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438U -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 Google Patents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438U
KR20120003438U KR2020100011545U KR20100011545U KR20120003438U KR 20120003438 U KR20120003438 U KR 20120003438U KR 2020100011545 U KR2020100011545 U KR 2020100011545U KR 20100011545 U KR20100011545 U KR 20100011545U KR 20120003438 U KR20120003438 U KR 201200034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board
frame
screen door
header box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709Y1 (ko
Inventor
배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riority to KR2020100011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0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4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헤더박스를 지지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광고판을 포함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헤더박스 전방판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판이 상기 헤더박스 전방판넬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PSD MODULE WITH BURIED ADVERTISEMENT PANEL}
본 고안은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헤더박스를 지지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광고판을 포함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헤더박스 전방판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판이 상기 헤더박스 전방판넬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경전철 등의 전동차역사에는 선로와 함께 승객의 승, 하차를 위한 플랫폼이 설치되어 있으나, 승객의 부주의 혹은 자, 타의적 이탈에 의한 선로측으로의 추락으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은 물론 전동차의 운행 시 발생하는 먼지의 유입과 함께 외기에 노출되어 있음으로 인한 냉, 난방 시 에너지 효율이 지나치게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 및 개선하기 위해 전동차의 도어와 연계되어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됨으로써 승객의 안정적인 승·하차를 보장하고 역사 내 공기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냉, 난방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 PSD)는 지하철이나 경전철 승강장 위에 선로와 격리되는 고정벽(이하 '고정도어'와 혼용)과 가동문(이하 '가동도어'와 혼용)이 설치되어, 지하철이나 경전철 차량(이하 '전동차'라 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설계되어 전동차가 승강장 홈에 완전히 멈추어서면 전동차 문과 함께 가동문이 열려 승객이 탑승하고, 전동차가 출발하면 이동도어가 닫혀 승객이 고의나 실수로 선로에 빠지는 것을 막아 승객의 안전을 확보함은 물론이고, 전동차의 진입 및 출발시에 발생되는 강풍 및 먼지를 현저히 줄이면서 냉난방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승강장 안전 지원 장치 또는 그러한 시스템을 말한다.
이와 같은 스크린도어의 형태로는 선로부와 승강장을 고정벽으로 완전히 격리하는 완전밀폐형, 고정벽 및 가동문 위에 개구부 또는 갤러리를 배치하는 반밀폐형, 차량의 문 위치에 맞추어 가동문을 설치하는 난간형의 3종류로 구분된다.
상기 스크린도어는 슬라이딩 도어의 몸체인 창호부(3) 및 스크린도어 구조체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과 함께 도어 가동을 위한 구동부(2)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구성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의 양측에 수직프레임(1)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 상부에 구동부인 헤더박스(2)가 체결, 조립되며, 구동부와 연동하는 가동도어(3)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도어(4) 및 승객의 비상탈출용 도어인 비상도어(5)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동차가 승강장 홈에 완전히 정차하고, 전동차의 문이 개폐된 후 상기 스크린도어의 가동도어(3)가 슬라이딩 개폐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실내 공기질을 개선함은 물론 냉,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스크린 도어는 일반적으로 고정벽과 가동문으로 제작되어, 승강장의 일측단부에 설치됨으로써 단순히 승객의 안전 확보 및 냉난방 유지 기능을 주 기능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스크린도어를 구성하는 벽과 가동문에 광고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광고판을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도 8 및 도 9는 이러한 종래의 광고판을 부착한 스크린도어의 평면도이다.
스크린도어는 보통 모듈형태로 되어 도 10에 도시된 모듈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제공된다. 다만, 광고판은 두 개의 모듈에 겹쳐져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두 개의 모듈이 연결되는 지점에 있는 수직프레임(1)의 존재로 인해 광고판은 외부로 돌출되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도 8에 의하면, 수직프레임(102)에 의해 광고판(10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는 도 9에 의하면, 수직프레임(104)에 의해 광고판(103)이 두 개의 모듈에 연속적으로 제공되지 못하고, 분리되어 제공된다.
다만, 이러한 돌출형 또는 분리형 광고판의 경우에는 외관상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고, 특히 큰 광고물의 게시가 어렵거나 분할하여 게시하여야 하므로 광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프레임(10)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모듈의 연결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광고판이 두개의 모듈에 걸쳐서 제공되더라도 외부로 돌출되거나 분할되지 않는 매립형 광고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수평프레임(42)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헤더박스(40)를 지지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4)과,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4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33)과, 상기 지지프레임(4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3) 사이에 제공되는 광고판(100)을 포함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은,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지지프레임(44)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판(100)이 상기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기 헤더박스(40)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부(12)와, 상기 광고판(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하부(11)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11)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11)이 상기 상부(12)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21)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수평프레임(42)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헤더박스(40)를 지지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4)과,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4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33)을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모듈 두 개가 상기 수직프레임(10)을 맞대며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스크린도어 모듈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4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3) 사이에 제공되는 광고판(100)을 포함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지지프레임(44)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판(100)이 상기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기 헤더박스(40)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부(12)와, 상기 광고판(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하부(11)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11)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11)이 상기 상부(12)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21)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수직프레임(10)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모듈의 연결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광고판이 두개의 모듈에 걸쳐서 제공되더라도 외부로 돌출되거나 분할되지 않는 매립형 광고판을 제공하여, 광고판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광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의 평면도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의 평면도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의 측면도.
도 8은 종래의 매립형 광고판의 평면도.
도 9는 종래의 매립형 광고판의 평면도.
도 10은 스크린도어를 구성하는 PSD 모듈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제시되는 예로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100)은 2 개의 스크린도어 모듈에 걸쳐져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스크린도어 모듈은 가동도어(51)와, 비상도어(52) 그리고 도면에서는 광고판(100)이 제공되어 있는 고정도어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크린도어 모듈은 수직프레임(1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수직프레임(10)은 헤더박스(40)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부(12)와, 광고판(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하부(11)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하부(11)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11)이 상기 상부(12)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21)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고판(100)이 스크린도어 모듈의 연결부분을 통과할 때에 영향을 주지않기 위함이며, 이는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라 함은 광고판이 보여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전동차가 지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수평프레임(42)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헤더박스(40)를 지지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4)과,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4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33)과, 상기 지지프레임(4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3) 사이에 제공되는 광고판(10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의 평면도로서, 도 1에서의 Ⅱ방향으로의 절단면을 나타내고, 도 5는 도 1에서의 Ⅴ방향으로의 절단 측면도를, 도 6은 Ⅵ 방향으로의 절단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광고판(100)은 스크린도어 모듈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매립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광고판 지지부재(21)를 모듈 내측으로 제공하여, 광고판(10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두 개의 스크린도어 모듈을 연결하는 부재인 수직프레임(10)의 하부(11)의 형상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공하여 광고판(100)이 수직프레임(100)에 영향을 받지 않고 두 개의 스크린도어 모듈의 연결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Ⅲ 및 Ⅳ의 확대도이다. 광고판(100)의 양측에는 광고판과 가동도어(51)를 구분하는 수직 부재(23)가 제공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고판 지지부재(21)는 ㄱ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일면은 광고판(100)을 지지하고, 내측면은 광고판 보호판넬(22)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더박스(40)는 수평프레임(42)과, 지지프레임(44)과, 수평프레임(42)과 지지프레임(44)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헤더박스 전방패널(41)과, 후방에서 연결하는 헤더박스 후방패널(43)에 의해 구분된다.
헤더박스 내에는 가동도어(51)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들이 제공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33)의 전방에는 광고판 지지프레임(31)이 설치되어, 광고판이 볼트 체결 방식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33)의 후방에는 별도의 프레임(32)이 설치되고, 스크린도어 모듈과 전동차가 다니는 측을 구분하는 판넬(24)이 제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직프레임(10)의 형상이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하부(11)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11)이 상부(12)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21)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두 개의 스크린도어 모듈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광고판(10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서는 수평프레임(42)과 지지프레임(44)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의 전면보다, 광고판(100)이 더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볼때 매립형 광고판의 느낌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맞추어 광고판 지지프레임(31) 역시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고안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수평프레임(42)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헤더박스(40)를 지지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4)과,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4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33)을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모듈 두 개가 상기 수직프레임(10)을 맞대며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스크린도어 모듈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4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3) 사이에 제공되는 광고판(100)을 포함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0 : 수직프레임, 100 : 광고판, 33 : 베이스프레임, 31 : 지지부, 40 : 헤더박스, 41 : 헤더박스 전면판넬, 43 : 헤더박스 후면판넬, 42 : 수평프레임, 44 : 지지프레임

Claims (4)

  1.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수평프레임(42)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헤더박스(40)를 지지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4)과,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4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33)과, 상기 지지프레임(4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3) 사이에 제공되는 광고판(100)을 포함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지지프레임(44)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판(100)이 상기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기 헤더박스(40)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부(12)와, 상기 광고판(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하부(11)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11)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11)이 상기 상부(12)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21)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3.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수평프레임(42)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헤더박스(40)를 지지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44)과,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4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33)을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모듈 두 개가 상기 수직프레임(10)을 맞대며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스크린도어 모듈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4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3) 사이에 제공되는 광고판(100)을 포함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지지프레임(44)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판(100)이 상기 헤더박스 전방판넬(41)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기 헤더박스(40)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부(12)와, 상기 광고판(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하부(11)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11)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11)이 상기 상부(12)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121)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KR2020100011545U 2010-11-09 2010-11-09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KR200464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45U KR200464709Y1 (ko) 2010-11-09 2010-11-09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45U KR200464709Y1 (ko) 2010-11-09 2010-11-09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438U true KR20120003438U (ko) 2012-05-17
KR200464709Y1 KR200464709Y1 (ko) 2013-01-15

Family

ID=4661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545U KR200464709Y1 (ko) 2010-11-09 2010-11-09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252B1 (ko) * 2022-09-16 2023-09-25 (주)동우자동도어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12B1 (ko) 2016-05-09 2018-08-01 주식회사 큐브인 스크린도어 비상탈출 안내 시스템
KR200491492Y1 (ko) 2018-10-31 2020-04-16 주식회사 큐브인 광고 모듈이 설치된 도어 시스템
KR102046459B1 (ko) * 2019-06-03 2019-11-20 신판주 스크린도어의 프레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167B1 (ko) 2005-03-09 2006-08-01 백종명 스크린 도어에 설치되는 광고 및 홍보용 보드
KR20080005835U (ko) * 2007-05-29 2008-12-03 이영길 광고판용 착탈식 엘이디모듈 구조체
KR100830571B1 (ko) 2007-12-07 2008-05-22 (주)동우자동도어 Psd의 광고용 고정 도어
KR100912491B1 (ko) 2008-04-28 2009-08-17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sd 조립체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252B1 (ko) * 2022-09-16 2023-09-25 (주)동우자동도어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709Y1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709Y1 (ko)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CN109204330B (zh) 一种大视野悬挂式空轨列车
JP2011213226A (ja) 軌条車両
KR20170036887A (ko) 복합형 스크린도어
CN104527679A (zh) 轨道车辆中顶模块化结构及轨道车辆
KR100711963B1 (ko) 모듈화된 psd 조립체
CN103863343A (zh) 轨道车辆折棚风挡
KR20100029411A (ko) 난간형 psd
CN210087128U (zh) 一种轨道交通技术用自动屏蔽门
CN201874403U (zh) 上下推滑式全开门窗
KR101263564B1 (ko) Psd 조립체 모듈용 보강프레임
KR20170126526A (ko) 스크린도어의 투명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CN204415402U (zh) 轨道车辆中顶送风结构及轨道车辆
CN204355057U (zh) 轨道车辆中顶模块化结构及轨道车辆
CN201162450Y (zh) 一种半高站台屏蔽门
KR100830571B1 (ko) Psd의 광고용 고정 도어
CN202954685U (zh) 轨道车辆内藏移门滑动结构
CN210391114U (zh) 一种站台门固定结构
CN209510024U (zh) 一种地铁站台用屏蔽门
KR101234884B1 (ko) 피에스디 조립체 모듈의 천장 밀봉 구조
KR101263570B1 (ko) Psd 조립체 모듈에 사용되는 수직프레임 커버 구조
CN2407107Y (zh) 地铁站台屏蔽门
CN201007171Y (zh) 应急门
KR200384904Y1 (ko) 지하철 투신 방지용 현가식(懸架式) 전동 스크린 셔터
CN104554309A (zh) 轨道车辆中顶送风结构及轨道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