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371Y1 -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 Google Patents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371Y1
KR200470371Y1 KR2020120008126U KR20120008126U KR200470371Y1 KR 200470371 Y1 KR200470371 Y1 KR 200470371Y1 KR 2020120008126 U KR2020120008126 U KR 2020120008126U KR 20120008126 U KR20120008126 U KR 20120008126U KR 200470371 Y1 KR200470371 Y1 KR 200470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groove
upper guide
braking means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가영
Original Assignee
김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가영 filed Critical 김가영
Priority to KR2020120008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4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liding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로 각각 일정 폭의 상/하부 가이드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가이드홈을 따라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와,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돌출 설치된 다수 개의 방지턱과,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방지턱을 지나갈 때 압축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속하여 출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Sliding door with safety braking means}
본 고안은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상부 가이드홈에 다수 개의 방지턱을 돌출 설치하고 도어의 상부 일측에 볼플런저(ball plunger)를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닫을 때 볼플런저가 방지턱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단계적으로 지나가게 되어 미닫이문이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교실의 출입문에는 미닫이문이 설치되어 있다.
미닫이문은 사각 형태의 프레임에 도어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미닫이문은 출입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급하게 닫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한 소음과 다른 출입자의 손이나 발이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교실 출입구로 미닫이문을 사용하고 있는 초등학교에서, 자기방어가 미약한 어린이에게는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또는 치명적인 사고로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제동 수단을 구비한 미닫이문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출입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제작비용이 저렴한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로 각각 일정 폭의 상/하부 가이드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가이드홈을 따라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와,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돌출 설치된 다수 개의 방지턱과,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방지턱을 지나갈 때 압축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볼플런저와 접하는 곡면부와,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부착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의 머리부에 압입결합되는 나사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나사에 의하여 상기 상부 가이드홈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상부 가이드홈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순차적으로 계단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는 상기 도어에 내삽 고정되는 일측이 개구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첫째, 본 고안은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속시키고 정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갑작스런 도어의 닫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기존의 미닫이문에 간단하게 제동 수단을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용적이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제동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수리 및 유지 보수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의 단면도 및 상부 가이드홈에 설치된 방지턱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표현한 방지턱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방지턱이 상부 가이드홈에 계단식으로 돌출 설치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볼플런저의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의 작동 전 상태도(개방된 상태),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의 작동중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의 단면도 및 상부 가이드홈에 설치된 방지턱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표현한 방지턱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방지턱이 상부 가이드홈에 계단식으로 돌출 설치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서 볼플런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10), 도어(20), 방지턱(30), 및 볼플런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문틀로서, 상하로 각각 일정 폭과 깊이를 가지는 상부 가이드홈(11)과 하부 가이드홈(12)이 형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0)을 좌우로 나누어 보면, 우측은 벽면에 설치되고 좌측은 개방된 면에 설치된다.
도어(20)는 프레임(10)의 상부 가이드홈(11)과 하부 가이드홈(11,12)에 설치된 것으로서, 도어(20)의 가로 길이는 프레임(10)의 가로 길이의 절반으로 형성된다.
도어(20)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롤러(21)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롤러(21)는 도어(20)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2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손잡이(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20)는 프레임(10) 내에서 롤러(21)의 움직임으로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개폐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방지턱(30)은 프레임(10)의 상부 가이드홈(11)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돌출 설치된 것으로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방지턱(30)이 상부 가이드홈(11)에 3개(30a, 30b, 30c)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도시번호 30a는 제1 방지턱, 30b는 제2 방지턱, 30c는 제3 방지턱으로 호칭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방지턱(30a,30b,30c)은 서로 균등 또는 불균등 간격으로 상부 가이드홈(11)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턱(30)은 곡면부(31), 평면부(32), 및 나사고정홈(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곡면부(31)는 볼플런저(40)의 볼(43)에 접하는 것으로서, 그 표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곡면부(31)는 반구형(半球形) 또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사구(砂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는 방지턱(30)의 곡면부(31) 형상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에서 곡면부(31)는 원호 형상으로 측면이 균등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도 3의 (b)와 (c)에서 곡면부(3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급경사면과 완경사면을 가지고 있어서 볼플런저(40)의 제동 시간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평면부(32)는 상부 가이드홈(11)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그 표면이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그 직경은 상부 가이드홈(11)에 맞게 형성된다.
나사고정홈(33)은 평면부(32)의 중심에 형성된 홈으로서, 상부 가이드홈(1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35)의 머리부에 끼워 맞춤(just fitting)할 수 있게 그 크기와 깊이가 나사(35)의 머리부에 맞게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고정홈(33)은 나사(35)의 머리부에 압입(壓入) 결합된다.
한편, 나사(32)가 상부 가이드홈(11)에 결합된 깊이를 조절함에 따라서, 나사(32)와 서로 연결된 방지턱(30)도 상부 가이드홈(11)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는, 상부 가이드홈(11)로 설치된 방지턱(30)의 돌출된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4에서 Ha, Hb, Hc는 방지턱(30)의 평면부(32)가 상부 가이드홈(11)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를 의미한다.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방지턱(30)이 상부 가이드홈(11)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며 계단식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방지턱(30)이 상부 가이드홈(11)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를 순차적으로 낮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 설치된 방지턱(30)에 의해, 도어(20)가 닫히는 감속도(減速度)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플런저(40)는 볼플런저(40)는 바디(41), 스프링(42), 및 볼(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어(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바디(41)는 도어(20)의 상부 일측 내부에 삽입(內揷)되어 고정되는 일정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것이다.
스프링(42)은 바디(41)의 내측에 설치되는 일정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이다.
여기서, 스프링(42)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43)은 구형(求刑)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볼플런저(40)는 스프링(42)이 일정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출입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도어(20)에 가하여 방지턱(30)을 지나갈 때 볼(43)이 스프링(42)을 가압하고 바디(41) 내로 들어간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의 작동 전 상태도(개방된 상태)이고,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의 작동중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출입자가 도어(20)를 닫는 경우, 도어(20)의 상부에 설치된 볼플런저(40)의 볼(43)이 제1 방지턱(30a)에 접하게 된다.
출입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도어(20)에 가하게 되면, 볼플런저(40)의 볼(43)이 스프링(42)을 압축시키고 제1 방지턱(30a)를 지나게 된다.
제1 방지턱(30a)을 지난 볼(43)은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하여 다시 위로 올라온다.
그리고, 다시 순차적으로 볼플런저(40)가 제2 방지턱(30b)와 제3 방지턱(30c)를 지나게 되면서, 도어(20)가 닫히는 속도는 더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플런저(40)가 다수 개의 방지턱(30)을 지나게 되면서 단계적인 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도어(20)가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출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프레임(frame)
11: 상부 가이드홈 12: 하부 가이드홈
20: 도어
21: 롤러(roller) 22: 손잡이
30: 방지턱
30a: 제1 방지턱 30b: 제2 방지턱
30c: 제3 방지턱
31: 곡면부 32: 평면부
33: 나사고정홈
35: 나사
40: 볼플런저(ball plunger)
41: 바디 42: 스프링(spring)
43: 볼(ball)
Ha, Hb, Hc: 방지턱의 평면부가 상부 가이드홈으로부터 돌출된 높이

Claims (5)

  1. 상하로 각각 일정 폭의 상/하부 가이드홈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상/하부 가이드홈을 따라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돌출 설치된 다수 개의 방지턱; 및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방지턱을 지나갈 때 압축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볼플런저와 접하는 곡면부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부착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의 머리부에 압입결합되는 나사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제동이 구비된 미닫이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나사에 의하여 상기 상부 가이드홈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상부 가이드홈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순차적으로 계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는,
    상기 도어에 내삽 고정되는 일측이 개구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KR2020120008126U 2012-09-12 2012-09-12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KR200470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126U KR200470371Y1 (ko) 2012-09-12 2012-09-12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126U KR200470371Y1 (ko) 2012-09-12 2012-09-12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371Y1 true KR200470371Y1 (ko) 2013-12-16

Family

ID=5371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126U KR200470371Y1 (ko) 2012-09-12 2012-09-12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3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804A (ko) * 2016-04-26 2017-11-03 김환철 쓰레기 압착장치
KR101877400B1 (ko) * 2016-11-02 2018-07-11 장대호 음식물 쓰레기 효소 발효 분해 재처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6493A (ja) 2003-07-14 2005-02-10 Kobayashi Seisakusho:Kk 引き戸類のブレーキストッパ及びブレーキストッパ装置
JP2005171545A (ja) 2003-12-09 2005-06-30 Hitoshi Nishitani 引戸用制動装置
KR100624169B1 (ko) 2006-02-22 2006-09-13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출입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6493A (ja) 2003-07-14 2005-02-10 Kobayashi Seisakusho:Kk 引き戸類のブレーキストッパ及びブレーキストッパ装置
JP2005171545A (ja) 2003-12-09 2005-06-30 Hitoshi Nishitani 引戸用制動装置
KR100624169B1 (ko) 2006-02-22 2006-09-13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출입문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804A (ko) * 2016-04-26 2017-11-03 김환철 쓰레기 압착장치
KR101895117B1 (ko) * 2016-04-26 2018-10-24 김환철 쓰레기 압착장치
KR101877400B1 (ko) * 2016-11-02 2018-07-11 장대호 음식물 쓰레기 효소 발효 분해 재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7340B (zh) Door suspension
JP5694790B2 (ja) 跳上げ防止具を備えた引込み装置付吊戸
JP2008509301A (ja) 扉の不定位置を維持する止め具
JP6542540B2 (ja) 戸吊装置
PL1593804T3 (pl) Narożny zespół przenoszący z zespołem zabezpieczającym przed niewłaściwym działaniem dla obrotowo-wychylnych skrzydeł metalowych ram okien i drzwi
KR200470371Y1 (ko) 안전 제동 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JP2001507418A (ja) ガイドレールを備えたケーブル式窓リフタ
CN203750063U (zh) 一种轨道自锁器以及包括该自锁器的高空防坠器
JP3161387U (ja) 引き戸の制動装置
CN206014207U (zh) 一种自动调位的电梯地坎
CN206014205U (zh) 一种电梯地坎
JP2011220054A (ja) 引き戸の制動装置
JP3168850U (ja) 引き戸の制動装置
KR20160081011A (ko) 지하철 차량 및 스크린 도어의 안전장치
CN205527253U (zh) 乘客输送机
JP4305758B2 (ja) 傾斜地輸送設備の車両のカム式レールブレーキ装置
CN111915974B (zh) 教学电梯的安全钳组件
KR101988060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CN201236091Y (zh) 一种自动扶手电梯扶手
JP201324123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CN203651511U (zh) 防滚珠散落的汽车座椅用滑轨
KR101926879B1 (ko) 슬라이딩 도어 이동 제한 장치
CN203651509U (zh) 防滚珠掉落的汽车座椅用滑轨
JP5881994B2 (ja) 吊り車の制動装置
JP2017020285A (ja) 引戸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