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847B1 -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847B1
KR100867847B1 KR1020060124296A KR20060124296A KR100867847B1 KR 100867847 B1 KR100867847 B1 KR 100867847B1 KR 1020060124296 A KR1020060124296 A KR 1020060124296A KR 20060124296 A KR20060124296 A KR 20060124296A KR 100867847 B1 KR100867847 B1 KR 100867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late
door glass
roller
rai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738A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8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에 관한 것으로, 도어 글라스를 장착하여 안내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도어 글라스를 지지하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케이블의 직경이 도어 글라스의 상단 및 하단 위치에서 가변되게 하여 도어 글라스가 승하강 운동을 할 때에 상단 및 하단 위치에서 부드럽고 원만하게 정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글라스의 승하강 작동시에 충격소음을 방지하여 차량의 상품성과 레귤레이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어 글라스를 장착하여 지지하는 캐리어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안내이동되는 레일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풀리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일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부 롤러와, 상기 레일의 하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하부 홀더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롤러, 상기 상부 풀리와 상부 롤러 사이 및 상기 하부 홀더와 하부 롤러 사이에 끼워져 안내이동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글라스가 최상단 및 최하단에 각각 위치될 때에 상기 상부 풀리 및 하부 롤러와 하부 홀더 및 하부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의 직경이 상기 일정한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Stopper for door window regulator in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하강 작동된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가 구비된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의 작동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레일 12-캐리어 플레이트
13-케이블 14-상부 풀리
15-하부 홀더 16a,16b-롤러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글라스 를 장착한 캐리어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케이블의 직경을 가변시켜 도어 글라스의 승하강 운동이 상단 및 하단에서 부드럽게 정지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도어에 마련된 개구부를 도어 글라스를 매개로 개폐하는 장치로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시되지 않은 도어 모듈 플레이트에는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레일(1)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각 레일(1)에는 도어 글라스를 장착할 수 있는 캐리어 플레이트(2)가 레일(1)을 따라서 안내이동되게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2)는 케이블(3)을 매개로 구동모터(4) 혹은 수동 핸들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상기 수동 핸들이나 모터의 작동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을 따라 안내이동되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된 도어 글라스가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을 따라 상하로 안내이동될 때에 레일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는 물리적인 구속에 의해 도어 글라스 및 캐리어 플레이트의 운동이 정지되게 되는 데, 즉 상기 레일(1)의 하단부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5)가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2)가 레일을 따라서 최하단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스톱퍼(5)와 부딪치면 캐리어 플레이트(2)의 하강운동이 정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와 도어 글라스의 승하강 운동이 스톱퍼와 캐리어 플레이트 사이의 물리적인 구속에 의해 정지될 경우에는 충격소음이 발생하여 차량의 상품성과 레귤레이터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 글라스를 장착하여 안내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도어 글라스를 지지하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케이블의 직경이 도어 글라스의 상단 및 하단 위치에서 가변되게 하여 도어 글라스가 승하강 운동을 할 때에 상단 및 하단 위치에서 부드럽고 원만하게 정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글라스의 승하강 작동시에 충격소음을 방지하여 차량의 상품성과 레귤레이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도어 레귤레이터 스톱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글라스를 장착하여 지지하는 캐리어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안내이동되는 레일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풀리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일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부 롤러와, 상기 레일의 하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하부 홀더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롤러, 상기 상부 풀리와 상부 롤러 사이 및 상기 하부 홀더와 하부 롤러 사이에 끼워져 안내이동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글라스가 최상단 및 최하단에 각각 위치될 때에 상기 상부 풀리 및 하부 롤러와 하부 홀더 및 하부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의 직경이 상기 일정한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구 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정한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다른 부위보다 선형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가 구비된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일부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도시되지 않은 도어 모듈 플레이트에는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레일(11)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각 레일(11)에는 도어 글라스를 장착할 수 있는 캐리어 플레이트(12)가 상기 레일(11)을 따라서 안내이동되게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는 케이블(13)을 매개로 구동모터 혹은 수동 핸들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13)의 분리된 상단부(13a)와 하단부(13b)에는 각각 케이블 앤드(13aa,13ba)가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에 형성된 2개의 조립구멍에 각각 끼워져서 조립되어 케이블(13)과 캐리어 플레이트(12)가 일체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1)의 상단부에는 풀리(1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더불 어 상기 레일의 하단부에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홈(15a)을 가진 하부 홀더(15)가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13)이 상기 상부 풀리(14)와 상기 하부 홀더(15)의 가이드홈(15a)에 각각 끼워져서 안내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풀리(14)와 상기 하부 홀더(15)와 인접한 레일(11)의 상하부에는 각각 상부 롤러(16a)와 하부 롤러(16a)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 롤러(16a)와 상부 풀리(14)사이의 간격은 도 4에서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13)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상부 롤러가 상부 풀리에 근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하부 롤러(16b)도 하부 홀더와의 사이의 간격이 케이블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도록 근접해서 설치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의 스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케이블(13)은 그 직경이 상단부(13a)와 하단부(13b)에서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단부(13a) 및 하단부(13b)에서 케이블의 직경(D2)은 다른 부위의 직경(D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직경(D2)은 또한 상부 풀리와 상부 롤러사이의 간격 및 하부 홀더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13)은 상단부와 하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선형적으로 커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의 구동모터 혹은 수동 핸들의 조작으로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캐리어 플레이트가 안내레일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도어 글라스를 승하강시킬 때에 도어 글라스가 도어 개구부를 밀폐하는 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캐리어 플레이트가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 때에 상기 케이블이 상부 풀리와 상부 롤러사이에 끼여진 상태로 당겨질 때에 케이블의 대경부(D2)가 상부 풀리와 상부 롤러 사이에 위치되면 도어 글라스 및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승 운동이 정지되게 된다.
상기 도어 글라스와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승 운동의 정지는 급작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의 직경이 상단부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증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케이블의 소경부(D1)로부터 대경부(D2)로 확장되는 부위가 상부 풀리와 상부 롤러 사이에 위치되게 되면 케이블과 상부 롤러 및 상부 풀리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도어 글라스와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승 정지운동이 부드럽고 완만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어 글라스가 도어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하강할 때에도 케이블의 하단부에 형성된 대경부(D2)와 하부 홀더 및 하부 롤러사이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도어 글라스 및 캐리어 플레이트의 하강 정지운동이 부드럽고 완만하게 이루어져 충격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에 의하면, 도어 글라스가 캐리어 플레이트에 의해 승하강 운동을 할 때에 캐리어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케이블이 직경이 도어 글라스의 상단 및 하단 위치에서 가변되어, 케이블과 상부 풀리, 하부 홀더 및 롤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도어 글라스의 상승 및 하강 정지운동이 부드럽고 원만하게 이루어져 충격 소 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차량의 상품성과 레귤레이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 글라스를 장착하여 지지하는 캐리어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안내이동되는 레일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풀리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일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부 롤러와, 상기 레일의 하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하부 홀더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롤러, 상기 상부 풀리와 상부 롤러 사이 및 상기 하부 홀더와 하부 롤러 사이에 끼워져 안내이동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글라스가 최상단 및 최하단에 각각 위치될 때에 상기 상부 풀리 및 상부 롤러와 상기 하부 홀더 및 하부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의 직경이 상기 일정한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정한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다른 부위보다 선형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KR1020060124296A 2006-12-08 2006-12-08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KR10086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296A KR100867847B1 (ko) 2006-12-08 2006-12-08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296A KR100867847B1 (ko) 2006-12-08 2006-12-08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738A KR20080052738A (ko) 2008-06-12
KR100867847B1 true KR100867847B1 (ko) 2008-11-10

Family

ID=3980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296A KR100867847B1 (ko) 2006-12-08 2006-12-08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3269A (zh) * 2015-02-04 2015-07-08 陈学琴 双推齿带式弹簧缓冲齿轮升降器
CN104612520A (zh) * 2015-02-04 2015-05-13 陈学琴 双推齿带式弹片缓冲齿轮升降器
CN104563728A (zh) * 2015-02-04 2015-04-29 陈学琴 双推齿带式缓冲齿轮升降器
CN108387380B (zh) * 2018-01-25 2020-01-1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动车窗升降平顺性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213U (ko) 1996-10-19 1998-07-15 박병재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와이어 튜브
JP2006009475A (ja) * 2004-06-28 2006-01-12 Oi Seisakusho Co Ltd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213U (ko) 1996-10-19 1998-07-15 박병재 차량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와이어 튜브
JP2006009475A (ja) * 2004-06-28 2006-01-12 Oi Seisakusho Co Ltd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738A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847B1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US6427385B1 (en) Window lift mechanism
KR20130045329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4501466B2 (ja) 昇降ガラスの水滴誘導構造
JP5060209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5060208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514904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466451B1 (ko)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JP5060210B2 (ja) ホームドア構造
KR101144075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439964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587936B1 (ko) 도어 윈도우 글래스의 승강 완충장치
KR200337417Y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안내장치
KR20150015055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JP2014088670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0872933B1 (ko) 도어의 윈도우 리프팅 장치
JP3781359B2 (ja) 車両用ドア
SE522669C2 (sv) Anordning vid takskjutport
KR100373119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101601311B1 (ko) 자동차의 유격 방지형 글라스 승강장치
KR100878118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개폐장치
KR100349716B1 (ko)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422688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가이드 레일 구조
KR200152953Y1 (ko) 자동차 도어유리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