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075B1 -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075B1
KR101144075B1 KR1020090100458A KR20090100458A KR101144075B1 KR 101144075 B1 KR101144075 B1 KR 101144075B1 KR 1020090100458 A KR1020090100458 A KR 1020090100458A KR 20090100458 A KR20090100458 A KR 20090100458A KR 101144075 B1 KR101144075 B1 KR 101144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regulator rail
wire
rail
window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370A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0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를 담당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브라켓부를 레귤레이터 레일부와 일체로 성형하여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을 형성하고, 이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을 삼각 형상으로 마운팅하여 구조적으로 조립 강성을 증대하며, 이에 따른 부품수 감소를 통해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한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레귤레이터 레일부의 바닥면을 벤딩 처리하여 그루부를 형성하고, 이 그루브에 리브를 형성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윈도우 글라스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윈도우 글라스, 윈도우 레귤레이터, 브라켓, 강성, 벤딩

Description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를 담당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를 주관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장치로 이루어진다.
통상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구동수단이 공급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아암 방식과 와이어 방식으로 크게 구분되는 바, 아암 방식은 구동수단인 모터의 회전력을 X자형 아암 또는 싱글 아암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키는 방식이고, 와이어 방식은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 드럼의 회전 방향에 따라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키는 방식이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을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구동모터가 장 착된 마운팅 브라켓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종래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일부 조립 방식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레일 브라켓(11)에 의해 도어 패널(미도시)에 고정 설치되는 레귤레이터 레일(10)과, 윈도우 글라스(미도시)가 설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20)와, 레귤레이터 레일(10) 상에서 캐리어 플레이트(20)를 승강 작동시키는 와이어(50)의 구동을 위한 와이어 드럼(40)과, 와이어 드럼(40)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30)와, 레귤레이터 레일(10)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걸려 안내되는 와이어 안내수단(60)과, 캐리어 플레이트(20)와 와이어 드럼(40) 및 와이어 안내수단(6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귤레이터 레일(10)은 스틸(STEEL)을 프레스한 후, 프레스한 철판을 도어 패널(미도시)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벤딩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10)은 양단부에 별도로 용접 고정되는 레일 브라켓(11)을 통해 도어 패널에 각각 장착되고, 레귤레이터 레일(10)과 이격되어 있는 구동모터(30)는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31)을 통해 도어 패널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20)에는 레귤레이터 레일(10)의 플랜지(13)가 끼움 조립될 수 있는 커서부(23)가 하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시 상기 플랜지(13)의 강성이 윈도우 글라스의 쓰러짐(TILT)을 방지할 수 있고, 레귤레이터 레일(10)의 재질 강성에 의 해 윈도우 글라스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드럼은 별도의 드럼 브라켓(41)을 통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에 조립 장착된다.
이와 같이 종래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도어 패널에 고정 설치되기 위하여 레일 브라켓(11)과 마운팅 브라켓(31) 및 드럼 브라켓(41) 등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레일 브라켓(11)과 마운팅 브라켓(31)에만 총 7개소를 마운팅하여 도어 패널에 장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조립 부품수가 늘어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조 원가 및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레귤레이터 레일(10)의 양측 플랜지(13)가 캐리어 플레이트(20)의 하단부에 끼움되도록 하기 위하여, 캐리어 플레이트(20)가 레귤레이터 레일(10)의 일측 단부에서 슬라이딩 조립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 안내수단(60)은 캐리어 플레이트(20)보다 후조립되어야 하고, 레귤레이터 레일(10)의 양단부의 레이아웃이 불리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브라켓부를 레귤레이터 레일부와 일체로 성형하여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을 형성하고, 이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을 삼각 형상으로 마운팅하여 구조적으로 조립 강성을 증대하며, 이에 따른 부품수 감소를 통해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한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브라켓부와 레귤레이터 레일부가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부에 조립 장착되어 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를 승강되게 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수단;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기존에 설치되던 레일 브라켓 및 드럼 브라켓을 삭제하고, 레귤레이터 레일부와 브라켓부를 일체로 성형한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을 세 군데만 마운팅하여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립 부품수가 감소되고 제조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의 마운팅 부분이 삼각 형상을 이룸에 따라 구조적으로 조립 강성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 레일부의 바닥면을 벤딩 처리하여 그루부를 형성하고, 이 그루브에 리브를 형성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윈도우 글라스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부와 레귤레이터 레일부를 일체로 성형한 플라스틱 재질의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을 형성하여 조립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조립 방식을 보여주는 개략도 및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브라켓부(120)와 레귤레이터 레일부(110)가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과,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에 조립 장착되어 와이어(310)의 구동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미도시)를 승강되게 하는 캐리어 플레이트(200)와,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와이어(310)를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수단(400) 및 상기 와이어(3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드럼(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브라켓부(120)는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의 센터 부분에 위치되고, 이 브라켓부(120)에는 와이어 드럼(300)과, 이 와이어 드럼(300)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50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500)가 설치되는 브라켓부(120)가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도어 이너 패널(미도시)에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을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부(예를 들어 볼트 결합)(도 5 참조)를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양단부와 브라켓부(120) 등의 3개소로 지정할 수 있고, 3개소의 마운팅부가 삼각형을 이룰 수 있도록 위치됨으로써 조립 강성이 보다 증대(기존 7개소 마운팅시보다 조립 강성이 증대됨)된다.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은 스틸 재질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재질 강성을 구조적으로 보강하기 위하여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그루브(111)를 길게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루브(111)는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바닥면이 상하방으로 여러번 굴곡되며 전개 형성되고, 이러한 그루브(111)가 구비된 레귤레이터 레일부(110)는 대략 '톱니' 형상의 굴곡된 단면을 가짐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그루브(111)의 내측에 폭 방향으로 전개되는 복수의 리브(112)를 성형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이렇게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강성을 구조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윈도우 글라스의 승강 중 쓰러짐(tilt)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부(110)는 캐리어 플레이트(200)를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측면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일측(브라켓부(120)의 맞은 편 측면부)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저면에는 상기 플랜지(113)가 삽입 조립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커서부(210)와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내측에 인입될 수 있는 삽입부(2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13)가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커서부(210)의 내측에 삽입 조립되면, 이 캐리어 플레이트(200)는 플랜지(113)를 따라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200)를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에 측면 조립시, 상기 플랜지(113)의 단부를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커서 부(210)에 끼우고, 도 7b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200)를 회전시켜 캐리어 플레이트(200)가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플랜지(113)는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곡면 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113)가 커서부(210)에 삽입 조립됨으로 인해 도 6과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200)가 L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에 구속되게 된다.
이렇게 캐리어 플레이트(200)가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측면 방향에서 조립 가능하게 됨으로 인해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양단부에 스토퍼(미도시)나 와이어 안내수단(예를 들어 풀리)(400)의 장착을 위한 레이아웃이 용이해진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부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브라켓부(120)에는 와이어 드럼(300)의 끼움부(320)가 억지 끼움될 수 있는 클립(121)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20)는 와이어 드럼(300)의 상단부에서 돌출되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부(120)의 클립(121)에 와이어 드럼(300)의 끼움부(320)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드럼(300)이 브라켓부(120)에 조립 장착된다.
시험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 하여 내구성을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한 다음, 윈도우 글라스를 10만회 이상 승강시켜 개폐하였다.
이때,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은 도어 이너 패널의 상단부와 하단부 및 구동모터(500)가 배치되는 중앙부 등 3개소에 마운팅되었다.
그 결과, 도 9의 (a) ~ (f)와 같이, 도어 이너 패널의 상단 마운팅부(도 9의 a)와 중앙 마운팅부(도 9의 b) 및 하단 마운팅부(도 9의 c)에서 크랙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고,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상단부(도 9의 d)와 브라켓부(도 9의 e) 및 하단부(도 9의 f)에도 크랙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윈도우 글라스가 이상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혹은 개폐)되었다.
즉,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와 브라켓부(120)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3개소만 마운팅하여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하더라도 10만회 이상의 개폐를 견딜 수 있는 조립 강성 및 내구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도 10은 종래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좌)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우)에 의한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시 윈도우 글라스가 좌우 측으로 움직이는 변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의해 개폐된 윈도우 글라스가 최대 27.7㎜까지 움직임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의해 개폐된 윈도우 글라스는 최대 16.9㎜까지 움직임이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 60% 가량 윈도우 글라스의 쓰러짐이 개선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윈도우 글라스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한 조립 강성과 내구성을 가질 뿐 아니라, 기존보다 윈도우 글라스의 쓰러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부품을 생략하고 마운팅 개소를 줄임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조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을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구동모터가 장착된 마운팅 브라켓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종래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일부 조립 방식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조립 방식을 보여주는 개략도 및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부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하여 내구성을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 10은 종래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좌)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우)에 의한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시 윈도우 글라스가 좌우 측으로 움직이는 변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
110 : 레귤레이터 레일부
111 : 그루브
112 : 리브
113 : 플랜지
120 : 브라켓부
121 : 클립
200 : 캐리어 플레이트
210 : 커서부
220 : 삽입부
300 : 와이어 드럼
310 : 와이어
320 : 끼움부
400 : 와이어 안내수단
500 : 구동모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브라켓부(120)와 레귤레이터 레일부(110)가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에 조립 장착되어 와이어(310)의 구동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를 승강되게 하는 캐리어 플레이트(200);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와이어(310)를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수단(400);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3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드럼(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일측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13)가 곡면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저면에 상기 플랜지(113)가 삽입 조립되는 커서부(210)와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내측에 인입되는 삽입부(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5. 브라켓부(120)와 레귤레이터 레일부(110)가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에 조립 장착되어 와이어(310)의 구동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를 승강되게 하는 캐리어 플레이트(200);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와이어(310)를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수단(400);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3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드럼(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부(120)에 와이어 드럼(300)의 끼움부(320)가 억지 끼움될 수 있는 클립(121)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100)은 레귤레이터 레일부(110)의 양단부와 브라켓부(120)를 통해 도어 이너 패널에 삼각 형상으로 마운팅되며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레귤레이터 레일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20090100458A 2009-10-21 2009-10-21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1144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58A KR101144075B1 (ko) 2009-10-21 2009-10-21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58A KR101144075B1 (ko) 2009-10-21 2009-10-21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370A KR20110043370A (ko) 2011-04-27
KR101144075B1 true KR101144075B1 (ko) 2012-05-23

Family

ID=4404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458A KR101144075B1 (ko) 2009-10-21 2009-10-21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14A (ko) 2017-11-28 2019-06-05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프 및 레일 수직 끼움 구조와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1005716T5 (de) * 2020-10-30 2023-08-31 Inteva Products, Llc Fensterheber mit optimierter Motorkonfigu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9051A1 (en) 2001-03-19 2002-10-03 Laurent Arquevaux Vehicle window lifter with cable tensioning device
KR100430251B1 (ko) * 1998-08-14 2004-05-03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가이드 레일 및 케이블 또는 보덴 케이블 윈도 리프터용가이드 레일 제조 방법
JP2007023591A (ja) 2005-07-15 2007-02-01 Hi-Lex Corporation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およびその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を用いた車両のドア構造
KR100876026B1 (ko) 2001-01-19 2008-12-26 인티어 오토모티브 클로우져스 인크. 콘딧없는 창 조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251B1 (ko) * 1998-08-14 2004-05-03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가이드 레일 및 케이블 또는 보덴 케이블 윈도 리프터용가이드 레일 제조 방법
KR100876026B1 (ko) 2001-01-19 2008-12-26 인티어 오토모티브 클로우져스 인크. 콘딧없는 창 조정기
US20020139051A1 (en) 2001-03-19 2002-10-03 Laurent Arquevaux Vehicle window lifter with cable tensioning device
JP2007023591A (ja) 2005-07-15 2007-02-01 Hi-Lex Corporation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およびその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を用いた車両のドア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14A (ko) 2017-11-28 2019-06-05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프 및 레일 수직 끼움 구조와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1989857B1 (ko) * 2017-11-28 2019-06-17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프 및 레일 수직 끼움 구조와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370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4326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EP2424808B1 (en) Anti-derailment device for lift or elevator door leaves
CN103582735B (zh) 玻璃升降器
JP4777770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装置
KR101144075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JP5326024B1 (ja) 放電加工機の加工槽の2段式連動スライドドア
US6289966B1 (en) Door
WO1984003733A1 (en) Shutter apparatus
KR100867847B1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JP2020090888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WO2016047735A1 (ja) 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及び傾き抑制機構
KR20090120269A (ko) 도어글래스 승강장치
JP4501466B2 (ja) 昇降ガラスの水滴誘導構造
KR101218320B1 (ko)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JP5060209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0853759B1 (ko) 자동차의 일체형 윈도우 레귤레이터
EP1783316A2 (en) On-failure blind stopper system
CN212406443U (zh) 车门内组件及玻璃升降器
JP5207017B2 (ja) 乗込場の床面閉鎖装置
CN213015924U (zh) 车门玻璃的升降装置、车门以及车辆
KR101183563B1 (ko)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CN216522323U (zh) 升降连接机构、格栅组件及天花机
JP6770255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枠構造、エレベータかご及びエレベータかごの枠構造の形成方法
KR101163473B1 (ko)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KR101975376B1 (ko) 모듈 판넬의 마운팅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