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252B1 -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252B1
KR102582252B1 KR1020230045900A KR20230045900A KR102582252B1 KR 102582252 B1 KR102582252 B1 KR 102582252B1 KR 1020230045900 A KR1020230045900 A KR 1020230045900A KR 20230045900 A KR20230045900 A KR 20230045900A KR 102582252 B1 KR102582252 B1 KR 10258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sliding
magnet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주)동우자동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자동도어 filed Critical (주)동우자동도어
Priority to KR102023004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에 고정된 센서부의 접점이 슬라이딩 비상도어를 따라 이동되는 자석부에 의해 ON/OFF되는 것을 통해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A method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ing emergency door that can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ing emergency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도어의 비상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도어(Screen Door)는 전동차의 승강장 위에 고정벽과 출입문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예: 지하철, 기차, 열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만든 안전장치를 의미하며, 플랫폼 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 PSD)라고도 한다. 즉, 전동차의 승강장 위에 선로(Track)와 격리되는 고정벽과 가동문(또는 PSD 출입문)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승강장 안전지원 장치 또는 그러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크린도어는 전동차가 승강장 홈에 완전히 정차하면, 전동차 출입문과 함께 열림으로써 승객의 안전 확보와 함께 전동차로 인한 소음, 먼지, 강풍 등을 줄이고, 승객이 고의나 실수로 선로에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크린도어는 선로와 승강장을 고정벽으로 완전히 격리하는 완전 밀폐형, 고정벽 및 가동문 위에 개구부 또는 갤러리를 배치하는 반밀폐형, 차량의 출입문 위치에 맞추어 가동문을 설치하는 난간형 등의 3종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지하철, 경전철, 고속전철, 모노레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도어는 1)승객의 추락 및 전동차 접촉 방지, 2)역무원 인력의 절감, 3)열차의 무인 운전 가능, 4)승객 유동성 향상 및 고속통과 운전 가능, 5)차량 강풍 방지와 방음 및 방진 효과를 통한 승강장의 쾌적성 유지, 6)열차 화재시 방연 효과, 및 7)역 환기탑 및 기계실의 축소 가능 등의 장점이 있음과 동시에 초기 설치비가 많이 들고, 열차가 정위치를 초과해서 정차하는 경우에 승하차 속도가 지연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스크린도어는 평상시에는 폐쇄되며 가동문의 고장 등과 같은 비상상황시 개방될 수 있는 안전지대로서, 비상도어(또는 비상구 패널)가 설치된다. 이러한 비상도어는 비상상황시 승객이 강제로 개방하여 승강장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이며, 또한 가동문이 개방될 때 가동문이 들어가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비상도어를 스크린도어에 설치하는 것은 비상상황시 승객의 안전을 고려하여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다.
비상도어가 구비된 스크린도어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6661호(발명의 명칭: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승강장 안전문용 비상도어)는 슬라이딩 안전문이 상부의 프레임 내측에서 이송되되 비상상황시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수동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스크린도어의 비상구를 개폐함으로써, 슬라이딩 안전문의 외측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비상구의 개방이 가능하여 승객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미닫이 방식의 비상도어가 승강장에 적용되면, 비상상황시 차량의 운전자 또는 역사 내 관계자는 슬라이딩 안전문의 슬라이딩에 따른 비상구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비상구의 개폐 상태에 따라 승객의 탈출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에 긴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상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통상적으로 스크린도어에 설치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긴 프레임 형태의 스틸 감지바(또는 감지자석)이 슬라이딩 안전문에 내장되고, 상기 센서가 슬라이딩 안전문의 이동에 따른 상기 스틸 감지바와의 거리를 통해 슬라이딩 안전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된 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폐 감지 시스템은 슬라이딩 안전문에 긴 프레임 형태의 스틸 감지바가 내장되어야 하므로, 슬라이딩 안전문은 긴 프레임 형태의 스틸 감지바에 따라 장치의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15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40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864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폐 감지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에 고정된 센서부의 접점이 슬라이딩 비상도어를 따라 이동되는 자석부에 의해 ON/OFF되는 것을 통해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가동문, 비상문 및 제1 빔커버가 구비되는 스크린도어에 형성된 제1 비상구 또는 제2 비상구를 개방하는 슬라이딩 비상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는, 선로를 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후면부에 설치된 N극 또는 S극의 제1 자석부;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자석부와 대향되는 N극 또는 S극의 제2 자석부; 및 상기 제1 빔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와의 래치를 위한 N/S극의 자석이 내장되고,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와의 래치 상태에 따라 ON/OFF로 변환되는 접점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운전자 또는 역사 내 관계자는 스크린도어에 고정된 센서부의 접점이 ON/OFF되는 것을 통해 비상상황시 승객의 탈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승객의 탈출 여부에 따라 외부에 긴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이 적용된 스크린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비상구 및 제2 비상구를 개폐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비상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제1 비상구가 개방된 스크린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비상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제2 비상구가 개방된 스크린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자석부의 접점이 ON 상태일 때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구비된 추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추가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이 적용된 스크린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1)에 설치된 스크린도어(2)에는 가동문(20) 및 비상문(21)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문(20)은 스크린도어(2)의 출입문으로서, 승강장(1)에 위치한 승객들이 선로를 따라 운행되는 차량(예: 지하철, 열차, 기차 등)에 탑승하거나 상기 승객들이 승강장(1)으로 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동작이 제어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문(20)의 동작은 스크린도어(2)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문(20)은 스크린도어(2)상에 구비되는 개수를 한정하지 아니하나, 차량의 출입문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상기 스크린도어(2)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문(20)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스크린도어(2)상에 더 많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일측과 근접한 제1 가동문(20a)과,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타측과 근접한 제2 가동문(20b)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상문(21)은 제1, 2 가동문(20a, 20b)이 개방될 때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1, 2 가동문(20a, 20b)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삽입되는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스크린도어(2)상에서 상기 제1, 2 가동문(20a, 20b)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상상황시 승객이 강제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장치가 마련된다.
여기서, 승객은 차량의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시킨 후에 비상문(21)을 강제로 개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차량으로부터 승강장(1)으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상문(21)은 스크린도어(2)상에 구비되는 개수를 한정하지 아니하나, 차량이 승강장(1)에 도착하여 제1, 2 가동문(20a, 20b)이 개방될 때 상기 제1, 2 가동문(20a, 20b)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도어(2)에 구비된 가동문(20)의 개수의 2배로 상기 스크린도어(2)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상문(21)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스크린도어(2)상에 더 많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가동문(20a)이 개방될 때 상기 제1 가동문(20a)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 비상문(21a)과, 제2 가동문(20b)이 개방될 때 상기 제2 가동문(20b)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2 비상문(21b)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빔커버(22)는 스크린도어(2)의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를 구획하는 제1 빔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빔커버(22)를 제1 빔과 동일 부재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스크린도어(2)는 제1, 2 비상문(21a, 21b) 뿐만 아니라, 승객들이 승강장(1)으로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는 평상시에 스크린도어(2)의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며, 비상상황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는 비상상황의 발생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 2 비상문(21a, 21b)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게 스크린도어(2)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비상상황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린도어(2)의 제1, 2 비상문(21a, 21b)이 함께 개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부(110), 제2 자석부(120), 제2 빔커버(130), 제1 센서부(140) 및 제2 센서부(150)가 구비된다.
도 2는 제1 비상구 및 제2 비상구를 개폐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자석부(110)는 선로를 향하는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후면부에 구비된 제2 빔커버(130)의 일측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N/S극의 자석이 내장된 제1 센서부(140) 및 제2 센서부(150)의 접점을 ON/OFF(온/오프)시키기 위해, N극 또는 S극의 자석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자석부(110)에 내장된 자석의 극은 S극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석부(120)는 제2 빔커버(130)의 타측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 센서부(140) 및 제2 센서부(150)의 접점을 ON/OFF시키기 위해, 제1 자석부(110)와 대향되는 N극 또는 S극의 자석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자석부(120)에 내장된 자석의 극은 N극일 수 있다.
상기 제2 빔커버(130)는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후면부 일측에 구비된 제2 빔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 빔커버(130)를 제2 빔과 동일 부재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제2 빔커버(130)는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1, 2 비상구(23, 24)를 모두 폐쇄할 때를 기준으로 제1 빔커버(2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빔커버(130)가 제1 빔커버(2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1 자석부(110)와 제1 센서부(140)는 상기 제1 센서부(140)의 접점이 ON 상태가 되도록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2 자석부(120)와 제2 센서부(150)는 상기 제2 센서부(150)의 접점이 ON 상태가 되도록 근접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부(140)는 접점이 ON 상태가 될 때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1 비상구(23)를 폐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서부(150)는 접점이 ON 상태가 될 때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2 비상구(24)를 폐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의 운전자 또는 역사 내 관계자는 제1 센서부(140)와 제2 센서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40)와 제2 센서부(150)의 접점 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센서부(140)와 제2 센서부(150)의 접점 상태에 따른 승객들의 탈출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제1 비상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제1 비상구가 개방된 스크린도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2 비상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제2 비상구가 개방된 스크린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센서부(140)는 제1 빔커버(22)의 일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비상구(23, 24)를 모두 폐쇄하는 상태에서 제1 비상구(23)를 개방하는 형태로 이동되는 경우, 제1 자석부(110) 및 제2 자석부(120)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상기 제1 자석부(110) 및 제2 자석부(120)와의 래치(latch)가 해제됨으로써, 접점이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상기 제1 센서부(140)는 접점이 OFF 상태가 되는 것을 통해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1 비상구(23)를 개방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센서부(150)는 제1 빔커버(22)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1, 2 비상구(23, 24)를 모두 폐쇄하는 상태에서 제1 비상구(23)를 개방하는 형태로 이동되는 경우, 제2 자석부(120)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나, 제1 자석부(110)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어 래치 상태가 유지되므로, 접점이 ON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상기 제2 센서부(150)는 접점이 ON 상태가 되는 것을 통해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2 비상구(24)를 폐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는 제1 센서부(140)의 접점이 OFF 상태가 되도록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비상구(23)를 개방시키며, 이를 통해 승객들은 상기 제1 비상구(23)를 통해 승강장(1)으로 탈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센서부(140)는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비상구(23, 24)를 모두 폐쇄하는 상태에서 제2 비상구(24)를 개방하는 형태로 이동되는 경우, 제1 자석부(110)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나, 제2 자석부(120)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어 래치 상태가 유지되므로, 접점이 ON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상기 제1 센서부(140)는 접점이 ON 상태가 되는 것을 통해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1 비상구(23)를 폐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센서부(150)는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1, 2 비상구(23, 24)를 모두 폐쇄하는 상태에서 제2 비상구(24)를 개방하는 형태로 이동되는 경우, 제1 자석부(110) 및 제2 자석부(120)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상기 제1 자석부(110) 및 제2 자석부(120)와의 래치(latch)가 해제됨으로써, 접점이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상기 제2 센서부(150)는 접점이 OFF 상태가 되는 것을 통해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2 비상구(24)를 개방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는 제2 센서부(150)의 접점이 OFF 상태가 되도록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비상구(24)를 개방시키며, 이를 통해 승객들은 상기 제2 비상구(24)를 통해 승강장(1)으로 탈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자석부의 접점이 ON 상태일 때의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자석부(110)와 제2 자석부(120)는 제2 빔커버(130)상에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센서부(140)와 제2 센서부(150)는 상기 제1 자석부(110)및 제2 자석부(120)와의 래치를 위해 제1 빔커버(22)상에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1, 2 비상구(23, 24)를 모두 폐쇄시키는 경우, 제1 센서부(140)는 제1 자석부(110)와 래치되어야 하나 상기 제1 자석부(110) 뿐만 아니라 제2 자석부(120)와도 래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와 동시에 제2 센서부(150)가 제2 자석부(120) 뿐만 아니라 제1 자석부(110)와도 래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구비된 추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은 디스플레이(160) 및 패닉 바(170)가 더 구비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는 제1 자석부(110), 제2 자석부(120) 및 제2 빔커버(130)와 대향되어 승강장(1)을 향하게 되는 전면부에 디스플레이(16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평상시에는 승강장(1)의 승객들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광고를 출력하여 광고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고, 비상상황시 상기 광고의 출력을 종료한 후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방된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승객들을 구조하기 위해 승강장(1)에 위치한 구조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160)가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에 의해 개방된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은 한정하지 아니하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비상구(23)의 개폐 여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1 LED(미도시)와 제2 비상구(24)의 개폐 여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2 LED(미도시)를 통해 승강장(1)에 위치한 구조자에게 상기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의 개폐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는 후면부에 승객들에게 조작될 수 있는 패닉 바(170)가 구비된다.
상기 패닉 바(170)는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어 제1 비상구(23) 또는 제2 비상구(24)가 개방되지 않아 승객들이 승강장(1)으로 탈출할 수 없을 때 승객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객에 의해 조작될 때 제1 센서부(140) 및 제2 센서부(150) 중 적어도 하나로의 전원 공급을 강제로 차단시켜 상기 제1 비상구(23) 또는 제2 비상구(24)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패닉 바(170)는 제1 센서부(140)에 전원 공급을 강제로 차단시켜 제1 비상구(23)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한 제1 패닉 바(170a)와, 제2 센서부(150)에 전원 공급을 강제로 차단시켜 제2 비상구(24)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한 제2 패닉 바(17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추가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은 제3 센서부(181), 제4 센서부(182), 전원공급유닛(190) 및 제어유닛(19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100)는 비상상황시 승객들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 비상구(23) 또는 제2 비상구(24)를 개방시키는데, 이 경우 승객들이 개방된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 중 하나를 통해 승강장(1)으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갑작스럽게 이동되어 이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에는 제3 센서부(181) 및 제4 센서부(1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부(181)는 도 6에 표시된 제2 비상구의 일측(24a)에 구비되며, 온 상태가 되면 제2 자석부(110)와 다른 극으로 극성을 띄어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제2 자석부(120)와의 자력 결속을 통해 제1 비상구(23)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센서부(181)는 제2 자석부(120)와의 자력 결속을 위해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비상구의 일측(24a)상에 제2 센서부(150)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고, 제1 센서부(140)와 동작이 연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제3 센서부(181)는 제1 센서부(140)의 접점이 OFF 상태인 경우, 제어유닛(195)에 의해 전원이 온 상태로 제어되어 제2 자석부(120)와의 자력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상기 제1 센서부(140)의 접점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유닛(195)에 의해 전원이 오프 상태로 제어되어 상기 제2 자석부(120)와의 자력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센서부(181)는 제1 센서부(140)가 제1 패닉 바(170a)에 의해 강제로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는 경우, 내장된 배터리의 강제시동을 통해 전원이 강제로 온 상태가 되어 제2 자석부(120)와의 자력 결속을 통해 제1 비상구(23)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센서부(182)는 도 4에 표시된 제1 비상구의 일측(23a)에 구비되며,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제1 자석부(110)와 다른 극으로 극성을 띄어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제1 자석부(110)와의 자력 결속을 통해 제2 비상구(24)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센서부(182)는 제1 자석부(110)와의 자력 결속을 위해 슬라이딩 비상도어(10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비상구의 일측(23a)상에 제1 센서부(140)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고, 제2 센서부(150)와 동작이 연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제4 센서부(182)는 제2 센서부(150)의 접점이 OFF 상태인 경우, 제어유닛(195)에 의해 전원이 온 상태로 제어되어 제1 자석부(110)와의 자력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상기 제2 센서부(150)의 접점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유닛(195)에 의해 전원이 오프 상태로 제어되어 상기 제1 자석부(110)와의 자력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센서부(182)는 제2 센서부(150)가 제2 패닉 바(170b)에 의해 강제로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는 경우, 내장된 배터리의 강제시동을 통해 전원이 강제로 온 상태가 되어 제1 자석부(110)와의 자력 결속을 통해 제2 비상구(24)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유닛(190)은 제1, 2, 3, 4 센서부(140, 150, 181, 182)에 각각 내장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유닛(195)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제1, 2, 3, 4 센서부(140, 150, 181, 182)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유닛(195)은 전원공급유닛(190)의 동작을 제어하여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제1, 2 비상구(23, 24)를 모두 폐쇄하는 경우, 제1 센서부(140)와 제2 센서부(1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동작이 불필요한 제3 센서부(181)와 제4 센서부(182)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195)은 전원공급유닛(190)의 동작을 제어하여 비상상황시 슬라이딩 비상도어(100)가 개방시키는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한 제3 센서부(181) 및 제4 센서부(182)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 비상구(23) 및 제2 비상구(24) 중 적어도 하나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195)은 전원공급유닛(19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승강장(1) 또는 선로의 상황을 감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에는 비상상황 감지센서(19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상상황 감지센서(197)는 승강장(1) 및 선로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1) 또는 선로에서 비상상황의 발생을 감지하며,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유닛(195)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어유닛(195)이 평상시와 비상상황시에 따라 전원공급유닛(19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비상상황 감지센서(197)는 비상상황(예: 화재, 정전 등)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와 정전 감지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센서는 예시일 뿐 승강장(1) 및 선로에서 발생 가능한 비상상황을 감지할 있는 센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승강장, 2: 스크린도어,
20: 가동문, 20a: 제1 가동문,
20b: 제2 가동문, 21: 비상문,
21a: 제1 비상문, 21b: 제2 비상문,
22: 제1 빔커버, 23: 제1 비상구,
24: 제2 비상구, 100: 슬라이딩 비상도어,
110: 제1 자석부, 120: 제2 자석부,
130: 제2 빔커버, 140: 제1 센서부,
150: 제2 센서부, 160: 디스플레이,
170: 패닉 바, 170a: 제1 패닉바,
170b: 제2 패닉바, 181: 제3 센서부,
182: 제4 센서부, 190: 전원공급유닛,
195: 제어유닛, 197: 비상상황 감지센서.

Claims (2)

  1.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가동문, 비상문 및 제1 빔커버가 구비되는 스크린도어에 형성된 제1 비상구 또는 제2 비상구를 개방하는 슬라이딩 비상도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는,
    선로를 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후면부에 설치된 N극 또는 S극의 제1 자석부;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자석부와 대향되는 N극 또는 S극의 제2 자석부; 상기 제1 빔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와의 래치를 위한 N/S극의 자석이 내장되고,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와의 래치 상태에 따라 ON/OFF로 변환되는 접점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 및 후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비상구가 모두 폐쇄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빔커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가 설치되는 제2 빔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비상구가 모두 폐쇄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센서부와 제1 자석부간의 래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2 센서부와 제2 자석부간의 래치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가 상기 제2 빔커버상에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와 래치가 해제되어 접점이 OFF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가 상기 제1 비상구를 개방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1 센서부가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와의 래치가 해제될 때 상기 제1 자석부와의 래치 상태가 유지되므로 접점이 ON 상태가 되며,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가 상기 제2 비상구를 폐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2 자석부와의 래치 상태가 유지되어 접점이 ON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가 상기 제1 비상구를 폐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1 센서부가 상기 제2 자석부와의 래치 상태가 유지될 때 상기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와 래치가 해제되어 접점이 OFF 상태가 되며,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가 상기 제2 비상구를 개방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슬라이딩 비상도어는,
    평상시에 상기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에 위치한 승객들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광고를 출력하고, 비상상황시 상기 광고의 출력을 종료한 후 상기 승강장에 위치한 구조자에게 상기 제1 비상구 및 제2 비상구의 개폐 여부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승강장을 향하는 전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방법.
  2. 삭제
KR1020230045900A 2022-09-16 2023-04-07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KR102582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900A KR102582252B1 (ko) 2022-09-16 2023-04-07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327A KR102525742B1 (ko) 2022-09-16 2022-09-16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
KR1020230045900A KR102582252B1 (ko) 2022-09-16 2023-04-07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327A Division KR102525742B1 (ko) 2022-09-16 2022-09-16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252B1 true KR102582252B1 (ko) 2023-09-25

Family

ID=860995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327A KR102525742B1 (ko) 2022-09-16 2022-09-16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
KR1020230045900A KR102582252B1 (ko) 2022-09-16 2023-04-07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327A KR102525742B1 (ko) 2022-09-16 2022-09-16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574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24Y1 (ko) 2005-08-31 2005-11-17 (주) 아원기연 승강장 안전장치 조립체
KR100804011B1 (ko) 2006-09-26 2008-02-18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스크린도어의 비상도어패널
KR100808649B1 (ko) 2007-01-31 2008-02-29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KR20120037185A (ko) * 2010-10-11 2012-04-19 (주) 첨성시스템 출입문 안전조명장치
KR20120003438U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KR101681603B1 (ko) * 2016-07-18 2016-12-02 (주)나눔씨에스 광고판 겸용 비상도어를 형성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
KR101738308B1 (ko) * 2016-08-12 2017-05-23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KR20170126527A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큐브인 스크린도어 비상탈출 안내 시스템
KR20220111436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광고판이 설치된 비상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24Y1 (ko) 2005-08-31 2005-11-17 (주) 아원기연 승강장 안전장치 조립체
KR100804011B1 (ko) 2006-09-26 2008-02-18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스크린도어의 비상도어패널
KR100808649B1 (ko) 2007-01-31 2008-02-29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KR20120037185A (ko) * 2010-10-11 2012-04-19 (주) 첨성시스템 출입문 안전조명장치
KR20120003438U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KR20170126527A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큐브인 스크린도어 비상탈출 안내 시스템
KR101681603B1 (ko) * 2016-07-18 2016-12-02 (주)나눔씨에스 광고판 겸용 비상도어를 형성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
KR101738308B1 (ko) * 2016-08-12 2017-05-23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KR20220111436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광고판이 설치된 비상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742B1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03B1 (ko) 광고판 겸용 비상도어를 형성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
CN201162452Y (zh) 城市轨道交通站台屏蔽门防夹人装置
KR101738308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KR101720910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광고판 개방장치
WO2010023724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816900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582252B1 (ko)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CA2325044A1 (en) Safety wall system
CN200985240Y (zh) 用于电梯门的安全装置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JP3847621B2 (ja) 自動ドア
CN107351846B (zh) 一种适用于站台门系统的闸机式安全防护装置
KR102497920B1 (ko) 비상도어 기능을 갖는 광고판 설치 승강장 스크린 도어
CN109052123A (zh) 一种迅速反应的防夹手乘客电梯
KR102228877B1 (ko) 가동문 양측에 비상문이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및 그 비상문 개방 방법
KR200355804Y1 (ko)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CN113090152A (zh) 一种轨道交通用防护门
JP6633798B1 (ja) ホームドア装置
JP5457917B2 (ja) 可動式プラットホーム柵
JP2002154774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4336347B2 (ja) 乗降場用風防壁
CN107284456B (zh) 一种适用于站台门系统的小开度平开式安全防护装置
KR101477150B1 (ko) 전동차의 정차 위치를 고려한 스크린도어 상의 정차 역명 표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92523Y1 (ko) 지하철 스크린도어 안전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