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519B1 -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519B1
KR101985519B1 KR1020180072216A KR20180072216A KR101985519B1 KR 101985519 B1 KR101985519 B1 KR 101985519B1 KR 1020180072216 A KR1020180072216 A KR 1020180072216A KR 20180072216 A KR20180072216 A KR 20180072216A KR 101985519 B1 KR101985519 B1 KR 10198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shaft
plate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원
Original Assignee
이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원 filed Critical 이예원
Priority to KR102018007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틈새에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틈새에 손이 들어가는 순간 틈새가 차단되어 손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는 도어 손 끼임 장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의 플레이트 일면에 지지부에 의해 축부가 형성되며, 프레임 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수평의 플레이트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축공을 형성하여 고정 프레임의 축부와 결합됨으로써 축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동 프레임이 일측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복귀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는 도어 작동 시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고, 스크레치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손가락이 끼려는 순간 회동 프레임이 틈새를 차단하여 더 이상 손가락이 진입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가락의 골절 및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FINGER GUARD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틈새에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틈새에 손이 들어가는 순간 틈새가 차단되어 손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는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도어는 옆으로 슬라이딩하여 열고 닫히는 형태의 도어를 말한다. 이러한 미닫이 도어는 창호, 출입문, 엘리베이터 등 여러 곳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 도어의 평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도어(3)와, 도어(3)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 프레임 틀(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어(3)와 프레임 틀(1)은 도어(3) 슬라이딩 시 간섭되지 않도록 틈새(G)가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틈새(G)에 손이 끼어 손가락 골절 및 피부가 긁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특히, 어린 아이의 경우 호기심 및 장난에 의해 더욱 많이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특허가 제10-1442577호로 등록되었는바, 도어의 틈새에 손가락이 끼었을 때 틸팅되는 플레이트를 후진시켜 틈새를 벌림으로써 손가락을 빼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이미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 조치하는 구조이므로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32674호는 도어에 근접하는 'ㄷ'모양의 고무를 설치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고 있으나,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여 여전히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732420호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외벽프레임 및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와, 고정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모양은 일부가 개방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힌지결합홈과, 고정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힌지결합홈에 끼워져 힌지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봉이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된 경질유동부와, 경질유동부에서 결합봉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결합된 연질유동부 및, 고정부의 걸림부 및 경질유동부의 걸림부에 양끝을 걸어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힌지결합된 경질유동부는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 유동하도록 형성되어 경질유동부의 끝 부분에 형성된 연질유동부가 열고 닫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하여, 틈새를 완벽히 차단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차단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슬라이딩하는 도어와 연질 유동부가 항시 접촉되기 때문에 연질 유동부의 마모가 발생하여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 및 마찰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 제10-1442577호(2014.09.15) KR 등록실용신안 제20-0332674호(2003.10.30) KR 등록특허 제10-1732420호(2017.04.26)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기존과 같이 넓은 틈새를 유지하면서 도어의 슬라이딩 시 전혀 간섭이 없고 틈새에 손가락이 끼려 하는 순간 틈새가 차단되어 손가락이 삽입되지 않는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는,
수평의 플레이트 일면에 지지부에 의해 축부가 형성되며, 프레임 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수평의 플레이트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축공을 형성하여 고정 프레임의 축부와 결합됨으로써 축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동 프레임이 일측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복귀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지지부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로 구성하여 제1 축부와 제2 축부를 나란히 형성하고, 제1 축부에는 회동 프레임을, 제2 축부에는 보조 회동 프레임을 설치하되,
상기 회동 프레임은 축공을 중심으로 플레이트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편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회동 프레임은 플레이트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축공을 형성하여 제2 축부와 결합되며, 축공을 중심으로 플레이트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눌림편을 돌출 형성하여 회동 프레임 회동 시 가압편에 눌림편이 눌려 보조 회동 프레임이 연동하여 같이 회동하고,
상기 보조 회동 프레임의 축공으로부터 플레이트 말단까지의 길이는 회동 프레임의 축공으로부터 플레이트 말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지지부는 플레이트 방향은 넓고 축부 방향은 좁은 삼각의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축부와의 경계부는 축부 지름보다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프레임은 개방된 일단부가 지지부의 일단부에 밀착될 경우 고정 프레임 및 회동 프레임의 플레이트는 서로 직교하도록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프레임 또는 보조 회동 프레임은 플레이트 말단에 쿠션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은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자석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은 수평의 판을 다단 절취 및 절곡시켜 형성한 것으로, 고정 프레임의 양 지지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양 고정편 사이에 구비되면서 회동 프레임 방향으로 이단 절곡되면서 말단이 둥굴게 만곡진 제1 탄지편과, 제1 탄지편의 반대 방향 즉, 보조 회동 프레임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탄지편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는 도어 작동 시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고, 스크레치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손가락이 끼려는 순간 회동 프레임이 틈새를 차단하여 더 이상 손가락이 진입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가락의 골절 및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회동 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틈새가 클 경우 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틈새가 다른 모든 도어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압출 성형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제조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판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수평의 플레이트(11) 일면에 지지부(12)에 의해 축부(13)가 형성되며, 프레임 틀(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수평의 플레이트(21)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축공(22)을 형성하여 고정 프레임(10)의 축부(13)와 결합됨으로써 축부(13)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20); 및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회동 프레임(20)이 일측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복귀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사각의 기다란 플레이트(11)의 일면에 삼각의 단면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12)의 말단에 축부(30)가 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는 플레이트(11) 방향은 넓고 축부(13) 방향은 좁은 삼각의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축부(13)와의 경계부는 축부(13) 지름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에는 다수의 체결공(14)이 관통 형성되어 나사(2)에 의해 프레임 틀(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10)의 축부(13)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것으로, 기다란 플레이트(21) 일면에 고정 프레임(10)의 축부(13)가 삽입되는 축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축공(22)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개방된 부분의 폭은 축부(13)의 지름보다 약간 좁게 형성하여 결합된 축부(13)가 개방된 부분을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축공(22)의 개방된 양 단부는 지지부(12)의 경사진 양 단부와 각각 밀착되어 회동 프레임(20)이 회동하는 각을 한정토록 한다. 그러므로 지지부(12)의 경사진 각도와 축공(22)의 개방된 단부의 각도에 따라 회동 프레임(20)의 한계 회동 각이 결정되는 것이다. 축공(22)의 개방된 양 단부 중 일단부와 지지부(12)의 일단부가 밀착될 때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의 플레이트(11, 21)는 서로 직교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의 플레이트(11, 21)가 직교할 때 손이 끼이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회동 프레임(20)의 플레이트(21) 말단(21')은 축공(22)의 일측에 위치함에 따라 회동 플레이트(20) 회동 시 틈새(G) 방향으로 돌출되게 됨으로써 틈새(G)가 좁아지는데, 축공(22)과 플레이트(21)의 간격이 멀수록 회동 시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가 멀어지므로 틈새(G)의 넓이에 맞추어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수단은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회동 프레임(20)이 일측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판 스프링(50), 코일 스프링, 자석 등이 사용되며, 고정 프레임(10) 및 회동 프레임(20)의 형상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복귀수단에 의해 회동 프레임(20)이 외력에 의해 회동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의 축부(13)와 회동 프레임(20)의 축공(22)이 결합되어 회동 프레임(20)은 틈새(G) 방향을 향한다. 이때, 회동 프레임(20)의 일단은 고정 프레임(10)의 지지부(12) 일단에 밀착되어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의 플레이트(11, 21)는 서로 수직인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이 틈새(G) 방향으로 들어오면 손가락이 회동 프레임(20)을 건드리게 되고, 회동 프레임(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이 누르는 힘에 의해 축공(22)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플레이트(21)의 말단(21')이 틈새(G)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틈새(G)의 공간을 최소화하거나 도어(3)에 밀착된다. 따라서 손이 끼일 틈새(G)가 사라짐으로써 손의 부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회동 프레임(20)을 누르던 손이 제거되면 회동 프레임(20)은 복원수단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다시 틈새(G)가 발생하고 도어(3) 슬라이딩 시 간섭이 없으므로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판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틈새(G)가 넓은 경우 회동 프레임(20)과 연동되어 회동하는 보조 회동 프레임(30)을 더 구비하여 넓은 틈새(G)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지지부(12)는 제1 지지부(12a)와 제2 지지부(12b)로 구성한다. 제1 지지부(12a)에는 제1 축부(13a)가 형성되고, 제2 지지부(12b)에는 제2 축부(13b)가 형성된다. 제1 축부(13a)와 제2 축부(13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1 축부(13a)에는 회동 프레임(20)이 설치되며, 제2 축부(13b)에는 보조 회동 프레임(30)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 회동 프레임(30)은 축공(22)을 중심으로 플레이트(21) 반대 방향으로 가압편(23)이 돌출 형성되어 회동 프레임(20)의 플레이트(21)가 회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가압편(23)이 회동한다.
상기 보조 회동 프레임(30)은 플레이트(31)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축공(32)을 형성하여 제2 축부(13b)와 결합되며, 축공(32)을 중심으로 플레이트(3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눌림편(33)을 돌출 형성하여 보조 회동 프레임(30)의 플레이트(31)가 회동 하는 반대 방향으로 눌림편(33)이 회동한다.
상기 회동 프레임(20)의 가압편(23)과 보조 회동 프레임(30)의 눌림편(33)은 움직임 시 간섭되도록 근접하게 위치되어 회동 프레임(20) 회동시 가압편(23)이 눌림편(33)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보조 회동 프레임(30)도 연동하여 같이 회동한다. 단, 보조 회동 프레임(30)은 회동 프레임(20)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상기 보조 회동 프레임(30)의 축공(32)으로부터 플레이트(31) 말단(31')까지의 길이는 회동 프레임(20)의 축공(22)으로부터 플레이트(21) 말단(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회동 시 보조 회동 프레임(30)은 회동 프레임(20)보다 도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더욱 크다.
여기서 상기 보조 회동 프레임(30)의 돌출 정도는 축공(32)으로부터 플레이트(31) 말단(31')까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길이는 보조 회동 프레임(30)의 측 방향 즉, 축공(32)으로부터 플레이트(31)의 간격을 설계하면 된다. 이러한 길이 변경은 틈새(G) 방향으로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회동 시에만 영향을 미치므로 얼마든지 조절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 회동 프레임(30)은 그 말단에 슬롯(34)이 형성되고, 이 슬롯(34)에 쿠션부재(40)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쿠션부재(40)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고무, 스펀지, 우레탄 등이 이용되며, 손이 끼일 때 손의 충격을 보호하고,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며, 틈새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복귀수단은 판 스프링(50)이 이용되며, 판 스프링(50)은 수평의 얇은 판을 다단 절취 및 절곡시켜 형성한다. 상기 판 스프링(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의 양 지지부(12a, 12b)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편(51)과, 양 고정편(51) 사이에 구비되면서 회동 프레임(20) 방향으로 이단 절곡되면서 말단이 둥굴게 만곡진 제1 탄지편(52)과, 제1 탄지편(52)의 반대 방향 즉, 보조 회동 프레임(30)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탄지편(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탄지편(52)과 제2 탄지편(53)은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성질에 의해 회동 프레임(20) 및 보조 회동 프레임(30)의 회동 시 휘어졌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회동 프레임(20) 및 보조 회동 프레임(30)을 복원시킨다.
이러한 판 스프링(50)은 제조가 손쉽고 고정 프레임(10)의 양 지지부(12a, 12b) 사이에 끼워 넣은 방법에 의해 설치 완료되므로 매우 손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성으로 두 개의 반대되는 구성을 각각 개별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1 : 프레임 틀 2 : 나사
3 : 도어 10 : 고정 프레임
11, 21, 31 : 플레이트 11', 21', 31' : 말단
12 : 지지부 12a : 제1 지지부
12b : 제2 지지부 13 : 축부
13a : 제1 축부 13b : 제2 축부
14 : 체결공 20 : 회동 프레임
22, 32 : 축공 23 : 가압편
30 : 보조 회동 프레임 33 : 눌림편
34 : 슬롯 40 : 쿠션부재
50 : 판 스프링 51 : 고정편
52 : 제1 탄지편 53 : 제2 탄지편
100 : 손 끼임 방지장치

Claims (5)

  1. 수평의 플레이트(11) 일면에 지지부(12)에 의해 축부(13)가 형성되며, 프레임 틀(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수평의 플레이트(21)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축공(22)을 형성하여 고정 프레임(10)의 축부(13)와 결합됨으로써 축부(13)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20); 및
    고정 프레임(10)의 일측으로 회동 프레임(20)이 위치되도록 하는 복귀수단;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개방된 일단부가 지지부(12)의 경사진 일단부에 밀착될 경우 고정 프레임(10) 및 회동 프레임(20)의 플레이트(11, 21)는 서로 직교하도록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2. 수평의 플레이트(11) 일면에 지지부(12)에 의해 축부(13)가 형성되며, 프레임 틀(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수평의 플레이트(21)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축공(22)을 형성하여 고정 프레임(10)의 축부(13)와 결합됨으로써 축부(13)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20); 및 고정 프레임(10)의 일측으로 회동 프레임(20)이 위치되도록 하는 복귀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지지부(12)는 제1 지지부(12a)와 제2 지지부(12b)로 구성하여 제1 축부(13a)와 제2 축부(13b)를 나란히 형성하고, 제1 축부(13a)에는 회동 프레임(20)을, 제2 축부(13b)에는 보조 회동 프레임(30)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축공(22)을 중심으로 플레이트(21)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편(23)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회동 프레임(30)은 플레이트(31)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축공(32)을 형성하여 제2 축부(13b)와 결합되며, 축공(32)을 중심으로 플레이트(3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눌림편(33)을 돌출 형성하여 회동 프레임(20) 회동 시 가압편(23)에 눌림편(33)이 눌려 보조 회동 프레임(30)이 연동하여 같이 회동하고,
    상기 보조 회동 프레임(30)의 축공(32)으로부터 플레이트(31) 말단(31')까지의 길이는 회동 프레임(20)의 축공(22)으로부터 플레이트(21) 말단(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지지부(12)는 플레이트(11) 방향은 넓고 축부(13) 방향은 좁은 삼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축부(13)와의 경계부는 축부(13) 지름보다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20) 또는 보조 회동 프레임(30)은 플레이트(21, 31) 말단에 쿠션부재(4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5. 삭제
KR1020180072216A 2018-06-22 2018-06-22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985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16A KR101985519B1 (ko) 2018-06-22 2018-06-22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16A KR101985519B1 (ko) 2018-06-22 2018-06-22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519B1 true KR101985519B1 (ko) 2019-06-03

Family

ID=6684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216A KR101985519B1 (ko) 2018-06-22 2018-06-22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5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136A (ko) 2019-08-22 2021-03-04 윔코리아 주식회사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20210026917A (ko) 2019-09-02 2021-03-10 윔코리아 주식회사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20210054702A (ko) * 2019-11-06 2021-05-14 이예원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674Y1 (ko) 1998-03-24 2004-03-18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7-05-04 조용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674Y1 (ko) 1998-03-24 2004-03-18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7-05-04 조용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136A (ko) 2019-08-22 2021-03-04 윔코리아 주식회사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20210026917A (ko) 2019-09-02 2021-03-10 윔코리아 주식회사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20210054702A (ko) * 2019-11-06 2021-05-14 이예원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347346B1 (ko) 2019-11-06 2022-01-05 이예원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51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510659B1 (ko) 도어핸들을 이용한 안전도어락
US8950040B2 (en) Door jamb injury protector
KR101948131B1 (ko) 손끼임 방지장치
KR101554332B1 (ko) 방충망 프레임에 설치되는 안전잠금장치
WO2005001227A1 (ja) 引戸の戸閉装置
CA2862498A1 (en) Blocking closure of a passageway
JP3467551B2 (ja) 扉の戸当たり緩衝装置
KR101995239B1 (ko) 강화유리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2347346B1 (ko)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PT869239E (pt) Ferragem de fecho para dispositivo de abertura corredico de porta janela ou semelhante
JP4089879B2 (ja) 扉の異物引き込み防止装置
KR100619737B1 (ko)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KR20110078460A (ko) 출입문의 급속개폐 방지용 안전장치
KR200368411Y1 (ko) 출입문 안전장치
JP2004150153A (ja) 安全機構付引き手
KR200176161Y1 (ko) 미닫이문 안내장치
KR20210006545A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US3393464A (en) Adjustable sign for automotive vehicle doors
KR200236292Y1 (ko) 여닫이식 유리문용 손 보호구
KR20200127471A (ko) 손끼임 방지 장치
JP6713697B2 (ja) 引戸用指挟み防止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引き戸装置
KR101515002B1 (ko) 안전 도어록
KR102638557B1 (ko)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AU2001267685A1 (en) Friction stay with anti tamp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