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411A - 난간형 psd - Google Patents

난간형 ps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411A
KR20100029411A KR1020080088188A KR20080088188A KR20100029411A KR 20100029411 A KR20100029411 A KR 20100029411A KR 1020080088188 A KR1020080088188 A KR 1020080088188A KR 20080088188 A KR20080088188 A KR 20080088188A KR 20100029411 A KR20100029411 A KR 20100029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creen door
frame
handrail typ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
Original Assignee
서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산업(주) filed Critical 서윤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8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9411A/ko
Publication of KR2010002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형 PSD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도어에 구비된 이동가이드가 수납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될 때에 인접한 스크린도어의 이동가이드와 동일선상에 배열됨과 아울러, 서로 비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슬림(slim)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스크린도어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구동부가 하부에 위치한 장착부, 즉 지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인 장착부에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무게 중심이 치우지는 하부에서 슬라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원활한 개폐 동작을 가능케 하며,
구동부 및 콘트롤패널을 위한 공간을 각각 선로측과 승강장측으로 분할하여, 잔고장이 발생하는 콘트롤패널에 대한 유지보수를 승강장측에서 가능케 하고,
수납부의 개방부에 창유리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됨은 물론,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정보 매체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난간형 PSD에 관한 것이다.
난간형, 플랫폼 도어, 스크린도어, PSD, 슬라이딩도어

Description

난간형 PSD{PLATFORM SCREEN DOOR}
본 발명은 난간형 PSD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부가 배열되고, 상기 장착부에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움직이는 스크린도어의 지지와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게 되는 이동가이드를 기존의 난간형보다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두 프레임의 수납부에 수용되는 두 스크린도어의 각 이동가이드가 동일선상에서 서로 비접촉되도록 한 슬림한 구조의 난간형 PSD에 관한 것이다.
PSD(Platform Screen Door)는 역사 플랫폼에 설치해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안전 장치로써, 승객의 추락 및 열차 접촉 방지, 역무원 인력의 절감, 열차의 무인 운전 가능, 승객 유동성 향상 및 고속통과 운전 가능, 차량 강풍 방지와 방음·방진(防塵) 효과를 통한 승강장의 쾌적성 유지, 열차 화재시 방연(防煙) 효과, 역 환기탑 및 기계실의 축소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PSD는 설치 형태에 따라 완전밀폐형, 반밀폐형, 난간형이 있는데, 완전밀폐형은 선로측과 승강장측을 완전 격리하는 방식이고, 반밀폐형은 선로측과 승강장측을 격리하되, 상부에 개구부를 배치하는 방식이며, 난간형은 선로측과 승강장측 사이에 난간형태로 설치하는 방식이다.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면,
완전밀폐형은 열차풍 등의 방풍, 방음, 방진효과가 우수하고 지하역사의 경우 부대공사가 불가피하며 냉·난방효율이 향상되고 반밀폐형이나 난간형에 비해 설치기간 및 비용 그리고 유지보수비가 과다소요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반밀폐형은 열차풍 등의 일부방지, 완전밀폐형보다 방음, 방진 등의 효과 미흡하고, 난간형에 비해 설치기간 및 비용 그리고 유지보수비가 과다소요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난간형은 열차풍 등의 일부방지, 완전밀폐형보다 방풍, 방진 등의 효과 미흡하고, 완전밀폐형이나 반밀폐형에 비해 설치기간 및 비용 그리고 유지보수비가 저렴하다.
상기 분류 외에도 로프형이 있는데, 로프형은 선로측과 승강장측 사이에 로프형으로 설치하는 방식이고, 설치기간 및 비용 그리고 유지보수비가 저렴하다. 그러나 적용사례가 광주지하철밖에 없어 시스템의 기술 및 효과 검증이 미흡하다.
완전밀폐형은 다른 형태보다 효과에 있어서는 우수하나, 시공시 부대공사나 기간, 비용, 유지보수비 등이 과다소요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어 새로 시공되는 지하역사에 적합할 뿐, 열차 운행 중인 역사(지하, 지상 모두)에 새로이 설치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반밀폐형은 승강장 윗부분을 막을 수 없는 지상역사에 주로 설치되는데, 특 히 반밀폐형은 기존 난간을 제거하고, 난간 바로 밑 선로 바닥에 세워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난간형은 승강장의 난간을 제거하지 않고, 난간 상부에 세워 설치하게 된다.
특히, PSD 형태 중 난간형으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764680호 (2007.10.01, 등록 "선행기술 1"이라 함) 『스크린도어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레일커버가 가이드레일의 지지에 방해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레일 및 레일커버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한 구조로써,
변형 설계에 따른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구성의 난점과 구동부 장착 공간의 불필요한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구동부를 이루는 모터 연동 기계 요소와 PCB를 포함하는 제어패널의 공간 혼용으로 인하여 고장 수리시 주로 문제가 발생되는 제어패널의 접근 난점, 특히 제어패널의 선로측 배열에 따라 승강장 쪽에서 수리할 경우 먼저 모터 연동 기계 요소 분리 후 수리를 진행하므로 작업지연이 발생하고, 또 선로측에서 수리가 요할 때에 열차 운행을 잠시 중단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주요 프레임을 고가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사용하여 생산비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고,
프레임의 창유리가 탈부착 구조가 아니며, 또 창유리를 떼어내어도 내측에 여유 설치 공간이 없어 광고 및 안내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내재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외벽에 노출 및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기술들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00746호 (2005.11.02, 등록 "선행기술 2"라 함)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폐장치』와,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81552호 (2007.02.05, 등록 "선행기술 3"이라 함) 『플랫폼 도어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2는 구동부를 벨트타입으로 소음부분과 문의 처짐 및 비틀림을 방지한 것으로서 전동차 승강장용 스크린도어의 이동도어가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개폐장치이고,
상기 선행기술 3은 궤도 차량용 스테이션 플랫폼의 측부 에지를 따라 제공되고 지지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2개의 가동 펜스가 플랫폼상의 차량 주행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서 풀랫폼측과 차량측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선행기술 2는 이동도어의 안정적 슬라이딩 동작을 제공하고 있으나, 벨트타입 구동장치, LM(leaner motion) 가이드 지지 장치 및 볼부쉬형 보조장치 등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걸쳐 전반에 배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 전방에 즉, 승강장측에 구비된 이동도어까지 감안한다면 폭이 상당히 넓어 승강장측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 3은 승강장의 선로쪽 돌출부를 해체하고 구동부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미 시설되어 운영중인 역사에 PSD 설치시 주로 새벽 2~4시까지 단시 간에 설치해야 하는 작업시간을 고려하여 볼 때에 부적절하고 승강장 내구성에도 문제의 소지가 있어 현실성과 시장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도어의 제기능 제공은 물론, 안정적 슬라이딩 동작 그리고, 특히 서로 비접촉되도록 동일선상에 배열되는 두 이동가이드를 제공하여 슬림(slim)한 구조의 난간형 PSD를 개발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 1, 2 및 3에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스크린도어가 수용되는 수납부의 개방부에 창유리가 고정 설치[창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코킹(caulking) 처리] 되어 있어, 창유리 손상시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특히 창유리 내외부에 코킹 처리가 되어 있는 경우 개방부 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데 곤란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방부에 창유리의 탈부착을 가능케 하여 교체의 용이성을 확보함은 물론, 디스플레이 장착부 또한 마련되어 있어 승객들에게 각종 운행 정보나 TV 시청, 광고 노출 등의 정보 매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난간형 PSD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에 구비된 이동가이드가 수납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될 때에 인접한 스크린도어의 이동가이드와 동일선상에 배열됨과 아울러, 서로 비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슬림(slim) 구조의 난간형 PSD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의 양단에 고정되는 제1타이밍벨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종동롤러와 아이들롤러에서, 상기 아이들롤러는 스크린도어의 진출 쪽에 치우쳐 배열되도록 하여 상기 제1타이밍벨트의 장력유지 역할을 하게 되고, 특히 상기 제1타이밍벨트의 연결 구조가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에 'S'자 형태로 걸쳐지게 하여 스크린도어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만큼 충분한 구동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난간형 PSD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구동부의 구동롤러를 제1 및 제2롤러로 나누게 하고, 특히 상기 제2롤러를 통해 구동부의 모터로 전달되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난간형 PSD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프레임을 이루고 있는 각 구성요소 전반에 걸쳐 고가의 스테인레스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 노출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스테인레스로 제작하고, 그 외에 내부 구성요소는 저가의 알루미늄이나 철제로써 제작하게 되는 난간형 PSD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창유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가 장착될 수 있는 내부 여유 공간이 마련되는 난간형 PSD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열차 운행이 중단되는 새벽 2~4시 사이에 설치작업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하는 점을 감안하여 프레임의 구조체에 볼트 결합공을 형성하고, 이에 결합볼트인 아이볼트를 체결하고, 상기 아이볼트에 와이어를 결속시켜 크레인을 통해 견인이 가능토록 하여 안정되고 신속한 설치 작업 여건이 마련되는 난간형 PSD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착부를 하부에 배열하고 선로측 공간과 승강장측 공간으로 분할하며 각 분할된 공간에 대한 탈부착형 덮개가 구비되고, 잔고장으로 인하여 잦은 수리가 요구되는 콘트롤패널을 상기 승강장측 공간에 배열되도록 한 난간형 PSD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는,
스크린을 지지하고 있는 이동가이드가 프레임의 수납부에서 진출입될 때에 인접한 다른 스크린을 지지하고 있는 이동가이드와 서로 비접촉되도록 하면서 동일직선상에 배열되게 하기 위하여,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배열된 레일, 그리고 장착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수납부에 진출입되며, 진출시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어 스크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이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활주하는 스크린도어; 및
상기 스크린도어의 개폐를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장착부에 배열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단위모듈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수납부에는 스크린도어의 개방시 하나의 스크린도어가 수용되고,
이때 인접한 두 단위모듈의 각 상기 스크린도어는 이동가이드가 상호 동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동작시 상호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스크린도어가 진출입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연결된 종동롤러, 상기 종동롤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종동롤러에 비하여 상기 스크린도어의 진출 쪽에 치우쳐 배열되어 있는 장력유지 아이들롤러, 상기 스크린도어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에 'S'자형으로 걸쳐 긴장을 유지하고 있는 제1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모터와 연결된 제1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선회시키는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제2타이밍벨트에 의하여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승강장에 고정되는 철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된 알루미늄 서포트,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의 외면을 덮는 스테인레스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전후로 관통 형성된 개방부에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구비됨은 물론, 상기 개방부를 덮는 창유리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형성된 구조체에 크레인 견인용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조체에는 지붕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프레임의 장착부는 하부에 배열되어 있고, 각각 탈부착형 덮개가 구비된 선로측 공간과 승강장측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선로측 공간에는 상기 구동부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승강장측 공간에는 콘트롤패널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는,
첫째, 두 스크린도어의 각 이동가이드가 동일선상에 배열되고, 수납부에서 스크린도어의 진입시 각 이동가이드가 서로 비접촉되도록 하여 슬림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둘째, 스크린도어의 진출입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에서 장력유지 기능의 아이들롤러, 상기 아이들로러와 종동롤러가 'S자형으로 타이밍벨트가 걸쳐 긴장을 유지하게 되어 좁은 장착부 내에서 스크린도어의 긴 이동거리를 가능케 하며,
셋째, 구동롤러는 두 롤러로 이루어지고, 특히 종동롤러를 선회시키는 롤러는 모터로 전달되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제공하게 되고,
넷째, 프레임이나 스크린도어의 내부 골조는 저가의 철제나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고, 외부 골조는 고가의 스테인레스로 제작하여 전체에 걸쳐 스테인레스로 제작된 PSD보다 가격 면에서 우수하여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다섯째, 수납부의 개방부에 창유리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창유리 교체가 용이함은 물론,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어 다양한 정보 매체로써의 기능까지 보유하게 되고,
여섯째, 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구조체에 크레인 견인용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조체에는 지붕이 결합됨으로써, 단시간 내에 시공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결합공에 아이볼트를 체결하고, 이에 와이어를 결속한 다음 크레인으로 이동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설치 완료 후 지붕을 덮어 외관상 깔끔하고 미려하게 되며,
일곱째, 구동부 및 콘트롤패널이 설치되는 장착부를 하부에 배열하고, 특히 구동부와 콘트롤패널이 배치되는 공간을 각각 선로측과 승강장측으로 분할하여 잔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콘트롤패널에 대한 유지보수가 승강장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으로 사용될 스크린도어의 개방, 진입, 폐쇄, 진출에 대한 각 단어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자 한다.
개방, 진입은 스크린도어가 프레임의 수납부로 수용된 상태로써, 승강통로를 개방하여 승객의 승하차가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폐쇄, 진출은 스크린도어가 프레임의 수납부에서 빠져나온 상태로써, 승강통로를 폐쇄하여 승객의 승하차가 불가능하게 되고, 열차의 진행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승강장측은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이 대기하는 곳을 의미하고, 선로측은 열차의 주행 및 정차를 하게 되는 곳을 의미하며, 방향에 있어 전후(前後)라 함은 승강장측을 전(前)이라 하고 선로측을 후(後)라 정의한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는,
크게 프레임(10), 스크린도어(20) 및 구동부(30)를 포함하는 단위모듈(M)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수납부(11),
상기 수납부(11)에 배열된 레일(12), 그리고
장착부(13)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승강장에 고정되는 철제 베이스(14), 상기 베이스(14) 상부에 연결된 알루미늄 서포트(15), 그리고 상기 베이스(14) 및 상기 서포트(15)의 외면을 덮는 스테인레스 커버(1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4)에는 난간과의 결합을 위하여, 앙카볼트(B1) 체결홀(1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후로 관통 형성된 즉, 상기 수납부(11)의 전후로 관통 형성된 개방부(111)에 디스플레이 장착부(112)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개방부(111)를 덮는 창유리(17)가 구비되는데, 상기 창유리(17)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창유리(17)는 유리의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탈부착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창유리(17)의 둘레를 감싸는 테두리부재(171),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재(171)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111)와 탈부착 체결되는 결합수단(172)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창유리(17)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시각 효과를 창출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112)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함으로써 열차 운행에 관련된 종합 정보, TV, 광고 등의 다양한 매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수단(172)은
상기 서포트(15) 양단에 형성된 끼움홀(172a),
상기 끼움홀(172a)에 대응되게 상기 테두리부재(171)에 양단에 형성된 끼움돌기(172b)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끼움돌기(172b)는 엘라스토머(elastomer : 172b-2)와, 상기 엘라스토머(172b-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72b-3)와, 상기 엘라스토머(172b-2) 및 돌출부(172b-3)의 일면을 감싸고 상기 테두리부재(171)에 고정케 하면서 상기 돌출부(172b-3)를 지지하게 되는 결합브라켓(172b-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끼움홀(172a)에는 상기 끼움돌기(172b)의 돌출부(172b-3)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172)을 통해 상기 창유리(17)를 상부로 살짝 들어올려 전방으로 빼낼 수 있고, 역순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후술할 구조체(18)를 덮게 되는 지붕(19)을 먼저 제거한 후 상기 창유리(17)를 조립 및 탈거하게 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서포트(15)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조체(18)가 구비되 고, 상기 구조체(18)는 크레인 견인용 볼트 결합공(18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볼트 결합공(181)에 결합볼트(B)를 체결함으로써, 크레인에 의해 견인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선로 난간에 프레임(1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볼트(B)는 아이볼트이고, 상기 아이볼트는 중량이 있는 기계를 크레인으로 매달아 올릴 때 와이어에 결속하여 장비를 이동 가능케 하는 것으로, 철(Fe) 뿐만 아니라 티타늄제, 스텐레스제로 제작되며, 해안 설비나 선박의 용도에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81)에 결합볼트(B)를 체결하여 크레인에 의해 견인되어 선로 난간으로 이동 설치한 후, 상기 결합공(181)으로부터 결합볼트(B)를 풀어 제거한 다음에는,
상기 구조체(18)을 덮는 지붕(19)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조체(18)는 상기 지붕(19)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에 체결브라켓(182)이 구비되고, 또 상기 스크린도어(20)의 상단 양면과 접하는 가이드롤러(183)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롤러(183)는 상기 결합공(181)에 결합볼트(B) 체결시 상기 구조체(18)로부터 제거되었다가, 상기 결합볼트(B)가 분리되면 다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롤러(183)를 통해 상기 스크린도어(20)의 상단을 지지하게 되고, 수납부(11)로의 진출입에 대한 움직임을 안내하는데 일조함은 물론, 선로나 승강장 측에서 발생하는 자연풍이나, 특히 선로측에서 발생하는 강제풍(열차의 주행에 따른 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스크린도어(20)를 잡아주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의 장착부(13)는 하부에 배열되어 있고, 각각 탈부착형 덮개(C1, C2)가 구비된 선로측 공간(S1)과 승강장측 공간(S2)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선로측 공간(S1)에는 상기 구동부(30)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승강장측 공간(S2)에는 콘트롤패널(미도시)이 배열되는데,
이는, 잔고장으로 인하여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자주 요구되는 콘트롤패널을 승강장측 공간(S2)에 둠으로써, 상기 승강장측 공간(S2)에 구비된 탈부착형 덮개(C2)를 개방하여 쉽고 용이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측 공간(S2)에 구비된 탈부착형 덮개(C2)는 승강장측 공간(S2)으로부터 볼트 등에 의해 조립 및 탈거(脫去)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부착형 덮개(C2)를 승강장측 공간(S2)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 오픈 및 잠금용 손잡이(C21)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손잡이(C21)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상기 탈부착형 덮개(C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부착형 덮개(C2)가 상기 승강장측 공간(S2)의 힌지결합 부위를 기준으로 승강통로(L) 쪽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승객들의 승하차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반해, 상기 선로측 공간(S1)에 구비되는 탈부착형 덮개(C1)는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의 진동 및 강제풍 등을 감안하여 힌지 개방되는 구조보다는 볼트 등에 의해 완전히 조립되거나 탈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패널은 각종 회로기판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구동부(30)의 작동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12)에는 두 LM가이드블록(linear motion guide block : 121)이 구비되어 있고, 후술할 이동가이드(22)에는 상기 LM가이드블록(121)과의 암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LM가이드(221)가 구비된다.
따라서, 두 LM가이드볼록(121)과 LM가이드(221)를 통해 스크린도어(20)는 안정되고 원활한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도어(20)는
상기 수납부(11)에 진출입되며, 진출시 상기 수납부(11)에 수용되어 스크린(2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이동가이드(22)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12)을 따라 활주하여 승강통로(L)의 개폐를 담당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도어(20)의 이동가이드(22)에는 상기 레일(12)의 두 LM가이드블록(121)과의 결합을 통해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케 하는 LM가이드(221)가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도어(20)에서 상기 스크린(21)은 알루미늄으로, 상기 이동가이드(22)는 철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스크린도어(20)의 일면(승강장측에서 보이는 면) 전체에 씌워지는 도어커버(23)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커버(23)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스크린도어(20)의 개폐를 담당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장착부(13)에 배열되는데,
도 4,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30)는
감속기, PCB 등이 포함되어 유니트화된 모터(31),
상기 모터(31)와 연결되는 구동롤러(32),
상기 구동롤러(32)와 연결된 종동롤러(33),
상기 종동롤러(33)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종동롤러(33)에 비하여 상기 스크린도어(20)의 진출 쪽에 치우쳐 배열되어 있는 장력유지 아이들롤러(34),
상기 스크린도어(20)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종동롤러(33)와 상기 아이들롤러(34)에 'S'자형으로 걸쳐 긴장을 유지하고 있는 제1타이밍벨트(3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롤러(32)는 상기 모터(31)와 연결된 제1롤러(32a), 상기 종동롤러(32)를 선회시키는 제2롤러(32b)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롤러(32b)는 부하(負荷) 롤러이고, 상기 제1롤러(32a)와 상기 제2롤러(32b)는 제2타이밍벨트(36)에 의하여 연동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프레임(10)과 스크린도어(20)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수납부(11)에는 스크린도어(20)의 개방시 하나의 스크린도어(20)가 수용되고, 이때 인접한 두 단위모듈(M)의 각 상기 스크린도어(20)는 이동가이드(22)가 상호 동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동작시 상호 비접촉된다. 즉, 두 스크린도어(20)의 각 이동가이드(22)가 각 프레임(10)의 수납부(11)로 완전히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두 이동가이드(22)는 이격공간부(S)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서로 비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도어(20)의 길이방향 폭보다 상기 프레임(10)의 수납부(11)의 길이방향 폭이 더 좁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인접한 두 프레임(10)을 연결하게 되는 연결프레임(4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프레임(40)은 격벽의 기능과 상기 스크린도어(2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 제공 그리고 승객 탈출용 비상 도어로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은 상기 스크린도어(20)가 상기 프레임(10)의 수납부(11)로 진입시 돌출되는 일부 영역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결프레임(40)은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부(111)에 구비되는 창유리(17)나, 디스플레이 장착부(112)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크린도어(20)에는 수동개폐버튼(24)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동개폐버튼(24)에 대한 동작 상태의 알고리즘이 설정된 콘트롤패널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30)의 모터(31)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의 작동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열차가 승강장으로 입선(入線)하게 되면, 콘트롤패널에 의하여 구동부(30)의 모터(31)가 작동되고,
상기 모터(31)와 연결된 구동롤러(32)의 제1롤러(32a)와 제2타이밍벨트(36)로 연결되는 구동롤러(32)의 제2롤러(32b)가 선회되며,
상기 제2롤러(32b)와 동축상에 배열된 종동롤러(33)가 선회되고,
스크린도어(20)의 양단에 고정되면서 상기 종동롤러(33)와 아이들롤러(34)에 'S'자 형태로 걸쳐지는 제1타이밍벨트(35)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도어(20)가 프레임(10)의 수납부(11)를 향하여 슬라이딩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수납부(11)로 진입하여 승강통로(L)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20)의 이동가이드(22)에서 LM가이드(221)가 레일(12)의 LM가이드블록(121)을 따라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기설정된 시간 또는 별도의 센서 등을 통하여 스크린도어(20)가 완전히 수납부(11)로 완전히 진입하게 될 때까지 구동부(30)의 모터(31)가 구동된다.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면, 구동부(30)의 모터(31)를 통해 상기 구동롤러(32)의 제1롤러(32a)를 역선회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스크린도어(20)가 수납부(11)에서 진출하여 인접한 스크린도어(20)와 접하게 되도록 하여 승강통로(L)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선로측과 승강장측에서 발생하는 자연풍이나, 선로측에서 열차 진출입시 발생하는 강제풍, 진동 등에 의하여 스크린도어(20)가 흔들리게 되고, 이러한 흔들림에 의하여 스크린도어(20)의 슬라이딩 동작을 방해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해 요인에 가장 취약하게 되는 경우가 구동부(30) 및 이동가이드(22)가 상부에 배열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면으로부터 가까운 지점을 잡고 미는 것이 가장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케 함을 감안한다면,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딩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인 이동가이드(22)를 상부가 아닌 하부에 치우쳐 배열되도록 하고, 프레임(10)의 구조체(18) 상단에 보조 역할을 하게 되는 가이드롤러(183)를 더 둠으로써,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프레임(10)을 난간에 설치할 때에는 프레임(10)의 구조체(18)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81)에 결합볼트(B)인 아이볼트를 체결하고,
이에 앞서, 구조체(18)를 덮고 있는 지붕(19)을 체결브라켓(182)으로부터 먼저 분리 탈거한 상태를 전제로 한다.
아이볼트에 와이어를 결속한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견인하여 난간으로 이동 설치하게 된다.
견인 이동이 완료되면, 아이볼트에 결속된 와이어를 제거하고, 탈거된 지붕(19)을 다시 구조체(18)의 체결브라켓(182)에 결합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난간형 PSD"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에서 프레임과 창유리를 승강장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레임과 창유리를 선로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에서 프레임, 스크린도어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단위모듈을 선로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에서 프레임의 장착부를 승강장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에서 선로측공간에 대한 탈부착형 덮개 및 LM가이드블록을 선로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에서 프레임, 스크린도어 및 구동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에서 하나의 단위모듈을 선로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7의 단위모듈을 승강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도 8의 단위모듈에서 스크린도어가 구동부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PSD에서 두 단위모듈이 난간에 설치되고, 두 스크린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두 단위모듈에서 두 스크린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 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 : 단위모듈
10 : 프레임
11 : 수납부
111 : 개방부 112 : 디스플레이 장착부
12 : 레일
121 : LM가이드블록
13 : 장착부
14 : 베이스
141 : 앙카볼트 체결홀
15 : 서포트
16 : 커버
17 : 창유리
171 : 테두리부재 172 : 결합수단
172a : 끼움홀 172b : 끼움돌기
18 : 구조체
181 : 볼트 결합공 182 : 체결브라켓
183 : 가이드롤러
19 : 지붕
20 : 스크린도어
21 : 스크린
22 : 이동가이드 221 : LM가이드
23 : 도어커버
24 : 수동개폐버튼
30 : 구동부
31 : 모터
32 : 구동롤러
32a: 제1롤러 32b : 제2롤러
33 : 종동롤러
34 : 아이들롤러
35 : 제1타이밍벨트
36 : 제2타이밍벨트

Claims (8)

  1.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배열된 레일, 그리고 장착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수납부에 진출입되며, 진출시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어 스크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이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활주하는 스크린도어; 및
    상기 스크린도어의 개폐를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장착부에 배열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단위모듈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수납부에는 스크린도어의 개방시 하나의 스크린도어가 수용되고,
    이때 인접한 두 단위모듈의 각 상기 스크린도어는 이동가이드가 상호 동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동작시 상호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PSD.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연결된 종동롤러,
    상기 종동롤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종동롤러에 비하여 상기 스크린도어의 진출 쪽에 치우쳐 배열되어 있는 장력유지 아이들롤러,
    상기 스크린도어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에 'S'자형으로 걸쳐 긴장을 유지하고 있는 제1타이밍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PSD.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모터와 연결된 제1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선회시키는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제2타이밍벨트에 의하여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PSD.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승강장에 고정되는 철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된 알루미늄 서포트,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의 외면을 덮는 스테인레스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PSD.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후로 관통 형성된 개방부에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PSD.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후로 관통 형성된 개방부를 덮는 창유리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PSD.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형성된 구조체에 크레인 견인용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조체에는 지붕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PSD.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장착부는 하부에 배열되어 있고,
    각각 탈부착형 덮개가 구비된 선로측 공간과 승강장측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선로측 공간에는 상기 구동부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승강장측 공간에는 콘트롤패널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PSD.
KR1020080088188A 2008-09-08 2008-09-08 난간형 psd KR20100029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188A KR20100029411A (ko) 2008-09-08 2008-09-08 난간형 ps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188A KR20100029411A (ko) 2008-09-08 2008-09-08 난간형 ps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11A true KR20100029411A (ko) 2010-03-17

Family

ID=4217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188A KR20100029411A (ko) 2008-09-08 2008-09-08 난간형 ps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941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3507A (ja) * 2015-04-02 2015-09-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16164047A (ja) * 2015-03-06 2016-09-08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
JP2017114412A (ja) * 2015-12-25 2017-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JP2019026139A (ja) * 2017-08-01 2019-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CN112129785A (zh) * 2020-06-28 2020-12-25 河南四达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耐张线夹x射线检测的屏蔽装置及其使用方法
JP2021037839A (ja) * 2019-09-03 2021-03-11 Jr東日本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CN114412323A (zh) * 2020-10-28 2022-04-29 金湖县通达客车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功能的屏蔽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4047A (ja) * 2015-03-06 2016-09-08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
JP2015163507A (ja) * 2015-04-02 2015-09-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17114412A (ja) * 2015-12-25 2017-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JP2019026139A (ja) * 2017-08-01 2019-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JP2021037839A (ja) * 2019-09-03 2021-03-11 Jr東日本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CN112129785A (zh) * 2020-06-28 2020-12-25 河南四达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耐张线夹x射线检测的屏蔽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129785B (zh) * 2020-06-28 2024-03-01 河南四达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耐张线夹x射线检测的屏蔽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412323A (zh) * 2020-10-28 2022-04-29 金湖县通达客车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功能的屏蔽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9411A (ko) 난간형 psd
TWI284096B (en) Movable fence and method of opening/closing movable fence
CN103890300B (zh) 窗户调节器
EP3560878B1 (en) Elevator display systems
JP2012214196A (ja) ホームゲート装置及び安全柵
KR200401524Y1 (ko) 승강장 안전장치 조립체
JP5500670B2 (ja) ホームドア装置
US20080098924A1 (en) Safety Device for Train Platforms
KR102122827B1 (ko) 버스정류소용 방풍쉘터
EP2474458A1 (en) Automatic platform gates
KR100711963B1 (ko) 모듈화된 psd 조립체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KR200464709Y1 (ko)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JP5851176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装置
JP5216746B2 (ja) 可動ホーム柵
KR200389410Y1 (ko) 지하철용 스크린도어 개폐장치
KR20140002431A (ko) 차량용 상부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장착부 개폐장치
JP2011116280A (ja) ホームドア装置
KR20110073671A (ko) 모듈형 전동식 저소음 슬라이딩 도어 장치 및 전동식 저소음 도어개폐유닛
MX2013006456A (es) Sistemas, aparatos y metodos de puertas corredizas automaticas.
KR20080024802A (ko) 더블 상하작동 스크린도어
KR101218320B1 (ko) 개방형 아케이드의 구조
JPH08312247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100679451B1 (ko) 광고판 내장형 스크린도어
KR102372216B1 (ko) 커버 결합형 대형 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