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055A -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055A
KR20150015055A KR1020130087285A KR20130087285A KR20150015055A KR 20150015055 A KR20150015055 A KR 20150015055A KR 1020130087285 A KR1020130087285 A KR 1020130087285A KR 20130087285 A KR20130087285 A KR 20130087285A KR 20150015055 A KR20150015055 A KR 2015001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rrier
rail
push por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488B1 (ko
Inventor
현장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7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97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means to prevent rattling of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 개폐시의 래틀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윈도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캐리어, 캐리어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레일, 캐리어에 포함되어 레일과 접촉하는 면측으로 연질부를 구비하고 있는 스토퍼부 및 캐리어가 상승 또는 하강시에는 스토퍼부가 레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스토퍼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Window Regulator for protecting rettle noise}
본 발명은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래틀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를 개폐시, 자동차 도어의 사이드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레귤레이터 장치와 레일 간의 마찰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마찰 소음을 래틀음(rattle noise)이라고 한다.
도면 12도는 기존의 레귤레이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레귤레이터 장치는 통상 윈도우와 연결되어 윈도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캐리어(10)과 이러한 캐리어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레일(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13도는 기존의 레귤레이터 장치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기존의 레귤레이터 장치는 레일(20)과 캐리어(10)간의 승하강시의 마찰 소음이나 도어 닫힘시 래틀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와 레일이 접촉하는 터치 부분(12)과 캐리어(10)측에서 레일(10)을 약하게 밀어주도록 하는 오버 랩 부분(11)을 구비하고 있다.
기존의 레귤레이터 장치는 터치 부분(12)과 오버 랩 부분(11)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래틀음을 방지할 수는 효과는 있으나, 약하게 밀어주는 오버 랩 부분(11)만으로는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의 강한 충격하에서의 래틀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 개폐시의 래틀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버 랩 부분(11)의 강성을 강하게 하여 캐리어(10)측에서 레일(10)을 밀어주는 힘을 강하게 하면, 윈도우의 승하강시에 마찰이 발생하여 소음을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윈도우의 반복되는 승하강 작동으로 인하여 터치 부분(12)과 오버 랩 부분(11)이 마모되어 레일(20)과 캐리어(10)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도어의 개폐시에 래틀음이 더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윈도우가 정지시에는 캐리어에 설치된 스토퍼가 스프링에 의하여 인장되어 캐리어와 레일을 고정시키고, 윈도우의 승하강시에는 스토퍼를 레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서, 승하강시에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캐리어에 포함되어 상기 레일과 접촉하는 면측으로 연질부를 구비하고 있는 스토퍼부; 및 상기 캐리어가 상승 또는 하강시에는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스토퍼 푸시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푸시부는 상측 스토퍼 푸시부와 하측 스토퍼 푸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승할때는 상기 상측 스토퍼 푸시부가 상측으로 압축되고, 상기 하측 스토퍼 푸시부가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부를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캐리어가 하강할때는 상기 상측 스토퍼 푸시부가 연장되고, 상기 하측 스토퍼 푸시부가 하측으로 압축되어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푸시부는 상기 상측 스토퍼 푸시부와 상기 하측 스토퍼 푸시부는 서로 연결되어서 일체의 하나의 바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상측 스토퍼 푸시부간의 접촉면은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양의 기울기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하측 스토퍼 푸시부간의 접촉면은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음의 기울기의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스토퍼부를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레일측으로 밀착 접촉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질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가 닫힘시 레귤레이터의 떨림에 의한 래틀음을 방지하여 도어의 개폐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레귤레이터의 승하강시 캐리어와 레일간의 마찰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그림 1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A-A'에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스토퍼부를 레일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면 4도는 윈도우가 상승할 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윈도우가 정지하였을 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도는 윈도우가 하강하였을 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A-A'의 단면과 각 구성 부분의 분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도는 윈도우가 상승할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는 윈도우가 정지하였을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도는 윈도우가 하강 될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도는 기존의 레귤레이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도는 기존의 레귤레이터 장치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는 윈도우와 연결되어 윈도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캐리어(100), 캐리어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레일(200), 레일(200)과 캐리어(100) 사이에 구비되어 캐리어(100)의 정지시에 레일(200)과의 접촉을 형성하는 스토퍼부(300) 및 캐리어(100)가 상승 또는 하강을 할 때 스토퍼부(300)를 레일(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스토퍼부(300)를 밀어내는 스토퍼 푸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는 이러한 스토퍼부(300)가 레일(200)에 맞닿아 캐리어(100)를 레일(200)의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레일(200)과 캐리어(100) 사이의 이격을 막아 자동차 도어의 개폐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2도는 그림 1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A-A'에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는 캐리어(100)와 레일(200) 사이에서 접촉을 형성하는 스토퍼부(300)와 이러한 스토퍼부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토퍼 푸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스토퍼부(300)는 레일(200)과 맞닿는 면 쪽으로 소프트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연질부(310)과 이러한 연질부를 지지하는 연질지지부(320) 및 스프링(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질부(31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300)의 스프링(330)은 스토퍼부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레일(200)과 캐리어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토퍼부(300)의 스프링(330)은 일측이 캐리어(100)와 맞닿아 있으므로 스토퍼부(300)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레일(200)쪽으로 밀어내어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300)의 상하에는 스토퍼 푸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푸시부(400)는 스토퍼부(300)를 중심으로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와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의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와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는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캐리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장력을 제공하는 케이블(411, 421)을 수용하는 코어(412, 422) 및 코어(412, 42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부(300)를 밀어내기 위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13, 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토퍼 푸시부(400)의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와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는 하나의 일체의 바디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나의 바디로 형성된 경우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가 이동함에 따라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도 자연스럽게 함께 움직이게 된다. 즉,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면 3도는 스토퍼부를 레일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면 3도를 보면 스토퍼부(3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스토퍼 푸시부(410, 420)가 스토퍼와 맞닿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다음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도면 4도는 윈도우가 상승할 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윈도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상측 방향의 케이블(411)이 잡아 당겨짐으로써 캐리어(10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411)이 상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짐에 따라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의 스프링(413)이 수축되어 압축되게 되고, 하나의 바디로 구성된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도 함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가 상승한 결과, 스토퍼부(300)는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와 서로 경사면에서 접촉하면서 밀어내게 되고 스토퍼부(300)의 스프링(330)은 압축되어 레일(2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토퍼부(300)와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간의 접촉면은 캐리어(100) 방향으로 음의 기울기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 5도는 윈도우가 정지하였을 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캐리어(100)의 승하강 작동이 없으므로 케이블의 장력은 스토퍼 푸시부(400)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토퍼 푸시부(400)는 스프링(412, 422)의 인장력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연장되고, 스토퍼부(300)는 스프링(330)의 힘에 의하여 레일(200)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캐리어(100)와 레일(200)간에 이격 거리가 없어서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시에도 마찰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윈도우의 정지시에 스토퍼부(300)와 스토퍼 푸시부(400)는 접촉되어 맞물려 있을 수도 있으나, 스토퍼부(300)는 스토퍼부(300)의 스프링(330)의 힘만으로도 레일(200)과 캐리어(200)간의 밀착 접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스토퍼부(300)와 스토퍼 푸시부(400)가 밀착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면 6도는 윈도우가 하강하였을 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윈도우의 하강시에는 아래쪽의 케이블(421)이 아래쪽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 결과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는 케이블(421)의 장력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와 일체의 바디로 형성된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는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가 아래로 내려감에 함께 따라 내려갈 수 있다. 또한,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는 스프링(413)의 인장력에 의하여 연장되고 스토퍼부(300)를 하측으로 밀어내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와 스토퍼부(300)간의 캐리어(100) 방향측으로 양의 기울기의 경사를 가지면서 접촉면을 형성하므로,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가 스토퍼를 밀어내는 힘은 스토퍼부(300)의 스프링(330)을 압축하는 힘으로 전향될 수 있다.
스토퍼부(300)의 스프링(330)이 압축되어 레일(20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본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는 윈도우의 승하강시에는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고, 정지시에만 스토퍼부(300)가 레일(200)과 캐리어(100)를 구속하여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A-A'의 단면과 각 구성 부분의 분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 기본 구조는 앞에서 살펴본 실시예와 유사하나, 스토퍼부(300)와 스토퍼 푸시부(400)사이의 경계면이 경사면 이외에 평탄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300)의 연질부(310)도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레일(200)과 캐리어(100) 사이에 더 넓은 접촉면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더 넓은 접촉면적은 레일(200)과 캐리어(200)간의 더 향상된 밀착 접촉의 효과를 줄 수 있다.
그리고, 도면 8도를 통하여 스토퍼 푸시부(400)의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와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바디로 구성되어 있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9도는 윈도우가 상승할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윈도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측 케이블(411)이 잡아 당겨지게 되고 그 결과 캐리어(100)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411)이 상측으로 잡아 당겨짐에 따라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의 스프링(413)이 압축되게 되고,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는 상승하여 스토퍼부(300)을 캐리어(100)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 결과 스토퍼부(300)의 스프링(330)은 압축되면서 스토퍼부(300)는 레일(200)로 이격될 수 있다.
도면 10도는 윈도우가 정지하였을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하측 케이블의 장력 제공이 없으므로, 상하측 스토퍼 푸시부(410, 420)는 모두 연장되고, 스토퍼부(300)는 스프링(330)의 힘에 의하여 레일(200)측으로 돌출되어 캐리어(100)와 레일(200)이 밀착 접촉하도록 한다.
윈도우의 정지 상태에서 도면 10도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는 도면 5도의 실시예와 달리 스토퍼부(300)와 스토퍼 푸시부(400)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토퍼부(300)와 스토퍼 푸시부(400) 사이가 맞닿음으로써 지지력을 형성하지 않아도 스토퍼부(300)의 스프링(330)만의 힘만으로도 레일(200)과 캐리어(100)간에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지 상태에서 스토퍼부(300)와 스토퍼 푸시부(400)가 경계면에서 밀착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과정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 사양이다.
도면 11도는 윈도우가 하강 될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윈도우의 하강시에는 아래쪽의 케이블(421)이 아래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그 결과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는 케이블(421)의 장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는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가 아래로 하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부(300)를 캐리어 측으로 압축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와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는 일체로 하나의 바디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별개의 독립된 바디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상측 스토퍼 푸시부(410)와 하측 스토퍼 푸시부(420)의 상승 및 하강의 운동을 조절하도록 캐이블의 이동 방향을 전자적으로 계산하여 각각의 스토퍼 푸시부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캐리어
20 : 레일
11 : 오버 랩 부분
12 : 터치 부분
100 : 캐리어
200 : 레일
300 : 스토퍼부
310 : 연질부
320 : 연질지지부
330 : 스프링
400 : 스토퍼 푸시부
410 : 상측 스토퍼 푸시부
411 : 케이블
412 : 코어
413 : 스프링
420 : 하측 스토퍼 푸시부
421 : 케이블
422 : 코어
423 : 스프링

Claims (6)

  1. 윈도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캐리어에 포함되어 상기 레일과 접촉하는 면측으로 연질부를 구비하고 있는 스토퍼부; 및
    상기 캐리어가 상승 또는 하강시에는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스토퍼 푸시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푸시부는 상측 스토퍼 푸시부와 하측 스토퍼 푸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승할때는 상기 상측 스토퍼 푸시부가 상측으로 압축되고, 상기 하측 스토퍼 푸시부가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부를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캐리어가 하강할때는 상기 상측 스토퍼 푸시부가 연장되고, 상기 하측 스토퍼 푸시부가 하측으로 압축되어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푸시부는 상기 상측 스토퍼 푸시부와 상기 하측 스토퍼 푸시부는 서로 연결되어서 일체의 하나의 바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상측 스토퍼 푸시부간의 접촉면은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양의 기울기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하측 스토퍼 푸시부간의 접촉면은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음의 기울기의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스토퍼부를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레일측으로 밀착 접촉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KR1020130087285A 2013-07-24 2013-07-24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KR101987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285A KR101987488B1 (ko) 2013-07-24 2013-07-24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285A KR101987488B1 (ko) 2013-07-24 2013-07-24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055A true KR20150015055A (ko) 2015-02-10
KR101987488B1 KR101987488B1 (ko) 2019-06-10

Family

ID=5257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285A KR101987488B1 (ko) 2013-07-24 2013-07-24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870A (ko) 2018-10-25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드럼장치
KR20220126874A (ko) * 2021-03-10 2022-09-19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496A (ja) * 1998-04-20 1999-11-02 Chuo Spring Co Ltd 窓の開閉装置
JP2002322865A (ja) * 2001-02-23 2002-11-08 Mitsuba Corp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20050032901A (ko) * 2003-10-02 200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글라스 캐리어
KR20130032730A (ko) * 2011-09-23 2013-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라스의 진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496A (ja) * 1998-04-20 1999-11-02 Chuo Spring Co Ltd 窓の開閉装置
JP2002322865A (ja) * 2001-02-23 2002-11-08 Mitsuba Corp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20050032901A (ko) * 2003-10-02 200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글라스 캐리어
KR20130032730A (ko) * 2011-09-23 2013-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라스의 진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870A (ko) 2018-10-25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드럼장치
KR20220126874A (ko) * 2021-03-10 2022-09-19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488B1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42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1987488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JP2005127122A (ja) スライドドアのガラスインタロック装置
JP600205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130045329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KR100867847B1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KR101744418B1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이탈방지구
JP2012218897A (ja) エレベータ
JP62299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20130129532A (ko) 자동차용 윈도우 글래스의 캐리어 플레이트
KR200470371Y1 (ko)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KR101848086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장치
KR200485400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JP514904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165081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移動規制具
JP55200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492358B2 (ja) エレベータ用敷居閉塞体の異物除去装置
CN104563764B (zh) 一种移门防跳轮结构
CN107285175A (zh) 电梯厅门总成和电梯系统
JP201324123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KR101255773B1 (ko) 글라스의 진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
JP6172858B2 (ja) 引戸の移動抑制機構
KR100587936B1 (ko) 도어 윈도우 글래스의 승강 완충장치
KR200363734Y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캐리지의 완충재 마찰억제 가이드
KR101283882B1 (ko) 차량용 글라스 장착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