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473B1 -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473B1
KR101163473B1 KR20100058333A KR20100058333A KR101163473B1 KR 101163473 B1 KR101163473 B1 KR 101163473B1 KR 20100058333 A KR20100058333 A KR 20100058333A KR 20100058333 A KR20100058333 A KR 20100058333A KR 101163473 B1 KR101163473 B1 KR 101163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door channel
channel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8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445A (ko
Inventor
전원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58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47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4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도어글래스의 승하강 경로인 도어채널내에 도어글래스와의 습동을 위한 글래스런을 일체로 형성시킨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어글래스의 승하강을 위한 구성중 도어글래스의 승하강 경로인 도어채널내에 도어글래스와의 습동을 위한 글래스런을 일체로 형성하여, 종래에 도어채널과 글래스런이 별도로 구비되던 것과 달리 부품수 절감을 통한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글래스런의 습동립부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글래스와 글래스런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작동이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Door channel integrated glass-ru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도어글래스의 승하강 경로인 도어채널내에 도어글래스와의 습동을 위한 글래스런을 일체로 형성시킨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글래스는 운전자 또는 승객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닫힘) 또는 하강(열림) 작동을 한다.
대개, 자동차용 도어패널내에 도어글래스를 전동식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장착되는데, 이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방식을 이용하여 도어글래스를 승하강시키는 케이블식 장치와, 엑스자 형상의 암(arm)을 이용하여 도어글래스를 상하강시키는 아암식 장치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도어패널내에는 도어채널(door channel)이 상하방향을 따라 장착되고, 도어채널내에는 별도의 글래스런(glass-run)이 분리 가능하게 내설되는 바, 이 글래스 런은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에 의하여 도어글래스가 승하강할 때 도어글래스의 양단부에 대한 지지 및 레일 역할을 한다.
여기서, 종래 기술로서, 글래스런이 별도로 장착된 도어채널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종래의 글래스런이 별도로 장착된 도어채널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종단면도이다.
도면부호 12는 리어도어용 도어패널를 지시한다.
상기 도어채널(10)은 도어패널(1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길다란 성형 구조물로서, 도어글래스(14)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ㄷ'자 단면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글래스런(20)은 'ㄷ'자 단면의 몸체부(22)와, 이 몸체부(22)의 앞단끝에서 안쪽방향을 향하여 예각으로 꺽여진 한 쌍의 습동립부(24)가 서로 일체로 성형된 구조물로서, 한 쌍의 습동립부(24)는 글래스런(20)의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상기 도어채널(10)내에 글래스런(20)이 압입 장착되고, 도어글래스(14)의 양단부가 글래스런(20)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윈도우 레귤레이터(미도시됨)의 작동에 의하여 도어글래스(14)가 글래스런(20)을 따라 승하강을 하게 되며, 이때 도어글래스(14)가 승하강할 때 그 양단부가 글래스런(20)의 습동립부(24)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습동립부(24)와 슬라이드 마찰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글래스런이 별도로 장착된 도어채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도어채널과 글래스런이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 구비됨에 따라,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생산성 및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도어글래스의 승하강 반복운동으로 인하여, 도어글래스와 글래스런간의 마찰이 지속되면, 도어채널내의 글래스런이 그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결국 도어채널내에서 글래스런이 제위치를 벗어나는 이탈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글래스런의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습동립부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도어글래스의 양단부와 습동립부간의 접촉 마찰면적이 증가되어 글래스런의 마모 현상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넷째, 도어글래스의 양단부와 습동립부간의 접촉 마찰면적이 큼에 따라, 도어글래스가 글래스런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결국 승하강시 마찰력 증가로 인해 작동 이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글래스의 승하강을 위한 구성중 도어글래스의 승하강 경로인 도어채널내에 도어글래스와의 습동을 위한 글래스런을 일체로 형성하여, 종래에 도어채널과 글래스런이 별도로 구비되던 것과 달리 부품수 절감을 통한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글래스런의 습동립부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글래스와 글래스런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작동이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글래스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도어채널의 입구부에 글래스런을 위한 습동립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도어채널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습동립부는 도어채널의 입구부에서 안쪽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되, 도어채널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동립부와 도어채널은 동일 재질 또는 이종 재질로 만들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채널과 습동립부가 동일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이 동일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채널과 습동립부가 이종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도어채널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와 글래스 파이버, 및 폴리프로필렌과 글래스 파이버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소재를 사용하고, 습동립부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글래스의 승하강 경로인 도어채널내에 도어글래스와의 습동을 위한 글래스런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도어채널과 글래스런이 별도로 제작 구비되던 것과 달리 부품수 절감을 통한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도어채널내에 일체로 성형되는 글래스런의 습동립부를 글래스런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 배열하여, 도어글래스와 글래스런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마찰저항 감소에 따라 도어글래스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동이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Z" 방향에서 바라본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글래스런이 별도로 장착된 도어채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패널내에는 도어채널(door channel)이 상하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글래스런(glass-run)과 함께 도어글래스의 양단부에 대한 지지 및 레일 역할을 하게 되며, 본 발명은 도어채널과 글래스런이 일체로 제작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어채널(10)은 도어패널(1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길다란 성형 구조물로서, 도어글래스(14)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ㄷ'자 단면 구조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도어채널(10)의 개방된 쪽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입구단중 한쪽 입구단을 제1입구단(16)이라 칭하고, 다른 한쪽 입구단을 제2입구단(18)으로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글래스(14)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도어채널(10)의 제1 및 제2입구단(16) 내벽에 글래스런(20)을 위한 습동립부(24)가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습동립부(24)는 제1입구단(16)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고, 동시에 제2입구단(18)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각 습동립부(24)는 제1 및 제2입구단(16)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채널(10)의 제1입구단(16)에 일체로 형성된 습동립부(24)들과, 제2입구단(18)에 일체로 형성된 습동립부(24)들은 서로 마주보지 않고 지그재그를 이루며 엇갈림 배열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입구단(16)의 습동립부(24)들과, 제2입구단(18)의 습동립부(24)들이 서로 엇갈림 배열로 형성되는 이유는 도어글래스(14)의 양면에 습동립부(24)들이 균형있게 밀착되어 도어글래스(1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글래스(14)의 승하강 경로인 도어채널(10)의 각 입구단(16,18)에 도어글래스(14)와의 습동을 위한 습동립부(24)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도어채널과 글래스런이 별도로 제작 구비되어 조립되는 것과 달리 부품수 절감을 통한 원가절감 및 조립공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글래스런은 몸체부(22)과 습동립부(24)가 일체로 된 구조로 성형되었지만, 본 발명의 글래스런은 몸체부없이 습동립부(24)만을 도어채널(10)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부 삭제에 따라 도어채널(10)의 입구폭을 축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도어채널(10)의 제작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채널(10)내에 일체로 성형되는 습동립부(24)를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 배열함에 따라, 도어글래스(14)와 습동립부(24)간의 마찰면적 및 마찰저항을 종래에 비하여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더욱이 마찰저항 감소에 따라 도어글래스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동이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는 동일 재질 또는 이종 재질로 성형 또는 접합되며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가 동일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이 동일재질은 탄성과 강성을 모두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를 하나의 금형내에서 일체로 성형 제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를 동일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할 때, 도어글래스(14)와 밀착성을 고려한 소정의 탄성력 및 내구성이 습동립부(24)에 부여될 수 있도록 습동립부(24)의 형상 및 두께를 조절하도록 한다.
반면, 상기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가 이종 재질은 제작되는 경우, 상기 도어채널(10)은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글래스 파이버(Glass Fiber),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글래스 파이버(Glass Fiber)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습동립부(24)는 탄성을 가지는 동시에 고내구성 및 저마찰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를 일체로 제작하되,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가 이종 재질로 적용됨에 따라 통상의 이종접합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를 이종 재질로 제작할 때, 습동립부(24)가 가지는 고내구성 및 저마찰 특성 이외에, 도어글래스(14)와 밀착성을 고려한 소정의 탄성력 및 내구성이 습동립부(24)에 부여될 수 있도록 습동립부(24)의 형상 및 두께를 시험제작 단계에서 조절하도록 한다.
10 : 도어채널 12 : 도어패널
14 : 도어글래스 16 : 제1입구단
18 : 제2입구단 20 : 글래스런
22 : 몸체부 24 : 습동립부

Claims (5)

  1. 도어글래스(14)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도어채널(10)의 입구부에 글래스런(20)을 위한 습동립부(24)를 일체로 형성하되, 도어채널(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습동립부(24)는 도어채널(10)의 입구부에서 안쪽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되, 도어채널(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는 동일 재질 또는 이종 재질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가 동일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이 동일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채널(10)과 습동립부(24)가 이종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도어채널(10)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와 글래스 파이버, 및 폴리프로필렌과 글래스 파이버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소재를 사용하고, 습동립부(24)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KR20100058333A 2010-06-21 2010-06-21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KR101163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8333A KR101163473B1 (ko) 2010-06-21 2010-06-21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8333A KR101163473B1 (ko) 2010-06-21 2010-06-21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45A KR20110138445A (ko) 2011-12-28
KR101163473B1 true KR101163473B1 (ko) 2012-07-18

Family

ID=4550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8333A KR101163473B1 (ko) 2010-06-21 2010-06-21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47B1 (ko) * 2015-06-23 2016-07-22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리어 도어의 글래스 틸팅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45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472B1 (ko) 자동차의 오프닝 웨더스트립 고정구조
EP1561619B1 (en) Vehicle door with slidable window glass
JP6700900B2 (ja) 自動車ドア用シール材
US9463684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for a vehicle including a fixed panel having an arcuate configuration and including a rail defining a rail channel having a substantially linear configuration
CN203267743U (zh) 天窗装置
US9878599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including a drain hole
JP2009056941A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2009090975A (ja) ルーフ開放構造
US20130160374A1 (en) Glass-run retainer for automobile door and door structure of automobile
US9233600B2 (en) Roof assembly and vehicle comprising such roof assembly
KR101163473B1 (ko) 자동차용 글래스런 일체형 도어채널
EP2149468B1 (en) Vehicle glass seal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US20220410677A1 (en) Front connecting rod for sunroof linkage, sunroof linkage and sunroof assembly
CN203283012U (zh) 天窗装置
CN106467009B (zh) 用于引导车辆天窗操作的导轨、包括导轨和内侧饰条的组件、天窗及其制造方法
CN107660184B (zh) 用于车辆内部空间的窗玻璃或玻璃天窗区域的遮蔽装置
CN210101292U (zh) 一种汽车车门玻璃导槽
JP2009269554A (ja) 車両のドア構造
CN217835307U (zh) 车辆的车窗以及车辆
US20160167488A1 (en) Rear window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window panel
CN104015592B (zh) 一种天窗的软轴传动机构
EP1040951B1 (en) Sealing and guiding strips
US10710440B1 (en) Glass run seal comprising corner moldings with integrated window spacers
KR100864507B1 (ko) 자동차의 도어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