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557B1 -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557B1
KR102638557B1 KR1020230065974A KR20230065974A KR102638557B1 KR 102638557 B1 KR102638557 B1 KR 102638557B1 KR 1020230065974 A KR1020230065974 A KR 1020230065974A KR 20230065974 A KR20230065974 A KR 20230065974A KR 102638557 B1 KR102638557 B1 KR 10263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ring
guide piece
elevator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23006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는, 플레이트 일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말단으로부터 플레이트 방향으로 사선 돌출되는 안내편이 형성되며, 프레임 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일측으로 개구된 슬롯이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의 안내편에 끼워져 안내편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차단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지지부와 안내편을 일부 절개한 설치홈을 형성하되 안내편에서 지지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안내편 하부에 걸림되는 걸림턱을 돌출 형성한 스프링 받이; 일단은 스프링 받이에 밀착되고 타단은 차단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되어 차단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의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축 스프링; 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는 매우 협소한 공간에 압축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어 차단 프레임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SUPPORT SPRING ASSEMBLING DEVICE FOR ELEVATOR FRAM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도어는 옆으로 슬라이딩하여 열고 닫히는 형태의 도어를 말한다. 이러한 미닫이 도어는 창호, 출입문, 엘리베이터 등 여러 곳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미닫이 도어는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도어와, 도어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 프레임 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어와 프레임 틀은 도어 슬라이딩 시 간섭되지 않도록 틈새가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틈새에 손이 끼어 손가락 골절 및 피부가 긁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특히, 어린 아이의 경우 호기심 및 장난에 의해 더욱 많이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특허가 제10-1442577호로 등록되었는바, 도어의 틈새에 손가락이 끼었을 때 틸팅되는 플레이트를 후진시켜 틈새를 벌림으로써 손가락을 빼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이미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 조치하는 구조이므로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32674호는 도어에 근접하는 'ㄷ'모양의 고무를 설치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고 있으나,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여 여전히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732420호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외벽프레임 및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와, 고정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모양은 일부가 개방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힌지결합홈과, 고정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힌지결합홈에 끼워져 힌지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봉이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된 경질유동부와, 경질유동부에서 결합봉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결합된 연질유동부 및, 고정부의 걸림부 및 경질유동부의 걸림부에 양끝을 걸어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틈새를 차단하는 구조이나 슬라이딩하는 도어와 연질 유동부가 항시 접촉되기 때문에 연질 유동부의 마모가 발생하여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 및 마찰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2347346호는 플레이트 일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말단으로부터 플레이트 방향으로 사선 돌출되는 안내편이 형성되며, 프레임 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일측으로 개구된 슬롯이 사선으로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의 안내편에 끼워져 안내편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차단 프레임; 및 차단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의 플레이트 방향으로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복귀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복귀수단은 지지부를 감싸는 'ㄷ' 모양의 고정단과,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단 프레임에 끼워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어 작동 시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고,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손가락이 끼려는 순간 차단 프레임이 틈새를 차단하여 더 이상 손가락이 진입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으나 복귀수단이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적으로 탄성계수 조절이 쉽지 않아 차단 프레임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 제10-1442577호(2014.09.15) KR 등록실용신안 제20-0332674호(2003.10.30) KR 등록특허 제10-1732420호(2017.04.26) KR 등록특허 제10-2347346호(2021.12.31)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매우 협소한 공간임에도 코일 스프링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는,
플레이트 일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말단으로부터 플레이트 방향으로 사선 돌출되는 안내편이 형성되며, 프레임 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일측으로 개구된 슬롯이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의 안내편에 끼워져 안내편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차단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지지부와 안내편을 일부 절개한 설치홈을 형성하되 안내편에서 지지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안내편 하부에 걸림되는 걸림턱을 돌출 형성한 스프링 받이;
일단은 스프링 받이에 밀착되고 타단은 차단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되어 차단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의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축 스프링;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받이는 압축 스프링의 일단이 일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 프레임의 슬롯에 끼워지는 고정편;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양 끝단을 축 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핀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 받이와 고정편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핀홀이 형성되어 압축 스프링의 고정핀이 끼워져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홈과 핀홀은 두 개 이상 형성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은 하나 이상 구비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안착홈과 핀홀에 끼워져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는 매우 협소한 공간에 압축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어 차단 프레임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끼워맞춤에 의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압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이므로 합성수지로 제조하여 제조비를 대폭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설치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받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8b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축 스프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설치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받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 구조는, 플레이트(11) 일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2) 말단으로부터 플레이트(11) 방향으로 사선 돌출되는 안내편(13)이 형성되며, 프레임 틀(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일측으로 개구된 슬롯(21)이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10)의 안내편(13)에 끼워져 안내편(13)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차단 프레임(20);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지지부(12)와 안내편(13)을 일부 절개한 설치홈(16)을 형성하되 안내편(13)에서 지지부(12)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16)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양측면에 경사면(31)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안내편(13) 하부에 걸림되는 걸림턱(32)을 돌출 형성한 스프링 받이(30); 일단은 스프링 받이(30)에 밀착되고 타단은 차단 프레임(20)의 슬롯(21)에 삽입되어 차단 프레임(20)을 고정 프레임(10)의 플레이트(1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축 스프링(40); 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기다란 플레이트(11) 일면에 지지부(12)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12)의 말단에 안내편(13)을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되 안내편(13)은 플레이트(11)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안내편(13)은 플레이트(11)와 45°의 각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환경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편(13)의 말단은 플레이트(11)와 충분한 간격을 두어 그 사이로 차단 프레임(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2)는 플레이트(11)로부터 수직 또는 사선 방향으로 곧게 형성하거나 만곡지게 형성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0)에는 다수의 나사공(14)을 형성하여 나사(2)에 의해 프레임 틀(1)에 고정된다.
상기 차단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10)의 안내편(13)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기다란 바 형태를 가지며 일측으로 개구된 슬롯(21)이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 프레임(20)은 슬롯(21)에 고정 프레임(10)의 안내편(13)이 끼워져 삽입된다. 고정 프레임(10)과 차단 프레임(20)의 조립은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안내편(13)에 슬롯(21)을 위치시켜 밀어끼워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차단 프레임(20)은 안내편(13)을 따라 도어(3)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10)의 플레이트(11)는 그 일단이 안내편(13)의 연장선상까지 구비되도록 하여 고정 프레임(10)에 조립된 차단 프레임(20)이 안내편(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편(13)의 내측에 위치한 차단 프레임(20)과 플레이트(11)에는 서로 밀착되어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편(13)과 평행한 슬립면(15)(25)을 각각 형성한다. 이러한 슬립면(15)(25)에 의해 차단 프레임(20) 슬라이딩 시 안내편(13)과 슬롯(21)에만 의지하지 않고 슬립면(25)에서 한 번 더 지지하면서 미끄러짐으로써 더욱 안정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지지부(12)와 안내편(13)을 일부 절개한 설치홈(16)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설치홈(16)은 안내편(13)에서 지지부(12)로 갈수록 그 넓이가 점차 좁아지게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 받이(30)는 설치홈(16)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양측면에 경사면(31)을 형성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홈(16)의 좁아지는 끝단에 걸림되어 설치되는데 설치홈(16)의 넓어지는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좁아지는 끝단에 걸림된다. 이러한 스프링 받이(30)의 양측에는 걸림턱(32)이 돌출 형성되어 안내편(13) 하부에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한다. 여기서 걸림턱(32)은 살짝 돌출되어 설치홈(16)의 넓은 부분에서 삽입되었다가 좁은 부분에서 안내편(13) 하부에 걸림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40)은 그 일단이 스프링 받이(30)에 밀착되고 타단은 차단 프레임(20)의 슬롯(21)에 삽입되어 차단 프레임(20)을 고정 프레임(10)의 플레이트(11)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스프링 받이(30)는 압축 스프링(40)의 일단이 일부 삽입되는 원형의 안착홈(33)이 형성되어 압축 스프링(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차단 프레임(20)의 슬롯(21)에는 고정편(50)을 끼워 설치할 수 있다. 고정편(5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는 슬롯(21)에 강제 끼워맞춤 되는 사이즈로 형성하여 압축 스프링(40)의 단부가 고정편(50) 말단에 밀착되도록 한다. 압축 스프링(40)은 슬롯(21)에 삽입될 정도로 지름이 작아지면 탄성력이 강해지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름을 크게 하되 슬롯(21)에 고정편(50)을 삽입하여 고정편(50)과 스프링 받이(30) 사이에 압축 스프링(40)이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압축 스프링(40)의 양 끝단을 축 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핀(4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받이(30)와 고정편(50)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핀홀(35)(55)을 형성하여 압축 스프링(40)의 고정핀(41)이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압축 스프링(40)은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안착홈(33)과 핀홀(35, 55)은 두 개 이상 형성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40)은 하나 이상 구비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안착홈(33)과 핀홀(35, 55)에 끼워져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약한 탄성을 원할 경우 중앙의 안착홈(33)에만 압축 스프링(40)을 설치하고, 강한 탄성을 원할 경우 모든 안착홈(33)에 압축 스프링(40)을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 받이(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압축 스프링(40)이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공(36)이 형성된다. 스프링 삽입공(36)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홈(33)과 핀홀(35)도 하부로 개방되어 스프링 삽입공(36)과 연통된다. 이러한 스프링 받이(30)는 압축 스프링(40)이 설치되기 이전에 먼저 설치하고, 노출된 스프링 삽입공(36)을 통해 최종적으로 압축 스프링(4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압축 스프링(40)은 그 선단이 먼저 삽입되고 후단은 압축 스프링(40)이 압축되면서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이 완료되면 후단을 들어올려 안착홈(33)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안착홈(33)과 핀홀(35)은 그 하부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압축 스프링(40)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압축 스프링을 삽입하며 압축시켜 들어올리는 방법에 의해 설치 가능하므로 매순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협소한 공간임에도 압축 스프링(40)의 설치가 가능하고, 점차 좁아지는 설치홈(16)에 스프링 받이(30)가 설치되므로 스프링 받이(3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신속 간편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축 스프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압축 스프링(40) 일단을 연장하는 연장부(42)를 형성한다. 여기서 연장부(42)는 'ㄷ' 모양으로 형성하고, 압축 스프링(40)은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50)의 핀홀(55)을 관통시켜 압축 스프링(40)의 연장부(42)가 핀홀(55)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즉, 고정편(50)에 압축 스프링(40)을 끼운 상태에서 차단 프레임(20)의 슬롯(21)에 삽입하면 두 개의 압축 스프링(40)이 돌출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압축 스프링(4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스프링 받이(30)를 압축 스프링(40)에 밀착시켜 압축시키면서 설치하면 더욱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1 : 프레임 틀 2 : 나사
3 : 도어 10 : 고정 프레임
11 : 플레이트 12 : 지지부
13 : 안내편 16 : 설치홈
20 : 차단 프레임 21 : 슬롯
30 : 스프링 받이 31 : 경사면
32 : 걸림턱 33 : 안착홈
35, 55 : 핀홀 36 : 스프링 삽입공
40 : 압축 스프링 41 : 고정핀
42 : 연장부 50 : 고정편

Claims (5)

  1. 플레이트(11) 일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2) 말단으로부터 플레이트(11) 방향으로 사선 돌출되는 안내편(13)이 형성되며, 프레임 틀(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일측으로 개구된 슬롯(21)이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10)의 안내편(13)에 끼워져 안내편(13)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차단 프레임(20);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지지부(12)와 안내편(13)을 일부 절개한 설치홈(16)을 형성하되 안내편(13)에서 지지부(12)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16)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양측면에 경사면(31)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안내편(13) 하부에 걸림되는 걸림턱(32)을 돌출 형성한 스프링 받이(30);
    일단은 스프링 받이(30)에 밀착되고 타단은 차단 프레임(20)의 슬롯(21)에 삽입되어 차단 프레임(20)을 고정 프레임(10)의 플레이트(1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축 스프링(40);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받이(30)는 압축 스프링(40)의 일단이 일부 삽입되는 안착홈(3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프레임(20)의 슬롯(21)에 끼워지는 고정편(50);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40)의 양 끝단을 축 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핀(41)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 받이(30)와 고정편(50)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핀홀(35, 55)이 형성되어 압축 스프링(40)의 고정핀(41)이 끼워져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받이(30)는 하부에 스프링 삽입공(36)을 형성하고, 안착홈(33)과 핀홀(35)은 스프링 삽입공(36)과 연통되도록 하부로 개구됨으로써, 압축 스프링(40)은 스프링 삽입공(36)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5. 제3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압축 스프링(40) 일단을 연장하는 'ㄷ' 모양의 연장부(42)를 형성하여 압축 스프링(40)이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편(50)의 핀홀(55)을 관통시켜 압축 스프링(40)의 연장부(42)가 핀홀(55)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편(50)을 슬롯(21)에 삽입하면 두 개의 압축 스프링(40)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KR1020230065974A 2023-05-23 2023-05-23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KR10263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974A KR102638557B1 (ko) 2023-05-23 2023-05-23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974A KR102638557B1 (ko) 2023-05-23 2023-05-23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557B1 true KR102638557B1 (ko) 2024-02-20

Family

ID=9005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974A KR102638557B1 (ko) 2023-05-23 2023-05-23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5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674Y1 (ko) 1998-03-24 2004-03-18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7-05-04 조용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1912838B1 (ko) * 2018-07-12 2018-10-29 이흥주 승강기 도어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2347346B1 (ko) 2019-11-06 2022-01-05 이예원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674Y1 (ko) 1998-03-24 2004-03-18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7-05-04 조용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1912838B1 (ko) * 2018-07-12 2018-10-29 이흥주 승강기 도어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2347346B1 (ko) 2019-11-06 2022-01-05 이예원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4228A1 (en) Sash window restrictor
US6832792B2 (en) Actuator for a tilt-latch for a sash window
CN107120036B (zh) 一种窄边框体装置及其推拉门窗系统
US20100313488A1 (en) Adjustable after-market sash window stop
KR101143569B1 (ko) 닫힘조절장치
CN210370444U (zh) 门栏
KR2004269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US5251418A (en) Panel door frame assembly
KR101451631B1 (ko) 창호용 틀체 내부에 설치되는 롤 방충망 가압 고정장치
US10724286B2 (en) Structuring for cushioning deadbolt and/or latch at door frame
KR101043377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918592B1 (ko) 창호용 무락핸들
JP2022535338A (ja) 建具の召合せ框の気密維持装置
KR102638557B1 (ko)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KR102347346B1 (ko)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23535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US6183023B1 (en) Door with integrated fire exit device
KR10179425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2338343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KR100637875B1 (ko)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CN220184841U (zh) 挡板结构及门锁
KR200495643Y1 (ko) 경첩 결합형 외측 문 틈새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