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728A -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 Google Patents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728A
KR20140087728A KR1020120158322A KR20120158322A KR20140087728A KR 20140087728 A KR20140087728 A KR 20140087728A KR 1020120158322 A KR1020120158322 A KR 1020120158322A KR 20120158322 A KR20120158322 A KR 20120158322A KR 20140087728 A KR20140087728 A KR 20140087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vating
rail
support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451B1 (ko
Inventor
최종오
문정민
이득용
백동수
서현준
신광식
손운락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심원 filed Critical (주)심원
Priority to KR102012015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4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movable to overlapping or nested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는, 차량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커버유닛, 커버유닛을 다단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 지지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커버유닛이 차량을 폐쇄시킨 자세에서 구동유닛 및 지지유닛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규제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정상적인 구동유닛 및 지지유닛의 움직임을 규제시킴에 따른 선루프의 개폐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FOLDABLE SUNROOF APPARATUS}
본 발명은 선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접철 동작 중 비정상적인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는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고급화와 고객의 취향 다변화로 인해 선루프가 장착된 차량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선루프는 차량의 내부 환기와 탁 트인 개방감 등 쾌적한 운전에 도움을 주기 위해 차량 지붕에 장착되는 일종의 보조 창이다.
상기 선루프는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이 가능하며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유리(Glass) 타입이 주로 채용된다. 그러나, 글라스 타입은 설계 변경이 어려우며 중량이 무거운 재질 특성으로 인해 설계 제약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다양한 차종에 대한 적용성이 우수하면서도 차량의 개방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캔버스(Canvas) 타입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단 접철 가능한 커버유닛에 의한 비정상적인 유동을 차단시킬 수 있는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는, 차량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커버유닛, 상기 커버유닛을 다단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폐쇄시킨 자세에서, 상기 구동유닛 및 지지유닛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규제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을 지지하여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서 제1지지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유닛을 접철 가능하게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승강부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 레일 및 상기 이동부의 상기 개폐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개폐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승강부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이동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암 및 상기 승강암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승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핀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승강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개폐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체,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 사이의 상기 커버유닛을 지지하는 제1보조체 및, 상기 승강부의 구동력에 간섭되어 상기 제1보조체를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기 제1보조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2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커버유닛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2보조체 및 상기 승강부의 구동력에 간섭되어 상기 2보조체를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2지지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제2보조체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구동원부와 연결되는 잠금 몸체 및 상기 잠금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잠금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레일은, 상기 개폐 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잠금 구간과 상기 승강 레일의 경사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2잠금 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폐쇄시키는 위치일 때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잠금 구간과 연결되어 유동됨이 규제되고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개방시키는 위치일 때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2잠금 구간과 연결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잠금 구간에서 상기 제2잠금 구간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원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잠금 몸체가 구동됨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상기 개폐방향으로 피동되어 이동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선루프장치는, 차량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커버유닛, 상기 커버유닛을 복수위치에서 지지하여, 상기 커버유닛을 다단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가 정지된 자세에서, 상기 구동유닛 및 지지유닛의 움직임을 규제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의해 피동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승강부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 레일 및 상기 이동부의 상기 개폐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개폐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승강부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케이블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암 및 상기 승강암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승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핀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승강암이 삽입되는 승강 안내홈이 마련되며, 상기 승강암에 의해 피동되어 상기 개폐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레일부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커버유닛을 지지하는 제1보조체 및, 상기 커버유닛의 장력에 간섭되어 상기 제1보조체를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기 제1보조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구동 케이블과 연결되는 잠금 몸체 및 상기 잠금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핀이 삽입되는 잠금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레일은, 상기 개폐 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잠금 구간과 상기 승강 레일의 경사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2잠금 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폐쇄시키는 위치일 때 상기 승강핀은 상기 제1잠금 구간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암의 유동이 규제되고,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개방시키는 위치일 때 상기 승강핀은 상기 제2잠금 구간과 연결되어 상기 잠금 몸체를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 케이블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암을 피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선루프장치는, 첫째, 다단으로 접철 가능한 커버유닛에 의한 지지유닛 및 구동유닛의 유동을 규제시킴으로써, 선루프의 개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차량의 폐쇄자세에서의 지지유닛과 구동유닛의 유동을 억제함에 따른 차량의 기밀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다단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선루프장치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커버유닛이 접철됨에 따라 차량의 개방영역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개방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루프장치로부터 커버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유닛 및 잠금유닛을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선루프장치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커버유닛의 개방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선루프장치(1)는 커버유닛(10), 지지유닛(20), 구동유닛(30) 및 잠금유닛(80)을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선루프장치(1)는 도 1과 같이 차량(C)의 지붕에 적어도 일부가 관통 형성된 개구(O)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상기 커버유닛(10)은 차량(C)의 개구(O)를 선택적으로 커버한다. 상기 커버유닛(10)은 캔버스(canvas)와 같이, 접철 가능한 유연한 재질이면서도 외부 열과 충격에 대해 차량(C) 내부를 보호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커버유닛(10)의 종류, 칼라 등은 차량(C)의 주행 조건이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 가능하다.
상기 지지유닛(20)은 커버유닛(10)을 다단 접철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유닛(2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1지지부(21) 및 제2지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21)는 커버유닛(1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구동유닛(30)에 의해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21)가 한 지점에서 커버유닛(10)을 지지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21)는 커버유닛(10)의 개폐방향(D)을 기준으로 선단에 설치되어 커버유닛(10)의 개폐동작을 지지한다. 이러한 제1지지부(21)의 설치 개수는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유닛(10)의 선단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되어 각각 구동유닛(30)과 연결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부(21)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커버유닛(10)의 개폐방향(D)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소정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지지부(21)가 봉 형상을 가지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가변 가능하다.
상기 제2지지부(22)는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21)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서 커버유닛(10)을 지지하며, 제1지지부(21)의 동작에 피동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22)는 커버유닛(10)의 개폐방향(D)에 대해 상호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커버유닛(10)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인 것으로 예시하나, 상술한 제1지지부(21)와 마찬가지로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21)(22)는 후술할 레일부(60)에 연결되어 개폐방향(D)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지지부(21)(22)의 슬라이딩 동작은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상기 구동유닛(30)은 커버유닛(1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0)을 개구(O)를 개폐시키는 개폐방향(D)으로 구동시켜 커버유닛(10)을 접철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유닛(30)은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승강부(40), 이동부(50), 레일부(60) 및 구동원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40)는 제1지지부(21)와 연결되어 제1지지부(21)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40)는 도 4와 같이 커버유닛(10)이 개구(O)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에서 벗어나 도 5 및 도 6과 같이 개폐방향(D)으로 접철되어 개구(O)를 개방시키기 용이하도록 제1지지부(21)를 승강시킨다. 아울러, 상기 승강부(40)는 후술할 이동부(50)가 구동되지 않을 때, 커버유닛(10)이 폐쇄위치에서 안착되어 벗어나지 않도록 제1지지부(21)를 하강시켜 안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부(40)는 제1지지부(21)로부터 돌출 마련되어 이동부(50)와 연결되는 승강암(41) 및 승강암(41)으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승강핀(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핀(42)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승강암(41) 및 승강핀(42)은 이동부(50) 및 레일부(60)의 설명과 함께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상기 이동부(50)는 승강부(40)와 연결되어, 승강부(40)에 의해 전달된 구동력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4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연결된 이동부(50)가 구동됨과 아울러 제1지지부(21)도 개폐방향(D)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22)는 승강부(40)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부(50)에 간섭되어 피동된다. 이러한 이동부(50)는 이동체(51), 제1보조체(52) 및 탄성체(53)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체(51)는 승강암(41)이 삽입되는 승강 안내홈(54)이 마련되며, 승강암(41)에 의해 피동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51)는 후술할 레일부(60)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지지부(22)를 피동시킨다. 상기 이동체(51)는 승강암(41)에 대해 단면이 "T"자 형상을 가지고 돌출되는 승강 안내돌기(41a)가 삽입되는 승강 안내홈(54)이 마련되는 일종의 액추에이터(Actuator)이다. 참고로, 상기 승강암(41)의 승강 안내돌기(41a)는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돌출 마련되는 일면이 아닌 타면에 돌출된다.
상기 제1보조체(52)는 제1 및 제2지지부(22) 사이의 커버유닛(10)을 지지하여 커버유닛(10)의 접철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1보조체(52)는 이동체(5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부(60)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커버유닛(10)을 지지한다.
상기 탄성체(53)는 커버유닛(10)이 개구(O)를 개방시킬 때 제1보조체(52)를 상승시키도록 이동체(51)에 대해 제1보조체(52)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탄성체(53)의 일단은 이동체(51)에 돌출 마련된 연결핀(56)에 연결되고 타단은 커버유닛(10)을 지지하는 제1보조체(52)와 연결되는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체(53)는 커버유닛(10)의 장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커버유닛(10)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제1보조체(52)를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커버유닛(10)의 접철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53)의 일단은 이동체(51)의 연결핀(56)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보조체(52)와 연결됨으로써, 이동체(51)의 움직임에 의해 제1보조체(52) 및 탄성체(53)가 연동되어 개폐방향(D)으로 가동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부(50)는 상술한 제1보조체(52)와 유사한 제2보조체(57)를 도 2와 같이 포함한다. 상기 제2보조체(57)는 복수의 제2지지부(22) 사이에 커버유닛(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2보조체(57)도 제1보조체(52)와 마찬가지로 레일부(60)에 구속되지 않는다. 참고로,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2보조체(57)도 탄성체(53)와 유사한 탄성수단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됨으로써, 커버유닛(10)의 접철을 가이드한다.
상기 레일부(60)는 승강부(40)와 이동부(50)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승강 레일(61) 및 개폐 레일(62)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 레일(61)은 승강부(40)의 승강핀(42)이 삽입되어 승강부(40)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레일(61)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각각 삽입되며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승강레일(61a)(61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제1 및 제2승강 레일(61a)(61b)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마련된 승강암(41)과 연결된 제1지지부(21)도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개폐 레일(62)은 이동부(50)의 개폐방향(D)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개폐 레일(62)는 제1 및 제2승강 레일(61a)(61b)과 연결되며 개폐방향(D)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개폐 레일(62a)(6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개폐 레일(62a)(62b)에는 제1 및 제2승강 레일(61a)(61b)을 따라 승강된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각각 연결되며, 이동체(51)로부터 돌출되어 탄성체(53)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핀(56)도 제2승강핀(42b)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2개폐 레일(62b)에 연결되어 개폐방향(D)으로 움직임이 가이드된다.
참고로, 상기 레일부(60)는 승강 레일(61) 및 개폐 레일(62)에 대해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이동체(51)로부터 돌출되는 보조돌기(51a)가 삽입되는 보조 레일(63)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돌기(51a)는 이동체(51)로부터 돌출되는 연결핀(56)과 서로 다른 면의 이동체(51)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원부(70)는 승강부(40) 및 이동부(50)를 레일부(60)를 따라 가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원부(70)가 미도시된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개폐방향(D)으로 가동되는 구동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구동 케이블을 포함하는 구동원부(70)에는 후술할 잠금유닛(80)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원부(70)의 구동력이 잠금유닛(80)을 거쳐 승강부(40) 및 이동부(50)로 전달되는 구성은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상기 잠금유닛(80)은 구동유닛(30)이 구동력에 연동하여 지지유닛(20) 및 구동유닛(30)의 자세를 선택적으로 잠금시킨다. 이러한 잠금유닛(80)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잠금 몸체(81) 및 잠금 레일(82)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 몸체(81)는 구동 케이블을 포함하는 구동원부(70)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 케이블을 포함하는 구동원부(70)에는 고정돌기(71)가 마련되며, 고정돌기(71)에 대응하여 잠금 몸체(81)에는 고정홀(81a)이 관통 형성된다. 이렇게 고정돌기(71)가 고정홀(81a)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됨에 따라, 구동 케이블을 포함하는 구동원부(7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잠금 몸체(81)가 가동된다.
상기 잠금 레일(82)은 잠금 몸체(81)에 형성되며 승강핀(42)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핀(42)이 한 쌍 즉,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으로 마련됨에 따라, 잠금 레일(82)도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된다.
상기 잠금 레일(82)은 개폐 레일(62)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잠금 구간(83)과, 제1잠금 구간(83)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되 승강 레일(61)의 경사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잠금 구간(8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잠금 구간(83)은 커버유닛(10)이 차량(C)을 폐쇄시키는 위치일 때의 승강핀(42)이 연결되며, 제2잠금 구간(84)은 커버유닛(10)이 차량(C)을 개방시키는 위치일 때의 승강핀(42)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핀(42)과 연결되는 승강암(41) 또는 승강암(41)에 의해 피동되는 이동체(51)가 커버유닛(10)의 이동되려는 힘에 의해 개폐방향(D)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승강핀(42)이 제1잠금 구간(83)과 승강 레일(61)의 상호 간섭에 의해 자세 고정되어 유동됨이 규제된다.
아울러, 상기 승강핀(42)이 제1잠금 구간(83)에서 제2잠금 구간(84)으로 이동하면, 구동원부(70)의 구동력에 의해 잠금 몸체(81)가 구동됨에 의해 승강부(40)가 개폐방향(D)으로 피동되어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선루프장치(1)의 접철 동작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차량(C)의 지붕에 개방된 개구(O)에 선루프장치(1)가 설치된다. 이러한 선루프장치(1)의 커버유닛(10)이 다단 접철되어 개폐방향(D)으로 이동됨으로써 개구(O)가 개방된다.
상기 커버유닛(10)의 접철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의의 도시와 같이 구동원부(70)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면 잠금유닛(80)에 구속된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의 구속력에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제1 및 제2승강 레일(61a)(61b)을 따라 이동됨과 아울러 승강암(41)이 이동체(51)의 승강 안내홈(54)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됨으로써, 제1지지부(21)가 승강된다. 상기 제1지지부(21)가 승강됨에 연동하여 커버유닛(10)의 장력이 해제되어 커버유닛(10)을 지지하는 제1보조체(52)가 탄성체(53)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됨으로써, 커버유닛(10)을 접철 용이하게 들어 올린다.
이 후,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구동원부(70)의 구동력에 의해 잠금 몸체(81)가 개폐방향(D)으로 이동됨으로써 연결된 승강부(40)도 함께 피동되어 이동체(51)를 피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잠금 몸체(81)에 의해 이동체(51)의 피동은 개폐 레일(62)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때, 상기 승강암(41)에 연결된 제1지지부(21)도 함께 개폐방향(D)으로 이동됨으로써, 커버유닛(10)이 접철된다.
상기 커버유닛(10)이 개구(O)를 폐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지지부(21)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커버유닛(10)이 펼쳐져 개구(O)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유닛(10)이 개구(O)를 폐쇄시키는 위치에서 커버유닛(10)이 이동되려는 힘 또는 탄성체(53)의 장력에 의해 상호 연결된 승강암(41)과 이동체(51)가 개폐방향(D)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암(41)과 이동체(51)의 비정상인 유동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잠금유닛(80)에 의해 규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케이블을 포함하는 구동원부(70)로부터 돌출된 고정돌기(71)가 삽입되는 고정홀(81a)을 구비하는 잠금 몸체(81)에 마련되는 잠금 레일(82)에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레일부(60)의 승강 레일(61)에 삽입된 상태임과 아울러 잠금 레일(82)의 제1잠금 구간(83)에 삽입된 상태임에 따라,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의 유동이 억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10)이 개구(O)를 폐쇄시키는 위치에서 승강핀(42)이 삽입되는 승강 레일(61) 및 잠금 레일(82)의 제1잠금 구간(83)은 각각 경사 및 직선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경사진 승강 레일(61)을 따라 유동되려는 힘이 직선 형상의 잠금 레일(82)의 제1잠금 구간(82a)에 의해 규제된다.
참고로, 상기 커버유닛(10)이 개구(O)를 개방시키는 상태일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제1잠금 구간(83)을 따라 구동 케이블을 포함하는 구동원부(70)의 구동력에 연동하여 개폐방향(D)으로 슬라이딩된 후 승강 레일(62)과 잠금 레일(82)의 제2잠금 구간(83)의 경사진 형상에 가이드됨으로써, 제1 및 제2승강핀(42a)(42b)이 마련된 승강암(41)의 움직임 규제가 해제되어 승강이 가이드된다.
이러한 승강암(41)의 움직임 규제가 해제로 인해 구동원부(7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이 잠금유닛(80), 승강부(40) 및 이동부(50)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제1 및 제2지지부(21)(22)가 가동됨으로써, 커버유닛(10)의 접철을 가이드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원부(70)의 구동력에 의해 잠금유닛(80)의 잠금 몸체(81)가 구동되어 승강부(40) 및 이동부(50)가 피동되어 개폐방향(D)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선루프장치 10: 커버유닛
20: 지지유닛 21: 제1지지부
22: 제2지지부 30: 구동유닛
40: 승강부 50: 이동부
51: 이동체 52: 제1보조체
53: 탄성체 60: 레일부
61: 승강 레일 62: 개폐 레일
70: 구동원부 80: 잠금유닛
81: 잠금 몸체 82: 잠금 레일

Claims (13)

  1. 차량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커버유닛;
    상기 커버유닛을 다단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폐쇄시킨 자세에서, 상기 구동유닛 및 지지유닛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규제시키는 잠금유닛;
    을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을 지지하여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서 제1지지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유닛을 접철 가능하게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
    를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승강부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 레일 및 상기 이동부의 상기 개폐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개폐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승강부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부;
    를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이동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암; 및
    상기 승강암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승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핀;
    을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승강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개폐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체;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 사이의 상기 커버유닛을 지지하는 제1보조체; 및
    상기 승강부의 구동력에 간섭되어 상기 제1보조체를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기 제1보조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
    를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2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커버유닛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2보조체; 및
    상기 승강부의 구동력에 간섭되어 상기 2보조체를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2지지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제2보조체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체;
    를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구동원부와 연결되는 잠금 몸체; 및
    상기 잠금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잠금 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레일은, 상기 개폐 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잠금 구간과 상기 승강 레일의 경사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2잠금 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폐쇄시키는 위치일 때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잠금 구간과 연결되어 유동됨이 규제되고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개방시키는 위치일 때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2잠금 구간과 연결되는 선루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잠금 구간에서 상기 제2잠금 구간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원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잠금 몸체가 구동됨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상기 개폐방향으로 피동되어 이동되는 선루프장치.
  9. 차량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커버유닛;
    상기 커버유닛을 복수위치에서 지지하여, 상기 커버유닛을 다단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가 정지된 자세에서, 상기 구동유닛 및 지지유닛의 움직임을 규제시키는 잠금유닛;
    을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의해 피동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개폐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승강부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 레일 및 상기 이동부의 상기 개폐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개폐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승강부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케이블;
    을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암; 및
    상기 승강암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승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핀;
    을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승강암이 삽입되는 승강 안내홈이 마련되며, 상기 승강암에 의해 피동되어 상기 개폐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레일부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커버유닛을 지지하는 제1보조체; 및
    상기 커버유닛의 장력에 간섭되어 상기 제1보조체를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기 제1보조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
    를 포함하는 선루프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구동 케이블과 연결되는 잠금 몸체; 및
    상기 잠금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핀이 삽입되는 잠금 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레일은, 상기 개폐 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잠금 구간과 상기 승강 레일의 경사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2잠금 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폐쇄시키는 위치일 때 상기 승강핀은 상기 제1잠금 구간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암의 유동이 규제되고,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차량을 개방시키는 위치일 때 상기 승강핀은 상기 제2잠금 구간과 연결되어 상기 잠금 몸체를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 케이블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암을 피동시키는 선루프장치.

KR1020120158322A 2012-12-31 2012-12-31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KR10146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22A KR101466451B1 (ko) 2012-12-31 2012-12-31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22A KR101466451B1 (ko) 2012-12-31 2012-12-31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728A true KR20140087728A (ko) 2014-07-09
KR101466451B1 KR101466451B1 (ko) 2014-12-10

Family

ID=5173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322A KR101466451B1 (ko) 2012-12-31 2012-12-31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759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날다 드론 스테이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7337B2 (ja) * 1978-01-23 1985-10-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シウム含有銅基合金の製造方法
JPH01133020U (ko) * 1988-02-29 1989-09-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759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날다 드론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451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3088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CN102271945B (zh) 挡风板
US20070114817A1 (en) Raising mechanism for a sliding roof and vehicle roof comprising such raising mechanism
US8776284B2 (en) Moveable bed system
JP6388418B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5053981A1 (ja) サンルーフ装置
EP1232888A1 (en) Protective cover for guide rail of a vehicle open roof construction
KR101466451B1 (ko)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US20030222481A1 (en) Sunroof device
KR100867847B1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JP2013233619A (ja) 放電加工機の加工槽の2段式連動スライドドア
JP6059881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5860691B2 (ja) ホームドア装置
US8333426B2 (en) Rise up panoramic roof for a vehicle
KR20090061990A (ko) 차량 트렁크 룸의 수하물 적재장치
KR101456760B1 (ko)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KR100844676B1 (ko) 차량용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힌지
KR20140042256A (ko) 접철 가능한 선루프장치
JP2015093505A (ja) サンルーフ装置
KR101388282B1 (ko) 선루프장치
CN219076972U (zh) 天窗机械组及天窗装置
JP3559240B2 (ja) 巻取式網戸
JP4717100B2 (ja) 引き違い戸の案内装置
JP4176774B2 (ja) 可動体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