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577B1 -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577B1
KR101442577B1 KR1020130150358A KR20130150358A KR101442577B1 KR 101442577 B1 KR101442577 B1 KR 101442577B1 KR 1020130150358 A KR1020130150358 A KR 1020130150358A KR 20130150358 A KR20130150358 A KR 20130150358A KR 101442577 B1 KR101442577 B1 KR 101442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tilting
han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이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연 filed Critical 이호연
Priority to KR102013015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이용자의 손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를 구성하는 일부분인 틸팅플레이트를 후진시키도록 틸팅시키거나 또는 도어의 표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웃터플레이트를 후진시켜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벌려주어 이용자가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손을 빼낼 수 있어 손가락이 낀 상태에서 사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손가락의 골절이나 피부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Safety device of elevator for hand protection using tilting function}
본 발명은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중에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는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손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전하게 빼낼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프레임을 틸팅하는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권상기와,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 및 권상기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장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승장도어는 승장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승장프레임과 승장도어 사이에 틈이 존재하고 카도어는 카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카프레임과 카도어 사이에 틈이 존재해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에서 대기시 손을 승장도어의 틈 주위에 대고 있거나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카도어의 틈 주위에 손을 대고 있는 상태에서, 승장도어 및 카도어가 열리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경우, 손을 미처 승장도어 또는 카도어로부터 떼지 못해 승장도어 및 승장프레임 사이나 카도어 및 카프레임의 틈으로 손이 끼게 되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주의력이 부족하므로 승장프레임과 승장도어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게 되는 안전 사고의 우려가 많았다.
이와 같은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일 예로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238068호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에 구비되는 카프레임과 승장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구동용 모터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표면에 구비되어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는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와,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인체의 미세전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의 테두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로 빛을 조사하는 제1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도성 도파로시트에 손이 접촉되어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도어를 강제 제어하여 손이 엘리베이터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도성 도파로시트로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손 끼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수 있어 시각적인 경각심도 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를 통해 제안한 안전장치는 사전에 승장도어 및 승장프레임 사이나 카도어 및 카프레임의 틈으로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예방적인 기능은 수행이 가능하지만,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이미 손이 끼인 상태에서는 도어의 구동이 정지되더라도 도어와 프레임이 손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이용자가 손을 빼기 어렵고, 손을 빼는 과정에서 당황하여 손가락의 골절이나 피부의 손상 등을 유발할 우려가 매우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후적으로 손이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틈새로 손이 끼이는 경우 엘리베이터 프레임을 틸팅시켜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벌려주어 이용자가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손을 빼낼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손 끼임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엘리베이터 도어를 정지시켜 이용자의 손가락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손끼임 발생을 감지하는 손끼임감지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팅플레이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프레임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플레이트를 틸팅시키는 틸팅구동수단과, 상기 손끼임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틸팅구동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틸팅플레이트를 후진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손끼임감지수단은 상기 틸팅플레이트의 측면에 부착되는 전기전도성 도파로시트 또는 전기전도성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끼임감지수단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프레임 상하측에 구비되는 레이저빔 발광부와 레이저빔 수광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플레이트는 엘리베이터 카용 틸팅플레이트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끼임감지수단은 엘리베이터 카용 틸팅플레이트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용 손끼임감지수단과 승장용 손끼임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틸팅구동수단은 엘리베이터 프레임인 승장프레임 및 카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카용 틸팅플레이트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를 틸팅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손끼임감지수단을 통한 감지신호가 제어수단으로 입력되면 도어구동용 모터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동하는 제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동수단은 모터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프레임 상측에는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가 일체로 구비되고 일측에 구비되는 종동기어를 통해 와이어로 연동되고, 상기 카도어의 상단을 지지하는 행거플레이트는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며,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종동기어의 측면을 가압하는 전자식 브레이크패드 또는, 상기 행거플레이트의 측면을 가압하는 전자식 브레이크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손끼임 발생을 감지하는 손끼임감지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표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웃터플레이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를 틸팅시키는 틸팅구동수단과, 상기 손끼임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틸팅구동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를 후진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틸팅구동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를 틸팅하는 제3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끼임감지수단은 엘리베이터 프레임의 측면에 부착되는 전기전도성 도파로시트 또는 전기전도성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이용자의 손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를 구성하는 일부분인 틸팅플레이트를 후진시키도록 틸팅시키거나 또는 도어의 표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웃터플레이트를 후진시켜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벌려주어 이용자가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손을 빼낼 수 있어 손가락이 낀 상태에서 사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손가락의 골절이나 피부의 손상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손끼임감지수단을 통한 감지신호가 제어수단으로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방을 급제동하여 신속하게 엘리베이터 도어를 정지시켜 이용자의 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승강장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엘리베이터 카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엘리베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제어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손끼임감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동수단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제어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것으로, 건물의 각층 승강장(1) 및 엘리베이터 카(2)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카(2)에 설치되는 카도어(12)와, 상기 카도어(12)와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각층 승강장(1)의 승강구에 설치되는 승장도어(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카도어(12) 및 승장도어(14)는 각각 승강장(1) 및 엘리베이터 카(2) 내부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프레임(20)인 카프레임(22)과 승장프레임(24)의 사이에 위치하여 도어구동용 모터(30)의 구동에 따라 개폐된다.
물론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는 제어수단(40)의 제어에 따라 개폐가 제어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10)와 엘리베이터 프레임(20) 사이의 손끼임 발생을 감지하는 손끼임감지수단(100)과, 상기 엘리베이터 프레임(20)의 일측 모서리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팅플레이트(110)와, 상기 엘리베이터 프레임(20)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플레이트(110)를 틸팅시키는 틸팅구동수단(120)과,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틸팅구동수단(120)을 구동시켜 상기 틸팅플레이트(110)를 후진시키는 제어수단(4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손끼임감지수단(100)은 틸팅플레이트(110)의 측면에 부착되며, PC, PET, PE, PI, PU 등의 플라스틱 합성수지재에 카본 분말을 일정한 중량비율로 혼합한 전기전도성 도파로시트를 사용하거나, 실리콘 고무에 카본 분말을 일정한 중량비율로 혼합한 전기전도성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다.
이때, 틸팅플레이트(110)는 엘리베이터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은 엘리베이터 카용 손끼임감지수단(102)과 승장용 손끼임감지수단(104)으로 이루어져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에 각각 부착된다.
물론,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 발광부(102)와 레이저빔 수광부(104)를 엘리베이터 카(2) 내부의 프레임 상하측에 각각 구비하여 레이저빔 수광부(104)로 구성함도 가능하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레이저빔 발광부(102)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레이저빔 수광부(104)로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틸팅구동수단(120)을 제어하여 틸팅플레이트(110)를 후진시키게 되어 틈새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은 다양한 형태의 압력스위치 또는 압력센서를 이용함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프레임(20)의 일측 모서리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팅플레이트(110)가 구비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틸팅플레이트(110)는 엘리베이터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는 엘리베이터 프레임(20)인 카프레임(22) 및 승장프레임(24) 의 하부에서 50㎝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의 설치를 위해 상기 카프레임(22) 및 승장프레임(24) 모서리에는 제1 및 제2개구부(22a, 24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이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22a, 24a)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 프레임(20)인 승장프레임(24) 및 카프레임(22)의 모서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틸팅구동수단(120)은 상기 승장프레임(24) 및 카프레임(22)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를 틸팅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122, 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122, 124)는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샤프트(122a, 124a)에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가 각기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4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 및 제2샤프트(122a, 124a)가 후진되어 상기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를 후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솔레노이드(122, 124)를 작동시키면 자력(磁力)이 발생되어 샤프트(122a, 124a)가 후진하고, 자력이 끊어지면 제1 및 제2샤프트(122a,124a)가 제1 및 제2스프링(122b, 124b)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손가락이 끼임으로 인해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수단(40)은 제1 및 제2솔레노이드(122, 124)를 작동시켜 카용 틸팅플레이트(112)와 승장용 틸팅플레이트(114)를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 ~ 5초) 동안 후진시킴에 따라 이용자의 손을 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카(2) 내부에는 스피커(128)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40)에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스피커(128)를 제어하여 경고방송을 음성 출력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청각을 통해 인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40)에 경고안내멘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미도시됨)를 더 구비하여 예를 들어 '도어에 손을 대지마십시오!' 라는 경고안내를 스피커(128)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2) 내부에는 경고램프(129)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40)에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경고램프(129)를 점멸시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시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는 손끼임감지수단(100)을 통한 감지신호가 제어수단(40)으로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급제동하는 제동수단(1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동수단(13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수단(40)은 도어구동용 모터(30)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 도어(10)를 개방하게 되는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카도어(12) 및 승장도어(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프레임(22) 상측에는 도어구동용 모터(30)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32)가 일체로 구비되고 일측에 구비되는 종동기어(34)를 통해 와이어(36)로 연동된다. 그리고 카도어(12)의 상단을 지지하는 행거플레이트(13)는 상기 와이어(36)가 고정된다. 물론 상기 카도어(12) 및 승장도어(14)는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에는 제동수단(130)인 공지의 모터브레이크(13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40)에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모터브레이크(132)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의 회전축의 자유회전을 강제하여 회전축을 순간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도어의 신속한 정지를 유도하여 이용자를 보호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카프레임(22) 상측에는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의 회전축에 일체로 구비되는 구동기어(32)와 연동되는 종동기어(34)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제동수단(130)인 전자석과 스프링 그리고 브레이크 패드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전자식 브레이크패드(13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40)에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전자식 브레이크패드(134)를 제어하여 상기 종동기어(34)의 측면을 가압하여 순간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도어의 신속한 정지를 유도하여 이용자를 보호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기어(34)의 측면 전체를 가압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만을 가압하는 구조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카프레임(22) 상측에는 카도어(12)의 상단을 지지하는 행거플레이트(13)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제동수단(130)인 전자석과 스프링 그리고 브레이크 패드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전자식 브레이크패드(13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40)에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전자식 브레이크패드(136)를 제어하여 상기 행거플레이트(13)의 측면을 가압하여 순간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도어의 신속한 정지를 유도하여 이용자를 보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제어수단(40)은 엘리베이터 도어(10)와 엘리베이터 프레임(20) 사이의 손끼임 발생을 감지하는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수단(40)은 도어구동용 모터(30)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틸팅구동수단(120)을 구동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 ~ 5초) 동안 틸팅플레이트(110)가 후진하며 이용자의 손을 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2) 내부에는 스피커(128)와 경고램프(129)가 더 구비되어, 스피커를 통한 경고방송 출력 및 경고램프(129)의 점멸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수단(40)은 이상의 제어는 물론이고 제동수단(130)을 작동시켜 엘리베이터 도어를 급제동하여 추가적인 이용자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10)와 엘리베이터 프레임(20) 사이의 손끼임 발생을 감지하는 손끼임감지수단(100)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의 표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웃터플레이트(150)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에 고정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틸팅시키는 틸팅구동수단(160)과,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틸팅구동수단(160)을 구동시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후진시키는 제어수단(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은 엘리베이터 프레임(20)의 측면에 부착되며, PC, PET, PE, PI, PU 등의 플라스틱 합성수지재에 카본 분말을 일정한 중량비율로 혼합한 전기전도성 도파로시트를 사용하거나, 실리콘 고무에 카본 분말을 일정한 중량비율로 혼합한 전기전도성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다.
상기 틸팅구동수단(160)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틸팅하는 하나 이상의 제3 솔레노이드(1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솔레노이드(162)는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샤프트(164)에 아웃터플레이트(150)가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4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3샤프트(164)가 후진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후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3 솔레노이드(162)를 작동시키면 자력(磁力)이 발생되어 제3샤프트(128a)가 후진하고, 자력이 끊어지면 제3샤프트(164)가 제1 및 제2스프링(166)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손가락이 끼임으로 인해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수단(40)은 제3 솔레노이드(162)를 작동시켜 아웃터플레이트(150)를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 ~ 5초) 동안 후진시킴에 따라 이용자의 손을 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카(2)에 설치되는 카도어(12)와, 상기 카도어(12)와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각층 승강장(1)의 승강구에 설치되는 승장도어(14)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는 카도어(12) 및 승장도어(14)에 모두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승강장 2: 엘리베이터 카
10: 엘리베이터 도어 12: 카도어
14: 승장도어 20: 엘리베이터 프레임
22: 카프레임 24: 승장프레임
30: 도어구동용 모터 40: 제어수단
100: 손끼임감지수단 110: 틸팅플레이트
120: 틸팅구동수단 128: 스피커
132: 경고램프 130: 제동수단

Claims (11)

  1. 엘리베이터 도어(10)와 엘리베이터 프레임(20) 사이의 손끼임 발생을 감지하는 손끼임감지수단(100)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의 표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웃터플레이트(150)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에 고정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틸팅시키는 틸팅구동수단(160)과,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틸팅구동수단(160)을 구동시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후진시키는 제어수단(40)으로 구성되고;
    상기 틸팅구동수단(160)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틸팅하는 제3 솔레노이드(162)이며;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을 통한 감지신호가 제어수단(40)으로 입력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구동을 제동하는 제동수단(1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카도어(12) 및 승장도어(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프레임(22) 상측에는 도어구동용 모터(3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32)가 일체로 구비되고 일측에 구비되는 종동기어(34)를 통해 와이어(36)로 연동되고, 상기 카도어(12)의 상단을 지지하는 행거플레이트(13)는 상기 와이어(36)가 고정되며,
    상기 제동수단(130)은 상기 행거플레이트(13)의 측면을 가압하는 전자식 브레이크패드(1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은 엘리베이터 프레임(20)의 측면에 부착되는 전기전도성 도파로시트 또는 전기전도성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은 엘리베이터 카(2) 내부의 프레임 상하측에 구비되는 레이저빔 발광부(102)와 레이저빔 수광부(10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150358A 2013-12-05 2013-12-05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44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358A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3-12-05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358A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3-12-05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577B1 true KR101442577B1 (ko) 2014-10-07

Family

ID=5199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358A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3-12-05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577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275B1 (ko) 2016-04-06 2016-05-10 (주)서울승강기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
KR101673425B1 (ko) * 2016-06-15 2016-11-07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손끼임 방지 장치
KR101682904B1 (ko) * 2016-06-08 2016-12-07 주식회사 한림기업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7-05-04 조용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EP3255010A1 (en) 2016-06-10 2017-12-13 Kone Corporation A safety system for sliding elevator doors, an elevator and a method
KR200485400Y1 (ko) 2017-07-31 2018-01-03 (주)현대기업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KR200485696Y1 (ko)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KR200485697Y1 (ko)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KR101840973B1 (ko) * 2017-04-24 2018-03-22 윤일식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WO2018155840A1 (ko) * 2017-02-22 2018-08-30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WO2018182090A1 (ko) * 2017-03-28 2018-10-04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985519B1 (ko) 2018-06-22 2019-06-03 이예원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000390B1 (ko) * 2018-03-05 2019-07-15 윤일식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20210054702A (ko) 2019-11-06 2021-05-14 이예원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638557B1 (ko) 2023-05-23 2024-02-20 이성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3059A (ja) 2001-09-06 2003-03-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扉安全装置
KR100449794B1 (ko) 2001-03-12 2004-09-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 도어 장치
JP2011051753A (ja) 2009-09-03 2011-03-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の引き込まれ検出装置
KR101238068B1 (ko) 2012-10-11 2013-02-27 이호연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794B1 (ko) 2001-03-12 2004-09-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 도어 장치
JP2003073059A (ja) 2001-09-06 2003-03-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扉安全装置
JP2011051753A (ja) 2009-09-03 2011-03-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の引き込まれ検出装置
KR101238068B1 (ko) 2012-10-11 2013-02-27 이호연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7-05-04 조용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1619275B1 (ko) 2016-04-06 2016-05-10 (주)서울승강기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
KR101682904B1 (ko) * 2016-06-08 2016-12-07 주식회사 한림기업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EP3255010A1 (en) 2016-06-10 2017-12-13 Kone Corporation A safety system for sliding elevator doors, an elevator and a method
KR101673425B1 (ko) * 2016-06-15 2016-11-07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손끼임 방지 장치
KR200485696Y1 (ko)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KR200485697Y1 (ko)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WO2018155840A1 (ko) * 2017-02-22 2018-08-30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WO2018182090A1 (ko) * 2017-03-28 2018-10-04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840973B1 (ko) * 2017-04-24 2018-03-22 윤일식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WO2018199492A1 (ko) * 2017-04-24 2018-11-01 윤일식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N110582457A (zh) * 2017-04-24 2019-12-17 尹一植 利用安全触板的电梯的防夹手用安全装置
CN110582457B (zh) * 2017-04-24 2020-05-22 尹一植 利用安全触板的电梯的防夹手用安全装置
KR200485400Y1 (ko) 2017-07-31 2018-01-03 (주)현대기업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KR102000390B1 (ko) * 2018-03-05 2019-07-15 윤일식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WO2019172560A1 (ko) * 2018-03-05 2019-09-12 윤일식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985519B1 (ko) 2018-06-22 2019-06-03 이예원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20210054702A (ko) 2019-11-06 2021-05-14 이예원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638557B1 (ko) 2023-05-23 2024-02-20 이성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577B1 (ko)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238068B1 (ko)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JP501681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515798A (ja) 接触式感知部を含み自動ドアの動きを制御するドアアセンブリ
KR101673425B1 (ko) 엘리베이터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JP2015048245A (ja) エレベータ用注意喚起装置
JP2010235255A (ja) 乗客コンベア
KR101804536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JP4503027B2 (ja) 小荷物昇降機
JP2017007840A (ja) ランニングクリアランス閉塞装置
CN109052123A (zh) 一种迅速反应的防夹手乘客电梯
KR20120058707A (ko) 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
CN214359595U (zh) 电梯厅门撞击检测装置、防撞厅门和防撞电梯
KR102198883B1 (ko)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시스템
KR102119620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KR200484754Y1 (ko) 승강기 틈새 끼임 방지장치
KR101604330B1 (ko) 비상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시스템
KR20210109373A (ko)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JP4202007B2 (ja) エレベータ扉安全装置
KR101747415B1 (ko) 도어 열림 유지 장치가 구비된 승강기
JP2011190045A (ja) 乗客コンベア
KR102664289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안전 열림 지원 장치
JP4221997B2 (ja) エレベーターの扉開閉装置
JP2011121768A (ja) 異常状況検知装置と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スカレ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