지장치
KR20210054702A (ko) 2019-11-06 2021-05-14 이예원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141494B1 (ko) * 2019-11-19 2020-08-05 문창식 손 끼임 방지 장치 및 손 끼임 방지 문
KR102638557B1 (ko) 2023-05-23 2024-02-20 이성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42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US9212518B2 (en) Control device for shades
JP4299573B2 (ja) エレベータの扉装置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US7360804B1 (en) Articles,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noise and/or vibrations in hotel/motel doors
RU2658278C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от падения для створок, дверей, входных дверей, откидывающихся вверх дверей, окон, фрамуг
KR20190041628A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1779765B1 (ko)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1674059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US20080256873A1 (en) Automatic sliding door closing device
US20130240661A1 (en) Chain Guide for a Roller Blind or Roller Shade
KR101169607B1 (ko) 안전문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KR101912838B1 (ko) 승강기 도어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200485400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KR101987488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JP2004026316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KR101548663B1 (ko) 미닫이 도어 시스템
JP6785601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ドア遮煙装置
JP62299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US20200115191A1 (en) Elevator Door Device
KR101981984B1 (ko)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2382839B1 (ko) 손 끼임 방지 겸용 도어 고정 장치
JP5492358B2 (ja) エレベータ用敷居閉塞体の異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