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904B1 -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904B1
KR101682904B1 KR1020160071122A KR20160071122A KR101682904B1 KR 101682904 B1 KR101682904 B1 KR 101682904B1 KR 1020160071122 A KR1020160071122 A KR 1020160071122A KR 20160071122 A KR20160071122 A KR 20160071122A KR 101682904 B1 KR101682904 B1 KR 101682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landing
sensing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기업
Priority to KR1020160071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문과 문틀 사이 틈새로 레이저를 발사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집중적으로 감지하고, 또한 기존의 감시카메라에서 틈새 주위의 영상만 집중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감시카메라를 구비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승강기의 운행시 또는 정지시 문을 효과적으로 감시하는 한편,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로 접근하는 탑승자에게 안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LASER STOP LINE SENSING APPARATUS OF ELEVATOR PLATFORM FRONT}
본 발명은 건설기술 분야 중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문과 문틀 사이 틈새로 레이저를 발사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집중적으로 감지하고, 또한 기존의 감시카메라에서 틈새 주위의 영상만 집중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감시카메라를 구비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승강기의 운행시 또는 정지시 문을 효과적으로 감시하는 한편,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로 접근하는 탑승자에게 안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각 층에 마련된 승강장으로 승강기가 운행하는 것으로써, 승강장 및 승강기에는 양쪽으로 열리는 미닫이식 문이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미닫이식 문은 출입구의 문틀에 근접된 상태로 여닫히는데, 그 틈새는 약 5mm 이내이다.
틈새가 많이 벌어지면 손가락이나 이물질이 끼여서 문이 열리는 동안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손가락이 다칠 수 있으므로 그 틈새를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문은 어느 정도 유격이 있으므로 강제로 누르면 틈새가 벌어지게 되는데, 어린이가 호기심에 틈새에 손가락을 강제로 밀어 넣으면 문이 밀리면서 틈새가 벌어져 손가락이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런 상황에서 문이 열릴 경우 손가락이 말려 들어가 크게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19275호(2016.05.02.)에는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는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로 접근하는 탑승자에게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여 대기토록 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19275호(2016.05.02.)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문과 문틀 사이 틈새로 레이저를 발사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집중적으로 감지하고, 또한 기존의 감시카메라에서 틈새 주위의 영상만 집중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감시카메라를 구비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승강기의 운행시 또는 정지시 문을 효과적으로 감시하는 한편,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로 접근하는 탑승자에게 안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문과 문틀 사이 틈새에 레이저센서를 설치하여 손가락 끼임을 감지하고 문이 정지되도록 하며, 파워서플라이의 DC5V는 릴레이로부터 승강기모터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마그네트스위치블록 및 도어모터를 작동시키는 문열림확인스위치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레이저센서는, 상기 릴레이와 문열림확인스위치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기의 운행시 작동되지 않으며, 틈새에 접근한 물체의 높낮이 변화량을 감지하여 높낮이 변화가 없으면 문이 계속 열리도록 하고, 높이변화가 있으면 문이 정지되도록 하는 감지장치로써, 승강장 앞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로 접근하는 탑승자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고음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승강장도어를 중심으로 승강장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레이저빔이 출력되는 레이저빔 발광부; 상기 승강장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빔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입력되면서 레이저 정지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레이저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레이저 정지선으로의 탑승자 접근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음발생부에서 상기 승강장도어로부터 후방으로 물러나라는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문과 문틀 사이 틈새로 레이저를 발사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집중적으로 감지하고, 또한 기존의 감시카메라에서 틈새 주위의 영상만 집중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감시카메라를 구비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승강기의 운행시 또는 정지시 문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로 접근하는 탑승자에게 안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를 나타낸 전원 공급계통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에서 제어수단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에서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에서 제어수단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에서 감지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619275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619275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61927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엘리베이터의 문 안정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로 대체하고,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로 접근하는 탑승자에게 안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61927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는 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로 직진성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센서(20), 상기 문틀 상부에 구비되어 승강기의 안쪽 천장에 마련된 카메라(16)와 틈새 주위를 동시에 비추는 경사면을 갖는 반사경(21), 그리고 상기 레이저센서(20)의 감지신호 및 상기 반사경(21)으로 비춰진 카메라(16)의 영상을 분석하여 문을 정지시키거나 경고방송을 내보내는 제어수단(100)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4에서 상기 레이저센서(20) 및 반사경(21)은 하나의 브래킷(22)에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22)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승강기의 출입구 문틀 상단에 나사못이나 접착제로 부착 고정되며, 레이저센서(20)와 연결된 신호선은 문틀 상단에 천공된 구멍을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의 제어수단(100)과 연결된다.
도 3에서 AC220V는 파워서플라이(10)를 거처 DC5V로 변환된 뒤 릴레이(11)를 통하여 상기 레이저센서(20)로 공급되고, 문열림확인스위치(14)는 상기 레이저센서(20)와 직렬로 연결되어 도어모터(15)를 제어한다.
상기 레이저센서(20)가 물체를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문열림확인스위치(14)는 승강기가 목적층의 승강장에 도착하면 문이 열리도록 상기 도어모터(15)를 가동시킨다.
만약 상기 레이저센서(20)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100)이 이를 분석하여 움직이는 물체(사람 또는 사람이 들고 있는 물건)로 판단할 경우 상기 릴레이(11)를 차단하여 문열림확인스위치(14)를 OFF 시킨다. 따라서 문이 열리지 않아 틈새에 손가락 등이 끼더라도 다칠 우려가 없다.
또한, 승강기의 운행중에 상기 릴레이(11)는 브레이크마그네트스위치블록(12)과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센서(20)는 차단되므로 레이저센서(20)가 작동되지 않는다. 단지 브레이크마그네트스위치블록(12)은 승강기모터(13)가 작동되도록 ON 된다.
도 5에서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레이저센서(20)의 신호 및 카메라(16)의 영상신호를 받아들이는 제어부(101)가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센서(20)의 신호를 분석하여 높낮이에 변화가 없으면 화물로 판단하고, 높낮이에 변화가 있을 경우 사람으로 판단하는 거리판단부(102)가 구비된다.
또한, 카메라(16)의 영상 중에서 반사경(21)의 영상만 선택하고 나머지 영상은 제거하여 분석용량을 줄이는 반사경영상취득부(103)가 구비된다.
상기 반사경영상취득부(103)의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이나 화물이 없는 기준 영상인지 또는 사람이나 화물이 있는 변화 영상인지를 판단하고,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를 판단하는 영상변화판독부(104)가 구비되고, 동영상이거나 기준 영상이 아닌 변화된 영상(변화된 정지영상)일 경우 스피커(106)를 통하여 경고방송이 나가도록 제어부(101)가 흐름 제어한다.
그리고 동영상일 경우 이를 동영상저장부(105)에 저장한다.
상기 영상변화판독부(104)는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구분하지 않고 기준영상인지 아닌지만 판단할 수도 있다.
사람이나 화물이 틈새 주위에 없는 경우를 기준영상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변화된 영상(동영상 및 정지영상)일 경우 이를 제어부(101)로 보내 스피커(106)에서 경고방송이 나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에서 상기 제어수단(100)은 브레이크마그네트스위치블록(12)이 ON 되어 승강기가 운행중일때 카메라(16)의 영상을 분석하여 틈새 근방으로 사람이 접근하면 위험을 알리는 경고방송을 스피커(106)로 내보내 문틀에서 벗어나도록 흐름제어한다.
따라서 승강기의 운행중 레이저센서(20)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마그네트스위치블록(12)이 OFF 되어 승강기가 정지상태일 경우 목적층에 도착한 상황인데, 이때 릴레이(11)는 레이저센서(20)를 거처 문열림확인스위치(14)로 동작신호를 보내 ON 시키면 도어모터(15)의 작동으로 문이 개방된다.
문이 열리기 전 또는 문이 열리는 도중에 틈새에 손가락이 끼면 레이저센서(20)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수단(100)의 거리판단부(102)는 높이변화를 판단하여 높이변화가 있을 경우(사람의 손가락이 틈새에서 움직이는 상황으로 판단함) 문열림확인스위치(14)가 OFF 되도록 릴레이(1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만약 틈새에 화물이 근접된 상황에서 높낮이에 변화가 없을 경우 틈새에 낄 우려가 없으므로 문이 개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리판단부(102)는 레이저센서(20)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높낮이의 변화가 없을 경우 화물로 인식하여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부(101)로 제어신호를 보내 승강기에 부피가 큰 화물을 실어 나를 때 문이 열리지 않는 불편이 없도록 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릴레이(11)가 브레이크마그네트스위치블록(12)으로 연결되면 DC 5V의 동작신호가 입력되어 ON 되고 승강기모터(13)의 작동으로 승강기가 목적층으로 운행한다.
상기 제어수단(100)은 승강기의 운행중 반사경(21)의 영상을 카메라(16)로부터 입력받는다.
반사경영상취득부(103)는 카메라(16)의 영상 중에서 반사경(21)의 영상만 선택하여 제어부(101)로 보내면 영상변화판독부(104)에서 이를 분석한다.
즉, 승강기 내부가 빈공간으로 있을 때의 기준영상과 변화된 영상을 비교하고, 변화된 영상이 정지영상일 경우 이를 화물로 처리하고, 움직이는 동영상일 경우 사람으로 인식한다.
만약 동영상일 경우 동영상저장부(105)에 이를 기록하고, 화물에 따른 변화된 정지영상 또는 사람이 움직이는 동영상에 대하여 스피커(106)로 경고방송을 내보내도록 제어부(101)가 흐름 제어한다.
상기 반사경(21)은 문틀 상부에 설치되어 틈새를 집중적으로 비추기 때문에 어린이의 신체 일부나 손가락이 접근할 경우 카메라(16)에서 그 영상이 촬영된다.
상기 카메라(16)는 승강기 내부 안쪽에 설치되어 문틀에서 멀어져 구비되는데, 승객이 탑승할 때는 얼굴을 확인할 수 있으나, 문쪽으로 돌아서면 문 앞쪽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반사경(21)은 카메라(16)와 틈새를 동시에 비추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틈새 영상을 카메라(16)로 굴절시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승객이 돌아서 문 앞의 영상 촬영이 불가능하더라도 틈새만을 집중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므로 틈새만 촬영하기 위한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목적층에 도착하면 승강기 자체의 제어기에서 릴레이(11)를 변환시켜 DC 5V가 차단된 브레이크마그네트스위치블록(12)이 OFF 되도록 하고, DC 5V가 레이저센서(20)를 거쳐 문열림확인스위치(14)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도어모터(15)의 동작으로 문이 개방되는데, 틈새에 손가락이 끼면 레이저센서(20)가 이를 감지하고 거리판단부(102)는 위치변화를 즉시 판단하여 도어모터(15)가 정지되도록 문열림확인스위치(14)를 OFF 시킨다.
만약, 높낮이에 변화가 없는 화물이 틈새에 근접될 경우 레이저센서(20)가 작동되더라도 거리판단부(102)는 위치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므로 제어부(101)는 문열림확인스위치(14)를 OFF 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부피가 큰 화물을 실은 상태에서 문이 열리는 동안 레이저센서(20)가 감지되더라도 문이 정지되지 않으므로 사용에 불편이 없다.
또한, 반사경영상취득부(103) 및 영상변화판독부(104)는 승강기의 운행 또는 정지와 무관하게 계속 작동하면서 틈새 주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승강기의 정지후 문이 열리는 동안 틈새 주위로 손이 접근할 경우 이를 분석하여 동영상으로 판단하고 경고방송을 내보내므로 보호자 또는 어린이의 경각심을 줄 수 있으며, 손가락이 틈새에 끼기 전에 경고방송이 먼저 이뤄지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앞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110)로 접근하는 탑승자를 감지하는 감지수단(30), 상기 감지수단(3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구동제어부(40) 및 상기 구동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고음발생부(5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즉, 상기 감지수단(30)은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110)로 접근하는 탑승자에게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여 대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수단(30)은 상기 승강장도어(110)를 중심으로 승강장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레이저빔이 출력되는 레이저빔 발광부(31), 상기 승강장프레임(120)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빔 발광부(31)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입력되면서 레이저 정지선(A)이 형성되도록 하는 레이저빔 수광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 정지선(A)은 상기 승강장도어(110)를 바라볼 때, 상기 승강장프레임(120)의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탑승자가 상기 승강장도어(110)로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경고음발생부(50)는 상기 구동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승강기를 기다리는 탑승 대기자에게 승강장도어(110)로부터 뒤로 물러나 달라는 경고음을 발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수단(30)은 상기 레이저 정지선(A)에 탑승자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레이저빔 발광부(31)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상기 레이저빔 수신부(32)에서 입력되지 않는 상태로부터 이를 감지한다. 레이저빔 발광부(31)는 구동제어부(4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레이저 신호를 출력하며, 레이저빔수신부(3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경로를 통하여 감지된 상태 신호를 구동제어부(40)에 전달한다. 레이저빔 발광부(31)는 구동제어부(4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속 또는 전원절약을 위하여 0.5 초 내지 1 초 단위로 레이저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6초 단위로 레이저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제어부(40)는 상기 감지수단(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음발생부(50)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감지수단(30)은 상기 레이저 정지선(A)에 탑승자가 위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레이저빔 발광부(31)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상기 레이저빔 수신부(32)에서 입력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감지신호를 감지하지 않는다.
상기 구동제어부(40)는 상기 감지수단(3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서 상기 경고음발생부(50)에서 경고음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제어부(40)는 승강기의 문과 함께 상기 승강장도어(110)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경고음발생부(50)에서 승강기로 탑승을 유도하는 탑승유도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수단(30)은 승강기의 문과 함께 상기 승강장도어(110)가 열리는 경우,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장도어 또는 상기 승강장프레임(120)에는 상기 승강장도어(110)의 개폐에 따라 온(ON),오프(OFF)되면서 상기 감지수단(30)의 작동이 온,오프되도록 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장도어(110)가 열리는 경우, 상기 리미트스위치(60)가 오프되면서 상기 감지수단(30)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도어(110)가 닫히는 경우, 상기 리미트스위치(60)가 온되면서 상기 감지수단(30)의 감지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감지수단(30)은 상가 승강장도어(110)의 개폐에 따라 가변적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승강장도어(110)로 접근하는 탑승자의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0 : 파워서플라이 11 : 릴레이
12 : 브레이크마그네트스위치블록 13 : 승강기모터
14 : 문열림확인스위치 15 : 도어모터
16 : 카메라 20 : 레이저센서
21 : 반사경 22 : 브래킷
30 : 감지수단 31 : 레이저빔 발광부
32 : 레이저빔 수광부 40 : 구동제어부
50 : 경고음발생부 60 : 리미트스위치
100 : 제어수단 101 : 제어부
102 : 거리판단부 103 : 반사경영상취득부
104 : 영상변화판독부 105 : 동영상저장부
106 : 스피커 110 : 승강장도어
120 : 승강장프레임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문과 문틀 사이 틈새에 레이저센서를 설치하여 손가락 끼임을 감지하고 문이 정지되도록 하며, 파워서플라이의 DC5V는 릴레이로부터 승강기모터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마그네트스위치블록 및 도어모터를 작동시키는 문열림확인스위치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레이저센서는,
    상기 릴레이와 문열림확인스위치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기의 운행시 작동되지 않으며, 틈새에 접근한 물체의 높낮이 변화량을 감지하여 높낮이 변화가 없으면 문이 계속 열리도록 하고, 높이변화가 있으면 문이 정지되도록 하는 감지장치로써,
    승강장 앞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도어로 접근하는 탑승자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고음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승강장도어를 중심으로 승강장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레이저빔이 출력되는 레이저빔 발광부; 및
    상기 승강장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빔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입력되면서 레이저 정지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레이저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정지선으로의 탑승자 접근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음발생부에서 상기 승강장도어로부터 후방으로 물러나라는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승강기의 문과 함께 상기 승강장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경고음발생부에서 상기 승강기로 탑승을 유도하는 탑승유도음이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장도어 또는 상기 승강장프레임에는,
    상기 승강장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상기 감지수단의 작동이 온,오프되도록 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KR1020160071122A 2016-06-08 2016-06-08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KR101682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122A KR101682904B1 (ko) 2016-06-08 2016-06-08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122A KR101682904B1 (ko) 2016-06-08 2016-06-08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904B1 true KR101682904B1 (ko) 2016-12-07

Family

ID=5757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122A KR101682904B1 (ko) 2016-06-08 2016-06-08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47B1 (ko) * 2017-05-01 2018-03-14 윤일식 카메라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1046A (ja) * 2007-10-03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101442577B1 (ko) *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619275B1 (ko) 2016-04-06 2016-05-10 (주)서울승강기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1046A (ja) * 2007-10-03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101442577B1 (ko) *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619275B1 (ko) 2016-04-06 2016-05-10 (주)서울승강기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47B1 (ko) * 2017-05-01 2018-03-14 윤일식 카메라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WO2018203631A1 (ko) * 2017-05-01 2018-11-08 윤일식 카메라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275B1 (ko)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
JP5542661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5016815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90133851A1 (en) Passenger assistance systems for elevators
JP2014047015A (ja) エレベータドア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ドアシステム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5709331B2 (ja) エレベータ用案内システム
JP2012017184A (ja) 自律移動装置同乗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7823701B2 (en) Light monitor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US20180105397A1 (en) Elevator doorway display systems for elevator cars
JP2007031105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異常検出装置
CN112678635A (zh) 电梯满员检测系统以及电梯满员检测方法
KR101682904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앞 레이저 정지선 감지장치
JPWO2009150982A1 (ja) ドアシステム
JP2007119101A (ja) エレベーターの音声誘導装置
JP5575583B2 (ja) エスカレータ
JP2005008300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JP2005096899A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安全装置
JP2008184287A (ja) 音声式注意喚起装置
JP2009155069A (ja) エレベータドア制御装置
JP5252078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5577636B2 (ja) 出入口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535307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2014051207A (ja) 車両のドア開閉制御システム
JP6743842B2 (ja) エレベータ
JP2011195313A (ja) ド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