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320B1 -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 Google Patents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320B1
KR101218320B1 KR1020100054542A KR20100054542A KR101218320B1 KR 101218320 B1 KR101218320 B1 KR 101218320B1 KR 1020100054542 A KR1020100054542 A KR 1020100054542A KR 20100054542 A KR20100054542 A KR 20100054542A KR 101218320 B1 KR101218320 B1 KR 10121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rcade
connection frame
chain
ope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773A (ko
Inventor
고용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인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인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인기업
Priority to KR102010005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2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2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케이드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지붕을 설치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열림덮개의 두께를 얇고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덮개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환기와 채광이 잘되고 아케이드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이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2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덮개와,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열림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structure of open type arcade}
본 발명은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케이드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지붕을 설치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열림덮개의 두께를 얇고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덮개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환기와 채광이 잘되고 아케이드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이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케이드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이동통로 또는 특정 장소의 상부를 가려서 눈이나 비를 피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아치형 지붕 형태의 구조물로서, 최근 재래시장이나, 상업지역, 또는 각종 행사장 등에 널리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아케이드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통로 공간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기둥을 설치한 후, 기둥을 연결 프레임으로 연결하고, 연결프레임 상부에 합성수지재로 된 반투명 덮개를 덮어 씌워서 설치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광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눈과 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아케이드는 고정식이어서, 투명한 덮개로 인해 어느 정도의 광량은 확보가 가능하나, 겨울철에는 오히려 채광이 부족한 실정이며 환기성도 떨어져 아케이드 아래의 쾌적성이 저하되고,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각종 유독가스가 쉽게 배출되지 못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덮개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아케이드 아래 공간에서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에 연기 등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환기성을 일부 개선한 개폐형 아케이드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개폐형 아케이드는 주로 건물 사이의 통로 공간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아치형 아케이드를 일정한 길이로 분할한 후, 구조적 안전성을 위하여 특정 부분만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개방 가능한 범위가 좁고, 환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길에 형성된 아케이드를 분할하여 특정 부분만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아케이드가 설치된 통로 공간 양측 주변 건물의 창을 통해서 각종 화물이나 이삿짐 등을 옮기기 위해 사다리차를 동원할 경우, 아케이드의 개폐 가능범위가 협소하여 사다리차의 원활한 이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실용신안 제20-2009-5343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일정 간격으로 지주프레임(1)을 설치하고, 지주프레임간에 연결프레임(2)을 설치하여, 연결프레임(2) 상부 중앙에는 상부커버(3)를 설치하고, 연결프레임(2) 상부 양측에는 하부커버를 상부커버(3)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하여 상부커버(3)와 하부커버 사이에 환기부(A)를 형성한 구성으로된 아케이드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덮개(4a)와 외측에 위치하는 가동덮개(4b)로 구분하여 고정덮개(4a)는 연결프레임(2) 상부에 지지대(5)로 고정설치하고, 연결프레임(2)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체인풀리(6,6')를 설치하여, 일측 체인풀리(6)를 감속모터(7)로 구동가능케 하며, 한 쌍의 체인풀리(6,6')를 연결하는 체인(61)에는 가동덮개(4b)의 저면에 부착된 연결구(41)를 고정 설치하고, 한 쌍의 체인풀리(6,6') 사이에는 가이드(62)를 설치하며 감속모터(7)의 동력에 의해 가동덮개(4b)가 연결 프레임(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여 고정덮개(4a) 하부로 투입되면서 연결프레임(2)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개폐부(B)가 개폐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공개실용신안 제20-2009-5343호에 기재된 기술은 아케이드의 개방 범위를 넓힘으로써 겨울철 채광이 용이하고 환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은 있으나, 개방부가 상단에 위치하여 3,4층의 경우에는 개방부를 통하여 사다리차의 투입이 용이하지 않아 이삿짐이나 각종 화물등의 운반에 어려움이 있으며, 연결프레임(2)의 상부에 가동덮개(4b)를 안내 레일(21)을 사용하여 단순히 얹어 놓음으로인해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여 외부의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고정덮개(4a)와 가동덮개(4b)가 연결프레임(2)의 상부로 형성되어 지붕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어 공간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프레임의 사이에 열림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지붕의 두께를 줄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설치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열림덮개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별도로 가이드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지붕의 두께와 무게를 줄여주게 됨으로써 공간활용 성이 우수하고, 지주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감시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열림덮개의 개폐가 용이하고 개폐공간이 커서 환기와 채광이 잘되고, 아케이드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이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방형 아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2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덮개와,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열림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부플랜지의 하면과 하부플랜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열림덮개의 양측에는 롤러축에 의해 롤러가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체인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구동스프라켓이 구비된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은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인의 상단에는 절곡 형성되는 덮개체결부가 형성되어, 열림덮개의 하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인에 형성된 체인축에는 마찰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권취드럼이 구비된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열림덮개의 상측 단부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권취드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림덮개의 하면에는 체인가이드에 대응되는 롤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프레임의 사이에 열림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지붕의 두께를 줄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설치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열림덮개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별도로 가이드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지붕의 두께와 무게를 줄여주게 됨으로써 공간활용 성이 우수하고, 지주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감시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림덮개의 개폐가 용이하고 개폐공간이 커서 환기와 채광이 잘되고, 아케이드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이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열림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제1연결프레임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제1연결프레임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제2연결프레임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제2연결프레임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체인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로 와이어로 열림덮개가 작동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연결프레임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열림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제1연결프레임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제1연결프레임 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제2연결프레임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제2연결프레임 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체인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로 와이어로 열림덮개가 작동하는 개념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2연결프레임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00)과 상기 수평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제1,2연결프레임(300,400)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덮개(600)와 상기 제1연결프레임(3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열림덮개(7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100)는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설치되고,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는 수평프레임(200)이 설치되어 일렬로 설치된 지주(100)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측부에는 물받이(210)가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210)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수관(220)이 설치되어 비나 눈을 배수관(220)을 통해 배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지주(100)의 중심부에는 간판설치대(110)가 형성되는데, 아케이드를 시장 등에 사용할 경우 간판(120)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양측에 설치된 수평프레임(200)은 제1,2연결프레임(300,400)에 연결되는데, 상기 제1연결프레임(300)은 H-빔이나 I-빔을 밴딩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300)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부덮개 지지대(5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덮개 지지대(510)의 상면에는 상부덮개(500)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상기 상부덮개(500)의 측부는 개방형 아케이드의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내부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아케이드 내부로 유입할 수 있게 됨으로서 내부 공기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 지지대(510)의 양측에는 고정덮개(600)가 제1연결프레임(3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덮개(600)의 양측에는 열림덮개(700)가 제1연결프레임(300)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프레임(300)의 상부플랜지(310)의 하면과 하부플랜지(32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330)이 설치되고, 상기 열림덮개(700)의 양측에는 롤러축(710)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축(710)에 롤러(7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롤러(72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725)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홈(725)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30)이 삽입되어 열림덮개(700)가 견고하게 설치된다.
그래서, 강풍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가이드레일(330)에 롤러(720)가 악착지지됨으로써, 상기 열림덮개(700)가 제1연결프레임(300)에서 이탈하여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행인들이 부상당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림덮개(700)를 제1연결프레임(300)의 사이에 설치하고, 덮개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를 줄이게 되어 지주(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주게 되어 아케이드의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프레임(300)의 상면에는 "
Figure 112010037137343-pat00001
"형상의 커버판(34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판(340)은 열림덮개(700)와 제1연결프레임(300)이 연결되는 부분을 커버하게 되어 비나 눈이 연결부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판(340)은 칼라강판을 프레싱하여 형성한 것으로 다양한 색을 연출할 수 있어 아케이드의 미감을 높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500), 고정덮개(600), 열림덮개(700)는 액자 형태의 프레임(610)의 상면에 투명한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6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610)의 상면에 고정부재(630)를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시트(620)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630)의 양측에는 날개(635)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635)의 단부에는 패킹고정부(637)가 형성되어 패킹(640)이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패킹(640)이 날개(635)와 프레임(610) 사이에 삽입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62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서 프레임(610)과 폴리카보네이트 시트(620)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킹(640)의 하부에는 중공(645)이 형성되어 있어 폴리카보네이트 시트(620)의 두께가 다양하게 형성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635)의 단부와 폴리카보네이트 시트(620) 사이에 실리콘을 도포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프레임(400)은 제1연결프레임(3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열림덮개(700)를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제2연결프레임(400)은 I-빔 또는 H-빔을 중심부가 원호를 형성하도록 밴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프레임(400)의 양측 단부에는 구동스프라켓(910)이 구비된 구동모터(900)가 설치되고, 중심부 즉, 구동모터(900)가 설치된 타측에는 종동스프라켓(920)이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스프라켓(910)과 종동스프라켓(920)은 체인(800)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프레임(400)의 상부플랜지(410)와 하부플랜지(42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체인가이드(430)가 형성되어 상기 체인(800)에 끼워지게 되어 체인(800)이 제2연결프레임(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800)의 상단에는 덮개체결부(810)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열림덮개(700)의 하면에 볼트나 리벳 등을 사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구동모터(900)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스프라켓(910)과 종동스프라켓(920)에 연결된 체인(800)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체인(800)의 상부에 설치된 열림덮개(700)가 이동하게 되어, 열림덮개(700)를 안정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800)에 형성된 체인축(820)에 마찰롤러(82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체인(800)이 체인가이드(430)를 따라 이동할 때 체인축(820)과 체인가이드(43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주게 되어 보다 부드럽게 열림덮개(700)를 여닫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마찰 소음도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프레임(30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상부 리미트 스위치(350)가 설치되고,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하부 리미트 스위치(360)가 설치되어, 상기 열림덮개(700)가 제1연결프레임(3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3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완전히 개방되게 되면 상부 리미트 스위치(350)를 작동시키게 되어 구동모터(900)을 정지시켜 열림덮개(700)의 이동을 멈추게 되고, 가이드레일(33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완전히 닫히게 되면 하부 리미트 스위치(360)를 작동시키게 되어 구동모터(900)을 정지시켜 열림덮개(700)의 이동을 멈추게 된다.
그래서, 열림덮개(700)의 열림과 닫힘시에 구동모터(900)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림덮개(700)의 하면에는 롤러부(860)가 설치되는데, 상기 롤러부(860)는 상기 열림덮개(70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862)과 상기 브라켓(862)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축(864)과 상기 롤러축(864)에 설치되는 마찰롤러(866)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롤러부(860)는 제2연결프레임(400)의 상부 플랜지(410)의 상면에 설치된 체인가이드(430)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열림덮개(700)가 용이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부(860)가 제2연결프레임(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400)의 양측 단부에는 권취드럼(930)이 구비된 구동모터(900)가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풀리(9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열림덮개(700)의 상측 단부에는 와이어(850)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850)는 상기 풀리(940)를 거쳐 제2연결프레임(40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권취드럼(93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900)의 제어에 의해 열림덮개(70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즉, 권취드럼(930)에 의해 와이어(850)가 감겨지게 되면 상기 열림덮개(700)이 상부로 이동하여 개방되게 되고, 권취드럼(930)에 의해 와이어(850)가 풀리게 되면 열림덮개(700)는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여 닫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케이드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지붕을 설치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열림덮개의 두께를 얇고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덮개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환기와 채광이 잘되고 아케이드 상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이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0 : 지주 110 : 간판설치대
120 : 간판 200 : 수평프레임
210 : 물받이 220 : 배수관
300 : 제1연결프레임 310,410 : 상부플랜지
320,420 : 하부플랜지 330 : 가이드레일
340 : 커버판 350 : 상부리미트 스위치
360 : 하부리미트 스위치
400 : 제2연결프레임 430 : 체인가이드
500 : 상부덮개 510 : 상부덮개 지지대
600 : 고정덮개 610 : 프레임
620 :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630 : 고정부재
635 : 날개 637 : 패킹고정부
640 : 패킹 645 : 중공
700 : 열림덮개 710 : 롤러축
720 : 롤러 725 : 가이드홈
800 : 체인 810 : 덮개체결부
820 : 체인축 825,866 : 마찰롤러
850 : 와이어 860 : 롤러부
862 : 브라켓 864 : 롤러축
900 : 구동모터 910 : 구동스프라켓
920 : 종동스프라켓 930 : 권취드럼
940 : 풀리

Claims (9)

  1.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2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덮개와,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열림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부플랜지의 하면과 하부플랜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열림덮개의 양측에는 롤러축에 의해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체인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구동스프라켓이 구비된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은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체인에 형성된 체인축에는 마찰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상단에는 절곡 형성되는 덮개체결부가 형성되어, 열림덮개의 하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7. 삭제
  8.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2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덮개와,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열림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부플랜지의 하면과 하부플랜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열림덮개의 양측에는 롤러축에 의해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상부플랜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체인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권취드럼이 구비된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열림덮개의 상측 단부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권취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열림덮개의 하면에는 체인가이드에 대응되는 롤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9. 삭제
KR1020100054542A 2010-06-09 2010-06-09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KR10121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542A KR101218320B1 (ko) 2010-06-09 2010-06-09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542A KR101218320B1 (ko) 2010-06-09 2010-06-09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773A KR20110134773A (ko) 2011-12-15
KR101218320B1 true KR101218320B1 (ko) 2013-01-04

Family

ID=4550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542A KR101218320B1 (ko) 2010-06-09 2010-06-09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249A (ko) * 2018-07-26 2020-02-05 황인휘 루프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KR200491590Y1 (ko) * 2019-10-07 2020-05-04 이상호 테이블 및 벤치 일체형 퍼골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751U (ko) * 1985-08-31 1987-03-14
JPS63187672U (ko) * 1987-05-26 1988-12-01
KR20090005343U (ko) * 2007-11-29 2009-06-03 신수영 개폐식 아케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751U (ko) * 1985-08-31 1987-03-14
JPS63187672U (ko) * 1987-05-26 1988-12-01
KR20090005343U (ko) * 2007-11-29 2009-06-03 신수영 개폐식 아케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249A (ko) * 2018-07-26 2020-02-05 황인휘 루프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KR102176537B1 (ko) * 2018-07-26 2020-11-09 황인휘 루프개폐식 아케이드 구조물
KR200491590Y1 (ko) * 2019-10-07 2020-05-04 이상호 테이블 및 벤치 일체형 퍼골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773A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90878A1 (en) Overhead Door With Stacking Panels
KR101280410B1 (ko)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US20100050530A1 (en) Sliding Door
KR101030121B1 (ko) 슬라이딩 지붕이 구성된 아케이드 구조물 및 슬라이딩 지붕의 구동방법
KR101218320B1 (ko)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KR100888741B1 (ko) 복합 개방형 아케이드
KR101406601B1 (ko) 지붕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443808Y1 (ko) 개폐형 아케이드
KR20100029411A (ko) 난간형 psd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CN103221624B (zh) 电梯的轿厢
CN202098956U (zh) 施工电梯
US20110083369A1 (en) Garage screen door system
CN108343185B (zh) 一种可升降的抗风遮雨棚
CN201874403U (zh) 上下推滑式全开门窗
JP2016013913A (ja) エレベータ付き建物
US1239421A (en) Skylight.
KR101620059B1 (ko) 에어 포켓형 멤브레인이 적용되는 막 구조물의 셔터구조
CN107905460A (zh) 一种电动式软驱动智能开启天窗
RU2014106376A (ru) Лифтовая система, блок дверного порог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дверного блока лестничной площадки лифта
CN209959075U (zh) 一种生产及安装方便的翻板车库门
CN202937131U (zh) 滑动式提升门
KR100980764B1 (ko) 양사이드 개폐구조물
KR101869806B1 (ko) 수직 및 수평이동식 아케이드 구조물
CN103696521B (zh) 喷砂房的屋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