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400Y1 -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400Y1
KR200485400Y1 KR2020170004020U KR20170004020U KR200485400Y1 KR 200485400 Y1 KR200485400 Y1 KR 200485400Y1 KR 2020170004020 U KR2020170004020 U KR 2020170004020U KR 20170004020 U KR20170004020 U KR 20170004020U KR 200485400 Y1 KR200485400 Y1 KR 200485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rod
elevator do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주)현대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기업 filed Critical (주)현대기업
Priority to KR2020170004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주위에 설치되어 도어와 외벽프레임 또는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있는 틈을 메워줌으로써 손이나 손가락이 끼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외벽프레임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블록과, 상기 상하부 고정블록에 끼워져 있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며 회전이 되는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Rotation type apparatus for preventing a finger from inserting in a door of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주위에 설치되어 도어와 외벽프레임 또는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있는 틈을 메워줌으로써 손이나 손가락이 끼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외벽프레임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블록과, 상기 상하부 고정블록에 끼워져 있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며 회전이 되는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elevator)는 승강기 차가 있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승강기 차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수직 승강하면서 승객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대부분의 아파트, 고층건물 등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위해 도어의 주위에 필수적으로 틈새가 있으며, 이러한 틈새로 엘리베이터 승객, 특히 어린이들의 손가락이 끼는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는 특허등록 제10-1442577호에 제안되어 있는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엘리베이터 도어(10)와 엘리베이터 프레임(20) 사이의 손끼임 발생을 감지하는 손끼임감지수단(100)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의 표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웃터플레이트(150)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에 고정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틸팅시키는 틸팅구동수단(160)과,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틸팅구동수단(160)을 구동시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후진시키는 제어수단(40)으로 구성되고; 상기 틸팅구동수단(160)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50)를 틸팅하는 제3 솔레노이드(162)이며; 상기 손끼임감지수단(100)을 통한 감지신호가 제어수단(40)으로 입력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구동을 제동하는 제동수단(1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카도어(12) 및 승장도어(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프레임(22) 상측에는 도어구동용 모터(3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구동용 모터(3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32)가 일체로 구비되고 일측에 구비되는 종동기어(34)를 통해 와이어(36)로 연동되고, 상기 카도어(12)의 상단을 지지하는 행거플레이트(13)는 상기 와이어(36)가 고정되며, 상기 제동수단(130)은 상기 행거플레이트(13)의 측면을 가압하는 전자식 브레이크패드(1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동틈새에 손가락이 끼었을 때 손끼임감지수단에 의한 감지가 필수적이므로 감지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동작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손끼임이 된 다음에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손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가 어렵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732420호에 제안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외벽프레임(130) 및 엘리베이터 프레임(140)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고정부(211)와,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모양은 일부가 개방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힌지결합홈(217)과, 고정부(211)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4)와, 힌지결합홈(217)에 끼워져 힌지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봉(215)이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218)을 걸도록 형성된 걸림부(216)가 형성된 경질유동부(212)와, 경질유동부(212)에서 결합봉(215)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결합된 연질유동부(213) 및, 고정부(211)의 걸림부(214) 및 경질유동부(212)의 걸림부(216)에 양 끝을 걸어 결합되는 스프링(218)으로 이루어지며, 힌지결합된 경질유동부(212)는 스프링(218)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유동하도록 형성되어 경질유동부(212)의 끝부분에 형성된 연질유동부(213)가 열고 닫히는 엘리베이터 도어(110)의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상승되고, 특히 엘리베이터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
또한, 스프링에 의한 구동방식이므로 스프링의 탄성에 따라서 일정한 밀폐성을 가지기가 어렵고, 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틈새가 그대로 노출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332674호에 엘리베이터 도어에 근접하는 ㄷ자형 고무를 설치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여전히 틈새가 존재하고 강한 힘으로 틈새로 문과 함께 끼어 들어가는 손가락을 탄성고무로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25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242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32674호
따라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일측에 설치하여 도어의 틈새로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벽프레임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ㆍ하부 고정블록과,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는 파이프로 구성하여, 틈새를 완전히 막아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로드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고정블록의 측면에서 일정량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와 고정블록 사이에는 틈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시 서로 닿지 않아 엘리베이터 도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주위에 설치되어 틈새로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끼임 방지구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외벽프레임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ㆍ하부 고정블록과, 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에 형성된 끼움홈에 양단이 끼워져 있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는 파이프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일측에 설치하여 도어의 틈새로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벽프레임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ㆍ하부 고정블록과,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는 파이프로 구성하여, 틈새를 완전히 막아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와 함께, 상기 파이프는 로드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파이프는 고정블록의 측면에서 일정량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와 고정블록 사이에는 틈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시 서로 닿지 않아 엘리베이터 도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구성 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예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분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주위에 설치되어 도어와 외벽프레임 또는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있는 틈을 메워줌으로써 손이나 손가락이 끼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외벽프레임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블록과, 상기 상하부 고정블록에 끼워져 있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며 회전이 되는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구성 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 단면구성도로써,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는 엘리베이터 도어(3)의 주위에 설치되어 틈새로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끼임 방지구(10)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외벽프레임(1)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2)에 고정되는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과, 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에 형성된 끼움홈(11a, 12a)에 끼워지는 로드(14)와, 상기 로드(14)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는 파이프(15)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먼저,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하는 승강기 차가 구비되고, 승강기 차의 주위 즉,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한 입구에는 외벽프레임(1)이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내에도 엘리베이터 도어(3)의 움직임을 가이드해주기 위한 엘리베이터 프레임(2)이 설치된다.
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은 외벽프레임(1)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2)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도시된 형태는 프레임과의 부착을 위해 한쪽 면에는 접착테이프(13)가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테이프(13)는 양면접착테이프로써 한쪽 면은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과 고정되고, 다른 쪽 면은 외벽프레임(1)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2)에 부착된다.
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의 일측에는 고정블록을 관통하지 않도록 끼움홈(11a, 12a)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1a, 12a)에는 로드(14)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로드(14)는 억지끼움 방식 등으로 끼움홈(11a, 12a)에 끼워진 상태로 완전히 고정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로드(14)의 외부에는 파이프(15)가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15)는 로드(14)에 끼워진 상태에서 로드(14)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15)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와 외벽프레임(1)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2) 사이의 틈을 막아줌으로써 손이나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 사이에는 로드(14)와 파이프(15)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지지블록(16)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록(16)은 로드(14)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즉, 로드(14)는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 사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엘리베이터 도어(3)의 높이 방향으로 틈을 막아주어야 하므로 하나 이상의 지지블록(16)을 설치하여 로드(14)와 파이프(15)의 지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된 형태는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 사이에 2개의 지지블록(16)이 설치되어 있으나, 로드(14)의 강도나 손끼임 방지구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3개 이상 지지블록(16)을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15)는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 및 지지블록(16)의 측면에서 일정량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도어(3)와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 및 지지블록(16) 사이에는 틈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3)의 이동시 서로 닿지 않아 엘리베이터 도어(3)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파이프(15)의 외주면이 고정블록(11, 12)과 지지블록(16)의 측면에서 일정량 돌출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3)의 개폐시 엘리베이터 도어(3)가 고정블록들(11, 12)과 지지블록(16)에 닿지 않게 되고, 이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파이프(15)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3)의 개폐작동이 원활히 수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은 로드(14)가 회전될 경우 로드(14)의 회전에 의해 마모가 잘 일어나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접착테이프(13)에 의해 외벽프레임(1)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2)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PVC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15)는 PVC나 고무 중 하나의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으며, 고무로 만들어질 경우 경도는 HS경도 55~65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이프(15)는 PVC나 고무 중 하나의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고, 그 경도는 고무로 만들 경우 비교적 강한 경도를 가지는 HS경도 55~65 사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HS경도는 스프링식 고무경도계(Hardness Spring)의 약자로써 JIS K6301에 규정된 경도를 말하는데, 본 고안에 의한 손끼임 방지구(10)의 파이프(15)는 고무 중에서도 경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HS경도가 55미만이 되면 고무의 경도가 약해서 휨량이 많아져 손끼임 방지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반대로 HS경도가 65를 초과하면 엘리베이터 도어(3)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많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잦은 동작에 의해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손끼임 방지구(10)의 높이는 1500~2100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정상인이라 하더라도 실수로 인한 손끼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도어(3)의 일정부분 이상을 맞닿게 해줌으로써 도어의 진동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결국,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일측에 설치하여 도어의 틈새로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벽프레임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ㆍ하부 고정블록과,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는 파이프로 구성하여, 틈새를 완전히 막아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와 함께, 상기 파이프는 로드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파이프는 고정블록의 측면에서 일정량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와 고정블록 사이에는 틈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시 서로 닿지 않아 엘리베이터 도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외벽프레임 2. 엘리베이터 프레임 3. 엘리베이터 도어
10; 손끼임 방지구
11. 상부 고정블록 12. 하부 고정블록 13. 접착테이프
14. 로드 15. 파이프 16. 지지블록

Claims (4)

  1. 엘리베이터 도어(3)의 주위에 설치되어 틈새로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끼임 방지구(10)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외벽프레임(1)이나 엘리베이터 프레임(2)에 고정되는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과, 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에 형성된 끼움홈(11a, 12a)에 끼워지는 로드(14)와, 상기 로드(14)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는 파이프(15)로 구성되며,
    상기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 사이에는 로드(14)와 파이프(15)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지지블록(16)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록(16)은 로드(14)에 의해 관통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5)는 로드(14)에 끼워진 상태에서 로드(14)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5)는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 및 지지블록(16)의 측면에서 일정량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도어(3)와 상ㆍ하부 고정블록(11, 12) 및 지지블록(16) 사이에는 틈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3)의 이동시 서로 닿지 않아 엘리베이터 도어(3)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KR2020170004020U 2017-07-31 2017-07-31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KR200485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20U KR200485400Y1 (ko) 2017-07-31 2017-07-31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20U KR200485400Y1 (ko) 2017-07-31 2017-07-31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400Y1 true KR200485400Y1 (ko) 2018-01-03

Family

ID=6127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020U KR200485400Y1 (ko) 2017-07-31 2017-07-31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4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28B1 (ko) 2018-11-27 2019-10-17 엄태만 브러시를 이용한 도어의 틈새 차단 플레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674Y1 (ko) 1998-03-24 2004-03-18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JP4089879B2 (ja) * 2002-08-20 2008-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扉の異物引き込み防止装置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7-05-04 조용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674Y1 (ko) 1998-03-24 2004-03-18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JP4089879B2 (ja) * 2002-08-20 2008-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扉の異物引き込み防止装置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732420B1 (ko) 2016-03-17 2017-05-04 조용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28B1 (ko) 2018-11-27 2019-10-17 엄태만 브러시를 이용한 도어의 틈새 차단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2579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KR10173242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JP2001507418A (ja) ガイドレールを備えたケーブル式窓リフタ
KR200485400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JP5015483B2 (ja) 開閉扉装置
US6966148B2 (en) Window glass interlock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2004338851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KR101779765B1 (ko)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JP2008105800A (ja) エレベータのガラス扉
JP487671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937881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6199389A (ja) 輸送機用扉装置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JP200920885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固定装置
JP4957170B2 (ja) エレベータの戸装置
JP62299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514904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096488A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JP2009155792A (ja) 走行ガイ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引き戸
JP5014102B2 (ja) 鉄道車両における引き戸装置
JP200626485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885250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JP2006256761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150015055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JP624928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