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701B1 -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 Google Patents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701B1
KR101531701B1 KR1020140140516A KR20140140516A KR101531701B1 KR 101531701 B1 KR101531701 B1 KR 101531701B1 KR 1020140140516 A KR1020140140516 A KR 1020140140516A KR 20140140516 A KR20140140516 A KR 20140140516A KR 101531701 B1 KR101531701 B1 KR 10153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auxiliary
main door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임화용
이대선
Original Assignee
(주)운창메카텍
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운창메카텍, 정재욱 filed Critical (주)운창메카텍
Priority to KR102014014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승강장 위에 설치되어 승강장과 선로를 차단하고,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승강장의 출입구가 개폐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되어 슬라이드 형식으로 출입구를 개폐하는 메인도어,상기 출입구의 개방 시 상기 전동차와 상기 메인도어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수직축을 중심으로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도어, 및 상기 메인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함에 따라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메인도어의 개폐 시 보조도어가 메인도어와 전동차 사이의 틈을 차폐시켜 틈 사이로 승객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가 감지센서와 감지부재를 이용하여 전동차의 출입문이 메인도어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때에만 메인도어가 개폐되기 때문에 메인도어와 출입문의 어긋남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초기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Articulated Platform Screendoor}
본 발명은 전동차의 승강장 위에 설치되어 승강장과 선로를 차단하고,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승강장의 출입구가 개폐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장(Platform;플랫폼)은 승객이 전동차에 타고 내리기 위해 전동차의 출입문이 위치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이 승강장은 통상 전동차가 다니는 선로가 개방되어 있어, 승강장에 있던 사람이 선로로 추락하는 추락사고, 및 추락사고 처리로 인한 열차운행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승강장에 스크린도어(Platform Screem Door;승강장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승강장과 선로를 차단하여 승객이 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상기한 스크린도어는 고정도어, 가동도어, 비상도어, 및 헤더박스 등으로 구성되어 승강장 연단에 승강장과 선로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고,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여 전동차가 지정된 위치에 멈추면 차량의 출입문과 스크린도어의 가동도어가 동시에 열리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스크린도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14256호(공고 2011.02.16)의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안전장치"로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안전장치는 승강장에 설치되고, 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 PSD)에 소정 물체의 끼임 여부를 감지하여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전송되는 물체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린도어의 개폐를 지시하고, 상기 스크린도어의 상태에 따라 전동차의 출발 여부를 제어하는 종합제어반;과 상기 전동차의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종합제어반에 스크린도어의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지상제어수단;과 상기 전동차와 연동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전동차의 상태 및 열차 관련 정보를 상기 지상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차상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동차는 자동열차운전장치(Automatic Train Operation Divice, ATO), 자동열차제어장치(Automatic TrainControl Divice, ATC) 방식으로 운행하고, 상기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에 정위치 정차하여, ATO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린도어와 연계하여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스크린도어와 전동차의 출입문 사이의 승강장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도어의 개폐 동작 구간 이내에 설치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는 승강장의 바닥부 또는 상부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승강장의 상부 구조물 또는 바닥부에 설치되도록 구성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안전장치는 승강장과 선로 사이를 벽으로 차단하고, 전동차의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스크린도어도 함께 개폐하여 승객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안전장치는 스크린도어와 전동차 사이에 틈이 생기는데, 이 틈 사이로 승객이 들어간 상태에서 전동차가 출발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안전장치는 전동차가 승강장의 지정된 정위치에 정차하면, 자동열차운전장치(ATO;Automatic Train Operation Divice)의 차상제어장치가 지상제어장치에 정위치 정차신호를 송신하여 정차신호를 수신한 스크린도어의 제어부가 스크린도어의 가동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인 자동열차운전장치의 신호체계를 기반으로 스크린도어를 제어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열차운전장치의 신호체계에 고장이 발생하면, 스크린도어의 개폐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열차운전장치의 신호체계에 기반한 스크린도어의 제어 방법은 초기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동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의 틈을 차폐시키고, 초기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되어 슬라이드 형식으로 출입구를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출입구의 개폐 시 상기 전동차와 상기 메인도어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도어, 및 상기 메인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함에 따라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에서 돌출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상기 메인도어가 위치된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메인도어의 개폐 시 상기 걸림부를 가이드하여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와 상기 메인도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도어에서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와 상기 메인도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형태로 상기 메인도어에서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와인딩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와 상기 메인도어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직축을 회전시켜 상기 메인도어에서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보조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도어에서 회전된 상기 보조도어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보조도어가 닫힘 시, 상기 보조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가 상기 출입문의 개폐동작을 감지하여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출입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문의 동작상태을 감지하는 출입문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감지 센서부는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메인도어에 구비되는 감지부재, 및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메인도어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감지센서도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감지부재를 모두 감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메인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도어 및 상기 보조도어의 개폐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메인도어의 개폐 시 보조도어가 메인도어와 전동차 사이의 틈을 차폐시켜 틈 사이로 승객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가 감지센서와 감지부재를 이용하여 전동차의 출입문이 메인도어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때에만 메인도어가 개폐되기 때문에 메인도어와 출입문의 어긋남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초기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가 승강장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가 승강장에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졀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구동부에 의해 메인도어 및 보조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메인도어가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 (b)는 메인도어가 출입구를 개방할 시 가이드레일부가 메인도어를 가이드하는 동시에 걸림부가 가이드레일에 걸려 보조도어가 회전하는 상태,(c)는 메인도어의 개폐 시 가이드레일이 걸림부를 지지하여 보조도어가 회전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구성인 구동부의 다른 일례로서 구동부가 실린더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구성인 구동부의 또 다른 일례로서 구동부가 와이어와 와인딩모터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구성인 구동부의 또 다른 일례로서 구동부가 구동모터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출입문감지 센서부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승강장(20)은 전동차(10)가 이동하는 선로(12)에 전동차(10)의 출입문(11)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어 전동차(10)가 승강장(20)에 정차하여 전동차(10)의 출입문(11)이 열리면, 승강장(20)에 대기하고 있던 승객이 전동차(10)에 승차하거나, 전동차(10)에 승차하고 있던 승객이 승강장(20)에 하차하는 장소이다.
한편, 승강장(20) 바닥에는 한쌍의 지지프레임(180)이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80)에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가 결합하는 형태로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가 승강장(20)에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80)은 승강장(20)에서 전동차(10)의 출입문(11)과 대응되는 부분마다 설치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80) 사이에는 하기에 설명될 구성요소들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쌍의 중간프레임(181)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고정도어(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도어(190)는 지지프레임(180)과 중간프레임(181) 사이에 설치되도록 지지프레임(180)과 중간프레임(181)이 이루는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로(12)와 승강장(20) 사이를 물리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비상도어(1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비상도어(191)는 타측의 지지프레임(180)과 중간프레임(181) 사이,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도어(190)가 설치되지 않은 지지프레임(180)과 중간프레임(181) 사이에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프레임(180)과 중간프레임(181)이 이루는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듯, 비상도어(191)는 평상시에는 승강장(20)과 선로(12) 사이를 차단할 수 있지만, 열차사고와 같은 비상시에는 비상도어(191)를 통해 승객이 전동차(10) 또는 선로(12)측에서 승강장(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비상도어(191)는 고정도어(190) 중 일부의 고정도어(190)를 비상시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비상도어(191)를 대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메인도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메인도어(110)는 출입문(11)과 대응되는 부분인 출입구(111)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메인도어(110)는 내부가 개방되어 있는 사각의 프레임(113) 형태로 형성되어 이격된 중간프레임(181) 사이에 한 쌍이 출입구(111)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 되도록 움직이는 양문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메인도어(110)는 전동차(10)의 출입문(11)과 연동되어 승객이 승강장(20)에서 전동차(10)로 이동하거나 전동차(10)에서 승강장(20)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출입구(111)를 슬라이드 형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10)는 전동차(10)의 출입문(11)이 열리면 메인도어(110)가 출입구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움직이면서 출입구(111)가 개방되고, 전동차(10)의 출입문(11)이 닫히면 메인도어(110)는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 가는 방식으로 출입구(111)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도어(110)의 프레임(113) 내측 둘레에는 승객이 전동차(10)의 정차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투명판(114)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보조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도어(120)는 출입구(111) 개방시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쌍이 각각 메인도어(110)에 수직축(1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도어(120)는 메인도어(110)와 힌지(121)결합하여 보조도어(120)를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힌지(121)의 수직축(122)을 중심으로 메인도어(110)에서 전동차(10)의 방향으로 대략 90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렇듯, 보조도어(120)는 전동차(10)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을 차폐시켜,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으로 승객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도어(120)는 충격흡수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충격흡수부재(150)는 회전된 보조도어(120)가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는 상태인 닫힘 시, 보조도어(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고무, 스폰지 등과 같은 충격흡수부재(150)가 보조도어(120)의 끝단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충격흡수부재(150)는 회전한 보조도어(120)가 최초의 상태인 일직선 상태로 복귀할 시 보조도어(120)와 보조도어(120)가 서로 맞닿아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부재(140)는 메인도어(110)와 전동차(10) 사이를 차폐하기 위해 메인도어(110)에서 회전된 보조도어(120)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메인도어(110)와 보조도어(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140)는 비틀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비틀림스프링의 일단이 메인도어(110)에 결합하고 비틀림스프링의 타단이 보조도어(120)에 결합되어 보조도어(120)가 회전한 상태에서 하기에 설명될 가이드레일부(132)가 걸림부(131)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없어지면 펼쳐진 상태 즉, 메인도어(110)와 보조도어(120)가 일직선으로 위치된 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부(130)는 메인도어(110)가 출입구(111)를 개폐 시 보조도어(120)에 힘을 가하여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메인도어(110)가 출입구(111)를 개폐 시 동시에 보조도어(120)가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보조도어(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걸림부(131), 및 가이드레일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31)는 하기에 설명될 가이드레일부(132)와 상호작용하여 보조도어(120)가 회전하도록 보조도어(120)에서 승강장(20)을 바라보는 측면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부(132)는 메인도어(110)의 개폐를 가이드하고 동시에 걸림부(131)가 가이드레일부(132)에 걸려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키도록, 걸림부(131)와 대응되는 메인도어(110)가 위치된 부분에 메인도어(11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승강장(20)의 바닥면에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렇듯, 메인도어(110)가 가이드레일부(132)를 따라 이동하면 메인도어(110)와 결합된 보조도어(120)도 함께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레일부(132)가 걸림부(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131)가 가이드레일부(132)에 걸려 가이드레일부(132)는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도 3의(b)참조).
그리고, 가이드레일부(132)는 보조도어(120)가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부(131)를 지지하여, 보조도어(120)가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대략 90도의 각도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메인도어(110)가 출입구(111)를 개방시킬 수 있다(도 3의(c)참조).
또한, 가이드레일부(132)는 메인도어(11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도어(110)는 출입구(111)를 폐쇄하기 위해 이동할 시에도 걸림부를 지지할 수 있어, 보조도어(120)가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131)가 보조도어(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부(132)가 승강장(20)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걸림부(131)는 보조도어(120)의 상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부(132)는 걸림부(131)와 대응되는 메인도어(11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헤더박스(192)의 외면에서부터 돌출 형성되어, 승객이 가이드레일부(132) 및 걸림부(131)로 인해 출입구(11) 이동시 가이드레일부(132)에 넘어지는 등의 이동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30)의 다른 실시예로 구동부(130)는 실린더(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린더(133)는 메인도어(110)와 보조도어(120)를 연결하여 메인도어(110)에서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키도록, 메인도어(110)에 설치된 브라켓(112)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피스톤(133a)이 보조도어(120)에 설치된 브라켓(123)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피스톤(133a)은 모터와 결합하여 피스톤(133a)이 모터에 의해 왕복운동하여 메인도어(110)가 출입구(111)를 개폐 시 보조도어(120)가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대략 90도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33)의 경우 피스톤(133a)의 왕복운동으로 보조도어(120)가 최초의 상태인 일직선 상태로 복귀할 수 있어, 탄성부재(140)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30)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구동부(130)는 와이어(134), 및 와인딩모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34)는 일단이 보조도어(120)와 결합하고, 타단이 메인도어(110)에 설치된 와인딩모터(135)에 결합되어 보조도어(120)와 메인도어(11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인딩모터(135)는 와인딩모터(135)가 회전함으로써 와이어(134)를 감으면 와이어(134)의 끝단에 연결된 보조도어(120)가 당겨져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키고, 와이어(134)를 풀으면 탄성부재(140)에 의해 보조도어(12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메인도어(110)에서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30)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모터(136)는 보조도어(120)와 메인도어(1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직축(122)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136)가 수직축(122)과 결합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136)는 수직축(122)과 결합되어 있어 구동모터(136)의 회전운동에 의해 수직축(122)이 회전하여 보조도어(120)가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키고, 구동모터(13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보조도어(12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메인도어(110)에서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136)의 경우 구동모터(136)의 회전운동으로 보조도어(120)가 최초의 상태인 일직선 상태로 복귀할 수 있어, 탄성부재(140)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헤더박스(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헤더박스(192)는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도어(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헤더박스(192)의 내부에는 메인도어(110), 구동부(130), 및 하기에 설명될 출입문감지 센서부(16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93)가 구비되어 컨트롤러(193)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출입문감지 센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출입문감지 센서부(160)는 출입문(11)의 개폐동작과 동일하게 메인도어(110)가 동작하도록 메인도어(110)가 전동차(10)의 출입문(11)의 개폐동작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메인도어(110)와 출입문(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출입문감지 센서부(160)는 감지부재(161), 및 감지센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감지부재(161)는 출입문(11)의 동작이 감지센서(162)에 의해 감지되도록 출입문(11)의 상하 좌우에 복수개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162)는 감지부재(161)를 감지한 뒤, 출입문(11)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도록 감지부재(161)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감지센서(162)도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전동차(10)의 출입문(11)이 메인도어(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만 메인도어(110)가 개폐동작을 시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감지센서(162)와 대응된 감지부재(161)를 모두 감지한 상태에서만 출입문(11)의 동작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센서(162)는 출입문(11)이 개폐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컨트롤러(193)에 전송하면 컨트롤러(193)가 메인도어(110)를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재(161)는 한쌍의 출입문(11) 상,하에 모두 4개가 부착되고, 감지센서(162)는 메인도어(110)의 감지부재(161)와 대응되는 위치에 모두 4개가 부착된다. 그리고, 각각의 감지센서(162)는 감지센서(162)와 대응된 위치에 부착된 감지부재(161)만을 감지하고, 감지센서(162)가 감지부재(161)를 모두 감지하면, 감지센서(162)가 감지부재(16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을 통해 감지센서(162)는 출입문(11)의 동작을 감지한다.
이때, 협소한 상태에서도 통신하여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재(161)는 RF태그, 감지센서(162)는 RF리더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듯, 출입문감지 센서부(160)의 감지센서(162)가 출입문(11)에 부착된 감지부재(161)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출입문(11)을 감지하여 전동차(10)의 출입문이 메인도어(110)의 정확한 위치에 도착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162)는 출입문(11)이 개방 또는 폐쇄되면 출입문(11)에 부착된 상태에서 출입문(11)과 함께 이동하는 감지부재(161)의 움직임을 통해 출입문(11)이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표시부는 승강장(20)에 설치되어 메인도어(110) 및 보조도어(120)의 개폐여부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는 메인도어(110) 및 보조도어(120)의 개폐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LED로 구성되어, 컨트롤러(193)로부터 메인도어(110) 및 보조도어(120)의 개폐상태를 전송받아, 메인도어(110) 및 보조도어(120)가 모두 폐쇄되었을 시 LED 점등을 ON하는 방식으로 메인도어(110) 및 보조도어(120)의 개폐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렇듯, 표시부가 메인도어(110) 및 보조도어(120)의 개폐여부를 표시하여 전동차(10) 내부에 있는 기관사가 전동차(10) 내부에서도 메인도어(110) 및 보조도어(120)의 개폐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열차를 운행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승강장(20)과 선로(12) 사이를 차단하도록 승강장(20) 바닥에는 한쌍의 지지프레임(180)이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지지프레임(180) 사이에는 한쌍의 중간프레임(181)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일측의 지지프레임(180)과 중간프레임(181) 사이에 고정도어(190)를 설치하고, 타측의 지지프레임(180)과 중간프레임(181) 사이에는 비상도어(191)를 설치한다.
그리고, 중간프레임(181) 사이에는 메인도어(110)를 설치하고, 보조도어(120)가 메인도어(110)에서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도어(120)는 메인도어(110)와 힌지(121)결합 하고, 메인도어(110)와 보조도어(120) 사이에는 탄성부재(140)가 결합한다.
그리고, 승강장(20)에서 메인도어(110)가 위치된 부분에 가이드레일부(132)가 돌출되고, 보조도어(120)의 하부에는 걸림부(13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전동차(10)의 출입문(11)에는 감지부재(161)가 부착되고, 메인도어(110)에는 감지센서(162)가 부착된다.
이렇게 구성된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감지센서(162)가 감지센서(162)와 대응된 위치에 부착된 감지부재(161)를 모두 감지하면 전동차(10)의 출입문이 메인도어(110)의 정확한 위치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감지센서(162)가 감지부재(161)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그리고, 전동차(10)의 출입문(11)이 개방되면, 감지센서(162)는 감지부재(16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출입문(11)이 개방하는 것으로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컨트롤러(193)에 전송한다.
그러면, 컨트롤러(193)는 메인도어(110)가 출입구(111)를 개방하도록 메인도어(110)를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레일부(132)는 메인도어(11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동시에 보조도어(120)가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걸림부(131)가 가이드레일부(132)에 걸려 보조도어(120)에 힘을 가하는 형태로 보조도어(120)를 대략 90도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레일부(132)는 보조도어(120)가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부(131)를 지지한다.
한편, 메인도어(110)가 출입구(111)를 개방 시 구동부(130)가 실린더(133)로 구성되면, 컨트롤러(193)가 실린더(133)의 피스톤(133a)을 이동시켜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키고, 구동부(130)가 와이어(134)와 와인딩모터(135)로 구성되면, 컨트롤러(193)가 와인딩모터(135)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감아 보조도어를 당김으로써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키고, 구동부(130)가 구동모터(136)이면, 컨트롤러(193)가 구동모터(136)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보조도어(120)를 회전시킨다.
한편, 전동차(10)의 출입문(11)이 폐쇄되면, 감지센서(162)는 감지부재(16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출입문(11)이 폐쇄하는 것으로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컨트롤러(193)에 전송한다.
그러면, 컨트롤러(193)는 메인도어(110)가 출입구(111)를 폐쇄하도록 메인도어(110)를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레일부(132)는 걸림부(131)를 지지하여 보조도어(120)가 전동차(10)와 메인도어(110)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회전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메인도어(110)가 출입구(111)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된 보조도어(120)는 가이드레일부(132)가 끝나는 부분에서 가이드레일부(132)가 걸림부(131)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없어져, 탄성부재(140)에 의해 초기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메인도어(110)가 출입구(111)를 개폐 시 구동부(130)가 실린더(133)로 구성되면, 컨트롤러(193)가 실린더(133)의 피스톤(133a)을 이동시켜 보조도어(120)를 최초의 일직선 상태로 복귀시키고, 구동부(130)가 와이어(134)와 와인딩모터(135)로 구성되면, 컨트롤러(193)가 와인딩모터(135)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와이어(134)를 풀면 탄성부재에 의해 보조도어(120)가 최초의 일직선 상태로 복귀시키고, 구동부(130)가 구동모터(136)이면, 컨트롤러(193)는 구동모터(136)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보조도어(120)를 최초의 일직선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렇듯, 메인도어(110)가 개폐 시 보조도어(120)가 메인도어(110)와 전동차(10) 사이의 틈을 차폐시켜 승객이 틈 사이로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93)가 감지센서(162)와 감지부재(161)를 이용하여 전동차(10)의 출입문(11)이 메인도어(110)와 대응된 위치에 위치될 때에만 메인도어(110)가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00)는 메인도어(110)의 개폐 시 보조도어(120)가 메인도어(110)와 전동차(10) 사이의 틈을 차폐시켜 틈 사이로 승객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93)가 감지센서(162)와 감지부재(161)를 이용하여 전동차(10)의 출입문(11)이 메인도어(110)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때에만 메인도어(110)가 개폐되기 때문에 메인도어(110)와 출입문(11)의 어긋남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초기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 전동차 11 : 출입문
12 : 선로 20 : 승강장
100 :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110 : 메인도어 111 : 출입구
112, 123 :브라켓
113 : 프레임 114 : 투명판
120 : 보조도어 121 : 힌지
122 : 수직축 130 : 구동부
131 : 걸림부 132 : 가이드레일부
133 : 실린더 134 : 와이어
135 : 와인딩모터 136 : 구동모터
140 : 탄성부재 150 : 충격흡수부재
160 : 출입문감지 센서부
161 : 감지부재 162 : 감지센서

Claims (11)

  1.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되어 슬라이드 형식으로 출입구를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출입구의 개폐 시 상기 전동차와 상기 메인도어 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도어, 및
    상기 메인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함에 따라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도어가 상기 출입문의 개폐동작을 감지하여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출입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문의 동작상태을 감지하는 출입문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감지 센서부는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메인도어에 구비되는 감지부재, 및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메인도어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에서 돌출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상기 메인도어가 위치된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메인도어의 개폐 시 상기 걸림부를 가이드하여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와 상기 메인도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도어에서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와 상기 메인도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형태로 상기 메인도어에서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와인딩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와 상기 메인도어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직축을 회전시켜 상기 메인도어에서 상기 보조도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보조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도어에서 회전된 상기 보조도어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 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보조도어가 닫힘 시, 상기 보조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 도어.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감지센서도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감지부재를 모두 감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메인도어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 도어.
  11. 제1항에 있어서,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도어 및 상기 보조도어의 개폐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20140140516A 2014-10-17 2014-10-17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153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516A KR101531701B1 (ko) 2014-10-17 2014-10-17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516A KR101531701B1 (ko) 2014-10-17 2014-10-17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701B1 true KR101531701B1 (ko) 2015-06-25

Family

ID=5351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516A KR101531701B1 (ko) 2014-10-17 2014-10-17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7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16A1 (ko) * 2016-09-22 2018-03-29 전자부품연구원 광학계 모듈 및 그를 갖는 스캐닝 라이다
CN114044007A (zh) * 2022-01-13 2022-02-15 中铁电气化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站台门防夹挡板的自动翻转装置
KR20230079743A (ko) *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의 승하차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3264A (ja) * 2005-03-30 2006-10-12 Nabtesco Corp ホームドア用侵入防止柵及びホームドア装置
JP2009078661A (ja) * 2007-09-26 2009-04-16 Higashi Nippon Transportec Kk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0917614B1 (ko) * 2008-06-25 2009-09-17 윤이수 지하철역 스크린 도어용 전동차의 개폐도어 차폐장치
JP4970473B2 (ja) * 2006-03-15 2012-07-04 クノール−ブレームス レール システムス (ユーケー) リミテッド プラットフォーム遮蔽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3264A (ja) * 2005-03-30 2006-10-12 Nabtesco Corp ホームドア用侵入防止柵及びホームドア装置
JP4970473B2 (ja) * 2006-03-15 2012-07-04 クノール−ブレームス レール システムス (ユーケー) リミテッド プラットフォーム遮蔽ドア装置
JP2009078661A (ja) * 2007-09-26 2009-04-16 Higashi Nippon Transportec Kk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0917614B1 (ko) * 2008-06-25 2009-09-17 윤이수 지하철역 스크린 도어용 전동차의 개폐도어 차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16A1 (ko) * 2016-09-22 2018-03-29 전자부품연구원 광학계 모듈 및 그를 갖는 스캐닝 라이다
KR20230079743A (ko) *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의 승하차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5937B1 (ko) 2021-11-29 2023-10-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의 승하차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044007A (zh) * 2022-01-13 2022-02-15 中铁电气化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站台门防夹挡板的自动翻转装置
CN114044007B (zh) * 2022-01-13 2022-06-07 中铁电气化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站台门防夹挡板的自动翻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114B2 (en) Protective wall for the protection of people from moving rail vehicles
CN1414921A (zh) 电梯轿厢上的检查孔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1427712B1 (ko) 승객 안전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승강 시설물
KR101276143B1 (ko) 스크린 도어 수 제어 시스템
KR20140029127A (ko) 열차 플랫폼 스크린 안전장치의 스크린도어 개폐제어방법
JP200816900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933458B1 (ko) 사고인지 기능이 향상된 랙 피니언 방식 터널진입차단장치
EA028318B1 (ru) Рулонная дверь, имеющая дверное полотно в виде гибкой шторы
EP3310986B1 (en) Door curtains with position sensor switches
US4497254A (en) Isolating device for an opening traversed by conveyor cars
US5899302A (en) Elevator door interlock
KR101865413B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JP6367429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KR101833878B1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US5386886A (en) Elevator door lock mechanism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CN105712148A (zh) 一种轿厢急停设备
JP6633798B1 (ja) ホームドア装置
AU2021255670B2 (en) Safety device for a lifting gate, and lifting gate having such a safety device
KR20040061486A (ko)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장치
KR102582252B1 (ko)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JP2006224821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CN112193974A (zh) 轻触式带屏蔽开关和安全触板的电梯门红外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